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963A -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963A
KR20210028963A KR1020190110173A KR20190110173A KR20210028963A KR 20210028963 A KR20210028963 A KR 20210028963A KR 1020190110173 A KR1020190110173 A KR 1020190110173A KR 20190110173 A KR20190110173 A KR 20190110173A KR 20210028963 A KR20210028963 A KR 2021002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apatite
zeolite
fly ash
slag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기
김광목
류근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1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963A/ko
Publication of KR2021002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containing phosphorus, e.g. phosphates, apatites, hydroxyapat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애쉬와 슬래그 미분말과 같은 산업부산물에 인산 용액 및 알칼리 활성화제 등을 혼합하여 음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수산화인회석과 양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를 동시에 합성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을 대량으로 흡착할 수 있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제조 방법은, (S1) 슬래그 미분말과 인산 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고,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S3)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을 교반없이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Hydroxyapatite-Zeolite Composite Using Industrial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이애쉬와 슬래그 미분말과 같은 산업부산물에 인산 용액 및 알칼리 활성화제 등을 혼합하여 음이온 흡착에 능한 수산화인회석과 양이온 흡착에 능한 제올라이트를 동시에 합성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을 대량으로 흡착할 수 있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교통 수요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도로 건설이 확산되면서 도시의 대기 및 하천의 수질 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21세기 건설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도 주변 환경의 오염원을 능동적으로 완화하는 기능성 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도시 하천이나 호수의 수질정화의 목적으로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를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제조한 하천블록이 수질정화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0961564호에는 결합재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시 시멘트 및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등을 사용하고, 환경오염 및 수질정화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천연 제올라이트, 합성 제올라이트, Ca형 인공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소를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며, 혼화제로서 유동화제와 고성능 AE감수제와, 콘크리트의 구조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길이가 3∼30mm인 친수성 폴리아미드(Polyamide) 섬유,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섬유, 이형 강섬유 및 방청매쉬를 보강재로서 혼입하여 제조함으로써, 수질정화 및 환경정화 성능이 우수하고 물리역학적 기능이 탁월한 수질 및 환경정화와 토질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기능 친환경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87349호에는 산업폐기물인 플라이 애시와 슬래그를 혼합하여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는 지오폴리머를 합성하고, 수열합성반응을 이용하여 블록형태의 비결정형 지오폴리머를 외관 변화없이 결정형의 제올라이트로 상변환시킴으로써 다수의 나노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질 및 환경 정화용 콘크리트 및 제올라이트 복합체는 양이온 흡착 성능은 우수하지만 음이온은 흡착이 되지 않아 중금속 제거 능력에 한계가 있으며, 슬래그 등의 산업부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 성분을 유효하게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61564호(2010.05.27. 등록) 등록특허 제10-1687349호(2016.12.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이애쉬와 슬래그 미분말과 같은 산업부산물에 인산 용액 및 알칼리 활성화제 등을 혼합하여 음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수산화인회석과 양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를 동시에 합성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을 대량으로 흡착할 수 있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는, 산업부산물 미분말, 인산 용액,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여 수산화인회석 및 제올라이트가 합성된 복합체이다.
상기 산업부산물 미분말은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이며,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체의 칼슘/인의 몰비율이 1.6~1.7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S1) 슬래그 미분말과 인산 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고,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S3)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을 교반없이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칼슘 이온의 용출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S2 단계에서는 90 ~ 120℃의 온도에서 교반한다.
상기 S3 단계에서는 혼합물을 밀봉한 상태에서 24~48 시간 동안 25 ~ 150℃ 이하의 온도에서 양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부산물인 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미분말에 인산 용액과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음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수산화인회석과 양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를 동시에 합성하여 수질 정화 또는 대기 정화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산업부산물인 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여 실용화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는, 산업부산물 미분말로서 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미분말, 인산 용액,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여, 음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수산화인회석과 양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가 동시에 합성된 분말 형태의 복합체이다.
상기 산업부산물 미분말은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이며,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슬래그 미분말은 주성분이 SiO2, Al2O3, Fe2O3 및 CaO로 이루어져 있으며, K2O, Na2O, MgO, TiO2 등과 같은 여러 다른 금속 산화물들이 소량 함유될 수 있다. 슬래그의 칼슘 성분은 인산의 인과 반응하여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을 합성하며, 여분의 성분에서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게 된다.
