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971A -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971A
KR20080006971A KR1020060066384A KR20060066384A KR20080006971A KR 20080006971 A KR20080006971 A KR 20080006971A KR 1020060066384 A KR1020060066384 A KR 1020060066384A KR 20060066384 A KR20060066384 A KR 20060066384A KR 20080006971 A KR20080006971 A KR 2008000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terminal
information
factor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홍
Original Assignee
김정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홍 filed Critical 김정홍
Priority to KR102006006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971A/ko
Publication of KR2008000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 철골공사의 진행 과정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SHOP DRAWING 작도, 원자재 구매 및 입고, 부재의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등의 건축 철골공사 진행 과정을 인터넷을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조직별 역할은 최초 설계정보 내지 설계변경 정보와 공사개요 및 공기와 관련한 일정정보와 현장반입 요청일을 상기의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시공사 단말기; 공장현황정보, SHOP DRAWING 작도, 용접사 자격관리, 원자재 구매 및 입고와 부재의 공장제작 진행과 PACKING LIST에 의한 출하 여부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공장단말기;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반입, 현장설치 진행 과정을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현장단말기; 상기 시공사 단말기, 공장단말기 및 현장단말기로부터 상호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공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급자의 공장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부재를 공장제작 및 출하하였는지의 정보와 상기 공급자의 현장단말기에서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정보를 수신하여, 부재의 공장제작 및 출하와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스템서버의 운영과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의 시각화 구현을 위한 3차원 가상 모델, 공정관리의 구체화 및 객관화를 위한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비오엠(BOM: Bill Of Material)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정보를 생성하여 종합 관리하는 운영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 철골공사, 조기경보시스템, 시스템서버, 운영관리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A Steel Structures construction Progress Early a Warning system using internet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b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관리 시스템 110: 시공사 단말기
120: 공장 단말기 130: 현장 단말기
140: 운영 관리자 150: 시스템 서버
170: 데이터베이스 180: 인터넷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공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계정보, 원자재 정보, 용접사 정보, 공장제작 정보, 현장설치 정보 등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시각화 구현에 의한 공사 진행 과정을 인터넷을 통하여 관리 및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가장 중요한 뼈대인 철골공사는 요소기술과 종합기술이 양립하고, 전통기술과 타 산업기술이 공존하는 2중 구조의 기술체계로 운용되고 있으며, 특히 철골공사는 특화된 요소기술과 타 산업의 신기술로 결합된 공종으로 재료, 시공, 공법, 품질 등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핵심 공종인 철골공사는 설계도면, 원자재 구매,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등의 단계별 다양한 작업방법 및 복잡한 관리기법 등에 의하여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여러 세부 공정에 의한 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공사의 효율적인 관리가 관건이다. 이를 위하여, 예상 문제를 사전 인지할 수 있는 과정의 정립과 시스템에 의한 관리가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공정의 안정은 물론 품질 확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다양한 작업방법 및 복잡한 관리기법이 시공사와 공급자의 현장 및 공장 유, 무경험자에 의해 많은 부분이 관습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철골공사를 위한 원자재 구매,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과정의 수시 설계변경과 원자재 수급 및 인력동원 애로 등의 상황변화에 대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과 다양한 정보의 수집과 가공을 수작업에 의하여 처리하므로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공장 및 현장의 요소 공정지연은 철골공사의 지연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에도 지장을 초래하며 전체 건축철골공사의 원가, 품질, 공기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필요한 부재가 설계변경 혹은 공장의 사정에 의해 수급이 불균형하게 이루어질 경우, 시공사는 공장에 문서, 통신 또는 방문을 통해 이를 통지 및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필요 부재의 긴급성 때문에 방문 등의 방법으로 정보전달을 하고 있으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공사 수행에 많은 영향을(즉 공기 및 원가와 품질관리에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시공사에서는 