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026B1 -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026B1
KR102576026B1 KR1020220088773A KR20220088773A KR102576026B1 KR 102576026 B1 KR102576026 B1 KR 102576026B1 KR 1020220088773 A KR1020220088773 A KR 1020220088773A KR 20220088773 A KR20220088773 A KR 20220088773A KR 102576026 B1 KR102576026 B1 KR 10257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module
time
work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만
문형재
석원균
이종민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주)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주),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롯데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08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계정보에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PC부재의 정보를 추출하여 시공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고, 특히 PC부재의 제작시 사용되는 몰드의 설치, 변경 시간, 작업 난이도 등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시간을 최소화하는 PC부재 생산일정의 생성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A Management System for Producing Precast Concrete Connected Constru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계정보에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PC부재의 정보를 추출하여 시공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고, 특히 PC부재의 제작시 사용되는 몰드의 설치, 변경 시간, 작업 난이도 등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시간을 최소화하는 PC부재 생산일정의 생성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 현장에서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건축물의 기둥, 보, 슬래브 등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PC(Precast Concrete)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C 공법에서 생산단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PC부재의 제작시 사용되는 철제 거푸집(몰드)의 가공/재단 비용이며, 동일한 규격의 부재가 많으면 철제 거푸집의 전용횟수가 많아져 몰드 가공/재단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PC 공장에서는 투입 원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몰드의 회전율을 극대화하는 순서로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D 도면으로 몰드의 규격을 파악하고 유사한 몰드별로 분류하여 생산 순서별로 순위를 정렬하도록 하고, 엑셀 형태로 정리하여 관리자가 일일히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PC 부재의 생산관리가 관리자의 역량/경험에 좌우되며, 오류가 많고 효율적인 생산계획이 수립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514144호(2015. 04. 15. 등록)"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이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설계정보에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PC부재의 정보를 추출하여 시공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고, 특히 PC부재의 제작시 사용되는 몰드의 설치, 변경 시간, 작업 난이도 등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시간을 최소화하는 PC부재 생산일정의 생성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각 시공영역 및 영역별 시공 우선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시공일정이 생성되고, 생성된 시공일정에 따라 PC부재 생산계획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필요한 PC부재의 생산이 적기에 이루어져 현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C부재의 형상, 크기, PC부재에 설치되는 부자재 등에 따른 몰드의 설치, 변경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들에 대해 소요되는 시간, 난이도에 따른 작업등급을 산출하도록 하며, PC부재의 생산순서를 조합하여 생산순서에 따른 작업등급의 평균값에 따른 작업지수에 따라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을 PC부재의 생산순서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소요시간이 짧고 낮이도 낮은 몰드의 설치, 변경작업을 통해 PC부재의 생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최적화된 생산일정에 따른 생산기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여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일정에 맞추기 못하는 경우에는 작업에 따른 소요시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작업등급을 재산출하고 이에 따른 생산일정 조정을 통해 생산일정을 맞추도록 하며, 작업에 따른 생산시간은 설정된 시간과 실제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의 지속적인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일정에 대한 준수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PC부재 제작영역에 대해 각 제작영역별로 생산되는 PC부재를 그룹화하여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합산하여 전체 제작영역에 대한 평균적인 작업지수를 산정하도록 하고,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에 따라 PC부재를 분할하여 각 작업영역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제작영역에 대한 생산일정도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C 생산 관리 시스템은 건출물의 설계정보를 분석하여 시공 일정에 따라 건축물에 사용될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생성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건축물에 관한 시공정보를 등록하는 현장측단말기와,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PC부재의 생산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공장측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건축물에 관한 설계정보를 분석하여 건축물에 사용될 각 PC부재 정보를 추출하는 설계분석부와, 상기 설계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각 PC부재 정보와 시공계획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는 일정생성부와, 상기 PC부재를 제작할 몰드의 설치 또는 변경 시간, 난이도를 고려하여 상기 일정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생산일정을 최적화하는 생산최적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정생성부는 함께 시공되는 일정 위치 단위로 건축물의 시공 영역을 분류하는 시공영역분류모듈과, 분류된 시공 영역 각각에 대한 PC부재 정보를 불러오는 부재정보로딩모듈과, 상기 현장측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각 PC부재 정보에 시공일정 정보를 삽입하는 시공일정삽입모듈과, 동일 시공 영역 내 PC부재간의 시공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설정모듈과, 시공일정 및 우선순위에 따라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생성하는 생산계획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최적화부는 PC부재를 형상,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부재정보분류모듈과, 각 PC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매칭시키는 몰드정보매칭모듈과,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변경, 설치에 대한 작업시간, 난이도를 평가하는 몰드변환평가모듈과, 상기 몰드변환평가모듈에 의한 평가결과에 따라 상기 일정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생산일정을 수정하는 생산계획수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변환평가모듈은 PC부재의 형상 변화에 따라 몰드가 변경되는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형상변환설정모듈과, PC부재의 제작을 위해 초기 세팅을 위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초기세팅설정모듈과, PC부재 부자재의 설치 및 변경을 위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자재설정모듈과, 상기 형상변환설정모듈, 