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901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901A
KR20210027901A KR1020190108948A KR20190108948A KR20210027901A KR 20210027901 A KR20210027901 A KR 20210027901A KR 1020190108948 A KR1020190108948 A KR 1020190108948A KR 20190108948 A KR20190108948 A KR 20190108948A KR 20210027901 A KR20210027901 A KR 2021002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precast concrete
schedule
produc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408B1 (ko
Inventor
김지훈
최형택
김진우
이정원
문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4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 건축물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설치하는 공사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설치 예정일을 포함하는 속성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속성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에 대한 공사 일정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일정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완료일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생산 관리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공사 일정을 관리하는 공사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설치 예정일과 상기 생산 완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를 검토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일정 판단부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공사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공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공법은 건축물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인 기둥, 보, 슬래브 등을 미리 공장에서 단위 유닛의 형태로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현장으로 운송하고 반입하여 설치함으로써 건축물을 시공하는 공법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은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최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물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는 2차원의 도면에 수기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 및 설치 실적을 표시하여 시각화한 자료와, 이와 별도로 작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일련번호 별 생산 실적과 설치 실적에 대한 자료를 이원화하여 관리된다. 이러한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식의 경우 시공계획이 변경되거나 설계변경에 대해 바로 대응하지 못하고, 수정 및 업데이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에 참여하는 공사 관계자와 2차원 기반의 도면과 표를 보내고 받아 공유하면서 자료가 누락되거나 버전관리 문제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8-0006971호 (2008.01.17.)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분야에서 공사계획의 변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 건축물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설치하는 공사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설치 예정일을 포함하는 속성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속성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에 대한 공사 일정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일정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완료일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생산 관리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공사 일정을 관리하는 공사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설치 예정일과 상기 생산 완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를 검토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일정 판단부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 건축물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설치하는 공사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설치 예정일을 포함하는 속성이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속성 입력 단계;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에 대한 공사 일정이 상기 건축물의 구역별로 계획되어서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일정 입력 단계;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완료일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가 입력하거나 수정되는 생산 정보 입력 단계; 및 상기 설치 예정일과 상기 생산 완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가 검토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되는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치 예정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생산 완료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공사 일정에 따른 공사 일정 진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알려주므로, 공사 계획 변경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공사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100)은, 건축분야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위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형상을 모델링하는 모델링부(110)와,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속성을 입력하고 수정하기 위한 속성 관리부(120)와,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을 입력하고 수정하기 위한 일정 관리부(130)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을 관리하는 생산 관리부(140)와, 건축물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공사 일정을 관리하는 공사관리 서버(150)와, 공사관리 서버(150)에 모델링부(110), 속성 관리부(120), 일정 관리부(130) 및 생산 관리부(140)를 통신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신망(190)을 포함한다.
모델링부(11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 설계자에 의해 설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은 모델링부(110)에 의해 3차원 모델링 되는 것이다. 모델링부(110)로는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는 Tekla Structures와 같은 종래의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모델링부(110)에 의해 생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모델은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전송되어서 실시간으로 공사관리 서버(150)에 저장된다.
속성 관리부(120)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속성을 입력하고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부여되는 속성은 부재 일련번호, 건축물 내 설치 위치를 포함하는 고유 ID, 매수, 설치 예정일 및 설치 완료일 정보를 포함한다. 속성 관리부(120)는 PC,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에 설치된 정보 입력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담당자는 속성 관리부(120)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속성을 입력하거나 입력된 속성을 수정하게 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담당자는 건축물 설계자, 현장 시공 관리자 등을 포함한다. 속성 관리부(120)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속성은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전송되어서 공사관리 서버(15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일정 관리부(130)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을 입력하고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정 관리부(130)는 PC,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에 설치된 정보 입력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을 관리하는 피씨 공사 일정 관리자는 일정 관리부(130)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을 건축물의 구역별로 계획하여 입력하거나 수정한다. 일정 관리부(130)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은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전송되어서 공사관리 서버(15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생산 관리부(140)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생산 관리부(140)는 PC,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에 설치된 정보 입력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을 관리하는 피씨 생산 관리자는 생산 관리부(140)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속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생산 완료일 등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생산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한다. 생산 관리부(140)에 의해 입력되거나 수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 정보는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전송되어서 공사관리 서버(15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공사관리 서버(150)는 모델링부(110), 속성 관리부(120), 일정 관리부(130) 및 생산 관리부(14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건축물 공사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공사관리 서버(150)에 저장된 3D 모델 정보, 부재 속성 정보, 설치 일정 정보 및 부재 생산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관련 정보는 통신망(190)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사 관련자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공사관리 서버(150)의 하드웨어적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서버의 구성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사관리 서버(150)는 제어부(160)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일정 판단부(171)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3차원 모델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172)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속성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173)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서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생산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생산 데이터베이스(174)를 구비한다.