공장제작과 현장설치의 계획 대비 실적이 부진할 경우, 공정 만회계획 수립을 위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며, 이는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수집된 자료의 가공과 복잡한 작업방법에 대한 조율을 수작업으로 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사람의 실수로 인한 착오 및 누락 등도 감안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관습적인 관리기법 내지는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건축 뼈대인 철골공사에 소요되는 다양한 많은 량의 철골부재의 원활한 조달을 위하여 설계, 원자재 수급, 공장제작, 현장설치 등 일련의 과정을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철골공사 공정관리를 한 차원 개선되게 운영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피크(Peak) 공정에 대한 병목현상의 사전 인지와 발생하는 순간 원인파악 및 경보발령으로 조기에 대응이 가능토록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공정관리를 체계화 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구성이 상호 연결되며: 전반적인 설계정보 내지 설계변경 정보와 공사개요 및 공기와 관련한 일정정보 및 부재의 현장반입 요청일을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시공사 단말기; 공장현황정보, 원자재 구매 및 입고, SHOP DRAWING 작도,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공장제작 및 PACKING LIST에 의한 출하 여부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공장단말기;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반입, 현장설치 진행 정도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현장단말기; 상기 시공사 단말기, 공장단말기 및 현장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공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장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부재를 공장제작 및 출하하였는지의 정보와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부재반입 및 현장설치가 진행되고 있는지의 정보를 수신하여, 부재의 공장제작 및 출하와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 확인과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스템서버의 운영과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의 시각화 구현을 위한 3차원 가상 모델, 공정관리의 구체화 및 객관화를 위한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비오엠(BOM: Bill Of Material)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정보를 종합 생성 관리하는 운영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공사 단말기에서 전송한 조감도, 공사기간, 특기시방 및 공사개요 자료 등을 저장하는 시공사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운영관리자가 작성한 표준화된 부재번호 및 BOM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의 부재정보를 저장하는 부재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장 단말기를 운영하는 공장의 위치, 연락처, 운영자의 신상정보, 운송 경로와 부재 종류별 공장제작 표준 공정종류 및 공정일정을 저장하는 공장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현장 단말기에서 전송한 부재 종류별 현장설치 표준 공정종류 및 공정일정 등을 저장하는 현장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장 및 현장 용접사의 이력관리를 위한 신상정보, 용접사 자격현황 자료, 용접사 시험결과물 및 용접사별 비파괴검사 결과를 저장하는 용접사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공사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설계정보 및 설계변경 자료 등을 저장하며, 특히 설계정보에는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고유번호와 사양(길이, 폭, 두께 등을 포함),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이 포함되어 있는 자료 등을 저장하는 설계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최초 설계정보 및 설계변경 정보와 공사개요 및 공기와 관련한 일정정보 및 현장반입 요청 일을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시공사 단말기; 공장현황정보, SHOP DRAWING 작도, 용접사 자격관리, 원자재 구매 및 입고와 부재의 공장제작 진행과 PACKING LIST에 의한 출하 여부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공장 단말기;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반입, 현장설치 진행 정도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기; 상기 시공사 단말기, 공장단말기 및 현장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공장단말기에서 부재의 공장제작 및 출하가 정상적으로 진행하였는지의 정보와 상기 현장단말기에서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정보를 수신하여, 부재의 공장제작 및 출하와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스템서버의 운영과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의 시각화 구현을 위한 3차원 가상 모델, 공정관리의 구체화 및 객관화를 위한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비오엠(BOM: Bill Of Material)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정보를 생성, 종합 관리하는 운영관리자를 포함하는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에서, 상기 운영관리자의 시스템 서버를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 관리 조기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종류별 공장제작에 해당되는 공정정보를 수신하는 표준 공정설정 루틴; 상기 운영관리자가 공정관리의 기초자료인 BOM을 공급자로부터 접수하여 부재관리시트를 작성하고 등록하는 부재관리시트 작성 루틴; 상기 부재관리시트 작성 루틴에서 작성된 부재관리시트에, 상기 부재 종류별 표준 공정설정 루틴에서 수신된 