상기 플라이애쉬 미분말은 SiO2, Al2O3 및 Fe2O3를 포함하고, 일부는 결정 구조 또는 비정질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게 된다.
상기 인산 용액은 인산의 산성으로 칼슘 성분 용출량을 높이고, 수산화인회석 합성에 필요한 인 성분을 제공한다.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은 칼슘/인의 몰비율이 1.667이므로, 칼슘/인의 몰비율을 1.6~1.7 로 맞추어 경제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이 너무 적게 들어가면 FAU 제올라이트 합성율이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인이 너무 많이 들어가면 Na-P1(Na5.92Al6Si10O43.28) 제올라이트 합성율이 낮아지게 되며, 어느쪽이든 수산화인회석 합성에 방해가 된다. 또한 인산 용액은 산성으로서 칼슘(Ca) 이온 용출을 유도하지만, 인산이 너무 많이 들어가게 되면 pH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제올라이트와 수산화인회석의 합성에 방해가 된다.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은 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혼합되면, 지오폴리머(Geopolymer) 슬러리를 생성하게 되며, 지오폴리머 슬러리는 몰드에 넣은 다음 챔버 내에서 가열하면 수열합성반응을 일으켜 Na-P1(Na5.92Al6Si10O43.28) 제올라이트 또는 FAU 제올라이트로 상변환된다. 수산화인회석 및 제올라이트는 pH에 따라 합성도 및 종류가 변화되므로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통해 pH를 조정한다. 즉, 저농도 알칼리 용액(2~3M)에서는 Na-P1(Na5.92Al6Si10O43.28) 및 FAU 제올라이트를 얻을 수 있고, 고농도 알칼리 용액(5M 이상)에서는 Sodalite 제올라이트 등의 제올라이트를 얻을 수 있는데, 가장 흡착력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는 FAU 제올라이트 및 Na-P1 제올라이트를 생성하는 2~3M 농도가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으로서 수산화나트륨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으로서 수산화칼륨을 사용하는 경우, 칼륨의 이온화 정도가 칼슘보다 높아 수산화인회석의 합성을 방해하게 되므로 칼륨 이온을 함유한 금속염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데 있어서 온도 및 압력 조건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수열합성반응 온도는 70 내지 120℃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 슬래그 미분말과 인산 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고,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을 교반없이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양생하는 단계
상기 S1 단계에서는 슬래그 미분말과 인산 용액을 가열없이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칼슘 이온의 용출을 유도한다. 이 때 2시간 이상 교반할 경우 용액이 젤리화되므로 교반 시간은 2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2 단계에서는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같은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과 플라이애쉬 미분말을 혼합한 후에 90 ~ 12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때 온도는 90 ~ 120℃ 를 유지해야 넓은 비표면적을 갖는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S3 단계에서는 교반을 중지하고, 오토클레이브 등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밀봉하여 증발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서 24~48 시간 동안 25 ~ 150℃ 이하의 온도에서 양생한다.
실시예
슬래그 미분말 30g과 인산 용액(1.5M, 100㎖)을 혼합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때, 칼슘/인의 몰비율을 1.667로 맞춘다(단계 S1).
그리고 상기 슬래그 미분말과 인산 용액의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2M, 350㎖)와 플라이애쉬 10g을 혼합하고, 각각 50℃, 90℃, 120℃, 150℃의 온도범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4개의 혼합물을 제조한다(단계 S2).
교반이 완료되면, 상기 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미분말, 인산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혼합물을 500ml 용량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챔버에 넣은 후, 150℃, 0.15 MPa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열합성반응을 수행하였다(단계 S3).
