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651B1 -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651B1
KR101662651B1 KR1020140134887A KR20140134887A KR101662651B1 KR 101662651 B1 KR101662651 B1 KR 101662651B1 KR 1020140134887 A KR1020140134887 A KR 1020140134887A KR 20140134887 A KR20140134887 A KR 20140134887A KR 101662651 B1 KR101662651 B1 KR 10166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bim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281A (ko
Inventor
최태일
김진우
나호준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ome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건물의 공사를 위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구축하는 단계,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수행하는 단계,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토대로 실시된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하는 공사정보 입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 및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출력하는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축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각 모듈과 연계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향 후 재활용할 수 있어 공사정보 재활용의 기반을 다질 수 있고, 공법을 선택하면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에서 자동으로 액티비티가 생성 및 배열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건물공사를 계획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nstruction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IM과 연계하고 축적된 공사정보를 기반으로 건설공사를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의 일정관리란, 건설공사계약을 위한 공사내역을 실제 시행할 작업(Activity)들로 분류,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들이 주어진 기간 내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법으로서 PERT/CPM기법의 일정관리를 지칭하며 이러한 일정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상용패키지가 많이 개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건설공사의 관리방법의 기술의 예로 종래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건설사업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특허공개 제10-2002-0041390호의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건설사업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각각의 관리모듈 별로 건설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관리모듈 상호간의 연결관계가 미흡하여 모듈별 입력 실적 및 결론에 대한 배경 및 타 모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 특허공개 제10-2012-0121634호는 웹 기반의 3차원 모델링을 통한 공정 및 비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BIM기반 공정정보 및 비용정보를 연계관리하기는 하나 공정 및 비용정보로 한정하여 외부에서 작성된 정보를 불러들여와 연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스템 내 공사계획 및 정보관리체계 표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기술의 예로 특허공개 제10-2012-0122189호는 스마트폰 기반 건설사업관리 시스템 및 건설사업관리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검측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검측을 위한 체크리스트 및 부접합 사항에 대한 관리 기록이 불가능하며 공사정보를 작업자가 매번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표준화된 공사정보관리체계를 가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면 또는 BIM모델링과의 연계가 없으므로 위치적 정보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관리모듈 상호간의 공사정보 및 공사실적 등을 연계하기 위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및 이를 통하여 공사계획 및 공사관리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BIM을 활용하여 건물공사를 효과적으로 계획 및 관리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설하고자 하는 해당건물의 공사정보가 축적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설정된 구역에 대한 공사정보를 계획하는 공사정보 계획모듈;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토대로 공사를 실시하되,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공사정보 입력모듈; 및 상기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사계획과 상기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출력하는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해당건물의 공사를 위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토대로 실시된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하는 공사정보 입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사계획과 상기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출력하는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구축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각 모듈과 연계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향 후 재활용할 수 있어 공사정보 재활용의 기반을 다질 수 있다.
둘째, 공법을 선택하면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에서 자동으로 액티비티가 생성 및 배열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건물공사를 계획 및 관리할 수 있다.
셋째, 관리모듈 상호간의 공사정보 및 공사실적 등을 연계하고, 각각의 관리모듈 별로 공사정보를 저장 및 축적하여 모듈별 입력 실적 및 결론에 대한 배경 및 타 모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넷째,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공사계획 및 공사정보관리를 체계화 및 표준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도면 또는 BIM모델과 연계하여 객체에 대한 위치적 정보 확인이 용이하고, 건물공사 계획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 구축과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공사정보 입력모듈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은, BIM과 건설프로세스 접목을 통하여 건설공사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과, 공사정보 계획모듈(200)과, 공사정보 입력모듈(300)과, 공사정보 출력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은,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과 연계되어 공사계획 수립 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사계획 및 실적입력과 같은 공사 관리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생성, 수정, 삭제를 통한 표준화 관리가 가능하게 하며, 프로젝트 BIM 객체 기반의 공사정보관리 프로세스 연계를 통한 공사정보(계획/실적)가 축적된다.
