KR20210030438A -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 - Google Patents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438A
KR20210030438A KR1020217004167A KR20217004167A KR20210030438A KR 20210030438 A KR20210030438 A KR 20210030438A KR 1020217004167 A KR1020217004167 A KR 1020217004167A KR 20217004167 A KR20217004167 A KR 20217004167A KR 20210030438 A KR20210030438 A KR 20210030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ing
module
frame
kit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스칼 로드리게스
다니엘 비아르게스
Original Assignee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filed Critical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ublication of KR2021003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 E02F3/20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with a pair of digging wheels, e.g. slot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4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E02F3/4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with grab buckets
    • E02F3/47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with grab buckets for making foundation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8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12)을 구비한 드릴링 머신(10)용 앵커링 키트(100)에 관한 것으로서, 앵커링 키트는 적어도 제1 앵커링 모듈(110)을 포함하며, 제1 앵커링 모듈은:
토양 내에 제1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링 장치(114)를 포함하는 제1 부분(112)과:
프레임(12)에 대한 고정 장치(118)를 포함하는 제2 부분(116)과;
제1 방향(A)을 따라 제1 부분에 대해 제2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122);를 갖는다.

Description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병치된 콘크리트 벽 요소로 이루어지는 연속 스크린과 같은, 기초를 제작하기 위한 관점에서 토양 내를 드릴링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드릴링 방향을 따라 토양 내에서 굴착을 수행하기 위한 드릴링 머신의 분야에 관련된다.
그러한 굴착을 수행하기 위해서, 드릴링 모듈을 운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릴링 머신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추적식(tracked) 캐리어의 마스트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에 매달려 있다. 드릴링 모듈은 드릴링 경로에 직각인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단 부재, 즉 절단 드럼을 포함한다. 그러한 기계를 일반적으로 밀링 커터라고 한다.
시판되는 대부분의 드릴링 머신 모델은 단단하거나 매우 단단한 토양을 드릴링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유형의 표준 기계는 점토, 모래 또는 연암과 같은 토양에서의 형성을 허용하지만, 일반적으로 단단한 암석이나 석회암이 포함된 불균일한 토양에서의 형성은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한 유형의 토양을 드릴링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EP 0 811 724 또는 WO 2017/04249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앵커링 모듈을 구비하는 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기계는 표준 기계보다 매우 독특하고 비싸다. 게다가 조작자가 비용 및 물류상의 이유로 표준 기계와 단단한 토양을 위한 특정 기계를 동일한 현장에 두는 것이 때때로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표준 드릴링 머신에 장착할 수 있는 앵커링 키트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드릴링 모듈을 운반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앵커링 키트는 다음을 포함하는 제1 앵커링 모듈을 포함한다:
앵커링 장치를 포함하는 제1 부분으로서, 상기 앵커링 장치는 토양 내에 상기 제1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과;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2 부분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것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상기 제2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는 바람직하게는 토양 내에 수직 트렌치를 만들기 위한 표준 드릴링 머신을 위한 것이다.
드릴링 머신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수직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는 앵커링 모듈 없이 기존의 표준 기계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앵커링 모듈"은 트렌치의 벽에 지지됨으로써 드릴링 머신의 일부를 토양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따라서 앵커링 키트는 기존의 및 운용중의 드릴링 머신에 부가된 드릴링 머신과는 구별되는 구조적 단위를 구성한다. 앵커링 키트는 프레임에 대해 제2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통해 드릴링 머신에 장착된다.
앵커링 장치는 유리하게는 제1 부분을 토양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 장치는 표준 드릴링 머신의 프레임에 제2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 장치는 유리하게는 이것이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을 때 앵커링 키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분리 가능하다.
