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676A -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 Google Patents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676A
KR20210028676A KR1020217003410A KR20217003410A KR20210028676A KR 20210028676 A KR20210028676 A KR 20210028676A KR 1020217003410 A KR1020217003410 A KR 1020217003410A KR 20217003410 A KR20217003410 A KR 20217003410A KR 20210028676 A KR20210028676 A KR 20210028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auxiliary
motor
drive shaft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674B1 (ko
Inventor
다네히로 긱카와
다카히로 도리우미
뎁페이 츠즈키
Original Assignee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6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 B21C47/063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with loaded rollers, bolts, or equivalent means holding the material on the reel or drum with pressure rolle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Metal Roll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는 피압연재의 권출 및 권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릴 장치이며, 주 구동축을 갖는 주 전동기와,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맨드럴과, 상기 제1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1 회전축과, 제1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보조 전동기와, 제2 맨드럴과, 상기 제2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2 회전축과, 제2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보조 전동기와,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1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2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초 상에 고정된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본 발명은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는 피압연재의 권출이나 권취를 행하는 종래의 릴 장치에는, 공전 드럼에 지지된 2개의 맨드럴을 전환하면서 사용하는 캐러셀형 릴 장치가 있다.
일본 특허 공고 소60-0470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108322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2개의 맨드럴을 1개의 주 전동기로 구동하는 릴 장치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릴 장치에서는, 한쪽의 맨드럴을 주 전동기로 회전시키고 있을 때에 다른 쪽의 맨드럴을 주 전동기로 회전시킬 수 없다.
이에 비해, 조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회전축에 결합된 제1 맨드럴과, 제2 회전축에 결합된 제2 맨드럴과,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전동기와,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전동기를 구비하는 캐러셀형 릴 장치도 존재한다(특허문헌 2).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제1 전동기와 제2 전동기의 어느 쪽에도 출력이 큰 전동기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릴 장치가 거대화하여 비용이 증대하고 있었다.
또한, 캐러셀형 릴 장치 자체에, 구조가 복잡하고 대규모인 장치가 됨으로써, 릴 장치가 거대화하여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장치 구조의 간소화와 콤팩트화에 의해 비용 억제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생산성 향상도 가능하게 되는 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는 피압연재의 권출 및 권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릴 장치이며, 주 구동축을 갖는 주 전동기와, 제1 맨드럴과, 상기 제1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1 회전축과, 제1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보조 전동기와, 제2 맨드럴과, 상기 제2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2 회전축과, 제2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보조 전동기와,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1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2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초 상에 고정된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구조의 간소화와 콤팩트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도 가능하게 되는 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1)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릴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60)의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는 피압연재의 권출 및 권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릴 장치이며, 주 구동축을 갖는 주 전동기와, 제1 맨드럴과, 상기 제1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1 회전축과, 제1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보조 전동기와, 제2 맨드럴과, 상기 제2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2 회전축과, 제2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보조 전동기와,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1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2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초 상에 고정된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장치.
이와 같은 릴 장치에 의하면, 릴 장치의 콤팩트화와 비용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릴 장치이며, 상기 동력 전달 장치가,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1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과 상기 제1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1 클러치 장치와,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2 클러치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릴 장치에 의하면, 콤팩트하고 비용이 억제된 릴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압연기와, 이러한 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 의한 압연 전의 피압연재의 코일을 공급하는 측인 입측과, 상기 압연기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릴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설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연 설비에 의하면, 압연 설비의 콤팩트화와 비용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압연기와, 이러한 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에 상기 릴 장치가 마련된 압연 설비를 사용하여 압연을 행하는 압연 방법이며,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맨드럴에 의해 피압연재를 권취하는 것과, 상기 주 전동기의 회전수를 소정의 저회전수로 감속함과 함께, 상기 제1 보조 전동기의 회전수를 상기 저회전수에 맞추고 나서,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로부터 상기 제1 보조 전동기로 전환하는 것과, 상기 제1 맨드럴이 상기 저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맨드럴에 권취된 피압연재의 말단부를 절단하는 것과, 상기 제1 맨드럴에 권취된 피압연재의 코일을 상기 제1 맨드럴로부터 분리하여 불출하는 것과,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제2 보조 전동기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보조 전동기의 회전수를 상기 저회전수에 맞추고 나서,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제2 보조 전동기로부터 상기 주 전동기로 전환하는 것과,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로 하고, 상기 제2 맨드럴이 상기 저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맨드럴로 피압연재의 권취를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연 방법에 의하면, 양쪽의 맨드럴로 작업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피압연재의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1)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1)는, 연속식 압연기(5)에 의해 피압연재(3)를 압연하고, 목적으로 하는 판 두께로 압연된 시트상의 피압연재(3)를 릴 장치(30)로 코일마다 권취하여 불출하는 설비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1)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피압연재(3)를 연속식 압연기(5)에 송입되는 권출기 등의 몇 가지의 장치에 대하여 생략한 도면으로 하고 있다(이후에서는, 생략한 장치 등의 설명에 대해서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서로 직교하는 3 방향을 X 방향, Y 방향, Z 방향이라고 칭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이 각각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고, Z 방향이 연직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지면의 가로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지면의 좌측(우측)을 「하류(상류)」라고 칭하고, 지면의 세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지면의 상측(하측)을 「상(하)」라고 칭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식 압연기(5)와, 핀치롤(10)과, 절단기(20)와, 안내부(25)와, 릴 장치(30)와, 벨트 래퍼(50)와, 제어부(5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으로부터 연속식 압연기(5), 핀치롤(10), 절단기(20), 안내부(25), 릴 장치(30) 및 벨트 래퍼(50)의 순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5)는, 간편을 위해, 릴 장치(30)와의 접속선만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연 설비(1)의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연속식 압연기(5)는, 피압연재(3)를 압연하는 장치이고, 5개의 스탠드를 갖고 있다. 이들 스탠드는, 상류측으로부터 제1 스탠드(5a), 제2 스탠드(5b), 제3 스탠드(5c), 제4 스탠드(5d), 제5 스탠드(5e)의 순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 스탠드(5a) 내지 제5 스탠드(5e)의 각각은, 상하 한 쌍의 압연 롤(5w)과 상하 한 쌍의 백업 롤(5u)을 갖고 있고, 피압연재(3)는, 각각의 압연 롤(5w)로 협지 가압되어서 압연된다. 즉, 압연 전의 시트상 피압연재(3)는, 연속식 압연기(5)로 보내져서 제1 스탠드(5a) 내지 제5 스탠드(5e)에 의해 순차 압연되어, 제5 스탠드(5e)에서의 압연 후, 즉, 연속식 압연기(5)에 의한 압연 후에는, 목적으로 하는 판 두께로 압연된 피압연재(3)로서, 연속식 압연기(5)로부터 송출된다.