제어부(160)는 일정 판단부(171),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172), 속성 데이터베이스(173) 및 생산 데이터베이스(174)와 연결되어서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모델링부(11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전송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3차원 모델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171)에 저장하고, 속성 관리부(12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전송된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속성 데이터베이스(172)에 저장하며, 생산 관리부(14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전송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생산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생산 데이터베이스(174)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3차원 모델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연동된 테이블을 생산하고 이를 공사 관련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통신망(190)을 통해 제공한다.
일정 판단부(171)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서 일정 관리부(13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는 제어부(160)에 의해 공사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된다. 일정 판단부(171)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 판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172)에는 모델링부(11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전송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3차원 모델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속성 데이터베이스(173)에는 속성 관리부(12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전송된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생산 데이터베이스(174)에는 생산 관리부(140)로부터 통신망(190)을 통해 전송된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에 도 1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함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은, 모델링부(110)에 의해 생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모델이 입력되는 3차원 모델 입력 단계(S11)와, 속성 관리부(120)에 의해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속성이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속성 입력 단계(S12)와, 일정 관리부(130)에 의해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이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일정 입력 단계(S13)와, 생산 관리부(140)에 의해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 정보가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생산 정보 입력 단계(S20)와,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가 확인되는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와,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에서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공사 일정이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생산 관리부(140)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출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출하 요청 단계(S40)와,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에서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이 진행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사 담당자의 단말기로 공사 지연 예상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지연 예상 알림 단계(S50)와, 지연 예상 알림 단계(S50)를 통해 공사 지연 예상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공사 담당자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을 변경하는 일정 변경 단계(S60)를 포함한다.
3차원 모델 입력 단계(S11)에서는 모델링부(110)에 의해 생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모델이 입력된다. 3차원 모델 입력 단계(S11)를 통해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모델 데이터는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서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172)에 저장된다.
속성 입력 단계(S12)에서는 속성 관리부(120)에 의해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부재 일련번호, 건축물 내 설치 위치를 포함하는 고유 ID, 매수, 설치 예정일 및 설치 완료일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이 입력되거나 수정된다. 속성 입력 단계(S12)를 통해 입력된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 데이터는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서 속성 데이터베이스(173)에 저장된다.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는 일정 관리부(130)에 의해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이 입력되거나 수정된다.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은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구역(Zone) 별로 계획하여 입력되거나 수정된다. 일정 입력 단계(S13)를 통해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일정은 실시간으로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 관리 서버(150)로 전송되어서 저장된다.