고정 장치가 작동되면, 제1 부분은 토양 내에 고정된다. 특히 수직 방향을 따라서 블로킹된다. 그 다음, 변위 장치가 작동되면, 제2 부분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1 부분에 대해 이동된다. 따라서 변위 장치는 제2 부분에 힘을 가하고, 이 힘은 프레임에 그리고 드릴링 모듈에 전달된다. 제1 부분이 토양 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드릴링 모듈에 상당한 힘을 가할 수 있어, 단단한 지면의 드릴링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에 대한 제2 부분의 변위는 병진 이동이다.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트렌치의 벽을 따라 제2 부분의 수직방향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패드를 포함한다.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상대적인 변위를 허용하기 위해서, 변위 장치는 유리하게는 제1 앵커링 모듈의 제1 부분에 대해 그리고 제2 부분에 대해 연결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유리하게는 제1 앵커링 모듈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예상되는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제2 부분에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여러 개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키트는 드릴링 머신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앵커링 키트는 유압 실린더에 연결된 유압 피팅부(fitting)를 더 포함하고, 유압 피팅부는 프레임의 유압 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유압 피팅부의 존재는 앵커링 키트를 표준 드릴링 머신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하고 앵커링 키트를 드릴링 머신에 빠르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앵커링 장치는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전개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를 포함하고, 제1 패드의 전개 방향은 제2 패드의 배치 방향과 반대이다.
앵커링 키트가 장착된 드릴링 머신이 트렌치 내에 배치되고 앵커링 장치가 작동되면,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가 전개되어 트렌치의 마주하는 벽,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장 넓은 벽에 대항하여 지지되고, 이는 트렌치 내에서 제1 부분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는 대안적으로 트렌치의 2개의 가장 작은 벽에 대항하여 지지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은 본체를 더 포함하고, 앵커링 장치는 제1 및 제2 패드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는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3 방향을 따라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소위 "플로팅(floating)" 장착 덕분에, 트렌치 내의 앵커링 장치의 앵커링은 제3 방향을 따른 본체의 변위를 야기시키지 않는다. 한 가지 장점은 트렌치 내에서의 앵커링 동안에 프레임의 이동을 방지하여, 드릴링 경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제1 앵커링 모듈은 제1 부분에 대한 프레임의 변위를 안내하기위한 가이드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안내는 유리하게는 제1 방향을 따라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시스템은 제1 부분에 대해 프레임의 수직 병진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 가지 장점은 변위 장치가 드릴링 모듈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수직 힘을 가할 때 드릴링 모듈의 편향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시스템은 제1 방향을 따라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부분은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는 한편, 제1 부분은 앵커링 장치에 고정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앵커링 키트는 제2 앵커링 모듈과,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을 함께 체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의 제1 부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은 드릴링 머신의 프레임의 각각의 작은 면(이하, '소면부'라고도 함)에 고정되고, 연결 장치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 사이에서 연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는 프레임의 넓은 면(이하, '대면부'라고도 함)이 옆에 있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프레임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여기서 변위 장치는 연결 장치와 제1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액추에이터, 및 연결 장치와 제2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연결 장치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의 제1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로는 상기 제1 부분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 장치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단면을 가지며, 이는 프레임의 단면보다 더 넓다.
본 발명은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드릴링 모듈을 운반하는 하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릴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드릴링 머신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를 더 포함하고, 제1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은 프레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키트는 프레임에 고정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앵커링 모듈을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프레임의 하부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드릴링 모듈은 길이방향에 직각인 축선 주위에서 회전하는 절단 드럼을 구비하며, 여기서 드릴링 머신의 길이는 7미터보다 작다.
그러한 기계를 일반적으로 "밀링 커터(milling cutter)"라고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드릴링 머신은 길이가 7미터보다 작으면 소형 밀링 커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링 키트의 길이는 프레임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배타적이지 않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드릴링 모듈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변위 장치는, 제1 부분에, 그에 따라 프레임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수직방향 미는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과 드릴링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위 장치는 프레임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당기는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드릴링 머신의 변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을 갖춘 드릴링 머신이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은 드릴링 모듈을 운반하는 하부 부분을 가지며, 이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가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앵커링 키트의 제1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은 제1 방향이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앵커링 키트가 제2 앵커링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법은, 제2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을, 제1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을 수용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을 장착한 후, 전술한 연결 장치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을 함께 연결하기 위해서 제자리에 배치된다.