초기세팅설정모듈, 부자재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작업시간의 소요정도를 산정하는 시간지수산정모듈과, 각 작업의 종류에 따른 난이도 정보를 설정하는 공임지수설정모듈과, 작업시간의 소요정도 및 난이도를 합산하여 각 작업의 등급을 산출하는 작업등급산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지수산정모듈은 PC부재의 제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설치, 변경에 관한 각 작업의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저장모듈과, 각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평균시간산출모듈과, 각 작업에 대한 평균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타 작업 대비 각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 비율에 따라 작업시간에 관한 시간지수를 계산하는 시간지수연산모듈과, PC부재의 제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시간지수를 갱신하는 시간지수갱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계획수정모듈은 일정기간 동안 생산되어야 하는 PC부재들의 생산 순서를 조합하는 몰드변환조합모듈과, PC부재의 생산순서에 따른 몰드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작업등급을 산출·합산하여 그 평균값에 따라 작업지수를 산출하는 작업지수산출모듈과, 작업지수가 가장 낮은 생산 순서의 조합을 최종 생산일정으로 결정하는 생산일정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산최적화부에 의해 수정된 생산일정에 따른 작업시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여 검토하는 생산검토부와, 상기 생산검토부에서 이용되는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최적화하는 시간최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검토부는 각 PC부재의 제작 시간을 설정하는 제작시간설정모듈과, PC부재 제작을 위한 몰드의 설치 및 변환에 따른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변환시간설정모듈과, 상기 생산최적화부에 의해 수정된 생산일정에 따라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작업시간계산모듈과, 계산된 작업시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는 시공일정비교모듈과, 계산된 작업시간이 시공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등급 및 작업지수의 재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중치적용모듈과, 재산출되는 작업지수에 따라 생산일정을 다시 수정하는 생산일정수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최적화부는 PC부재의 제작 및 몰드의 설치, 변경시 소요되는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시간저장모듈과, 실제 작업시간과 상기 제작시간설정모듈 및 변환시간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시간을 비교하는 설정시간비교모듈과, 실제 작업시간 및 설정된 작업시간의 오차를 산정하는 오차산정모듈과, 설정된 작업시간에 대한 오차의 비율에 따라 오차지수를 산정하는 오차지수산정모듈과, 특정 PC부재의 제작, 몰드의 변환에 관한 오차지수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차지수를 누적 합산하도록 하고 합산되는 오차지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PC부재의 제작시간 또는 몰드의 변환시간에 관한 설정시간의 변경을 지시하는 설정변경지시모듈과, 설정시간의 변경 지시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지시가 발생하기 직전 일정기간 동안의 실제 작업시간에 관한 평균값을 연산하는 평균값연산모듈과, 연산된 평균값에 따라 설정된 작업시간을 변경하는 설정시간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PC 생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PC부재 제작영역에 대한 생산배치를 조정하는 배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조정부는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복수의 제작영역 각각에 분할하여 조합하는 분할조합모듈과, 각 제작영역에 대해 분할된 PC부재의 생산일정에 따라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산출하는 그룹지수산출모듈과,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정하는 지수평균연산모듈과, 각 조합별로 상기 지수평균연산모듈에 의해 산정되는 작업지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의 배치로 생산일정을 분배하는 배치분할결정모듈과, 분할된 생산 배치 및 일정에 의해 각 제작영역의 생산기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는 생산일정검토모듈과, 생산기간이 시공일정을 초과하는 경우 차순위로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을 PC부재의 생산배치 및 일정으로 결정하는 분할조정모듈과, 상기 분할조정모듈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작업지수의 한계값을 설정하는 한계값설정모듈과, 작업지수가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등급 및 작업지수를 다시 산출하고 배치 분할을 조정하는 가중치반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설계정보에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PC부재의 정보를 추출하여 시공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고, 특히 PC부재의 제작시 사용되는 몰드의 설치, 변경 시간, 작업 난이도 등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시간을 최소화하는 PC부재 생산일정의 생성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각 시공영역 및 영역별 시공 우선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시공일정이 생성되고, 생성된 시공일정에 따라 PC부재 생산계획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필요한 PC부재의 생산이 적기에 이루어져 현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PC부재의 형상, 크기, PC부재에 설치되는 부자재 등에 따른 몰드의 설치, 변경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들에 대해 소요되는 시간, 난이도에 따른 작업등급을 산출하도록 하며, PC부재의 생산순서를 조합하여 생산순서에 따른 작업등급의 평균값에 따른 작업지수에 따라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을 PC부재의 생산순서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소요시간이 짧고 낮이도 낮은 몰드의 설치, 변경작업을 통해 PC부재의 생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적화된 생산일정에 따른 생산기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여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일정에 맞추기 못하는 경우에는 작업에 따른 소요시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작업등급을 재산출하고 이에 따른 생산일정 조정을 통해 생산일정을 맞추도록 하며, 작업에 따른 생산시간은 설정된 시간과 실제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의 지속적인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일정에 대한 준수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PC부재 제작영역에 대해 각 제작영역별로 생산되는 PC부재를 그룹화하여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합산하여 전체 제작영역에 대한 평균적인 작업지수를 산정하도록 하고,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에 따라 PC부재를 분할하여 각 작업영역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제작영역에 대한 생산일정도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설계분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부재특성저장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브라켓정보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되는 브라켓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도 4의 컬럼턱정보저장모듈에 의해 저장되는 컬럼턱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도 2의 일정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생산최적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몰드변환평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9의 시간지수산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9의 작업등급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되는 작업등급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도 8의 생산계획수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2의 생산검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도 2의 