생산 정보 입력 단계(S20)에서는 생산 관리부(140)에 의해 건축물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 완료일 등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가 입력되거나 수정된다. 생산 정보 입력 단계(S20)를 통해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 정보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통신망(190)을 통해 공사관리 서버(150)로 전송되어서 생산 데이터베이스(174)에 저장된다.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에서는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가 확인된다.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는 공사관리 서버(150)의 일정 판단부(171)에 의해 수행된다. 도 3a 내지 도 3b에는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가 수행되는 과정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현재 설치 계획에 따른 공사 일정이 테이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는 날짜별로 건축물의 A 구역, B 구역, C 구역, D 구역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모두 7개 종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부재 일련번호 10-100-0100, 10-100-0200, 10-100-0300, 10-100-0400, 10-100-0500, 10-100-0600, 10-100-0700)가 사용된다. A 구역의 공사에는 하나의 10-100-0100, 하나의 10-100-0200, 하나의 10-100-030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필요하고, B 구역의 공사에는 하나의 10-100-0400, 하나의 10-100-0500, 하나의 10-100-060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필요하며, C 구역의 공사에는 하나의 10-100-0700, 하나의 10-100-0100, 하나의 10-100-020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필요하고, D 구역의 공사에는 하나의 10-100-0300, 하나의 10-100-0400, 하나의 10-100-0500, 하나의 10-100-060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필요하다. 현재 하나의 10-100-0100, 하나의 10-100-0200, 하나의 10-100-0300, 하나의 10-100-0400, 하나의 10-100-0500, 하나의 10-100-0600, 하나의 10-100-0700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생산완료된 상태이다. 도 3a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설치 일정에서 외적 요인으로 인해 B 구역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가 일정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공사 관리자는 공사 일정 계획을 변경하여 일정 입력 단계(S13)를 통해 공사 일정을 변경하여 변경된 공사 계획 일정을 입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사 일정 검토 시점은 두 번째 설치 예정일인 1월 2일까지이며, 공사 검토 시점까지 공사 가능 여부가 판단된다.
도 3b에는 변경된 공사 계획 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변경된 공사 일정은 A 구역, C 구역, B 구역, D 구역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구역, C 구역, B 구역, D 구역의 순서로 변경된 공사 일정에 대한 진행 가능 여부가 확인된다. 두 번째 설치 예정일인 1월 2일의 C 구역 공사에 필요한 일련번호 10-100-0100, 10-100-0200의 부재가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사 일정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자동으로 판단하여 지연 예상 알림 단계(S50)가 수행된다.
지연 예상 알림 단계(S50)에서는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에서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입력된 도 3b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이 진행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사 담당자의 단말기로 공사 지연 예상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지연 예상 알림 단계(S50)가 수행된 후에는 일정 변경 단계(S60)가 수행된다.
일정 변경 단계(S60)에서는 지연 예상 알림 단계(S50)를 통해 공사 지연 예상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공사 담당자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일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서, 담당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구역, C 구역, A 구역, D 구역의 순서로 공사 일정을 변경하고, 이를 일정 입력 단계(S13)를 통해 입력하며, 변경된 도 3c에 도시된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가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를 통해 자동으로 확인된다. 도 3c에 도시된 공사 일정 계획은 공사 검토 시점까지 공사 지연 사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공사 일정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출하 요청 단계(S40)가 수행된다.
출하 요청 단계(S40)에서는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S30)에서 일정 입력 단계(S13)에서 입력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공사 일정이 진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생산 관리부(140)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출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출하 요청에 의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자는 출하 요청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공사 현장으로 운송하며, 공사 현장으로 운송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공사 일정에 맞춰 구역별로 설치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110 : 모델링부 120 : 속성 관리부
130 : 일정 관리부 140 : 생산 관리부
150 : 공사관리 서버 160 : 제어부
171 : 일정 판단부 172 :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
173 : 속성 데이터베이스 174 : 생산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 건축물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설치하는 공사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설치 예정일을 포함하는 속성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속성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에 대한 공사 일정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일정 관리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완료일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생산 관리부; 및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의 공사 일정을 관리하는 공사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설치 예정일과 상기 생산 완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일정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를 검토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일정 판단부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사 일정은 상기 건축물의 구역별로 계획되어서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일정 판단부에서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공사 관리자 단말기에 공사 지연 예정 알림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일련번호, 건축물 내 설치 위치, 매수 및 설치 완료일을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속성이 저장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산 정보가 저장되는 생산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포함한 건축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모델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사관리 서버는, 상기 3차원 모델 정보가 저장되는 3차원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관리용 시스템.