연속식 압연기(5)로부터 반출된 피압연재(3)는, 반송 경로 상을 반송하여, 핀치롤(10)→절단기(20)→안내부(25)→릴 장치(30)의 순으로 반송되고, 릴 장치(30)에서 코일마다 권취된다. 핀치롤(10)은, 상하 한 쌍의 롤이고, 피압연재(3)를 일정한 압력으로 끼워 넣는 장치이다.
절단기(20)는, 릴 장치(30)에서 권취되는 피압연재(3)의 1 코일당의 길이를 소정 길이로 하기 위해서, 연속한 시트상의 피압연재(3)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절단기(20)는, 피압연재(3)의 폭 방향(도 1에 있어서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피압연재(3)의 폭 치수보다도 넓은 폭 치수의 상하 한 쌍의 드럼(20a)과, 상하 한 쌍의 절단 날(20b)(상측 날 및 하측 날)을 갖고 있다.
절단 날(20b)은, 드럼(20a)의 외주부에 있어서, 피압연재(3)를 절단하는 절단부(상측 날과 하측 날이 맞물리는 부분)을 드럼(20a)의 외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드럼(20a)의 회전에 의해 절단부가 대향하도록(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절단기(20)는, 드럼(20a)을 회전시켜서 절단 날(20b)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피압연재(3)를 폭 방향으로 횡단하여 절단한다.
따라서, 절단기(20)에 의해 절단된 피압연재(3)는, 상류측의 피압연재(3)와 하류측의 피압연재(3)로 잘라 나뉘어지고, 하류측의 절단 단부는, 현재 권취되어 있는 피압연재(3)의 코일 말단부가 되고, 상류측의 절단 단부는, 다음으로 권취되는 피압연재(3)의 코일 시단부가 된다.
안내부(25)는, 코일의 시단부를 제1 맨드럴(31a) 또는 제2 맨드럴(32a)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안내부(25)는,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안내부(25)가,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면에서 코일의 시단부를 하측으로 안내하면(환언하면, 회전하는 안내부(25)의 선단이, 코일의 시단부에 접촉하여, 시단부를 하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시단부의 방향을 전환시키면), 코일의 시단부는, 제1 맨드럴(31a)로 안내된다. 또한, 안내부(25)가,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일 때는, 코일의 시단부는, 제2 맨드럴(32a)로 안내된다.
벨트 래퍼(50)는, 릴 장치(30)의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에 코일의 시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고,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의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대기 중의 맨드럴에는, 벨트 래퍼(50)가 스탠바이 완료의 상태(도 1의 제2 맨드럴(32a)에 대하여 마련된 벨트 래퍼(50)가 나타내는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절단기(20)에 의해 피압연재(3)가 절단되면, 하류측으로 잘라 나뉘어지는 코일의 말단부는, 현재 권취하고 있는 제1 맨드럴(31a)로 그대로 권취되고, 상류측으로 잘라 나뉘어지는 코일의 시단부는, 안내부(25)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되어서, 대기 중인 제2 맨드럴(32a)로 안내된다.
그리고, 대기 중의 제2 맨드럴(32a)로 안내된 코일의 시단부는, 벨트 래퍼(50)에 의해 제2 맨드럴(32a)에 압박되고, 제2 맨드럴(32a)은 빠르게 피압연재(3)의 권취를 개시한다. 즉, 릴 장치(30)는, 피압연재(3)의 보냄을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피압연재(3)의 권취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1)는, 피압연재(3)의 압연을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피압연재(3)의 압연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의 상면 개략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지면의 가로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지면의 좌측(우측)을 「하류(상류)」라고 칭하고, 지면의 세로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지면의 상측(하측)을 「안쪽(앞)」이라고 칭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압연재(3)의 권취기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릴 장치(30)는,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과, 주 전동기(35)와, 제1 보조 전동기(36)와, 제2 보조 전동기(37)와, 동력 전달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맨드럴 장치(31) 및 제2 맨드럴 장치(32)는, 주 전동기(35)에 대하여, 제1 맨드럴 장치(31)가 상류측에, 제2 맨드럴 장치(32)가 하류측에, 서로가 대칭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맨드럴 장치(31)와 제2 맨드럴 장치(32)는, 주 전동기(35)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된 한 쌍의 맨드럴 장치이고, 서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는 제1 맨드럴 장치(31)와 제2 맨드럴 장치(32) 중, 제1 맨드럴 장치(31)를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제2 맨드럴 장치(32)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제1 맨드럴 장치(31)(제2 맨드럴 장치(32))는, 제1 맨드럴 지지부(31c)(제2 맨드럴 지지부(32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과, 제1 회전축 지지부(31d)(제2 회전축 지지부(32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회전축(31b)(제2 회전축(32b))과,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과 제1 회전축(31b)(제2 회전축(32b)) 사이를 접속하는 제1 신축 실린더(31f)(제2 신축 실린더(32f))와, 제1 맨드럴 지지부(31c)(제2 맨드럴 지지부(32c))가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제1 베이스(31e)(제2 베이스(32e))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은, 압연된 시트상의 피압연재(3)를 코일상으로 권취하기 위한 대략 축 형상을 한 회전체이며, Y 방향을 따른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1 맨드럴(31a)은, 제1 맨드럴 장치(31)에 있어서 피압연재(3)가 감기는 부분이고, 제1 맨드럴 장치(31)의 앞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맨드럴(31a)은, 제1 맨드럴 지지부(31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1 맨드럴 지지부(31c)는, 제1 베이스(31e) 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회전축(31b)은, 제1 맨드럴(31a)의 안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동력 전달 장치(40)를 Y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제1 회전축 지지부(31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축(31b)은, 제1 맨드럴(31a)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1 맨드럴(31a)에 동축으로 커플링과 제1 신축 실린더(31f)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고,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제1 신축 실린더(31f)는, 제1 맨드럴(31a)에서 피압연재(3)를 착탈할 때에 제1 맨드럴(31a)의 축 직경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이다.
주 전동기(35)는,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로 피압연재(3)를 권취하기 위한 동력원이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주 전동기(35)는, 2200kW의 출력을 갖고 있다.
주 전동기(35)는, 모터(35a)와, 주 구동축 지지부(35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주 구동축 기어(35d)를 갖는 주 구동축(35b)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35a)는, 그 구동축인 모터 구동축이 Y 방향을 따른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주 구동축(35b)과의 결합부를 앞측을 향하게, 동력 전달 장치(40)보다도 안측에 마련되어 있다.