시간최적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의 배치조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PC 생산 관리 시스템은 건출물의 설계정보를 분석하여 시공 일정에 따라 건축물에 사용될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생성하는 관리서버(1)와, 상기 관리서버(1)와 연결되어 건축물에 관한 시공정보를 등록하는 현장측단말기(2)와,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PC부재의 생산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공장측단말기(3)를 포함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PC부재의 생산은 PC부재 제작을 위한 몰드 설치 및 변경의 효율성을 위해 관리자가 직접 엑셀을 통해 작업하여 일정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일일이 PC부재의 생산일정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우며 몰드의 설치 및 변경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설계정보에서 자동으로 PC부재 정보를 추출하도록 하고, 추출된 PC부재의 형상, 형태, 크기, 함께 설치되는 부자재 등의 정보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며, 각 PC부재의 제작이 필요한 몰드정보가 매칭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PC부재 제작시 PC부재의 생산일정에 따라 몰드의 설치, 변경에 따른 소요시간, 작업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각 몰드작업의 작업등급을 산정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장 소요시간이 적으면서 난이도가 낮은 순서로 PC부재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PC부재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생산계획을 수립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는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설계분석부(11), 일정생성부(12), 생산최적화부(13), 생산검토부(14), 시간최적화부(15), 생산정보제공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분석부(11)는 건축물의 설계정보를 분석하여 PC정보를 추출하고, PC부재의 형상, 형태, 크기, 특성 등을 분류하는 구성으로, 도면정보로딩모듈(111), 부재정보추출모듈(112), 부재형상저장모듈(113), 부재특성저장모듈(114), 부자재정보저장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정보로딩모듈(111)은 건축물의 설계정보로부터 도면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관리서버(1)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건축물의 설계도면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재정보추출모듈(112)은 로딩된 설계도면에서 PC부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형태, 형상, 크기, 함께 설치되는 부자재 등의 정보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재형상저장모듈(113)은 각 PC부재의 형상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단면 폭 정보를 저장하는 단면폭저장모듈(113a), 단면 높이 정보를 저장하는 단면높이저장모듈(113b), PC부재의 길이정보를 저장하는 길이정보저장모듈(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특성저장모듈(114)은 PC부재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다양한 형태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생산최적화부(13)에서 동일한 형태적 특성을 갖는 PC부재들의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재특성저장모듈(114)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부재의 브라켓, 컬럼턱 등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브라켓정보저장모듈(114a), 컬럼턱정보저장모듈(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정보저장모듈(114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의 방향에 따른 타입을 분류하는 타입정보저장모듈(114a-1), 헌치경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헌치경사저장모듈(114a-2), 헌치 수평거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헌치거리저장모듈(114a-3), 수직면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헌치높이저장모듈(114a-4)을 포함할 수 있고, 컬럼턱정보저장모듈(114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턱의 위치에 따른 타입정보를 저장하는 종류정보저장모듈(114b-1)과, 컬럼턱의 단면 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폭정보저장모듈(114b-2), 컬럼턱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높이정보저장모듈(114b-3), 컬럼턱의 단면 두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두께정보저장모듈(114b-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자재정보저장모듈(115)은 PC부재의 제작시 함께 설치되는 부자재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전기박스, 무늬 철판, 층간 연결 철근, 코터, 블럭아웃 등의 정보가 함께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부자재들의 설치 및 변경 정보에 따라 작업의 소요시간, 난이도 등이 평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정생성부(12)는 시공일정에 따른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현장측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시공일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생산일정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정생성부(12)는 시공영역분류모듈(121), 부재정보로딩모듈(122), 시공일정삽입모듈(123), 우선순위설정모듈(124), 생산계획생성모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영역분류모듈(121)은 PC부재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영역을 분류하는 구성으로, 동, 층, 구역 등의 각 영역별로 시공영역이 분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기간에 함께 시공되는 영역을 하나의 시공영역으로 분류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재정보로딩모듈(122)은 각 시공영역에 설치되는 PC부재의 정보를 불러오는 구성으로, 부재형상, 부재특성, 부자재 등의 정보를 불러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공일정삽입모듈(123)은 현장측단말기(2)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각 시공영역의 시공일정에 관한 정보를 PC부재 정보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각 시공영역의 공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관한 정보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설정모듈(124)은 각 시공영역에 반입되어야 할 PC부재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시공순서에 따라 각 PC부재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산계획생성모듈(125)은 시공 우선순위에 따라 기간을 지정하여 생산계획이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시공영역에 대한 시공일정과 각 PC부재의 우선순위에 따라 일정을 지정하여 PC부재의 생산일정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생산일정을 공장측단말기(3)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산최적화부(13)는 생산 일정을 최적화하는 구성으로, 상기 일정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되는 PC부재의 생산일정을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설치, 변경에 관한 소요시간, 난이도에 따라 변경하여 소요시간이 짧고 난이도가 적은 몰드의 변경 및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생산일정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생산최적화부(13)는 부재정보분류모듈(131), 몰드정보매칭모듈(132), 몰드변환평가모듈(133), 생산계획수정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정보분류모듈(131)은 PC부재를 분류하는 구성으로, 상기 부재형상저장모듈(113), 부재특성저장모듈(114)에 의해 저장되는 PC부재 형상, 브라켓, 컬럼턱 등의 특성 정보에 따라 분류하도록 한다. 상기 부재정보분류모듈(131)은 동일한 형상, 브라켓, 컬럼턱을 갖는 PC부재를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하면서, 일 예로 PC부재의 단면 폭, 길이, 단면 높이가 큰 순서대로 분류하도록 하고, 동일 타입의 브라켓을 갖는 PC부재에 대해서는 브라켓의 수직면 높이, 수평거리가 큰 순서로 분류하도록 하며, 동일 타입의 컬럼턱을 갖는 PC부재에 대해서는 컬럼턱 단면폭, 높이, 두께가 큰 순서로 분류하도록 한다.