부재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에 해당되는 공정과 이의 공 정별 소요 일수를 적용하여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계획 공정일정을 등록하는 부재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 상기의 공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공장제작 실적을 수신하고, 상기의 현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현장설치 실적을 수신하는 실적 등록 루틴; 및 상기 실적 등록 루틴에서 수신된 부재의 공정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실적이 상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등록된 계획일자 대비 실적이 지연될 경우 각 부재 또는 공정별 조기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교분석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재의 종류별 표준 공정설정 루틴은: 부재가 롤(Roll) 타입인지, BH(Build Up) 타입인지를 입력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타입에 따라 부재별 공장제작에 해당되는 표준 공정설정 및 표준 공정일정을 입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재관리시트 작성 루틴은: 단위 부재별 구성된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고유번호와 사양(길이, 폭 및 두께),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 등을 포함한 BOM자료를 입력하는 제1단계; 부재관리시트에 부재의 임시생성과 설치위치, 데이터를 검증하는 제2단계; 및 현장반입 요청일을 입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은: 상기 현장반입 요청일을 기준으로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역으로 계산하여 부재의 공장제작 공정별 계획일정을 생성하고, 아울러 현장설치 공정별 계획일정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적등록 루틴은: 상기 공장단말기로부터 공장제작 실적과 상기 현장 단말기로부터 현장설치 실적을 각각 수신 받아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교분석 루틴은: 상기 공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진행 실적을 입력 받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따라 부재의 공장제작 계획일자 대비 실적이 지연 혹은 공장제작 실적자료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조기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현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현장설치 진행 실적을 입력받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따라 부재의 현장설치 계획일자 대비 실적이 지연 혹은 현장설치 실적자료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조기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제작하는 제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관리 시스템)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100: 이하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을 간략히 ‘관리 시스템’이라 한다)은 시공사 단말기(110), 공장 단말기(120), 현장단말기(130), 운영관리자(140), 시스템 서버(150), 데이터베이스(170) 및 인터넷(18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다.
시공사 단말기(110)는 전반적인 설계정보, 설계변경 정보와 공사개요 및 공기와 관련한 일정정보, 특히 현장반입 요청일 등을 인터넷(180)으로 전송한다.
공장 단말기(120)는 원자재 구매 및 입고, SHOP DRAWING 작도,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공장제작 및 PACKING LIST에 의한 출하여부 등의 공정진행 정도를 인터넷(180)으로 전송한다.
현장 단말기(130)는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반입, 현장설치 공정 진행 정도를 인터넷(180)으로 전송한다.
운영관리자(140)는 시스템 서버(150)의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어 있는 시공사 단말기(110), 공장 단말기(120) 및 현장 단말기(130)로부터 입력된 각종 데이터와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의 시각화 구현을 위한 3차원 가상 모델, 공정관리 의 구체화 및 객관화를 위한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비오엠(BOM: Bill Of Material)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정보를 인터넷으로 전송한다.
상기 운영관리자(140)의 시스템 서버(150)는 시공사 단말기(110), 공장 단말기(120)와 현장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공장단말기(120)에서 정상적으로 부재를 공장제작 및 출하하였는지를 수신하여 비교분석한다. 또한 현장단말기(130)에서 정상적으로 현장설치 공정이 진행되었는지의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분석한다. 만일, 부재의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시스템 서버(150)가 수신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70)는 독립적으로 인터넷(18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시스템 서버(150)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시공사 DB(171), 부재 DB(172), 공장정보 DB(173), 현장정보 DB(174), 용접사 DB(175) 및 설계 DB(176)를 포함한다.
시공사정보 DB(171)는 조감도, 공사기간, 특기시방 및 공사개요 자료 특히, 부재의 현장반입 요청일 등을 저장한다.
부재 DB(172)는 운영관리자(140)가 입력한 표준화된 부재번호 및 BOM을 활용하여 작성한 부재관리시트 정보를 저장하며 설계 DB(176)와 유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한다.
공장 정보 DB(173)는 공장단말기를(120) 운영하는 공장의 위치, 연락처, 운영자의 신상정보, 운송경로 및 부재별 공장제작 표준 공정종류 및 공정일정 등을 저장한다.
현장 정보 DB(174)는 현장 단말기(140)에서 전송한 부재별 현장설치 표준 공정종류 및 공정일정 등을 저장한다.
용접사 DB(175)는 공장단말기(120) 및 현장단말기(130)에서 수신한 용접사의 이력관리를 위한 신상정보, 용접사 자격현황, 용접사 기량시험 결과물, 용접사별 비파괴검사 결과 등을 저장한다.