드릴링 머신이 프레임의 소면부를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변형 방법은 프레임의 소면부에 제2 부분(들)을 고정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 모듈(들)을 미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음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 도 1은 소형의 밀링 커터라고도 알려져 있는 유형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
- 도 2는, 변위 장치가 후퇴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가 장착된 도 1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
- 도 3은,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드릴링 모듈에 가하도록 변위 장치가 전개되어 있는, 도 2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
-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의 상세도;
- 도 5는 도 3의 드릴링 머신의 개략적인 측면도;
- 도 6은, 변위 장치가 전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가 장착된 도 1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
- 도 7은 드릴링 모듈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기 위해 변위 장치가 수축되어 있는 도 6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
- 도 8은, 변위 장치가 후퇴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가 장착된 도 1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 도 9는, 변위 장치가 전개되어 있는, 도 8의 드릴링 머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토양(S) 내에서 굴착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드릴링 머신(1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소형 밀링 커터라고도 알려져 있는 이 드릴링 머신(10)은, 높이(H)가 5m 정도이다.
드릴링 머신(10)은 리프트 케이블(14)에 고정된 상단부(12a)를 갖는 프레임(12)을 포함한다. 공지의 방식으로, 리프트 케이블(14)은 캐리어, 예를 들어 추적식 캐리어(2)(도시생략)의 마스트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프레임(12)은 드릴링 모듈(16)을 운반하는 하단부(12b)를 갖는다. 공지된 방식으로, 드릴링 모듈(16)은 프레임(12)의 길이방향 축선(X)에 직각인 회전축선(Y, 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커팅 드럼(18)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 축선(X)은 수직이고, 회전 가능한 커팅 드럼의 회전축선(Y, Z)은 수평이다.
드릴링 머신(10)은 드릴링 머드와 혼합된 절단물을 흡입 및 제거하기 위하여 덕트(17)에 연결된 흡입 부재(15)를 더 포함한다.
트렌치의 벽을 따른 드릴링 머신(1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프레임(12)에는 프레임(12)의 가장 작은 면 즉 소면부(12c, 12d)에 고정된 제1 가이드 요소(20) 및 제2 가이드 요소(22)가 장착된다. 공지의 방식으로, 가이드 요소(20, 22)는 프레임이 벽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러한 드릴링 머신(10)은, 공지의 방식으로, 단단한 지면을 드릴링하거나 다시 물린(re-bitten) 패널에 대해 너무 낮은, 공구에 대한 부하를 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의 드릴링 머신(10)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를 장착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법에 따라서 변형된다.
따라서 앵커링 키트(100)는 드릴링 머신(10)과는 구별되는 추가된 구조 유닛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의 3가지 실시형태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앵커링 키트(100)는 제1 부분을 토양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링 장치(114)를 포함하는 제1 부분(112)을 포함하는 제1 앵커링 모듈(110)을 포함한다.
앵커링 장치(114)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앵커링 모듈(114)은 제2 부분(116)을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18)를 포함하는 제2 부분(116)을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 고정 장치(118)는 예를 들어 볼트(119)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부분(116)이 제1 부분(112)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앵커링 모듈(110)은 제1 부분(112)에 대해 제2 부분(116)을 제1 방향(A)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122)를 포함한다. 제1 앵커링 모듈이 프레임에 장착될 때, 제1 방향(A)은 프레임의 길이방향(X)에 평행하고, 이들 2개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임을 알 수 있다.
본 예에서, 변위 장치(122)는 제1 부분(112)에 대해 및 제2 부분(116)에 대해 연결된 액추에이터(124)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24)의 작동은 제1 부분(112)에 대해 제2 부분(116)을 이동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예에서, 액추에이터(124)는 유압 실린더(126)를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126)에 유압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앵커링 키트(100)는 실린더(126)에 연결되고 또한 프레임(12)의 유압 호스(13)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유압 피팅부(fitting)(130)를 더 포함한다.