상기 몰드정보매칭모듈(132)은 각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를 매칭시키는 구성으로, 몰드의 종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몰드변환평가모듈(133)은 PC부재의 제작시 몰드의 설치, 변경에 따른 작업성을 평가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생산 순서에 따라 몰드를 설치하고 변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작업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작업성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몰드변환평가모듈(133)은 형상변환설정모듈(133a), 초기세팅설정모듈(133b), 부자재설정모듈(133c), 시간지수산정모듈(133d), 공임지수설정모듈(133e), 작업등급산출모듈(133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환설정모듈(133a)은 PC부재의 형상 변화에 따른 몰드의 작업 종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길이, 폭, 높이 등의 변경에 따른 작업을 설정하여 각 작업에 대한 소요시간, 난이도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초기세팅설정모듈(133b)은 PC부재 제작시 초기 세팅과 관련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코터/ 불럭아웃의 설치 및 변경, 전기박스, 철물의 매입 및 변경, 층간 연결 철근의 길이 변경에 관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자재설정모듈(133c)은 부자재에 관련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브라켓 또는 칼럼턱의 변경, 브라켓 또는 칼럼턱의 교체, 층간 연결 철근 수량 변경, 무니 철판 설치 또는 탈거 등의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지수산정모듈(133d)은 각 작업에 대해 소요되는 시간 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형상변환설정모듈(133a), 초기세팅설정모듈(133b), 부자재설정모듈(133c)에 의해 설정되는 각 작업들에 대한 소요시간 정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시간지수산정모듈(133d)은 각 작업들의 실제 작업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작업들의 평균 작업시간에 대한 비율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정도를 나타내는 시간지수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간지수산정모듈(133d)은 시간정보저장모듈(133d-1), 평균시간산출모듈(133d-2), 시간지수연산모듈(133d-3), 시간지수갱신모듈(133d-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저장모듈(133d-1)은 각 작업들의 실제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제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공장측단말기(3)를 통해 작업시간 정보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균시간산출모듈(133d-2)은 각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각 작업에 대해 상기 시간정보저장모듈(133d-1)에 의해 저장되는 작업시간 정보를 합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지수연산모듈(133d-3)은 각 작업에 대한 평균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각 작업이 소요되는 시간 정도인 시간지수를 계산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전체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을 합산하여 그 평균값에 따라 기준이 되는 기준값을 산정하도록 하고, 기준값에 대한 각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의 비율에 따라 시간지수를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지수연산모듈(133d-3)은 타 작업 대비 시간이 소요되는 정도를 실제 작업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간지수갱신모듈(133d-4)은 PC부재의 제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시간지수를 갱신하는 구성으로, 작업시간 정보를 평균시간산출모듈(133d-2)에 의한 평균값의 산출에 반영하여 시간지수를 다시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시간지수갱신모듈(133d-4)은 가장 최근의 작업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시간지수가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 정도에 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임지수설정모듈(133e)은 각 작업에 대한 상대적인 난이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작업에 대한 난이도를 공장측단말기(3)를 통해 미리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작업에 대한 난이도의 평균값에 대한 각 작업 난이도의 비율을 각 작업의 상대적 난이도인 공임지수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등급산출모듈(133f)은 각 작업의 작업등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시간지수산정모듈(133d)에 의해 산정되는 시간지수와 상기 공임지수설정모듈(133e)에 의해 설정되는 공임지수를 합산하여 작업등급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등급산출모듈(133f)은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작업의 등급을 A,B,C,D 등으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간지수와 공임지수의 합산값에 관한 범위에 따라 각 범위에 따른 작업등급을 A,B,C,D 등으로 결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합산값이 높을수록 소요시간이 오래걸리고 작업 난이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합산값의 범위가 낮은 순서로 A,B,C,D 등의 등급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산계획수정모듈(134)은 상기 일정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되는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수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업등급산출모듈(133f)에 의해 산출되는 작업등급에 따라 소요시간이 적고 난이도가 낮은 작업 몰드의 설치, 변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PC부재의 생산순서로 변경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생산계획수정모듈(134)은 몰드변환조합모듈(134a), 작업지수산출모듈(134b), 생산일정결정모듈(13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변환조합모듈(134a)은 상기 일정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된 일정에서 몰드의 변환을 조합하는 구성으로, 각 시공영역 또는 특정일자까지 생산되어야 하는 PC부재의 생산 순서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몰드변환조합모듈(134a)은 상기 부재정보분류모듈(131)에 의해 분류된 형태에 따라 PC부재의 단면폭, 길이, 단면높이가 큰 PC부재에서 작은 PC부재 순서로, 동일 타입의 브라켓의 경우 수직면 높이, 헌치 수평거리가 큰 순서로, 동일 타입의 컬럼턱의 경우 컬럼턱 단면 폭, 높이, 두께가 큰 순서로 정렬하여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순서를 유지하면서 PC부재의 생산 