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229A - 교통수단용 차체, 및 교통수단용 차체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수단용 차체, 및 교통수단용 차체의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229A
KR20210030229A KR1020200114029A KR20200114029A KR20210030229A KR 20210030229 A KR20210030229 A KR 20210030229A KR 1020200114029 A KR1020200114029 A KR 1020200114029A KR 20200114029 A KR20200114029 A KR 20200114029A KR 20210030229 A KR20210030229 A KR 20210030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ide wall
shim
vehicle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꼬르시모
Original Assignee
스피드이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피드이노브 filed Critical 스피드이노브
Publication of KR2021003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8Internal lining, e.g. 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8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교통수단, 특히 레일 차량용 차체(2)가 제공되는바, 상기 차체는: 바닥 지지 구조물(8); 적어도 하나의 측벽(6); 상기 측벽(6)과 지지 구조물(8) 사이의 접합부(junction)에 배치되는 끼움쇠(shim)(66); 상기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가시적인 커버 층(covering layer)(10); 및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부(102)를 덮는 마감 캡(finishing cap)(12);을 포함하고,
상기 캡(12)은 분리가능하게 상기 측벽(6)에 대해 체결되고, 또한 끼움쇠(66)와 함께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부(102)를 수용하기 위한 간극(500)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relative position)는 조정가능하고, 상기 갭의 폭(ℓ500)은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Description

교통수단용 차체, 및 교통수단용 차체의 장착 방법{Body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body}
본 발명은 교통수단, 특히 레일 차량용 차체에 관한 것이다. 이 차체는 바닥 지지 구조물,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기 지지 구조물과 측벽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되는 끼움쇠, 상기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커버 층, 및 상기 커버 층의 경계부를 덮는 마감 캡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레일 차량의 바닥은 카페트 또는 리놀륨 유형의 가시적인 커버 층을 포함하는바, 이것은 차량에 소정의 안락함과 특유의 미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가시적인 커버층은 차량의 마감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철도 차량의 1등급 객실에 사용되는 카페트는 일반적으로 2등급 객실에 사용되는 카페트보다 두꺼운 것이 일반적이다.
문헌 US-A-2,559,443 에는 레일 차량의 지지 구조물 상에 있는 가시적인 커버 층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 층이 차량의 측벽으로 올라가게 유발하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커버 층의 상측 경계부는 측벽에 장착된 로드(rod)들을 이용하여 창문에 인접하게 부착된다. 바닥과 측벽 사이의 천이 구역에서, 상기 커버 층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 시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커버 층은 이 구역에서의 연속성이 저해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층의 경계부와 체결되는 로드들은 단일의 덮음 두께(covering thickness)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문헌 EP-A-2,266,858 에는 레일 차량용 세면실 칸(washroom cell)의 제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상기 칸의 측벽과 바닥 사이의 접합부에 끼움쇠를 포함시키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다. 마감 로드(finishing rod)는 상기 끼움쇠에 클립핑(clipping)되고, 바닥 커버 층을 덮는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고여있는 물이 바닥과 측벽 사이의 접합부를 관통함을 방지할 수 있지만, 마감 로드에서의 방수성(tightness), 또는 바닥 커버 층의 다양한 두께에 적응함을 보장하지 못한다.
다른 시스템은, 소정 두께의 커버 층을 덮는 특정 기하형태의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커버 층에 기초한 특정 기하형태를 가진 이와 같은 프로파일을 사용하면, 차량의 차체의 제작 및 유지보수 작업과 관련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부품 갯수의 증가가 유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교통수단, 특히 레일 차량을 위한 새로운 차체를 제공함으로써 전술된 단점들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는바, 상기 차체는 다양한 두께의 가시적인 커버 층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순한 구조 덕분에, 높은 마감 수준을 제공하고 또한 많은 갯수의 다양한 부수적 부품들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체의 구조 내부로 물이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전술된 유형의 교통수단용 차체가 제공되는바, 여기에서 캡은 바람직하게는 분리가능하게 측벽에 체결되고, 상기 캡은 끼움쇠와 함께 상기 커버 층의 경계부를 수용하는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캡과 끼움쇠의 상대 위치는 조정가능하고, 상기 간극의 폭은 상기 끼움쇠에 대한 상기 캡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차체의 구조가 다양한 구성형태에서의 사용에 호환가능하게 되는바, 특히 교통수단의 상이한 안락 레벨들을 위해 적합한 상이한 두께들을 가진 가시적인 커버 층들에 대한 사용에 호환가능하게 되면서도, 효과적인 방수성이 보장되어 바닥과 측벽의 접합부 구역에, 또는 심지어 가시적인 커버 층과 바닥 사이로 세척용 물이 진입함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장점은 상이한 구성형태에서 사용가능한 끼움쇠와 캡에 의하여 얻어지는바,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체의 생산 및 유지보수 동안에 부품들의 다양한 기준을 관리할 필요성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하되 선택적인 사항에 따르면, 상기 차체는 기술적으로 허용가능한 조합의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마감 캡을 측벽에 체결하는 수단은, 상기 캡과 측벽 중 제1 요소(first element)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원형(oblong) 구멍, 상기 장원형 구멍 안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캡과 측벽 중 제2 요소에 배치되는 다른 구멍을 포함한다.