설계 DB(176)는 시공사 단말기(110)의 최초 설계정보 내지 설계변경 정보 및 부재관리시트 자료 등을 저장한다. 설계정보에는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고유번호와 사양(길이, 폭, 두께 등을 포함),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이 포함되어 있으며, 부재 DB(172)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70)는 여러 단말기들에 의한 읽기 쓰기 작업에 의한, 데이터의 일관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장 단말기(120)는 공장 정보 DB(173)의 읽기/쓰기만 가능하고, 현장 단말기(130)는 현장 정보 DB(174)의 읽기/쓰기만 가능하고, 시공사 단말기(110)와 운영관리자(140)는 모든 데이터베이스(170)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 방법)
이하에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에 대한 경보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이하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인터넷을 통한 건축철골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을 간단히 ‘경보 방법’이라 한다)은 부재의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표준 공정설정 루틴(S100),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작성 루틴(S200),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S300), 실적 등록 루틴(S400) 및 비교분석 루틴(S500)을 포함한다.
부재의 공장제작에 해당되는 표준 공정 설정 루틴(S100)은 공장 단말기(120)로부터 부재 종류에 따라 공장제작에 해당되는 공정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루틴이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는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모부재가 롤(Roll) 타입인 경우, 예를 들면, H빔이 롤 타입으로 제철소에서 구매 가능한 경우는, 모부재와 자(소)부재를 동시에 도면의 사양에 따라 절단, 조립, 용접, 검사 등을 거쳐 최종 부재로 공장제작 할 수 있지만, 그러나 모부재가 BH(Build Up) 타입인 경우, 모부재를 H 형상으로 우선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철소에서 구매된 철판을 절단, 조립, 용접 및 검사 등을 거쳐(1차 가공) 즉 H 형상으로 제작한 다음, 1차 가공된 모부재에 자(소) 부재를 절단, 조립, 용접 및 검사 과정(2차 가공)을 거쳐 최종 부재를 공장제작 공정에 의해 제작한다. 따라서 롤 타입과 BH 타입별 부재 공장제작 기간이 틀리므로 이와 같은 부재 타입별 기간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이 입력된 부재 타입별 공장제작에 소요되는 기간을 포함한 출 하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건축 철골공사 조기경보 및 공정관리의 기초 자료인 B.O.M으로 부재관리시트를 작성하는 부재관리시트작성 루틴(S200)은 운영관리자(140)가 부재 공급자인 공장단말기(120)로부터 부재번호 및 BOM정보를 수신하여 운영관리자(140)가 부재관리시트를 작성하는 루틴이다.
부재관리시트 작성 루틴(S200)은 단위 부재별 구성된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사양(길이, 폭, 두께 등을 포함),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 등을 포함한 BOM자료를 입력하는 제1단계; 부재관리시트에 부재의 임시생성과 설치위치(존(ZONE), 절, 층) 및 데이터를 검증 및 생성 등록하는 제2단계; 및 부재가 현장에 설치될 일정을 감안한 현장반입 요청일을 입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부재는 모부재와 자(소)부재로 구성되며, 상세한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고유번호와 사양(길이, 폭, 두께 등을 포함),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부재가 설치될 존(ZONE), 절, 층, 부재타입 등을 표준화된 부재번호에서 자동 처리되어 현장에서 부재가 어느 위치에 사용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재가 현장에 설치될 일정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공장의 출하일정과 현장설치 일정을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부재관리시트는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세부 공정의 종류와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계획일정을 포함한다. 표준화된 부재번호는 부재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와 부재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코드 및 부재의 순번을 나타내는 코드(영문 자모가 사 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 공정은 부재의 타입에 따라 즉, 롤(Roll) 혹은 BH(Build Up) 타입별 공정을 1차가공 공정과 2차가공 공정으로 대별하되, 예를 들면, BH인 경우 1차가공의 절단, 조립, 용접, 사상 등을 우선하며 롤(Roll) 경우 1차가공이 생략되며 단지 2차가공의 절단, 조립, 용접, 검사, 출하 등으로 구분 관리한다. 현장설치 공정은 현장의 지조립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대별하며 지조립이 있는 경우는 지조립 공정만 추가하고 없는 경우는 지조립을 생략하면 이후 공정은 동일하다. 예를 들면, 지조립, 거치, 도리, 용접/볼팅, 설치완료를 구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S300)은 작성된 부재관리시트에 부재별 표준 공정 설정 루틴(S100)으로부터 수신된 부재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소요 일자를 적용하여 표준 공정일정을 등록하는 루틴이다.