순서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지수산출모듈(134b)은 상기 몰드변환조합모듈(134a)에 의해 조합되는 각 생산순서에 따른 작업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업등급산출모듈(133f)에 의해 산출되는 각 작업의 작동등급을 이용하여 작업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지수산출모듈(134b)은 각 조합의 생산순서에 따라 몰드가 변환되는 각 작업의 작업등급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등급이 높을수록 그에 따라 높은값을 지정하여, 작업등급에 따라 지정되는 값을 합산하여 작업지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작업등급에 따라 지정되는 값은 작업등급을 산출하는 시간지수와 공임지수의 합산값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지수가 높을수록 소요시간이 길고 난이도가 높은 몰드 변환 작업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생산일정결정모듈(134c)은 소요시간이 적고 난이도가 낮은 몰드 변환 작업으로 구성된 PC부재의 생산일정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몰드변환조합모듈(134a)에 의해 조합되는 각 PC부재의 생산순서에 따라 각 조합의 작업지수를 산출하여 가장 낮은 작업지수를 갖는 조합을 PC부재의 생산순서로 결정하도록 한다.
상기 생산검토부(14)는 상기 생산최적화부(13)에 의해 변경된 PC부재의 생산일정에 따라 PC부재를 제작할 경우 정해진 시공일정 내에 PC부재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구성으로, PC부재 자체의 제작시간, 몰드의 설치 및 변환시간을 고려하여 생산일정에 따른 생산기간이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정생성부(12)에서는 시공일정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른 PC부재의 생산순서를 결정할 뿐이므로, 실제 PC부재의 제작시간, 특히 몰드의 변환, 설치 시간 등을 고려할 경우 시공일정 내에 제작을 완료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생성부(12)에 의해 생성되는 생산일정은 몰드의 설치 및 변환에 따른 소요시간, 난이도에 따라 상기 생산최적화부(13)에 의해 조정되므로 조정된 일정에 따른 PC부재의 생산이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는지 여부를 다시 한??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검토부(14)는 시공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소요시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지수를 다시 산출하고 더욱 빠른 몰드의 변환 및 설치를 통해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생산검토부(14)는 제작시간설정모듈(141), 변환시간설정모듈(142), 작업시간계산모듈(143), 시공일정비교모듈(144), 가중치적용모듈(145), 생산일정수정모듈(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시간설정모듈(141)은 PC부재 자체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형상, 크기 등에 다라 제작시간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환시간설정모듈(142)은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설치 및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형상변환설정모듈(133a), 초기세팅설정모듈(133b), 부자재설정모듈(133c)에 의해 설정되는 각 작업별로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시간계산모듈(143)은 상기 생산최적화부(13)에 의해 최적화되는 PC부재의 생산일정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시간을 계산하는 구성으로, PC부재 자체의 제작시간 몰드의 설치 및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합산하여 전체 생산시간을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 시공일정비교모듈(144)은 상기 작업시간계산모듈(143)에 의해 계산되는 생산시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생산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 생산이 완료되는 시점이 시공일정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중치적용모듈(145)은 시공일정비교모듈(144)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생산시간이 시공일정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업지수산출모듈(134b)에 의한 작업지수의 산출시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산일정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중치의 적용이란 1보다 작은 값을 시간지수에 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간지수를 일정비율 줄여 공임지수와 합산되도록 함으로써, 시간에 더 비중을 둔 작업지수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생산일정수정모듈(146)은 가중치적용모듈(145)에 의한 가중치의 적용에 따라 산출되는 작업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최적화부(13)에 의해 생성된 생산일정을 수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몰드변환조합모듈(134a)에 의해 조합되는 생산일정 각각에 대해 작업지수를 다시 산출하여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장 낮은 작업지수를 갖는 생산일정으로 생산일정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수정된 생산일정을 검토하여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며, 시공일정을 맞출 때까지 가중치를 감소시키며 작업지수의 재산출 및 생산일정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시간최적화부(15)는 상기 제작시간설정모듈(141), 변환시간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되는 PC부재 자체의 제작시간, 몰드의 설치 및 변환시간에 관한 정보를 최적화하는 구성으로, 실제 작업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반복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설정된 시간정보를 수정하도록 하여 생산시간의 검토에 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시간최적화부(15)는 작업시간저장모듈(151), 설정시간비교모듈(152), 오차산정모듈(153), 오차지수산정모듈(154), 설정변경지시모듈(155), 평균값연산모듈(156), 설정시간변경모듈(1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시간저장모듈(151)은 실제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PC부재의 제작시간, 몰드의 설치 및 변환시간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공장측단말기(3)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비교모듈(152)은 실제 작업시간과 상기 제작시간설정모듈(141), 변환시간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시간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업시간저장모듈(151)에 의해 저장되는 PC부재의 제작시간, 몰드의 설치 및 변화 시간을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오차산정모듈(153)은 실제 작업시간과 설정된 작업시간의 오차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설정시간비교모듈(152)에 의한 비교에 의해 특정 PC부재 제작시간, 몰드의 설치 및 변환시간 각각의 오차를 산정하도록 한다.