- 상기 끼움쇠는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지지 구조물과 일체주조로(monobloc) 제작된다.
- 상기 끼움쇠는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부품이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profile)의 형태를 갖는다.
- 상기 측벽은 상기 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차량 차체의 내부 체적을 향하여 대면하는 캡의 면이 상기 수용하는 하우징의 연장선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체적을 향하여 대면하는 측벽의 면과 연속을 이룬다.
- 상기 캡은 상기 측벽에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즉 높은 제1 위치와 상기 높은 제1 위치보다 상기 끼움쇠에 대해 더 가까운, 낮은 제2 위치에 장착되도록 제공된다.
- 상기 캡은 상기 측벽에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즉 높은 제1 위치와 상기 높은 제1 위치보다 상기 끼움쇠에 대해 더 가까운, 낮은 제2 위치에 장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캡이 하우징 내에서 높은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캡의 상측 에지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 에지(upper edge)와 접촉하고, 상기 차량 차체의 내부 체적을 향하여 대면하는 캡의 면과 상기 수용하는 하우징과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체적을 향하여 대면하는 상기 측벽의 면은 연속을 이루며, 상기 캡의 면과 상기 측벽의 면 사이에는 간극이 없다.
- 상기 캡에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밑판(soleplate)이 구비되고, 상기 밑판은 상기 끼움쇠에 대한 상기 캡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하우징의 저부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 상기 커버 층의 경계부의 하측 면이 지탱되는 상기 끼움쇠의 상측 및 측부 표면은, 상기 끼움쇠에 대한 상기 캡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커버 층의 경계부의 상측 면에 대해 지탱되는 상기 커버의 하측 표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된 차체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방법은, 상기 간극의 폭을 상기 커버 층의 경계의 두께에 따라서 적응시키도록, 상기 끼움쇠에 대한 상기 캡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차체에 관하여 전술된 것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장점들은, 아래와 같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고 예시적으로서만 제시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차체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차량의 차체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부분 단면도는 제1 두께를 가진 카페트의 층을 포함하는 바닥과 측벽들 중 하나 사이의 접합부 구역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에는 도 1 에 도시된 화살표 II 에 의해 표시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도 1 의 부분 단면도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상기 바닥이 도 1 의 카페트의 층의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진 카페트의 층을 갖는 경우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도 2 의 측면도와 유사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도 3 의 화살표 IV 에 의해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차량 차체(2)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차체는 바닥(4)과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는바, 상기 도면들에는 두 개의 측벽들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에는 참조번호 6 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는 바닥(4)과 측벽(6) 사이의 접합부 구역이 도시되어 있다.
바닥(4)은 지지 구조물(8) 및 가시적인 커버 층(10)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커버 층(10)은 "e10" 으로 표시된 두께를 가진 카페트로 형성된다.
측벽(6)은 저부(64)에 의해 서로 연결된 외측 격벽(62)과 내측 격벽(63)을 구비한 이중-껍질(double-skin)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저부는 지지 구조물(8)의 상측 표면(82) 상에 안착된다. 내측 격벽(63)은, 저부(64) 가까이에, 외측 격벽(62)을 향하는 요부(632)를 구비한다. 요부(632)는 내측 격벽(63)의 내측부에 캡(1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65)을 형성한다.
부품들(10, 12, 63)은, 측벽(6)과 바닥(4) 사이의 접합부 구역에서, 차량 차체(2)의 내부 체적(V2)의 경계를 형성한다.