주 구동축(35b)은, 모터(35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이고, 모터 구동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한쪽의 단부(안측의 단부)가 모터 구동축과 커플링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주 구동축(35b)은, 모터 구동축과의 결합부로부터 동력 전달 장치(40)의 앞측까지 연장 돌출하고 있고, 주 구동축 지지부(3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40)의 내부에 있어서, 주 구동축(35b)의 앞측에는, 주 구동축 기어(35d)가 고정되어 있고, 주 구동축(35b)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 구동축 기어(35d)가 회전한다. 그리고, 주 구동축 기어(35d)에는, 후술하는 제1 아이들 기어(42a)와 제2 아이들 기어(42b)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주 구동축 기어(35d)가 회전하면, 제1 아이들 기어(42a) 및 제2 아이들 기어(42b)가 회전한다. 즉, 주 전동기(35)의 동력이 제1 아이들 기어(42a) 및 제2 아이들 기어(42b)로 전달된다.
제1 보조 전동기(36)는, 제1 맨드럴(31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이고, 제2 보조 전동기(37)는, 제2 맨드럴(32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이다. 그리고, 제1 보조 전동기(36) 및 제2 보조 전동기(37)는, 주 전동기(35)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고, 서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는 제1 보조 전동기(36)와 제2 보조 전동기(37) 중, 제1 보조 전동기(36)를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제2 보조 전동기(37)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는,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에 의해, 피압연재(3)의 권취 준비나 코일 불출 작업을 행하기 위한 동력원이다. 따라서, 주 전동기(35)와 같이 큰 출력이 필요 없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는, 75kW의 출력을 갖는다. 즉,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는, 주 전동기(35)보다도 소형의 전동기이다.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는, 제1 소형 모터(36a)(제2 소형 모터(37a))와, 제1 보조 구동축 지지부(36c)(제2 보조 구동축 지지부(37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제2 보조 구동축 기어(37d))를 갖는 제1 보조 구동축(36b)(제2 보조 구동축(37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소형 모터(36a)는, 그 구동축인 소형 모터 구동축이 Y 방향을 따른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제1 보조 구동축(36b)과의 결합부를 앞측을 향하게, 동력 전달 장치(40)보다도 안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보조 구동축(36b)은, 제1 소형 모터(36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이고, 소형 모터 구동축과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한쪽의 단부(안측의 단부)가 소형 모터 구동축과 커플링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구동축(36b)은, 소형 모터 구동축과의 결합부로부터 동력 전달 장치(40)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하고 있고, 제1 보조 구동축 지지부(36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40)의 내부에 있어서의 안측에 위치하는 제1 보조 구동축(36b)의 다른 쪽의 단부(앞측의 단부)에는, 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가 고정되어 있고, 제1 보조 구동축(36b)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에는, 후술하는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가 회전하면,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가 회전한다. 즉, 제1 보조 전동기(36)의 동력이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로 전달된다.
동력 전달 장치(40)는, 제1 회전축(31b)(제2 회전축(32b))에 대하여, 주 구동축(35b)과 제1 보조 구동축(36b)(제2 보조 구동축(37b))을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고,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와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40)에 있어서, 제1 맨드럴(31a)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와, 제2 맨드럴(32a)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맨드럴(31a)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에 대하여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제2 맨드럴(32a)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동력 전달 장치(40)는, 제1 아이들 기어(42a)(제2 아이들 기어(42b))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제2 보조 클러치 기어(44b))와, 제1 클러치 장치(45a)(제2 클러치 장치(45b))와, 이들 기어 및 클러치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고, 릴 장치(30)를 설치하는 바닥면 등의 기초 상에 고정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동력 전달부 베이스(41)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동력 전달 장치(40)는, 동력 전달부 베이스(41)를 통해 기초 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아이들 기어(42a)는, 주 구동축 기어(35d) 및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맞물린 상태에서 Y 방향을 따른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동력 전달부 베이스(41)에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아이들 기어(42a)는, 주 구동축 기어(35d)(주 구동축(35b))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켜져, 해당 회전에 의해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를 회전시킨다. 즉, 제1 아이들 기어(42a)는, 주 전동기(35)의 동력을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로 전달한다.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는, 주 전동기(35)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이며, 동력 전달 장치(40)의 내부 앞측에 있어서, 제1 회전축(31b)과 베어링을 개재하여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베어링을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의 회전이, 제1 회전축(31b)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구성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는, 후술하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의 접속부를 갖고 있고,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제1 클러치 장치(45a)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의 회전이 제1 클러치 장치(45a)를 통해 제1 회전축(31b)으로 전달된다.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는, 제1 보조 전동기(36)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이며, 동력 전달 장치(40)의 내부 안측에 있어서, 제1 회전축(31b)과 베어링을 개재하여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베어링을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의 회전이, 제1 회전축(31b)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구성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의 접속부를 갖고 있고,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제1 클러치 장치(45a)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의 회전이 제1 클러치 장치(45a)를 통해 제1 회전축(31b)으로 전달된다.
제1 클러치 장치(45a)는, 주 구동축(35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접속하고 있는 상태)와 비전동 상태(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제1 보조 구동축(36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접속하고 있는 상태)와 비전동 상태(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제1 클러치 장치(45a)는, 제1 회전축(31b)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이고, 제1 회전축(31b)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 키와 키 홈에 의한 고정 수단(46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클러치 장치(45a)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회전축(31b)이 회전한다.
또한, 고정 수단(46a)에 있어서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회전축(31b)이 축 방향에 대하여 서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정도의 유격을 갖는 상태에서 키와 키 홈이 끼워 맞추어져 있고, 제1 클러치 장치(45a)는, 제1 회전축(31b)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 사이에 마련된 제1 클러치 장치(45a)는, 앞측에서는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접하는 위치까지, 안측에서는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접하는 위치까지, 제1 회전축(31b)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클러치 장치(45a)는,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 각각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각각과 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어느 한쪽과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클러치 장치(45a)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주 전동기(35)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 구동축(35b)의 회전이, 주 구동축 기어(35d)→제1 아이들 기어(42a)→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제1 클러치 장치(45a)→제1 회전축(31b)→제1 맨드럴(31a)의 순으로 전달되어서 제1 맨드럴(31a)을 회전시키고, 제1 클러치 장치(45a)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제1 보조 전동기(36)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보조 구동축(36b)의 회전이, 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제1 클러치 장치(45a)→제1 회전축(31b)(제1 맨드럴(31a))의 순으로 전달되어서 제1 맨드럴(31a)을 회전시킨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는, 피압연재(3)의 권취를 정지하지 않고, 연속하여 피압연재(3)의 권취를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부(55)가,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을 교대로 사용하여 피압연재(3)를 연속하여 권취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즉, 연속식 압연기(5)와, 연속식 압연기(5)의 출측(하류측)에 릴 장치(30)가 마련된 압연 설비(1)로 압연을 행하는 압연 방법에 있어서의 릴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릴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3의 종축에는, 피압연재(3)의 권취 속도(=맨드럴 상의 코일의 주속도=피압연재(3)의 이송 속도)가 나타나 있고, 1200mpm(meter per minute)과의 속도는, 통상의 권취 속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 권취 속도가 되는 회전수로 전동기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50mpm과의 속도는, 전동기가 소정의 저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권취 속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주 전동기의 회전수(제1 맨드럴 구동 시)」, 「제1 보조 전동기의 회전수」, 「주 전동기의 회전수(제2 맨드럴 구동 시)」, 「제2 보조 전동기의 회전수」가, 이 권취 속도에 의해 간접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3의 횡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있고, 횡축의 가장 좌측의 지점(종축과 교차하는 지점)이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이고, 우측으로 감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 또한, 세로의 점선으로 구획된 기간을 각각 A 내지 E의 알파벳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를 최초의 상태로 하고, 하기의 표 1도 참조하여 릴 장치(30)의 동작을 차례로 설명해 간다.