표준 공정일정은 부재가 현장에 반입될 날짜를 기준하여 상기 부재별 공장제작 공정에 따라 소요되는 기간을 역으로 계산하여 각 부재의 공장제작 공정별 계획일정을 생성하고, 아울러 현장설치 공정에 따라 소요되는 기간을 계산하여 각 부재의 현장설치 공정별 계획일정을 생성하게 된다. 이 루틴에서 생성된 부재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은 부재관리시트에 표시된다.
즉, 부재관리시트에는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과정의 부재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에 의한 계획일정만 표시 혹은 실적일정만 표시를 할 수도 있으며, 계획과 실적을 대비할 수 있게 동시에 상단은 계획일정 하단은 실적일정을 표시할 수 도 있다.
공장제작 실적 등록 루틴(S400)은 공장 단말기(120)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실적일자를 수신하고, 현장단말기(130)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현장설치 실적일자를 수신하며, 아울러 수신된 부재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시공 실적정보는 자동으로 부재관리시트에 반영된다.
비교분석 루틴(S500)은 실적 등록 루틴(S400)에서 수신된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실적 또는 현장설치 실적일자가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등록된 계획일자보다 지연되고 있는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비교분석 루틴은, 공장 단말기(120)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실적을 입력받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따른 계획일자 대비 공장제작이 지연되고 있거나 공장제작 공정별 실적을 입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현장단말기(130)로부터 현장설치 실적일자를 입력받는 제3단계 및 제3단계에서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따른 계획일자 대비 현장설치가 지연되고 있거나 현장설치 공정별 실적을 입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로 구성된다.
즉, 부재관리시트에는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에 의해 계획일이 자동 표시되고 공정진행 과정의 실적일은 실제 입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부재관리시트 상의 계획일정 하단에 실적일이 없는 경우, 지연 예상 부재로 인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문제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고 조기 대응으로 인 한 조치가 가능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 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관리 시스템은 공장 혹은 현장에서 채용될 용접사의 필수사항인 객관적인 기량 확인을 위한 자격시험을 공사가 변경될 때마다 재 실시해야하는 폐단을 배제하여 시간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고용자와 피고용자 모두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설계변경에 의한 수정, 삭제 또는 추가 될 부재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부재관리시트를 쉽게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은 원자재 구매 및 입고와 SHOP DRAWING 작도 진행사항, 실시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공정현황 등을 시각화에 의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자재 수급 지연, SHOP DRAWING 작도 지연,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지연 등의 문제점을 부재 혹은 세부 공정단위로 사전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문제의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 및 분석하여 문제를 조기에 예방 혹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철골공사 전체의 정확한 물량 산출에 의한 원가분석 관리가 가능하며, 아울러 매월 기성내역을 세부 공정 단위별로 물량산출이 가능하여 공사관리도 용이하고 이를 표준화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지정일자의 일일공사 진행 및 실적현황 혹은 일정기간 동안 수일, 주별 혹은 월별 공사실적 현황 즉 공정별 물량 혹은 부재 종류별 수량 및 중량 자료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현황파악 및 분석할 수 있는 공정회의 자료를 제공해 준다.
종래의 주먹구구식에 의한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관리를 배제하고 당초 계획일정을 준수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공정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며, 안정적인 공정관리는 품질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부가적인 효과도 제공될 것이다.