캡(12)은 밑판(122)과 혀모양부(tongue)(124)를 포함한다. 혀모양부(124)는 캡(12)의 하측 부분을 이루며, 아래로 가면서 내부 체적(V2)를 향해 굽혀진다.
상기 요부(632)의 저부에는 캡(12) 아래에 끼움쇠(66)가 배치된다.
이 예에서, 끼움쇠(66)는 내측 격벽(63)과 일체주조된(monobloc) 것인데, 상기 내측 격벽(63)은 외측 격벽(62) 및 저부(64)와 일체주조된 것이다. 저부(64)와 유사하게, 끼움쇠(66)는 지지 구조물(8)의 상측 면(82) 상에 안착되는바, 이로 인하여 끼움쇠(66)가 하방향으로 향하는 수직 성분의 힘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참조번호 "126"은 끼움쇠(66)를 향하는 혀모양부(124)의 표면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662"는 혀모양부(124)를 향하는 끼움쇠(66)의 상측 및 측부 표면을 나타낸다. 상기 표면들(126, 662)은 이들 사이에 간극(500)을 형성한다. 참조번호 "ℓ500"은 상기 간극(500)의 폭, 즉 표면들(126, 662) 사이에서 표면들(126, 662)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치수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커버 층(10)의 하측 면이 지탱되는 끼움쇠(66)의 상측 및 측부 표면(662)은, 커버 층(10)의 상측 면이 지탱되는 끼움쇠(66)를 향하는 캡(12)의 표면(126)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하다. 전체적으로 평행하다는 것은, 상기 표면들(662, 126)이 10° 이내, 바람직하게는 5° 이내의 각도를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면(662)은, 끼움쇠(66)의 종축(X66)에 대해 직각인 단면에서 곡선형 윤곽(curved outline)을 갖는바, 그 윤곽의 오목한 면이 표면(126)을 향하여 대면한다. 상기 차체의 수직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끼움쇠(66)의 두께는, 측벽(6), 특히 요부(632)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증가하는바, 다시 말하면 도 1 및 도 3 에서 좌측을 향하여 가면서 증가한다.
캡(12)에는 장원형 구멍(128)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구멍의 최대 치수는 수직 축을 갖는다. 도 2 및 도 4 에는 하나의 장원형 구멍(128)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서는 도 1 및 도 3 의 도면 평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캡(12)의 길이에 걸쳐서 다수의 장원형 구멍(128)이 배치되는바, 상기 캡(12)의 길이는 도 2 및 도 4 에서 종축(X12)으로 도시되어 있다.
축(X12)과 축(X66)은 평행하다.
스크류(14)의 생크(shank)는 장원형 구멍(128)을 통과하여 내측 격벽(63)의 외측 격벽(62)을 대면하는 측에서 내측 격벽(63)에 연결된 너트(16)에 체결된다. 너트(16)는, 스크류(14)의 생크의 통과를 위한 원형 보어(circular bore)의 맞은편에서 요부(632)에 용접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연결된다.
장원형 구멍(128)의 장원형 형상으로 인하여, 하우징(65) 내에서 캡(12)의 위치를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최고의 제1 위치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최하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조정함이 가능하다.
끼움쇠(66)에 대한 캡(12)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캡(12)의 밑판(122)은 요부(632)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65)의 저부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공하여서, 차량 차체(2)의 조립 또는 유지보수 동안에 캡(12)의 위치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및 도 3 에서, 하우징(65)은 캡(12)의 밑판(122)이 그 안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제공되는바, 즉 차량 차체(2)의 내부 체적(V2)을 향해 대면하는 캡(12)의 내측 면(121)이, 하우징(65) 위에 위치하고 내부 체적(V2)를 향해 대면하는 측벽(6)의 내측 격벽(63)의 내측 면(631)과 연속을 이룬다. 여기에서 "연속을 이룬다"는 것은, 면들(121, 631)이 정렬되고 동일 평면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부 체적(V2)으로부터 볼 때에, 상기 표면들(121, 631)은 서로 연속적으로 보이게 되고, 이로써 측벽(6)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측벽(6)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캡(12)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65)은 내측 격벽(63)의 연장을 이루며, 요부(632)에 인접한 하우징(65)의 저부는 측벽(6)의 면(631)에 대해 평행하다.
캡(12)의 밑판(122)이 끼움쇠(66)에 대한 캡(12)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하우징(65)의 저부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공하면서, 차량 차체(2)의 내부 체적(V2)를 대면하는 캡(12)의 면(121)은 끼움쇠(66)에 대한 캡(12)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면(631)과 연속을 이룬다.