도 1, 2, 3 및 4를 참조하면, 고정 장치(118)는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제2 부분(116)을 프레임(12)의 제1 소면부(12c)에 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고정 장치는 앵커링 키트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분리될 수도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앵커링 장치(114)는 제1 방향(A)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B)을 따라 전개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140, 142)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링 패드(140)의 전개 방향은 제2 앵커링 패드(142)의 전개 방향과는 반대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5에는 앵커링 장치가 앵커링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140, 142)는 제1 부분(112)을 고정하기 위해서 토양(S) 내에 굴착된 트렌치(T)의 마주하는 벽(P1 및 P2)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분(112)은 몸체(144)를 더 포함하고, 앵커링 장치(114)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146, 148)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예에서, 유압 실린더가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140, 142)에 각각 연결된다. 액추에이터(146, 148)는 제1 방향(A)을 가로지르는 제3 방향(C)을 따라 몸체(14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예에서, 제2 및 제3 방향(B, C)은 평행하다. 이러한 플로팅 장착(floating mounting)은 몸체(144)의 위치를 수정하지 않으면서 제1 부분(112)을 토양 내에 앵커링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앵커링 도중에 드릴링 모듈의 위치를 수정하지 않게 한다. 한 가지 장점은 앵커링 도중에 드릴링 경로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다시 도 2, 3 및 4를 참조하면, 제1 앵커링 모듈(110)은 제1 방향을 따라 제1 부분(112)에 대해 병진 상태로 프레임(12)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시스템(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더 잘 보이는 가이드 시스템(150)은 제1 부분(152) 및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부분(154)을 포함한다. 제2 부분(154)은 제2 부분(154)을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56)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앵커링 모듈(110)의 제1 부분(112)은 가이드 시스템(150)의 제1 부분(152)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제2 부분(154)은 레일(158)을 포함하는 한편, 제1 부분(152)은 레일(158)이 맞물리는 홈(160)을 포함하며, 이는 제1 앵커링 모듈(110)의 제1 부분(112)과 프레임(12)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연결을 규정하도록 한다.
또한 레일(158)은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156)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도 2 및 3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링 키트(100)는 여기서 제1 앵커링 모듈(110)과 동일한 제2 앵커링 모듈(11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앵커링 모듈(110')은 앵커링 장치(114')를 구비한 제1 부분(112')과, 프레임(12)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2 부분(116')을 포함한다. 제2 앵커링 모듈은 프레임에 대한 고정 장치(118')를 포함하며, 뿐만 아니라 변위 장치(122')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키트(100)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110, 110')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연결 장치(170)를 더 포함한다. 본 예에서, 연결 장치(170)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110, 110')의 제1 부분(112, 112')들을 함께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연결 장치는 제1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강성 요소를 형성하는 바(172, 174)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110, 110')의 제1 부분의 앵커링 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제1 부분이 토양 내에 고정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2에서 변위 장치는 후퇴 위치에 있다. 이어지는 변위 장치(122, 122')의 작동은 유압 실린더를 전개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유압 실린더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에 대해, 그에 따라 프레임에 대해, 계속해서 드릴링 모듈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미는 힘을 가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가지 장점은 단단한 땅이 있는 곳에서 드릴링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 2 내지 4의 예에서, 제1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116)은 제1 부분(112)과 드릴링 모듈(16)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200)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할 것이다.
앵커링 키트(200)는 도 1에 도시된 드릴링 머신(10)에 장착된다.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앵커링 키트(200)는 토양 내에 제1 부분(212)을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링 장치(214)를 갖는 제1 부분(212)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12)에 제2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218)를 갖는 제2 부분(216)을 포함하는 제1 앵커링 모듈(210)을 포함하며, 제2 부분(216)은 제1 부분(212)과 상호작용한다.