Figure pct00001
(기간 A)
기간 A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1 맨드럴(31a)이 압연된 시트상의 피압연재(3)를 코일상으로 권취하고 있다. 즉,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로 한 상태에서, 제1 맨드럴(31a)이 피압연재(3)를 1200mpm의 권취 속도로 권취하고 있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하는 제1 클러치 장치(45a)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접속한 상태이다. 바꾸어 말하면, 주 구동축(35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동 상태에 있고, 제1 보조 구동축(36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가 비전동 상태에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하는 제2 맨드럴(32a)은, 정지하고 있고 대기 중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하는 제2 클러치 장치(45b)는 제2 보조 클러치 기어(44b)와 접속한 상태이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2 클러치 장치(45b)는, 도 2에 도시하는 제2 클러치 장치(45b)의 위치보다도 안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주 구동축(35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가 비전동 상태에 있고, 제2 보조 구동축(37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동 상태에 있다.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된 피압연재(3)가 소정 길이에 이르면, 피압연재(3)가 절단기(20)에 의해 절단되지만, 제어부(55)는, 해당 절단에 의해 피압연재(3)의 권취가 정지되지 않도록 릴 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5)는, 피압연재(3)를 연속하여 권취하기 위해서,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의 전환을 행하여, 피압연재(3)의 권취를 제1 맨드럴(31a)로부터 제2 맨드럴(32a)로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는,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된 피압연재(3)가 소정 길이에 근접하면(이르기 전)에, 제1 맨드럴(31a)의 권취 속도를 150mpm까지 감속한다. 그리고, 해당 감속과 병행하여, 제어부(55)는, 제1 보조 전동기(36)를 구동시켜,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를 150mpm의 회전수까지 가속한다.
즉, 제어부(55)는, 주 전동기(35)의 회전수를 150mpm으로 감속함과 함께, 제1 보조 전동기(36)의 회전수를 주 전동기(35)의 회전수에 맞춘다(양쪽의 회전수는 완전히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대략 일치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제1 보조 구동축(36b)→제1 보조 구동축 기어(36d)→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동력이 전달되어,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가 150mpm의 회전수로 회전한다.
(기간 B)
기간 B에 있어서는, 제어부(55)는, 먼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가 150mpm의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클러치 장치(45a)를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와 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을 전환한다. 즉, 제어부(55)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의 접속을 해제하고(오프),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를 접속시켜서(온),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제1 클러치 장치(45a)→제1 회전축(31b)(제1 맨드럴(31a))과 동력이 전달되도록 변경한다. 즉, 제어부(55)는,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로부터 제1 보조 전동기(36)로 전환한다. 이때, 주 구동축(35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가 비전동 상태가 되고, 제1 보조 구동축(36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동 상태가 된다.
제어부(55)는,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이 제1 보조 전동기(36)로 전환되고 나서,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되는 피압연재(3)가 소정 길이에 이르도록(절단기(20)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절단기(20)에 의해 피압연재(3)를 절단한다. 즉, 제1 맨드럴(31a)이 제1 보조 전동기(36)에 의해 150mpm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되는 피압연재(3)의 말단부가 절단기(20)에 의해 절단된다.
한편, 정지하고 있었던 제2 맨드럴(32a)은,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의 전환과 병행하여, 제2 보조 전동기(37)에 의해 회전을 개시한다. 즉, 제어부(55)는, 제2 클러치 장치(45b)가 제2 보조 클러치 기어(44b)와 접속한 상태, 즉 제2 보조 구동축(37b)→제2 보조 구동축 기어(37d)→제2 보조 클러치 기어(44b)→제2 클러치 장치(45b)→제2 회전축(32b)(제2 맨드럴(32a))과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제2 보조 전동기(37)를 150mpm으로 가속한다. 즉, 제어부(55)는, 제2 보조 전동기(37)의 회전수를, 소정의 저회전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50mpm)로 한다. 이때, 주 구동축(35b)와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는 비전동 상태 그대로이고, 제2 보조 구동축(37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는 전동 상태 그대로이다.
(기간 C)
기간 C에 있어서는, 제어부(55)는, 먼저 제2 클러치 장치(45b)를 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와 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전환한다. 즉, 제어부(55)는, 제2 클러치 장치(45b)와 제2 보조 클러치 기어(44b)의 접속을 해제하고(오프), 제2 클러치 장치(45b)와 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를 접속시켜서(온), 주 구동축 기어(35d)→제2 아이들 기어(42b)→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제2 클러치 장치(45b)→제2 회전축(32b)(제2 맨드럴(32a))과 동력이 전달되도록 변경한다. 즉, 제어부(55)는,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제2 보조 전동기(37)로부터 주 전동기(35)로 전환한다. 이때, 주 구동축(35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동 상태가 되고, 제2 보조 구동축(37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가 비전동 상태가 된다.
제어부(55)는,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이 주 전동기(35)로 전환되고 나서, 코일의 시단부가 제2 맨드럴(32a)에 이르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벨트 래퍼(50)가 코일의 시단부를 제2 맨드럴(32a)에 고정한다.