Claims (12)

  1.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전반적인 설계정보 및 설계변경 정보와 공사개요 및 공기와 관련한 일정정보 및 부재의 현장반입 요청일을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시공사 단말기;
    공장현황정보, 원자재 구매 및 입고, 샵 드로잉(SHOP DRAWING) 작도,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공장제작 및 패킹 리스트(PACKING LIST)에 의한 출하 여부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공장 단말기;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반입, 현장설치 진행 정도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기;
    상기 시공사 단말기, 공장 단말기 및 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공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장 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부재를 공장제작 및 출하하였는지의 정보와 상기 현장 단말기에서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확인과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스템 서버의 운영과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의 시각화 구현을 위한 3차원 가상 모델, 공정관리의 구체화 및 객관화를 위한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비오엠(BOM: Bill Of Material)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정보를 생성 종합 관리하는 운영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공사 단말기에서 전송한 조감도, 공사기간, 특기시방 및 공사개요 자료를 저장하는 시공사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운영관리자가 작성한 표준화된 부재번호 및 비오엠(BOM)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의 부재정보를 저장하는 부재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장단말기를 운영하는 공장의 위치, 연락처, 운영자의 신상정보, 운송경로 및 부재 종류별 공장제작 표준 공정종류 및 공정일정을 저장하는 공장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현장 단말기에서 전송한 부재 종류별 현장설치 표준 공정종류 및 공정일정 등을 저장하는 현장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공장 단말기 및 현장 단말기에서 수신한 용접사의 이력관리를 위한 신상정보, 용접사 자격현황 자료, 용접사 기량시험 결과물, 용접사별 비파괴검사 결과 등을 저장하는 인력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시공사 단말기에서 수신한 전반적인 설계정보 및 설계변경 자료를 저장하며, 특히 설계정보에는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고유 번호와 사양(길이, 폭, 두께를 포함),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이 포함되어 있는 자료를 저장하는 설계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
  8.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최초 설계정보 및 설계변경 정보와 공사개요 및 공기와 관련한 일정정보 및 현장반입 요청일을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시공사 단말기; 공장현황정보, 원자재 구매 및 입고, 샵 드로잉(SHOP DRAWING) 작도,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공장제작 및 패킹 리스트(PACKING LIST)에 의한 출하 여부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공장 단말기; 용접사 자격관리, 부재의 반입, 현장 설치 진행 정도를 상기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기; 상기 시공사 단말기, 공장 단말기 및 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공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공장 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부재를 제작 및 출하하였는지의 정보와 상기 현장 단말기에서 부재의 반입 및 현장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확인과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조기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시스템서버의 운영과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의 시각화 구현을 위한 3차원 가상 모델, 공정관리의 구체화 및 객관화를 위한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비오엠(BOM: Bill Of Material)을 활용한 부재관리시트(MCS: Member Control Sheet) 정보를 생성 종합 관리하는 운영관리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의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 관리 조기경보 방법은,
    상기 공장 단말기로부터 부재의 종류별로 공장제작에 해당되는 공정을 설정하는 표준 공정설정 루틴;
    상기 운영관리자가 공정관리의 기초 자료로 필요한 비오엠(BOM)을 상기 시공자, 공장 및 현장 단말기로부터 접수하여 부재관리시트(MCS)를 위한 자료를 작성하고 등록하는 부재관리시트(MCS) 작성 루틴;
    상기 부재관리시트(MCS) 작성 루틴에서 작성된 부재관리시트(MCS)에, 상기 부재 종류별 표준 공정설정 루틴에서 수신된 부재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해당 공정을 적용하고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공정일정을 등록하는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
    상기 공장 단말기로부터 부재의 공장제작 실적을 수신하고, 상기 현장 단말기로부터 부재의 현장설치 실적을 수신하는 실적 등록 루틴; 및
    상기 실적 등록 루틴에서 수신된 부재의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 실적이 상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등록된 계획일자 대비 실적이 지연될 경우 각 부재 또는 공정별 조기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종류별 표준 공정설정 루틴은:
    부재가 롤(Roll) 타입인지, 비에이치(BH: Build Up) 타입인지를 입력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타입에 따라 부재별 공장제작에 해당되는 표준 공정설정 입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관리시트(MCS) 작성 루틴은:
    단위 부재별 구성된 모부재와 자(소)부재의 표준화된 부재번호와 사양(길이, 폭 및 두께), 재질, 형상, 중량 및 수량 등을 포함한 비오엠(BOM)자료를 입력하는 제1단계;
    부재관리시트(MCS)에 부재의 임시생성과 설치위치, 데이터를 검증하는 제2단계; 및
    현장반입 요청일을 입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은:
    상기 현장반입 요청일을 기준으로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및 현장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역으로 계산하여 부재의 공장제작 공정별 계획일정을 생성하고, 현장설치 공정별 계획일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분석 루틴은:
    상기 공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공장제작 진행 실적을 입력 받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따라 부재의 공장제작 계획일자 대비 실적이 지연 혹은 공장제작 실적자료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조기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현장단말기로부터 부재의 종류 및 공정별 현장설치 진행 실적을 입력받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표준 공정일정 등록 루틴에 따라 부재의 현장설치 계획일자 대비 실적이 지연 혹은 현장설치 실적자료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조기 경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방법.