앵커링 키트(200)는 또한 제1 방향(A)을 따라 제1 부분(212)에 대해 제2 부분(216)을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222)를 포함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200)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커링 키트(100)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앵커링 키트(200)는 앵커링 장치(214, 214')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변위 장치(222, 222')를 포함한다. 앵커링 키트(200)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부분이 제2 부분과 드릴링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6에서, 변위 장치(222, 222')는 전개 위치에 있다. 앵커링 장치(214, 214')가 작동될 때, 다시 말해서 제1 부분이 토양 내에 고정될 때, 변위 장치(222, 222')의 작동은 변위 장치(222, 222')의 실린더를 후퇴 위치로 가져가며, 이는 제2 부분(216)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당기는 힘을 가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12)을 잡아당기고, 계속해서 드릴링 모듈(16)을 잡아당긴다.
이제 도 8 및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커링 키트(300)의 제3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도 앵커링 키트(300)는 도 1에 도시된 드릴링 머신(10)에 장착된다.
앵커링 키트(300)의 제3 실시형태는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310, 310')의 제1 부분(312,312')을 함께 결합하는 연결 장치(370)가 길이방향(X)을 따른 프레임(12)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37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달리 보면,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310, 310')의 제1 부분(312, 312')은 단일 편을 형성한다. 본 예에서, 이 단일 부분은 드릴링 머신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대형 앵커링 패드(315)를 구비하는 앵커링 장치(3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예에서, 제1 앵커링 모듈(310)의 제2 부분(316)은 또한 드릴링 모듈(16)과 제1 앵커링 모듈(310)의 제1 부분(31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앵커링 키트(300)는 제1 앵커링 모듈(310)의 제2 부분(316)과 연결 장치(370)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액추에이터(323) 및 제2 앵커링 모듈(310')의 제2 부분(316')과 연결 장치(370)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액추에이터(325)를 포함한다.
앵커링 장치(314)가 작동되면, 제1 부분은 토양 내에 고정된다.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323, 32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위치에 있고, 변위 장치(322)의 작동은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323, 325)를 전개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프레임(12)에 대해 그리고 드릴링 모듈(16)에 대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미는 힘을 생성한다.

Claims (15)

  1. 드릴링 모듈(16)을 운반하는 프레임(12)을 포함하는 드릴링 머신(10)을 위한 앵커링 키트(100, 200, 300)로서,
    상기 앵커링 키트는 적어도 제1 앵커링 모듈(110, 210, 3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앵커링 모듈은:
    앵커링 장치(114, 214, 314)를 포함하는 제1 부분(112, 212, 312)과;
    고정 장치(118, 218)를 포함하는 제2 부분(116, 216, 316)과;
    제1 방향(A)을 따라 상기 제2 부분(116, 216, 316)을 상기 제1 부분(112, 212, 312)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122, 222, 322);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링 장치는 토양 내에 상기 제1 부분(112, 212, 312)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2 부분(116, 216, 316)을 상기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부분(116, 216, 316)은 상기 제1 부분(112,212,312)과 상호작용하는, 앵커링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링 모듈의 변위 장치(122, 222, 322)는 상기 제1 앵커링 모듈의 제1 부분(112, 212) 및 제2 부분(116, 216, 316)에 연결된 액추에이터(124)를 포함하는, 앵커링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24)는 유압 실린더(126)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링 키트(100, 200, 300)는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는 유압 피팅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피팅부는 상기 프레임(12)의 유압 호스(1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앵커링 키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장치(114)는 제1 방향(A)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B)을 따라 전개 가능한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140, 1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앵커링 패드(140)의 전개 방향은 상기 제2 앵커링 패드(142)의 전개 방향과는 반대인, 앵커링 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2)은 본체(1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장치(114)는 제1 및 제2 앵커링 패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146, 148)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1 방향(A)을 가로지르는 제3 방향(C)을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앵커링 키트.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링 모듈(110)은 상기 제1 부분(110)에 대한 상기 프레임(12)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시스템(150)을 더 포함하는, 앵커링 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시스템은 제1 부분(152) 및 상기 제1 부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부분(15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154)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앵커링 장치(156)에 고정되는, 앵커링 키트.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고정 모듈(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링 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앵커링 모듈(110, 110')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연결 장치(170, 3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링 키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370)는 상기 프레임(12)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372)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장치(322)는 상기 연결 장치와 상기 제1 앵커링 모듈(310)의 상기 제2 부분(316)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액추에이터(323), 및, 상기 연결 장치(370)와 상기 제2 앵커링 모듈(310')의 상기 제2 부분(316')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액추에이터(325)를 포함하는, 앵커링 키트.