한편으로는 도 1 및 도 2와, 다른 한편으로는 도 3 및 도 4 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차체(2)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커버 층(10)을 구비하거나, 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커버 층(1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 커버 층(10)의 두께(e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만큼 크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차체(2)의 동일한 부품 요소들에 의하여, 두 가지 값의 커버 층(10)의 두께(e10)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 의 제1 구성형태에서, 캡(12)은 끼움쇠(66)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게 되어서, 간극(500)의 폭(ℓ500)이 상대적으로 큰 값의 두께(e10)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큰 제1 값을 취하게 된다. 이것은, 표면들(126, 662) 사이의 간극(500) 안에 커버 층(10)의 경계부(102)를 수용함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제2 구성형태에서, 캡(12)은 끼움쇠(66)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는바, 즉 제1 위치에서 보다 끼움쇠(66)에 대해 더 가깝게 위치하여서, 간극(500)의 폭(ℓ500)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의 두께(e10)에 적합한,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값을 취하게 된다. 이것은, 세척용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틈(slit)이 남아있도록 허용하지 않으면서도, 표면들(126, 662) 사이의 간극(500) 안에 커버 층(10)의 경계부(102)를 수용함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두 가지 구성형태들 모두에서, 경계부(102)의 하측 표면은 표면(662)에 대해 지탱되고, 경계부(102)의 상측 표면은 표면(126)에 대해 지탱된다.
따라서, 끼움쇠(66)에 대한 캡(12)의 상대 위치의 조정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커버 층(10)의 두께(e10)에 따라서 간극의 폭(ℓ500)을 조정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캡(12)은 세척용 물의 유동으로부터 경계부(102)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따라서 차량 차체(2)의 내부 구조가 수분으로부터 보호된다. 특히, 커버 층(10)의 아래 또는 저부(64)와 지지 구조물(8) 사이에 물이 침투할 위험이 없게 된다.
따라서 퍼티(putty)를 이용할 필요없이 방수성(tightness)이 얻어지며, 도 1 및 도 2 와 도 3 및 도 4 에 각각 도시된 구성형태들 모두에서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면서도, 차량 차체(2)가 예를 들어 1등급 객실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진 카페트와 같은 커버 층(10) 및 예를 들어 2등급 객실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진 커버 층(10)과 호환될 수 있게 된다.
끼움쇠(66)의 기하형태와는 별도로, 측벽(6)에 접근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끼움쇠(66)의 두께로 인하여, 액체를 도 1 및 도 3 의 우측으로, 즉 내부 체적(V2)을 향하여 되돌려 보내는 경향을 가지며, 따라서 측벽(6)과 지지 구조물(8)의 접합부 안으로 또는 지지 구조물(8)과 커버 층(10) 사이로 액체가 유동함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 캡(12)의 상측 에지(123)는 하우징(65)의 상측 에지(653)와 접촉하고, 따라서 이 레벨에서 먼지 또는 때가 축적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는 상기 레벨에 간극(600)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장 미감적으로 만족스러운 마감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구성형태에서, 즉 본 예에서는 1등급 객실의 경우에서 제공된다.