그런 다음, 하루 동안 25 ℃에서 공기 중에서 양생하여 분말 형태의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시편을 얻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복합체 시편에 대하여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기 S2 단계에서의 교반 온도가 50℃일 경우에 만들어진 복합체 시편에서는 수산화인회석만 합성되었으나, 교반 온도가 90℃와 120℃에서 만들어진 복합체 시편에서는 수산화인회석과 FAU 제올라이트가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반온도 150℃에서 만들어진 복합체 시편에서는 수산화인회석과 Hydroxy-sodalite 제올라이트가 합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ydroxy-sodalite 제올라이트는 FAU 제올라이트보다 흡착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복합체 시편에 대한 BET 비표면적 측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아래의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교반온도(℃) 50 90 120 150
비표면적(㎡/g) 69.64 98.74 78.57 51.34
전술한 것과 같이, X선 회절 분석 결과와 BET 비표면적 측정 결과를 통해서, 교반 온도가 50℃에서는 제올라이트가 생성되지 않으며 비표면적도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반 온도가 150℃에서는 흡착 성능이 낮은 Hydroxy-sodalite 제올라이트가 생성되며 비표면적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단계 S2에서 혼합물의 교반 온도가 90~120℃일 때 수산화인회석과 FAU 제올라이트가 동시에 합성되며, 넓은 비표면적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S2에서 혼합물의 교반 온도는 9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부산물인 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쉬 미분말에 인산 용액과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음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수산화인회석과 양이온 흡착 성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를 동시에 합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산업부산물 미분말, 인산 용액,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여 수산화인회석 및 제올라이트가 합성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부산물 미분말은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슬래그 미분말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칼슘/인의 몰비율이 1.6~1.7 인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S1) 슬래그 미분말과 인산 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플라이애쉬 미분말과 알칼리성 수산화 금속 용액을 혼합하고,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및,
    (S3) 상기 S2 단계의 혼합물을 교반없이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는 1~2시간동안 교반하여 칼슘 이온의 용출을 유도하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는 90 ~ 12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는 혼합물을 밀봉한 상태에서 24~48 시간 동안 25 ~ 150℃ 이하의 온도에서 양생하는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190110173A 2019-09-05 2019-09-05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28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73A KR20210028963A (ko) 2019-09-05 2019-09-05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73A KR20210028963A (ko) 2019-09-05 2019-09-05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63A true KR20210028963A (ko) 2021-03-15

Family

ID=7513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73A KR20210028963A (ko) 2019-09-05 2019-09-05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9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64B1 (ko) 2010-03-17 2010-06-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제올라이트, 합성제올라이트, 칼슘형 인공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소를 이용한 수질 및 환경정화용 고기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687349B1 (ko) 2015-06-19 2016-12-16 한국과학기술원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64B1 (ko) 2010-03-17 2010-06-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제올라이트, 합성제올라이트, 칼슘형 인공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소를 이용한 수질 및 환경정화용 고기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687349B1 (ko) 2015-06-19 2016-12-16 한국과학기술원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Eswed et al. Efficiency and mechanism of stabilization/solidification of Pb (II), Cd (II), Cu (II), Th (IV) and U (VI) in metakaolin based geopolymers
LaRosa et al. Zeolite formation in class F fly ash blended cement pastes
TWI496743B (zh) 單相水凝黏合劑、其製造方法及以其製成之建築材料
CN103664126A (zh) 一种污泥固化处理剂及采用该固化处理剂处理污泥的方法
KR101984862B1 (ko) 고강도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467368B (zh) 一种用于无机固体废弃物建材化的活性激发剂及其制备方法
KR101687349B1 (ko)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180705A (ja) 多孔質アパタイトを少なくとも表層に有する固体物質の製造方法
Lu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rrous oxalate cement—a novel acid‐base cement
KR20200070701A (ko) 지오폴리머성 하이브리드 제올라이트-ldh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4623A (ko) 친환경 무기질 마그네시아 인산염 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ao et al. Binders for radioactive waste forms made from pretreated calcined sodium bearing waste
CN105000907A (zh) 一种轻质陶粒废水处理的方法
KR20210028963A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JP3750269B2 (ja) 産業廃棄物の固化方法及び産業廃棄物の固化体
KR20200071177A (ko) 다공성 수질정화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16798A (ko) 수산화인회석-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233778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용 분말혼화재
JP3160851B2 (ja) 未燃焼炭素を高含有する石炭灰のゼオライト系資材化方法
KR102314761B1 (ko) 질산염을 함유하는 결합재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Kawai et al. Highly esthetic, deodorant, and antibacterial tile with natural zeolite set via a blast furnace slag-based geopolymer
CN117105549B (zh) 一种利用工业废盐制备镁系水泥胶凝材料的方法及其产品
KR102247705B1 (ko) 다공성 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92912A (ko) 고비중 광물 미분과 유동층상 보일러 석탄회를 포함하는 흡수율 및 비중이 개선된 인공골재 조성물,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인공골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434364A (zh) 一种磷石膏/粉煤灰复合型水泥缓凝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