그러면, 제어부(55)는, 제2 맨드럴(32a)로 피압연재(3)의 권취를 빠르게 개시한다. 즉,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로 하고, 제2 맨드럴(32a)이 150mpm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맨드럴(32a)로 피압연재(3)의 권취를 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55)는, 제2 맨드럴(32a)의 회전수를 1200mpm까지 가속시켜서 피압연재(3)의 권취를 행하고, 제2 맨드럴(32a)에 권취된 피압연재(3)가 소정 길이에 근접하면, 상기 기간 A에서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에 대해 행한 제어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제2 맨드럴(32a)과 제1 맨드럴(31a)에 대하여 행한다. 즉, 제어부(55)는,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을 교대로 사용하여 피압연재(3)를 권취함으로써, 연속한 피압연재(3)의 권취를 실현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55)는, 피압연재(3)를 말단부까지 제1 맨드럴(31a)에 권취시킨 후, 제1 보조 전동기(36)에 의해 제1 맨드럴(31a)을 인칭시켜,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된 피압연재(3)의 코일을 제1 맨드럴(31a)로부터 분리하여 불출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행한다(코일의 불출을 행한다). 그 때문에, 이때에는, 주 구동축(35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는 비전동 상태 그대로 되고, 제1 보조 구동축(36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는 전동 상태 그대로 된다.
이 후, 기간 D, 기간 E가 계속되지만, 이들의 기간에서의 클러치 장치의 전환 동작은, 제1과 제2가 교체되는 것 이외에는 기간 B, C에 있어서의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60)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피압연재(3)를 권출기에 감는 장치 등의 몇 가지의 장치에 대하여 생략한 도면으로 하고 있다(이후에서는, 생략한 장치 등의 설명에 대해서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지면의 가로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지면의 좌측(우측)을 「하류(상류)」라고 칭하고, 지면의 세로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지면의 상측(하측)을 「상(하)」라고 칭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상위점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속식 압연기(5)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3)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하류측)에 릴 장치(30)가 권취기로서 마련되어 있었지만,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역전식 압연기(65)에 의한 압연 전의 피압연재(3)의 코일을 공급하는 측인 입측(상류측)에 릴 장치(30)가 권취 권출기로서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출기 및 입측 권취 권출기로서 기능하는 릴 장치(30)와, 역전식 압연기(65)와, 판 두께 측정기(70)와, 스트립 프레스(80)와, 도시하지 않은 출측 권취 권출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으로부터 릴 장치(30), 판 두께 측정기(70), 스트립 프레스(80), 역전식 압연기(65), 출측 권취 권출기의 순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압연 설비(60)가 구비하는 릴 장치(30)에 있어서, 제1 맨드럴(31a)은, 압연 전의 피압연재(3)의 코일을 장착하고, 1 패스째의 압연을 행할 때의 피압연재(3)의 권출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제2 맨드럴(32a)은, 2 패스째 이후의 압연을 행할 때에 입측에서 피압연재(3)의 권취 및 권출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역전식 압연기(65)는, 피압연재(3)를 압연하는 장치이고, 상하 한 쌍의 압연 롤(65w)과, 상하 한 쌍의 백업 롤(65u)을 구비하고, 피압연재(3)는, 압연 롤(65w)에 의해 가압되어서 압연된다. 그리고, 역전식 압연기(65)에 의해 압연을 행하는 압연 설비(60)에 있어서는, 릴 장치(30)와 출측 권취 권출기(역전식 압연기(65)의 출측에 있어서, 피압연재(3)의 권취 및 권출을 행하는 장치) 사이에서 피압연재(3)를 왕복시켜, 역전식 압연기(65)를 피압연재(3)가 복수회 통과함으로써, 피압연재(3)에 대하여 복수회의 압연이 행하여진다.
즉,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피압연재(3)를 반송하여 압연하는 경우에는, 피압연재(3)의 권출을 1 패스째는 제1 맨드럴(31a)을 사용하여, 2 패스째 이후는 제2 맨드럴(32a)을 사용하여 행하고, 권취를 출측 권취 권출기를 사용하여 행한다. 반대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피압연재(3)를 반송하여 압연하는 경우에는, 피압연재(3)의 권출을 출측 권취 권출기를 사용하여 행하고, 권취를 제2 맨드럴(32a)을 사용하여 행한다.
판 두께 측정기(70)는, 피압연재(3)의 판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이고, 피압연재(3)의 반송 라인 상에서 X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맨드럴(32a)과 역전식 압연기(65)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왕복 이동하는 피압연재(3)의 판 두께를 검출한다.
스트립 프레스(80)는, 1 패스째의 압연에 있어서, 제1 맨드럴(31a)로부터 피압연재(3)의 단부(제1 맨드럴(31a)에 감긴 피압연재(3)의 코일의 시단부)가 이탈했을 때에, 피압연재(3)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정도의 압력으로 클램프하여 압연에 필요한 장력을 유지하고, 역전식 압연기(65)의 직전까지 피압연재(3)를 압연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 때문에, 스트립 프레스(80)는, 역전식 압연기(65)의 상류측의 직전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도 2,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는, 제1 맨드럴(31a)로부터 압연 전의 피압연재(3)가 풀어내지고(권출되고) 있고, 피압연재(3)의 일단부(도 4에 있어서, 부호 E1로 나타낸다)가 출측 권취 권출기에 아직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피압연재(3)의 일단부가 더 하류측으로 반송되어서 출측 권취 권출기에 이르고, 이 피압연재(3)의 일단부가 출측 권취 권출기에 고정되어, 제1 맨드럴(31a)(권출)과 출측 권취 권출기(권취) 사이에 피압연재(3)의 압연, 소위 1 패스째의 압연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동력 전달 장치(40)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제1 클러치 장치(45a)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와 접속하고 있고, 제1 맨드럴(31a)은, 피압연재(3)를 주 전동기(35)의 동력에 의해 권출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제2 맨드럴(32a)은, 정지하고 있는 대기 중이다. 즉, 제2 클러치 장치(45b)는, 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와 접속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1 패스째의 압연은, 권출기인 제1 맨드럴(31a)로부터 피압연재(3)의 타단부(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이탈하여, 해당 타단부가 스트립 프레스(80)에 이르기까지 행하여진다. 그리고, 2 패스째 이후의 압연은, 스트립 프레스(80)에 이른 피압연재(3)의 타단부를 제2 맨드럴(32a)까지 이동시켜서 제2 맨드럴(32a)에 고정하여, 제2 맨드럴(32a)과 출측 권취 권출기 사이에서 피압연재(3)를 왕복시켜서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1 패스째가 종료하고 나서 2 패스째가 개시할 때까지의 사이에, 주 전동기(35)의 동력 전달처가 제1 맨드럴(31a)로부터 제2 맨드럴(32a)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동력 전달 장치(40)에 있어서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의 접속이 해제되고, 제2 클러치 장치(45b)와 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가 접속된다.