상기 오차지수산정모듈(154)은 설정된 작업시간에 대한 오차의 비율에 따른 오차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오차지수가 설정된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변경지시모듈(155)은 제작시간설정모듈(141), 변환시간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시간 정보의 변경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오차지수산정모듈(154)에 의해 산정되는 오차지수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일정값을 초과하는 오차의 값을 누적하여 합산하도록 하고, 합산되는 오차지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설정시간의 변경을 지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변경지시모듈(155)은 실제 작업시간이 반복하여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설정시간의 변경을 지시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검토에 관한 정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균값연산모듈(156)은 설정시간의 변경을 위해 작업시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구성으로, 설정변경 지시가 있은 후, 변경지시 전 일정기간 동안의 실제 작업시간에 관한 평균값을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시간변경모듈(157)은 제작시간설정모듈(141) 또는 변환시간설정모듈(142)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시간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상기 평균값연산모듈(156)에 의해 계산되는 평균값을 특정 PC부재의 제작시간 또는 몰드의 설치, 변환에 관한 특정 작업의 작업시간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생산정보제공부(16)는 PC부재의 생산일정에 관한 정보를 공장측단말기(3)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제공된 생산일정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생산정보제공부(16)는 PC부재의 생산일정 뿐만 아니라 각 PC부재의 생산을 위한 몰드정보, 몰드의 설치 및 변환정보 등도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을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PC 생산 관리 시스템은 PC부재를 동시에 제작하는 복수의 제작영역에 대한 생산일정을 조정하는 배치조정부(1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조정부(17)는 PC부재의 생산을 복수의 제작영역에 분할하여 배치하고 각 제작영역의 생산일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PC부재를 복수개의 제작영역에 분할·조합하여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산출하고, 작업지수의 평균값이 가장 낮은 조합에 따라 PC부재의 분배 및 생산일정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배치조정부(17)의 경우에도 생성된 생산일정에 따른 PC부재의 제작이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며, 생산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차순위의 작업지수를 갖는 조합을 선택하고, 일정 한계값까지도 생산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배치 및 생산일정의 생성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치조정부(17)는 분할조합모듈(171), 그룹지수산출모듈(172), 지수평균연산모듈(173), 배치분할결정모듈(174), 생산일정검토모듈(175), 분할조정모듈(176), 한계값설정모듈(177), 가중치반영모듈(1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조합모듈(171)은 PC부재의 생산을 복수개의 제작영역에 분할하여 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몰드변환조합모듈(134a)에 의한 조합과 같이 PC부재의 분류에 따른 순서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그룹지수산출모듈(172)은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조합된 각 제작영역에 대한 PC부재의 생산순서에 따라 상기 작업지수산출모듈(134b)에 의해 작업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수평균연산모듈(173)은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합산하여 그 평균값을 계산하는 구성으로, 각 조합에 대해 전체 제작영역의 PC부재 생산에 따른 소요시간, 난이도를 반영한 작업지수가 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분할결정모듈(174)은 상기 지수평균연산모듈(173)에 의해 계산되는 각 조합의 평균 작업지수를 비교하여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으로 PC부재 생산의 배치 및 순서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몰드의 설치 및 변경에 따른 소요시간이 짧고 난이도가 낮은 작업 순서로 PC부재의 각 제작영역에 대한 분배 및 생산순서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생산일정검토모듈(175)은 상기 배치분할결정모듈(174)에 의해 결정된 배치 및 생산순서에 따른 생산일정을 검토하는 구성으로, 상기 생산검토부(14)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일정 내에 생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며, 각 제작영역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할조정모듈(176)은 생산일정검토모듈(175)에 의한 검토결과 생산순서에 따른 PC부재의 생산이 시공일정을 맞추기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PC부재의 각 제작영역에 대한 배치 및 생산순서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차순위의 작업시수를 갖는 배치 및 순서로 PC부재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한계값설정모듈(177)은 차순위의 작업지수를 갖는 배치 및 순서로의 조정시 한계가 되는 작업지수의 값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일정 작업지수의 값 이하에서만 PC부재의 배치 및 순서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할조정모듈(176)에서는 생산일정이 만족될 때까지 차순위의 작업지수를 갖는 배치 및 순서로 조정하게 되는데, 일정 한계값 이상의 작업지수까지 조정이 이루어질 경우 몰드 설치 및 변환에 따른 시간, 난이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한계값설정모듈(177)에 의해 작업지수의 한계값을 설정하도록 하여 시간, 난이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문제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중치반영모듈(178)은 작업지수가 한계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시공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작업지수의 