  11.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12)을 포함하고 드릴링 모듈(16)을 운반하는 하부 부분(12b)을 갖는 드릴링 머신(10)으로서,
    상기 드릴링 머신은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앵커링 키트(100, 200, 300)를 포함하며, 제1 앵커링 모듈(112, 212, 312)의 제2 부분(116, 216, 316)은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드릴링 머신.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하부 부분은 펌프(15)를 구비하고, 상기 드릴링 모듈은 길이 방향에 직각인 축선(Y, Z)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절단 드럼(18)을 구비하고, 상기 밀링 커터의 길이는 7미터보다 작은, 드릴링 머신.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앵커링 키트(100, 200, 300)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드릴링 머신.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116, 316)은 상기 제1 부분(112, 312)과 상기 드릴링 모듈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드릴링 머신.
  15.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12)을 갖추고 있고, 상기 프레임은 드릴링 모듈을 운반하는 하부 부분을 갖는 드릴링 머신(10)의 변형 방법으로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앵커링 키트(100, 200, 300)가 제공되고;
    상기 앵커링 키트의 제1 앵커링 모듈의 제2 부분(116, 216, 316)은 제1 방향이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법
KR1020217004167A 2018-07-13 2019-07-10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 KR20210030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6478A FR3083819B1 (fr) 2018-07-13 2018-07-13 Kit d'ancrage pour machine de forage
FR1856478 2018-07-13
PCT/FR2019/051734 WO2020012124A1 (fr) 2018-07-13 2019-07-10 Kit d'ancrage pour machine de fo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38A true KR20210030438A (ko) 2021-03-17

Family

ID=6586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67A KR20210030438A (ko) 2018-07-13 2019-07-10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270000A1 (ko)
EP (1) EP3821082A1 (ko)
JP (1) JP7373548B2 (ko)
KR (1) KR20210030438A (ko)
CN (2) CN115874638A (ko)
CA (1) CA3105606A1 (ko)
FR (1) FR3083819B1 (ko)
SG (1) SG11202013017UA (ko)
WO (1) WO2020012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1305A1 (de) * 2019-01-18 2020-07-23 Liebherr-Werk Nenzing Gmbh Modulare Schlitzwandfrä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34611A1 (de) * 1965-12-13 1969-08-28 Demag Ag Vorrichtung zur Kurvensteuerung einer ins Bohrloch einfahrenden Tunnelbohrmaschine
ES420924A1 (es) * 1972-12-14 1976-04-01 Hydrosol Dispositivo de perforacion.
JPS58171983U (ja) * 1982-05-06 1983-11-17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掘削機
DE3615068C1 (en) * 1986-05-03 1987-10-08 Dyckerhoff & Widmann Ag Rope-guided trench-wall grab
JPH0437964Y2 (ko) * 1987-09-09 1992-09-07
JP2684131B2 (ja) * 1991-11-08 1997-12-03 菱建基礎株式会社 掘削機
FR2696766B1 (fr) * 1992-10-09 1994-11-10 Sol Cie Organe de guidage télescopique pour appareil destiné à creuser dans le sol des tranchées de grande profondeur à l'aide de tambours de fraisage.