  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 건축물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을 설치하는 공사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설치 예정일을 포함하는 속성이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속성 입력 단계;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에 대한 공사 일정이 상기 건축물의 구역별로 계획되어서 입력되거나 수정되는 일정 입력 단계;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각각에 대한 생산 완료일을 포함하는 생산 정보가 입력하거나 수정되는 생산 정보 입력 단계; 및
    상기 설치 예정일과 상기 생산 완료일을 비교하여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 가능 여부가 검토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되는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검토 시점까지 상기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들 모두가 생산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공사 일정의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생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사 일정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공사 일정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공사 지연 예상 알림 메시지를 공사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정 진행 가능 여부 확인 단계에서, 상기 공사 일정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일정 입력 단계를 통해 변경된 공사 일정이 입력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 방법.
KR1020190108948A 2019-09-03 2019-09-0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35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48A KR102353408B1 (ko) 2019-09-03 2019-09-0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948A KR102353408B1 (ko) 2019-09-03 2019-09-0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901A true KR20210027901A (ko) 2021-03-11
KR102353408B1 KR102353408B1 (ko) 2022-01-19

Family

ID=7514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948A KR102353408B1 (ko) 2019-09-03 2019-09-0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26B1 (ko) * 2022-07-19 2023-09-11 롯데건설(주)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KR102629794B1 (ko) 2022-11-03 2024-01-29 주식회사 브리콘 드론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65353A (ko) 2022-11-03 2024-05-14 주식회사 브리콘 프리캐스트 구조물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4075A (ja) * 2006-05-26 2008-01-10 Asahi Kasei Homes Kk 建築物の施工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80006971A (ko) 2006-07-14 2008-01-17 김정홍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JP2011053962A (ja) * 2009-09-02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生産計画変更方法および生産計画変更システム
KR101927640B1 (ko) * 2017-09-27 2018-12-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IoT 태그를 활용한 건설 자재 및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4075A (ja) * 2006-05-26 2008-01-10 Asahi Kasei Homes Kk 建築物の施工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80006971A (ko) 2006-07-14 2008-01-17 김정홍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JP2011053962A (ja) * 2009-09-02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生産計画変更方法および生産計画変更システム
KR101927640B1 (ko) * 2017-09-27 2018-12-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IoT 태그를 활용한 건설 자재 및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26B1 (ko) * 2022-07-19 2023-09-11 롯데건설(주)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KR102629794B1 (ko) 2022-11-03 2024-01-29 주식회사 브리콘 드론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65353A (ko) 2022-11-03 2024-05-14 주식회사 브리콘 프리캐스트 구조물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408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An Internet of Things-enabled BIM platform for on-site assembly services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KR1023534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Ramaji et al. Product-oriented information delivery framework for multistory modular building projects
KR101752913B1 (ko)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62651B1 (ko)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EP1306786A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Getuli et al. A BIM-based construction supply chain framework for monitoring progress and coordination of site activities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US20220358259A1 (en) Construction Knowledge Graph
US10613522B2 (en) Templates in a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system
Lin et al. Collaboration‐Based BIM Model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for General Contractors in Infrastructure Projects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US11599687B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he desig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of structures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Enhancement of off-site manufacturing productivity via a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Suarez et al. Using 5D models and Cba for planning the foundations and concrete structure stages of a complex office building
JP7328482B2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
CN113610388A (zh) 基于bim的预制构件设计质量管理方法、装置及设备
JP6100428B1 (ja) 製造管理システム、クラウドサーバおよび端末コンピュータ
Spitler et al. Constructible Bim Elements: A Root Cause Analysis Of Work Plan Failures
KR20200056851A (ko)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설계 선각bom 관리방법
Kanai et al. Visilean® application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pre-fabricated concrete panels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Ghammad et al. Transforming building renovation: A holistic, strategic approach with construction robot management
JP2021076933A (ja) 工事管理システム及び構造物の施工方法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Action Research Study on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to Enhance Offsite Manufacturing (Osm) Produ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