산출시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반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1이하의 가중치를 시간지수에 적용하면서 작업지수를 산출하여 배치 및 순서가 재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중치반영모듈(178)은 난이도보다 소요시간에 더욱 비중을 두어 작업지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일정을 맞추도록 할 수 있으며, 가중치의 변경후 상기 분할조정모듈(176)에 의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시공일정을 맞출 수 있는 PC부재의 배치 및 생산순서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현장측단말기(2)는 공사 현장 또는 설계 관리자측에서 소지하는 단말기로, 관리서버(1)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설계정보, 시공일정 등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장측단말기(3)는 PC부재를 제작하는 공장측의 단말기로, 관리서버(1)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PC부재의 시공일정, 생산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리서버 11: 설계분석부
12: 일정생성부 13: 생산최적화부
14: 생산검토부 15: 시간최적화부
16: 생산정보제공부 17: 배치조정부
2: 현장측단말기 3: 공장측단말기

Claims (5)

  1. 건축물의 설계정보를 분석하여 시공 일정에 따라 건축물에 사용될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생성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되어 건축물에 관한 시공정보를 등록하는 현장측단말기와,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PC부재의 생산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공장측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건축물에 관한 설계정보를 분석하여 건축물에 사용될 각 PC부재 정보를 추출하는 설계분석부와, 상기 설계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각 PC부재 정보와 시공계획에 따라 PC부재의 생산일정을 생성하는 일정생성부와, 상기 PC부재를 제작할 몰드의 설치 또는 변경 시간, 난이도를 고려하여 상기 일정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생산일정을 변경하는 생산최적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산최적화부는
    PC부재를 형상, 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부재정보분류모듈과, 각 PC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매칭시키는 몰드정보매칭모듈과,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변경, 설치에 대한 작업시간, 난이도를 평가하는 몰드변환평가모듈과, 상기 몰드변환평가모듈에 의한 평가결과에 따라 상기 일정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생산일정을 수정하는 생산계획수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변환평가모듈은,
    PC부재의 형상 변화에 따라 몰드가 변경되는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형상변환설정모듈과, PC부재의 제작을 위해 초기 세팅을 위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초기세팅설정모듈과, PC부재 부자재의 설치 및 변경을 위한 작업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자재설정모듈과, 상기 형상변환설정모듈, 초기세팅설정모듈, 부자재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작업시간의 소요정도를 산정하는 시간지수산정모듈과, 각 작업의 종류에 따른 난이도 정보를 설정하는 공임지수설정모듈과, 작업시간의 소요정도 및 난이도를 합산하여 각 작업의 등급을 산출하는 작업등급산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지수산정모듈은,
    PC부재의 제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PC부재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설치, 변경에 관한 각 작업의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저장모듈과, 각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평균시간산출모듈과, 각 작업에 대한 평균 작업시간을 비교하여 타 작업 대비 각 작업의 평균 작업시간 비율에 따라 작업시간에 관한 시간지수를 계산하는 시간지수연산모듈과, PC부재의 제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시간지수를 갱신하는 시간지수갱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산계획수정모듈은,
    일정기간 동안 생산되어야 하는 PC부재들의 생산 순서를 조합하는 몰드변환조합모듈과, PC부재의 생산순서에 따른 몰드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작업등급을 산출·합산하여 그 평균값에 따라 작업지수를 산출하는 작업지수산출모듈과, 작업지수가 가장 낮은 생산 순서의 조합을 최종 생산일정으로 결정하는 생산일정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생성부는
    함께 시공되는 일정 위치 단위로 건축물의 시공 영역을 분류하는 시공영역분류모듈과, 분류된 시공 영역 각각에 대한 PC부재 정보를 불러오는 부재정보로딩모듈과, 상기 현장측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각 PC부재 정보에 시공일정 정보를 삽입하는 시공일정삽입모듈과, 동일 시공 영역 내 PC부재간의 시공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설정모듈과, 시공일정 및 우선순위에 따라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생성하는 생산계획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생산최적화부에 의해 수정된 생산일정에 따른 작업시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여 검토하는 생산검토부와, 상기 생산검토부에서 이용되는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정하는 시간최적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검토부는,
    각 PC부재의 제작 시간을 설정하는 제작시간설정모듈과, PC부재 제작을 위한 몰드의 설치 및 변환에 따른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변환시간설정모듈과, 상기 생산최적화부에 의해 수정된 생산일정에 따라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작업시간계산모듈과, 계산된 작업시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는 시공일정비교모듈과, 계산된 작업시간이 시공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등급 및 작업지수의 재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중치적용모듈과, 재산출되는 작업지수에 따라 생산일정을 다시 수정하는 생산일정수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최적화부는,