FR2749333B1 (fr) 1996-06-04 1998-08-28 Sol Comp Du Appareil a chassis telescopique pour creuser des tranchees dans le sol
FR2806112B1 (fr) * 2000-03-13 2002-06-14 Cie Du Sol Appareil de forage en terrain dur
FR2806111B1 (fr) * 2000-03-13 2002-06-14 Cie Du Sol Appareil de forage en terrain dur
EP1703023B1 (de) * 2005-03-18 2011-06-22 BAUER Maschinen GmbH Tiefbau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litzen im Boden mit Lenk- und Steuereinrichtung
EP2378002B1 (de) * 2010-04-16 2013-07-17 BAUER Maschinen GmbH Fräsvorrichtung zum Erstellen vertikal verlaufender Schlitze im Boden
JP6239356B2 (ja) * 2013-11-29 2017-11-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トンネル掘削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R3039851B1 (fr) 2015-08-05 2021-12-10 Soletanche Freyssinet Outil d'excavation par impulsions electriques
FR3041022B1 (fr) * 2015-09-10 2017-09-29 Soletanche Freyssinet Machine de forage ancrable munie d'un module de forage articule et mobile en translation
FR3041024B1 (fr) 2015-09-10 2017-09-29 Soletanche Freyssinet Machine de forage munie d'un dispositif d'ancrage permettant un deplacement horizontal du module de forage en position ancree
FR3041025B1 (fr) * 2015-09-10 2017-09-29 Soletanche Freyssinet Machine de forage suspendue a un cable de sustentation fixe au module de forage
FR3060046B1 (fr) 2016-12-14 2020-10-30 Soletanche Freyssinet Machine de forage munie de quatre organes de f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1082A1 (fr) 2021-05-19
CN112424425B (zh) 2023-05-30
JP2021524551A (ja) 2021-09-13
SG11202013017UA (en) 2021-02-25
WO2020012124A1 (fr) 2020-01-16
FR3083819A1 (fr) 2020-01-17
CN115874638A (zh) 2023-03-31
US20210270000A1 (en) 2021-09-02
CA3105606A1 (en) 2020-01-16
JP7373548B2 (ja) 2023-11-02
CN112424425A (zh) 2021-02-26
FR3083819B1 (fr)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4917B2 (ja) アンカー位置における掘削モジュールの水平移動を可能にするアンカー装置を備えた掘削機
US20190048552A1 (en) Drilling machine.
KR102064982B1 (ko) 버팀보 결합형 레이커 지보구조를 가지는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CN108867735A (zh) 用于在地面中产生槽的槽壁设备及方法
KR20180053329A (ko) 드릴링 머신
KR100949606B1 (ko) 천공오거 케이싱 외부에 장착하여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시트파일 천공항타공법 및 천공항타장치
JPH1096247A (ja) 地面に鉛直方向の溝を掘るための伸縮フレーム装置
KR102340894B1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KR20210030438A (ko) 드릴링 머신용 앵커링 키트
US8955611B1 (en) Cleat anchoring system useful on HDD rigs
KR20110088291A (ko) 백호우의 작업기
KR101081032B1 (ko) 천공기와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JP5961441B2 (ja) 鋼矢板埋設用掘削装置、及び鋼矢板の埋設方法
KR101756778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반보강용 교반혼합장치
KR100990430B1 (ko) 비개착식 지하구조물 공법
JP2015145568A (ja) 矢板打設工法
JP4112921B2 (ja) 線路間の作業に用いる仮設構台
RU2773932C1 (ru) Установка горизонтально-направленного бурения
JP2017223069A (ja) 低空頭掘削機及び低空頭掘削機における水平フレームの高さ位置調整方法
KR20240004713A (ko) 퀵-릴리즈 밀링 장치를 구비한 그랩-버킷 샤시를 갖는 드릴링 머신
US20110129306A1 (en) Excavation tool assembly
NZ740866B2 (en) Drilling machine
KR20120071839A (ko) 건설중장비용 퀵 커플러
JP2000319924A (ja) 連続壁施工掘削装置および掘削方法
JP2005194828A (ja) 溝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