제2 맨드럴(32a)과 출측 권취 권출기에서, 2 패스째 이후의 압연이 행하여지고 있는 사이에, 동력 전달 장치(40)에 있어서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가 접속되고, 제1 맨드럴(31a)에서는, 제1 보조 전동기(36)를 동력원으로 하여, 다음 압연의 준비가 행하여진다. 즉, 제1 맨드럴(31a)에 다음으로 압연되는 압연 전의 피압연재(3)의 코일이 설치되고, 제1 맨드럴(31a)에 설치된 피압연재(3)의 코일의 일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코 굽힘 장치(피압연재(3)의 일단부가 원활하게 반송 라인 상을 통과하도록, 일단부를 절곡하는 장치)의 위치까지 반송되어, 다음 압연의 준비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2 맨드럴(32a)과 출측 권취 권출기 사이에서, 피압연재(3)가 목적으로 하는 판 두께까지 압연되면, 압연된 피압연재(3)는, 제2 맨드럴(32a)에 있어서 코일상으로 권취되어, 제1 맨드럴(31a)과 제2 맨드럴(32a)의 양쪽의 회전이 정지한다. 그리고, 제2 맨드럴(32a)에 있어서는, 압연된 피압연재(3)의 코일 불출을 행하기 위하여 동력원이 변경되고, 제1 맨드럴(31a)에 있어서는, 다음 압연의 1 패스째의 압연을 행하기 위하여 동력원이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동력 전달 장치(40)에 있어서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보조 클러치 기어(44a)의 접속이 해제되어서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제1 메인 클러치 기어(43a)가 접속되고, 제2 클러치 장치(45b)와 제2 메인 클러치 기어(43b)의 접속이 해제되어, 제2 클러치 장치(45b)와 제2 보조 클러치 기어(44b)가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맨드럴(31a)에 있어서는, 주 전동기(35)를 동력원으로 하여 피압연재(3)가 권출되어서 1 패스째의 압연이 행하여지고, 제2 맨드럴(32a)에 있어서는, 제2 보조 전동기(37)를 동력원으로 하여 피압연재(3)의 코일 불출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제1 맨드럴(31a)에 있어서의 1 패스째의 압연과, 제2 맨드럴(32a)에 있어서의 피압연재(3)의 코일 불출은, 병행하여 행하여진다. 즉, 제1 맨드럴(31a)의 1 패스째의 압연이 종료했을 때에는, 제2 맨드럴(32a)에서는 피압연재(3)의 코일 불출이 완료하고 있고, 제2 맨드럴(32a)은 대기 중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맨드럴(32a)로의 피압연재(3)의 고정이 빠르게 행하여지고, 2 패스째 이후의 압연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게, 권취나 권출을 위한 맨드럴의 구동에는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는 제1 실시 형태의 것보다도 소형이면 된다(예를 들어 11kW 정도의 전동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 등의 유효성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 장치(30)는, 연속식 압연기(5)(역전식 압연기(65))에 의해 압연되는 피압연재(3)의 권취(권출 및 권취 권출)를 행하는 릴 장치(30)이며, 주 구동축(35b)을 갖는 주 전동기(35)와, 제1 맨드럴(31a)과, 제1 맨드럴(31a)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1 맨드럴(31a)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1 회전축(31b)과, 제1 보조 구동축(36b)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축(31b)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보조 전동기(36)와, 제2 맨드럴(32a)과, 제2 맨드럴(32a)과 함께 회전하도록 제2 맨드럴(32a)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2 회전축(32b)과, 제2 보조 구동축(37b)을 갖고, 상기 제2 회전축(32b)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보조 전동기(37)와, 상기 제1 회전축(31b)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35b)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36b)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35)와 상기 제1 보조 전동기(36)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축(32b)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35b)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37b)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35)와 상기 제2 보조 전동기(37)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초 상에 고정된 동력 전달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 때문에, 릴 장치(30)의 콤팩트화와 비용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제1 맨드럴(31a)의 제1 회전축(31b)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전동기와, 제2 맨드럴(32a)의 제2 회전축(32b)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전동기를 구비하는 캐러셀형 릴 장치에서는, 제1 전동기와 제2 전동기의 어느 쪽에도 큰 전동기가 필요해지고 있었다. 그 때문에, 릴 장치가 거대화하여 비용이 증대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연속식 압연기의 출측의 권취기로서 종래의 캐러셀형 권취기를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전동기에는 모두 주 전동기(35) 상당의 출력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2200×2=4400kW의 출력이 필요해지고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릴 장치를 연속식 압연기의 출측의 권취기로서 마련한 경우(상기의 제1 실시 형태),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에 대하여, 주 전동기(35)와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서 전환 가능하기 때문에, 릴 장치(30)의 전동기 출력이, 주 전동기(35), 제1 보조 전동기(36) 및 제2 보조 전동기(37)의 합계, 2200+75+75=2350kW가 된다. 즉, 릴 장치(30)의 쪽이 종래의 릴 장치에 비하여 전동기의 출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역전식 압연기의 입측의 권출기 및 입측 권취 권출기로서, 종래와 같이 권출기와 입측 권취 권출기를 개별로 마련한 경우, 권출기와 입측 권취 권출기의 전동기에는, 예를 들어 권출기가 500kW, 입측 권취 권출기가 주 전동기(35) 상당의 2000kW라고 하는 출력이 각각 필요해진다. 이 경우, 500+2000=2500kW의 출력이 필요해진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릴 장치를 역전식 압연기의 입측 권출기 및 입측 권취 권출기로서 마련한 경우(상기의 제2 실시 형태), 릴 장치(30)의 전동기의 출력은, 주 전동기(35), 제1 보조 전동기(36) 및 제2 보조 전동기(37)의 합계, 2000+11+11=2022kW가 된다. 즉, 릴 장치(30)의 쪽이 종래의 릴 장치에 비하여 전동기의 출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캐러셀형 권취기에는 공전 기구가 필요하고, 또한, 각각의 부재에, 해당 공전에 견딜 수 있기 위한 기계적인 강도가 필요하였다. 그 때문에, 캐러셀형 권취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대규모의 장치가 되고, 릴 장치가 거대화하여 비용이 증대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력 전달 장치(40)가 기초에 고정된 릴 장치(30)를 권취기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권취기에 있어서는, 캐러셀형 권취기와 같은 공전 기구가 필요 없어지고, 각각의 부재에도 공전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필요없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권취기를 릴 장치(30)로 함으로써, 릴 장치(권취기)의 거대화를 억제하여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릴 장치의 콤팩트화와 비용 억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역전식 압연기의 입측에 마련되는 종래의 릴 장치(권출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이 예를 들어 500kW로 본 발명의 주 전동기(35)의 출력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1 패스째에 충분한 후방 장력이 얻어지지 않고, 피압연재(3)가 사행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권출기의 출력 부족에 의해, 1 패스째의 피압연재(3)의 압연 속도가, 예를 들어 500mpm 이하로 제한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200kW의 주 전동기(35)를 동력원으로 하는 제1 맨드럴(31a)을 권출에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 패스째의 피압연재(3)의 압연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종래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었던 1 패스째의 피압연재(3)의 사행이 억제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력 전달 장치(40)가, 주 구동축(35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제1 보조 구동축(36b)과 제1 회전축(31b)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1 클러치 장치(45a)와, 주 구동축(35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제2 보조 구동축(37b)과 제2 회전축(32b)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2 클러치 장치(45b)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즉, 동력 전달 장치(40)에 있어서 주 전동기(35)와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의 전환을, 제1 클러치 장치(45a)(제2 클러치 장치(45b))을 사용한 클러치 기구로 함으로써, 콤팩트하고 비용이 억제된 릴 장치(30)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구조의 간소화와 콤팩트화에 의해 비용 억제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생산성 향상도 가능하게 되는 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속식 압연기(5)(역전식 압연기(65))와, 릴 장치(30)를 구비하고, 연속식 압연기(5)(역전식 압연기(65))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3)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코일을 공급하는 측인 입측)에 릴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는 압연 설비(1)(압연 설비(60))로 하였다. 즉, 압연기의 출측과 입측 중 적어도 한쪽에 릴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는 압연 설비로 하였다.