KR1020060066384A 2006-07-14 2006-07-14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KR20080006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384A KR20080006971A (ko) 2006-07-14 2006-07-14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384A KR20080006971A (ko) 2006-07-14 2006-07-14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971A true KR20080006971A (ko) 2008-01-17

Family

ID=3922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384A KR20080006971A (ko) 2006-07-14 2006-07-14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9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2042A (zh) * 2015-05-27 2015-09-02 杨平 一种施工图识读虚拟训练系统
CN111353713A (zh) * 2020-03-03 2020-06-30 重庆西艾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工厂生产用产品质量认证管理系统
KR20210027901A (ko) 2019-09-03 2021-03-11 현대건설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1148A (ko)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야크솔루션 Qr코드를 이용한 건설공정 자동관리 시스템
KR20220074998A (ko) * 2020-11-20 2022-06-07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16664079A (zh) * 2023-07-24 2023-08-29 中天昊建设管理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建筑设计动态流程监管系统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2042A (zh) * 2015-05-27 2015-09-02 杨平 一种施工图识读虚拟训练系统
KR20210027901A (ko) 2019-09-03 2021-03-11 현대건설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1148A (ko)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야크솔루션 Qr코드를 이용한 건설공정 자동관리 시스템
CN111353713A (zh) * 2020-03-03 2020-06-30 重庆西艾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工厂生产用产品质量认证管理系统
CN111353713B (zh) * 2020-03-03 2023-11-14 重庆西艾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工厂生产用产品质量认证管理系统
KR20220074998A (ko) * 2020-11-20 2022-06-07 주식회사 하우올리 건축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공정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16664079A (zh) * 2023-07-24 2023-08-29 中天昊建设管理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建筑设计动态流程监管系统及方法
CN116664079B (zh) * 2023-07-24 2024-05-17 中天昊建设管理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建筑设计动态流程监管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fa et al. Supplier selection process in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model
Chen et al. Bridging BIM and building (BBB)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 construction: The underlying mechanism and implementation
Duffuaa et al. Turnaround maintenance in petrochemical industry: practices and suggested improvements
KR20080006971A (ko) 인터넷을 통한 건축 철골공사 공정관리 조기경보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KR102345145B1 (ko) 고객정보 연계 및 활용에 의한 생산물류 erp 자동화 시스템
Septiawan et al. Analysis of project construction delay using fishbone diagram at pt. rekayasa industri
Chance et al. Supporting manufacturing with simulation: model design, development, and deployment
Yilmaz et al. Low-cost (Shoestring) digital solution areas for enabling digitalisation in construction SMEs
Kabadurmus et al. Design of pull production control systems using axiomatic design principles
Molina et al. Application of enterprise models and simulation tools for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f best manufacturing practices implementation
KR102383682B1 (ko) 철근 절단가공을 위한 계획 관리시스템
JP2023046204A (ja) 製造管理装置、製造管理方法、及び製造管理プログラム
Begić et al. Active BIM system for optimized multi-project ready-mix-concrete delivery
Russell The process auditing and techniques guide
Fan Customized Manufactur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for Offsite Modular Light Gauge Steel Construction
KR20210041148A (ko) Qr코드를 이용한 건설공정 자동관리 시스템
Zuzik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of Material Flow and Workplace Design: A Comprehensive Case Study Analysis
Pati et al. A hybrid approach to minimising manufacturing costs–stud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industry
KR102483758B1 (ko) 오피스-필드의 선택적 연동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Standard Enterprise-Control System Integration Part 1: Models and Terminology
JP2005011103A (ja) 生産管理システム
Diallo Using discrete-event simulation to increase system capacity: a case study of an assembly plant
Ruiz et al. Computational simulation as a decision-making support tool for prefabricated pillars production
Chuo Simulation modelling and analysis of impact of 3d feedback workflow on prefabrication of industrial construction
Plemmons et al. Measuring and benchmarking materials management effectiv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