    PC부재의 제작 및 몰드의 설치, 변경시 소요되는 작업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시간저장모듈과, 실제 작업시간과 상기 제작시간설정모듈 및 변환시간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되는 작업시간을 비교하는 설정시간비교모듈과, 실제 작업시간 및 설정된 작업시간의 오차를 산정하는 오차산정모듈과, 설정된 작업시간에 대한 오차의 비율에 따라 오차지수를 산정하는 오차지수산정모듈과, 특정 PC부재의 제작, 몰드의 변환에 관한 오차지수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차지수를 누적 합산하도록 하고 합산되는 오차지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PC부재의 제작시간 또는 몰드의 변환시간에 관한 설정시간의 변경을 지시하는 설정변경지시모듈과, 설정시간의 변경 지시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지시가 발생하기 직전 일정기간 동안의 실제 작업시간에 관한 평균값을 연산하는 평균값연산모듈과, 연산된 평균값에 따라 설정된 작업시간을 변경하는 설정시간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복수의 PC부재 제작영역에 대한 생산배치를 조정하는 배치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조정부는,
    PC부재의 생산 일정을 복수의 제작영역 각각에 분할하여 조합하는 분할조합모듈과, 각 제작영역에 대해 분할된 PC부재의 생산일정에 따라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산출하는 그룹지수산출모듈과, 각 제작영역의 작업지수를 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정하는 지수평균연산모듈과, 각 조합별로 상기 지수평균연산모듈에 의해 산정되는 작업지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의 배치로 생산일정을 분배하는 배치분할결정모듈과, 분할된 생산 배치 및 일정에 의해 각 제작영역의 생산기간을 시공일정과 비교하는 생산일정검토모듈과, 생산기간이 시공일정을 초과하는 경우 차순위로 작업지수가 낮은 조합을 PC부재의 생산배치 및 일정으로 결정하는 분할조정모듈과, 상기 분할조정모듈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작업지수의 한계값을 설정하는 한계값설정모듈과, 작업지수가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시간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등급 및 작업지수를 다시 산출하고 배치 분할을 조정하는 가중치반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생산 관리 시스템.
KR1020220088773A 2022-07-19 2022-07-19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KR102576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773A KR102576026B1 (ko) 2022-07-19 2022-07-19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773A KR102576026B1 (ko) 2022-07-19 2022-07-19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026B1 true KR102576026B1 (ko) 2023-09-11

Family

ID=8802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773A KR102576026B1 (ko) 2022-07-19 2022-07-19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0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651A (ko) * 2015-02-10 2016-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일정 계획 수립 장치 및 방법
KR20210027901A (ko) * 2019-09-03 2021-03-11 현대건설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651A (ko) * 2015-02-10 2016-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생산일정 계획 수립 장치 및 방법
KR20210027901A (ko) * 2019-09-03 2021-03-11 현대건설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관리용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chte Theory and practice of load-oriented manufacturing control
CN111612412B (zh) 一种钢筋智能化加工方法装置及系统
US20160125336A1 (en) Slabs matching control method of multiple lines in hot rolling section in steel plant for improving material utilization efficiency
Chan et al. Production scheduling for precast plants using a flow shop sequencing model
US8942961B2 (en) Re-matching method of slab-order for improving slab utilization in iron and steel plants
CN111428999A (zh) 一种盾构项目的施工调度及工人能力评定系统
Mudgal et al. Approach to value stream mapping for make-to-order manufacturing
CN102637272A (zh) 热轧板坯前库剩余板坯的分配方法及装置
US20150081373A1 (en) Scheduling apparatus, schedu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765956A (zh) 料仓物料称量方法、料仓、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408127A (zh) 一种原油调度排产方法及系统
KR102576026B1 (ko) 시공정보와 연계된 pc 생산 관리 시스템
JP2002373013A (ja) 生産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その生産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生産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2026261A1 (en) Apparatus for assisting decisions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load
CN109886591A (zh) 基于大数据分析的事件优先级应急指挥调度方法
KR20040086735A (ko) 복수의 생산라인에서의 생산관리방법
CN111522303A (zh) 一种计划排产方法和设备
CN101403920B (zh) 一种钢铁企业冷轧精整机组产能负荷均衡方法
JP2002132327A (ja) 生産計画作成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3240237B2 (ja) 生産計画システム
Zhai et al. A simulation-GA based model for production planning in precast plant
CN114048890A (zh) 一种装配式建筑生态系统
AU2018102123A4 (en) Knowledge-based Recommendation System for Infrastructure Project Design
JP2017021489A (ja) 製鋼生産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製鋼生産スケジュール作成方法、操業方法、及び製鋼製品の製造方法
Matsuura et al. Setting planned leadtimes in capacity requirements pl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