따라서, 압연 설비의 콤팩트화와 비용 억제, 생산성의 향상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속식 압연기(5)와, 릴 장치(30)를 구비하고, 연속식 압연기(5)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3)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에 릴 장치(30)가 마련된 압연 설비(1)를 사용하여 압연을 행하는 압연 방법이며,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로 한 상태에서, 제1 맨드럴(31a)에 의해 피압연재(3)를 권취하는 것과, 주 전동기(35)의 회전수를 150mpm으로 감속함과 함께, 제1 보조 전동기(36)의 회전수를 150mpm에 맞추고 나서, 제1 맨드럴(31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로부터 제1 보조 전동기(36)로 전환하는 것과, 제1 맨드럴(31a)이 150mpm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된 피압연재(3)의 말단부를 절단하는 것과, 제1 맨드럴(31a)에 권취된 피압연재(3)의 코일을 제1 맨드럴(31a)로부터 분리하여 불출하는 것과,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제2 보조 전동기(37)로 한 상태에서, 제2 보조 전동기(37)의 회전수를 150mpm에 맞추고 나서,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제2 보조 전동기(37)로부터 주 전동기(35)로 전환하는 것과, 제2 맨드럴(32a)의 동력원을 주 전동기(35)로 하고, 제2 맨드럴(32a)이 150mpm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맨드럴(32a)로 피압연재(3)의 권취를 개시하는 압연 방법으로 하였다.
즉, 이러한 압연 방법에 의하면, 권취를 행하는 맨드럴에 주 전동기(35)를 접속시켜서, 코일의 불출이나 다음 권취 준비의 작업을 행하는 맨드럴에 보조 전동기를 접속시키기 위해서, 양쪽의 맨드럴로 작업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피압연재(3)의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상기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장치(30)를 설명했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릴 장치(30)가 압연기의 입측이나 출측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릴 장치(30)가 압연기의 입측과 출측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맨드럴(31a)(제2 맨드럴(32a))이 동력 전달 장치(40)보다도 앞측에 마련되고, 주 전동기(35)의 모터(35a)나 제1 보조 전동기(36)(제2 보조 전동기(37))의 제1 소형 모터(36a)(제2 소형 모터(37a))가 동력 전달 장치(40)보다도 안측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각각이 동력 전달 장치(40)보다도 앞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 전동기(35)의 출력을 2200kW, 제1 보조 전동기(36) 및 제2 보조 전동기(37)의 출력을 75kW 등으로 전동기의 구체적인 출력을 기재했지만, 이들의 수치는 일례로서 든 것이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압연재(3)의 통상의 권취 속도를 1200mpm으로 하고, 소정의 저회전수를 150mpm으로 했지만, 이들의 수치는 일례로서 든 것이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4개 롤 형식의 압연기는 일례로서 든 것이고, 본 발명의 압연 설비가 구비하는 압연기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6개 롤 형식이나 그 이외의 형식의 압연기여도 된다.
1: 압연 설비
3: 피압연재
5: 연속식 압연기
5a: 제1 스탠드
5b: 제2 스탠드
5c: 제3 스탠드
5d: 제4 스탠드
5e: 제5 스탠드
5u: 백업 롤
5w: 압연 롤
10: 핀치롤
20: 절단기
20a: 드럼
20b: 절단 날
25: 안내부
30: 릴 장치
31: 제1 맨드럴 장치
31a: 제1 맨드럴
31b: 제1 회전축
31c: 제1 맨드럴 지지부
31d: 제1 회전축 지지부
31e: 제1 베이스
31f: 제1 신축 실린더
32: 제2 맨드럴 장치
32a: 제2 맨드럴
32b: 제2 회전축
32c: 제2 맨드럴 지지부
32d: 제2 회전축 지지부
32e: 제2 베이스
32f: 제2 신축 실린더
35: 주 전동기
35a: 모터
35b: 주 구동축
35c: 주 구동축 지지부
35d: 주 구동축 기어
36: 제1 보조 전동기
36a: 제1 소형 모터
36b: 제1 보조 구동축
36c: 제1 보조 구동축 지지부
36d: 제1 보조 구동축 기어
37: 제2 보조 전동기
37a: 제2 소형 모터
37b: 제2 보조 구동축
37c: 제2 보조 구동축 지지부
37d: 제2 보조 구동축 기어
40: 동력 전달 장치
41: 동력 전달부 베이스
42a: 제1 아이들 기어
42b: 제2 아이들 기어
43a: 제1 메인 클러치 기어
43b: 제2 메인 클러치 기어
44a: 제1 보조 클러치 기어
44b: 제2 보조 클러치 기어
45a: 제1 클러치 장치
45b: 제2 클러치 장치
50: 벨트 래퍼
55: 제어부
60: 압연 설비
65: 역전식 압연기
65u: 백업 롤
65w: 압연 롤
70: 판 두께 측정기
80: 스트립 프레스

Claims (4)

  1.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는 피압연재의 권출 및 권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행하는 릴 장치이며,
    주 구동축을 갖는 주 전동기와,
    제1 맨드럴과,
    상기 제1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1 회전축과,
    제1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보조 전동기와,
    제2 맨드럴과,
    상기 제2 맨드럴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맨드럴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2 회전축과,
    제2 보조 구동축을 갖고,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보조 전동기와,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1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와 상기 제2 보조 전동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초 상에 고정된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장치가,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1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상기 제1 보조 구동축과 상기 제1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1 클러치 장치와,
    상기 주 구동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과, 상기 제2 보조 구동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 제2 클러치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장치.