차량 차체(2)의 조립 동안에, 캡(12)이 도 1 및 도 3 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은 위치에 놓여져서, 커버 층(10)의 경계부(102)가 간극(500) 안에 삽입됨을 허용하고, 그 다음에 필요한 경우에는 표면(126)이 커버 층(10)의 경계부(102)에 지탱되거나 또는 커버 층(10)의 경계부(102)에 충분한 압착력을 제공할 때까지 캡(12)이 하강되어서, 커버 층(10)의 유지보수 및 방수성의 관점에서 예상되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캡(12)의 최종 위치는 부품들(12, 66) 사이에서의 커버 층(10)의 경계부(102)의 가능한 찌그러짐(crushing)을 감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캡(12)이 한편으로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위치와 다른 한편으로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위치들 사이에서 카페트(10)의 두께(e10)에 차량 차체(2)의 구성형태가 적응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캡(12)의 이와 같은 중간 위치에서, 경계부(102)의 하측 면도 표면(662)에 지탱되고, 경계부(102)의 상측 면도 표면(126)에 지탱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끼움쇠(66)는 측벽(6)이 아니라 바닥(4)의 지지 구조물(8)과 일체주조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끼움쇠(66)가 측벽(6) 또는 지지 구조물(8)에 부착된 부품일 수 있다. 이 경우, 끼움쇠(66)는 예를 들어 지지 구조물(8)과 측벽(6)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되는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프로파일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서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는 재배치 가능한) 접착제의 스트립(strip))과 같은 임시 수단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용접 비드(weld bead) 또는 이와 동등한 영구적인 수단에 의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장원형 구멍(128)이 측벽(6)의 요부(632)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류(14)의 생크의 통과를 위한 단 하나의 원형 보어만이 캡(12) 안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장원형 구멍들이 요부(632)와 캡(12) 모두에 배치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끼움쇠(66)의 상측 및 측부 표면(662)이 도 1 및 도 3 의 평면에서 직선형 윤곽, 또는 내부 체적(V2)을 대면하거나 또는 내부 체적(V2)로부터 멀리 향하는 오목한 측부를 가진 만곡한 형상 또는 타원의 원호와 같은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표면(126)의 형상이 적응된다(adapted).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카페트(10)의 층이 니놀륨 층, 또는 바닥(4)을 덮는 임의의 다른 가시적인 커버 층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어떠한 커버 층도 없는 상태에서 캡(12)이 최하의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표면(126)이 표면(662)과 접촉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레일 차량 차체, 즉 승객용 열차를 위한 객차에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트램(tram),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교통수단, 특히 버스, 여객선, 또는 항공기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을 위한 교통수단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예를 창안하기 위하여 서로 조합될 수 있다.

Claims (10)

  1. 교통수단, 특히 레일 차량용 차체(body)로서, 상기 차체는:
    바닥 지지 구조물(8);
    적어도 하나의 측벽(6);
    상기 측벽(6)과 지지 구조물(8) 사이의 접합부(junction)에 배치되는 끼움쇠(shim)(66);
    상기 지지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가시적인 커버 층(covering layer)(10); 및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부(102)를 덮는 마감 캡(finishing cap)(12);을 포함하고,
    상기 캡(12)은 바람직하게는 분리가능하게 상기 측벽(6)에 대해 체결되고, 또한 끼움쇠(66)와 함께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부(102)를 수용하기 위한 간극(500)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relative position)는 조정가능하고, 상기 갭의 폭(ℓ500)은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캡(12)을 측벽(6)에 체결하는 수단은, 상기 캡(12)과 측벽(6) 중 제1 요소(first element)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원형(oblong) 구멍(128), 상기 장원형 구멍(128) 안에 결합되는 스크류(14), 및 상기 캡(12)과 측벽(6) 중 제2 요소에 배치되는 다른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쇠(66)는 상기 측벽(6) 또는 상기 지지 구조물(8)과 일체주조로(monobloc)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쇠(66)는 상기 측벽(6) 또는 상기 지지 구조물(8)에 부착된 부품이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profile)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6)은 상기 캡(12)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65)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차량 차체(2)의 내부 체적(V2)을 향하여 대면하는 캡(12)의 면(121)이 상기 수용하는 하우징의 연장선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체적을 향하여 대면하는 측벽(6)의 면(631)과 연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12)은 상기 측벽(6)에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즉 높은 제1 위치와 상기 높은 제1 위치보다 상기 끼움쇠(66)에 대해 더 가까운, 낮은 제2 위치에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12)은 상기 측벽(6)에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즉 높은 제1 위치와 상기 높은 제1 위치보다 상기 끼움쇠(66)에 대해 더 가까운, 낮은 제2 위치에 장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캡(12)이 하우징(65) 내에서 높은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캡(12)의 상측 에지(123)가 상기 하우징(65)의 상측 에지(upper edge)(653)와 접촉하고, 상기 차량 차체(2)의 내부 체적(V2)을 향하여 대면하는 캡(12)의 면(121)과 상기 수용하는 하우징과 연장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체적을 향하여 대면하는 상기 측벽(6)의 면(631)은 연속을 이루며, 상기 캡(12)의 면(121)과 상기 측벽(6)의 면(631) 사이에는 간극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12)에는 상기 하우징(65)의 저부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밑판(soleplate)(122)이 구비되고, 상기 밑판(122)은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하우징의 저부와 접촉하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부(102)의 하측 면이 지탱되는 상기 끼움쇠(66)의 상측 및 측부 표면(662)은,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에 무관하게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부의 상측 면에 대해 지탱되는 상기 커버(12)의 하측 표면(126)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교통 수단용 차체(2)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간극(500)의 폭(ℓ500)을 상기 커버 층(10)의 경계의 두께(e10)에 따라서 적응시키도록, 상기 끼움쇠(66)에 대한 상기 캡(12)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수단용 차체(2)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KR1020200114029A 2019-09-09 2020-09-07 교통수단용 차체, 및 교통수단용 차체의 장착 방법 KR20210030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9883A FR3100493B1 (fr) 2019-09-09 2019-09-09 Caisse pour véhicule et procédé de montage d’une telle caisse
FR1909883 2019-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229A true KR20210030229A (ko) 2021-03-17

Family

ID=6834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029A KR20210030229A (ko) 2019-09-09 2020-09-07 교통수단용 차체, 및 교통수단용 차체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89260B1 (ko)
KR (1) KR20210030229A (ko)
CN (1) CN112455480A (ko)
ES (1) ES2925722T3 (ko)
FR (1) FR3100493B1 (ko)
PL (1) PL3789260T3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9443A (en) 1947-01-24 1951-07-03 American Car & Foundry Co Room structure
DE19927006C2 (de) * 1999-06-09 2001-05-10 Daimler Chrysler Ag Fußboden für Fahrzeuge,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zur Personenbeförderung
DE19927003A1 (de) * 1999-06-09 2000-12-21 Daimler Chrysler Ag Anschluß für Fußbodenbelag in Fahrzeugen,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DE102009029954A1 (de) 2009-06-19 2010-1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anitärzelle für ein Schienenfahrzeug
JP2011131628A (ja) * 2009-12-22 2011-07-07 Kawasaki Heavy Ind Ltd 鉄道車両の内装構造
DE102013111903B3 (de) * 2013-10-29 2014-12-24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Übergangsprofil in einem Schienenfahrzeug, Bausatz für eine Befes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Übergangsprofils
CN204801788U (zh) * 2015-07-13 2015-11-25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侧墙过渡立柱型材结构
CN106428056B (zh) * 2016-10-31 2018-11-06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设备地板安装结构
CN208559346U (zh) * 2018-06-22 2019-03-0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内饰结构及具有其的轨道车辆
CN110077429B (zh) * 2019-05-14 2020-05-08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易于拆卸的城轨车辆的客室底架内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25722T3 (es) 2022-10-19
CN112455480A (zh) 2021-03-09
EP3789260B1 (fr) 2022-06-29
FR3100493B1 (fr) 2021-09-17
FR3100493A1 (fr) 2021-03-12
PL3789260T3 (pl) 2022-11-07
EP3789260A1 (fr)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91514B (zh) 用于构建轨道车辆车厢地板的承载架元件、轨道车辆车厢的地板、和轨道车辆车厢
CN101927710B (zh) 用于机动车座位的安装脚盖
CN109178009B (zh) 一种100%低地板轨道车辆底架及100%低地板轨道车辆
KR102524884B1 (ko) 구멍을 갖는 프로파일링된 클립-체결 비드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US4728145A (en) Car with drip channel and related drip channel cover trim
US4832404A (en) Flight attendant seat and its arrangement in an aircraft
US5098156A (en) Double passenger seat support arrangement
KR20210030229A (ko) 교통수단용 차체, 및 교통수단용 차체의 장착 방법
EP3202613A1 (en) Seat mount for displaceable attachment to a railway vehicle floor
US6688621B2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n externally mounted element to a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80066226A1 (en) Sink for insertion into a cut-out opening in a work top
CN102039851A (zh) 车身门槛装饰物
JP3709963B2 (ja) 鉄道車両用車体構造
KR20180008580A (ko) 차량
KR101010019B1 (ko) 크루즈 선박용 발코니
JP2003502208A (ja) 車両、例えば軌道車両における床材張り被覆用の連結体
JP7188000B2 (ja) 自動車のアンダーカバー
CN206561801U (zh) 通用旅居车
KR20200136591A (ko) 전동차 플라스틱 시트
CN217994600U (zh) 地板检修盖、地板结构以及车辆
JP4534202B2 (ja) サイドシルスカッフ構造
CN215850860U (zh) 滑动式座椅侧挂固定结构及车辆
KR200446251Y1 (ko) 전동차용 파티션 고정구조
CN219172524U (zh) 车身组件、车身和车辆
CN217778309U (zh) 车门导槽接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