  3. 압연기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 의한 압연 전의 피압연재의 코일을 공급하는 측인 입측과, 상기 압연기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릴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설비.
  4. 압연기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압연기에 의한 압연 후의 피압연재의 코일을 불출하는 측인 출측에 상기 릴 장치가 마련된 압연 설비를 사용하여 압연을 행하는 압연 방법이며,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맨드럴에 의해 피압연재를 권취하는 것과,
    상기 주 전동기의 회전수를 소정의 저회전수로 감속함과 함께, 상기 제1 보조 전동기의 회전수를 상기 저회전수에 맞추고 나서, 상기 제1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로부터 상기 제1 보조 전동기로 전환하는 것과,
    상기 제1 맨드럴이 상기 저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맨드럴에 권취된 피압연재의 말단부를 절단하는 것과,
    상기 제1 맨드럴에 권취된 피압연재의 코일을 상기 제1 맨드럴로부터 분리하여 불출하는 것과,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제2 보조 전동기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2 보조 전동기의 회전수를 상기 저회전수에 맞추고 나서,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제2 보조 전동기로부터 상기 주 전동기로 전환하는 것과,
    상기 제2 맨드럴의 동력원을 상기 주 전동기로 하고, 상기 제2 맨드럴이 상기 저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맨드럴로 피압연재의 권취를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방법.
KR1020217003410A 2018-08-08 2019-06-10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KR102353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9209A JP7042190B2 (ja) 2018-08-08 2018-08-08 リール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
JPJP-P-2018-149209 2018-08-08
PCT/JP2019/022898 WO2020031492A1 (ja) 2018-08-08 2019-06-10 リール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圧延設備及び圧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676A true KR20210028676A (ko) 2021-03-12
KR102353674B1 KR102353674B1 (ko) 2022-01-19

Family

ID=6941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410A KR102353674B1 (ko) 2018-08-08 2019-06-10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42190B2 (ko)
KR (1) KR102353674B1 (ko)
CN (1) CN112533709A (ko)
TW (1) TWI727353B (ko)
WO (1) WO202003149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002A (ja) 1983-08-25 1985-03-14 Shin Etsu Chem Co Ltd 重合体スケ−ルの付着防止方法
JPH07108322A (ja) 1993-10-08 1995-04-25 Nippon Steel Corp 複胴型巻取巻出装置
KR19990068858A (ko) * 1996-12-13 1999-09-06 하루타 히로시 터릿장치
KR20020025968A (ko) * 1999-08-23 2002-04-04 주일환 산업용 동력 전달장치
EP1400386A2 (en) * 2002-09-20 2004-03-2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JP2009101367A (ja) * 2007-10-20 2009-05-14 Jp Steel Plantech Co 圧延設備用溶接機、圧延設備および圧延方法
JP2016196033A (ja) * 2015-04-06 2016-11-24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金属帯巻取装置及び金属帯巻取方法
KR20210027693A (ko) * 2019-09-02 2021-03-1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복수 모터의 동력 전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023A (ja) * 1999-03-30 2000-10-10 Kawasaki Steel Corp スリット材の巻取り方法及び蛇行防止装置
CN201267839Y (zh) * 2008-07-04 2009-07-08 尚东艳 双卷筒收卷机
CN103224155B (zh) * 2013-05-16 2015-07-22 东莞市雅康精密机械有限公司 隔膜自动换卷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002A (ja) 1983-08-25 1985-03-14 Shin Etsu Chem Co Ltd 重合体スケ−ルの付着防止方法
JPH07108322A (ja) 1993-10-08 1995-04-25 Nippon Steel Corp 複胴型巻取巻出装置
KR19990068858A (ko) * 1996-12-13 1999-09-06 하루타 히로시 터릿장치
KR20020025968A (ko) * 1999-08-23 2002-04-04 주일환 산업용 동력 전달장치
EP1400386A2 (en) * 2002-09-20 2004-03-2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ybrid vehicle
JP2009101367A (ja) * 2007-10-20 2009-05-14 Jp Steel Plantech Co 圧延設備用溶接機、圧延設備および圧延方法
JP2016196033A (ja) * 2015-04-06 2016-11-24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金属帯巻取装置及び金属帯巻取方法
KR20210027693A (ko) * 2019-09-02 2021-03-1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복수 모터의 동력 전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674B1 (ko) 2022-01-19
JP7042190B2 (ja) 2022-03-25
TWI727353B (zh) 2021-05-11
WO2020031492A1 (ja) 2020-02-13
TW202019802A (zh) 2020-06-01
CN112533709A (zh) 2021-03-19
JP2020022986A (ja)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8731C1 (ru) Способ наматы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рулоны без сердечни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5892257U (zh) 片材自动收卷装置
KR100377452B1 (ko) 띠강판 권취 장치
US4123011A (en) Coil unwind and wind-up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3708259A (zh) 一种壁纸用双工位有芯收卷机
CN110980429B (zh) Pe、pert管材通用全自动卷管、卸料机
CN101734503A (zh) 连卷袋自动收换卷机构
KR20210028676A (ko) 릴 장치,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압연 설비 및 압연 방법
JPH09225529A (ja) 帯板巻取機の運転方法及び運転装置
CN116810179A (zh) 切卷一体机
SU104102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ленточного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к упаковочной машине
JP4195187B2 (ja) ロ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シート状連続製品の巻き取り装置
US20050285316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hot-rolling strips using a steckel rolling frame
JP5738089B2 (ja) 短尺材の圧延装置及び短尺材の圧延方法
US5007270A (en) Web handling apparatus for metal ribbon stock
WO2008116311A9 (en) Web processing system with adjustable multiple slit web separation and redirection system and/or with automatic rewind and/or automatic unwind roll transfer system
JP3135677B2 (ja) 間紙連続供給方法
CN104128801A (zh) 一种变压器用铝带剪切机组
JP2698038B2 (ja) 帯鋼圧延設備及びブライドルロール
US4435886A (en) Pipe-welding mill for production of coiled pipes
CN219155985U (zh) 一种自动放卷装置
JP2002336909A (ja) オフセット量可変式ピンチロール装置
US5890673A (en) Coiling assembly having coiling stations of differing construction for coiling webs of differing characteristics
KR20160006105A (ko) 코드 밴드 절단용 슬리터
CN110713079A (zh) 一种玻璃纤维短切毡自动上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