상세하게,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은, 공법 라이브러리(S21)와, 품질 라이브러리(S22)와, 자원라이브러리(S23)를 포함한다. 상기 공법 라이브러리(S21)는, 공법의 특성에 따른 대/중/소 공종(작업)별 작업 명명 및 작업 순서를 생성 및 관리하며, 해당건물의 골조부와 마감부를 포함하는 각 객체 종류에 따른 액티비티와, 공법별 액티비티 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건물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와 슬래브를 포함하는 골조부와, 마감재와 창호를 포함하는 마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품질 라이브러리(S22)는, 생성된 공법단위의 대/중/소 공종 단위 품질관리 체크리스트를 생성 또는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불러오고, 생성된 상기 액티비티와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맵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원 라이브러리(S23)는, 공종별 공사에 투입되는 자원인 인력과 장비를 생성하는 것으로, 인력업체 및 장비관련 라이브러리를 생성 및 축적한다.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은,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과 연계되어 초기 공사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서,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설정된 구역에 대한 공사정보를 계획한다. 여기서, 상기 BIM모델(10)은 3D모델(OBS)와 속성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에서 BIM의 OBS/WBS/CBS를 맵핑한다. 한편, 상기 BIM모델과 뷰어 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건설사업관리분야의 BIM과 관련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은, 상기 BIM모델(10)에서 상기 설정된 구역의 객체에 대한 공사정보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선택된 객체에 대한 액티비티(Activity)가 자동생성 및 배열된다. .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은 공사계획 기반 공사정보관리 BIM 모델링 명명 체계화 및 BIM 모델링 물량현황을 시각화할 수 있는데, 즉 설계 BIM모델링 명명체계와 공사계획 BIM 모델링 명명 체계(수직조닝,수평조닝; 도3참조)연계로 새로운 공사정보관리 BIM 명명체계가 생성되고, 변화하는 공사계획에 따라 공사정보관리 BIM 명명 체계 반영 및 이에 따른 물량현황을 시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은 선택된 BIM 모델링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 공법 연계 자동화 및 액티비티를 생성하는데, BIM모델링 속성정보 중 객체의 종류를 활용,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과 연계하여 공법에 따른 작업순서에 따라 대/중/소 공종을 포함한 액티비티를 생성하고, BIM 모델링의 객체 부위정보와 연계한다.
상기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은, 상기 초기 공사계획에 기반하여 실제 공사 계획 및 실적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을 토대로 공사를 실시하되,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한다. 상게하게, 상기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은, 공사계획 입력모듈(S31;도 5참조)과, 공사실적 입력모듈(S32)을 포함한다.
상기 공사계획 입력모듈(S31)은, 사무실에서 웹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공사계획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은, 상기 공사계획에 따른 각 액티비티에 대한 전체 공사 일정 계획과, 상기 액티비티 단위 계획에 따른 주간별 일별 단기 공사 일정 계획과, 당일 공사 실적 확인을 각각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사실적 입력모듈(S32)은, 모바일기기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에서 현장 실적을 실시간으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사실적 입력모듈(S32)은, 단위 시간에 대한 공사계획 및 시공체크리스트 입력과, 액티비티 단위별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입력과, BIM뷰어에서 작업 객체부위 선택 입력과, 상기 액티비티 단위별 품질 체크리스트를 확인 후 적합여부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사정보 출력모듈(400)은, 상기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사계획과 상기 공사실적을 포함하여 공사정보를 출력하며, 공사 계획, 입력 및 품질 실적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공사계획 및 입력 실적 정보 자료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은 기존 개별 실적/결과 단위로 공정/품질 등이 관리되어 온 PMIS 공사정보관리와는 달리 BIM과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과,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과,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을 연계하여 공사정보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BIM 모델링의 객체 별로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초기공사계획과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에서의 공법/품질/자원 정보가 연계되어, 이를 바탕으로 공사정보 입력모듈(300) 수행 시 단위 계획 및 실적이 입력되어 공사정보를 축적하고 축적된 공사정보 등의 결과물은 공사정보 출력모듈(400)을 통해 보고서 및 데이터 형식으로 추출된다.
즉, 상기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시스템은, BIM기반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을 통하여 공사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BIM객체기반의 공사정보관리 프로세스 연계를 통하여 공사정보(계획/실적)을 축적하여 효율적으로 공사관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공사정보를 향후 재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공사기간감축을 비롯한 공사계획과 공사정보관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표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공사정보를 BIM의 3차원 객체 기반으로 맵핑함으로써 건설 프로세스와 생성되는 공사정보를 상호 연계하고 이를 PC기반의 공사계획모듈(200) 및 실시간 현장 시공 및 품질 공사정보를 효율적으로 입력하는 모바일 모듈을 통하여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고 실적 자원화를 통한 향후 공사정보 재활용 기반을 다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방법은,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을 구축하는 단계(S200)와,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을 수행하는 단계(S100)와,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을 수행하는 단계(S300)와, 공사정보 출력모듈(400)을 수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을 구축하는 단계(S200)는, 시스템상으로 해당건물의 공사를 위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100)을 구축하는 단계로서, 공법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S21)와, 품질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S22)와, 자원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공법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S21)는, 객체 종류에 따른 액티비티 대/중/소분류를 생성하고(S210), 공법별 상기 액티비티 순서를 정의한다(S220).
상기 품질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S22)는, 품질 체크리스트 생성 또는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S230)와, 생성된 상기 액티비티와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맵핑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생성된다.
상기 자원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S23)는, 인력관련 전문업체명, 공종(공종, 인력담당자) 및 이름을 추가하는 단계(S250)와, 장비관련 장비명 및 규격을 추가하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을 수행하는 단계(S200)는, 상기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수행하는데, 세부적으로 상기 BIM모델(10)의 뷰어(Viewer)에서 공간별과 부재별에 대한 필터링에 따른 BIM모델(10) 물량현황을 확인(S110)한 뒤,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BIM모델(10)에서 같은 시공을 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층단위로 수직 조닝(S120)을 실시한다.
그런 다음, 수직 조닝에 의하여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수직존으로 필터링 된 BIM 뷰어에서 수평 조닝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객체를 선택(S130)하여 구역설정과 부재선택을 한 뒤 수평 조닝명을 선택(S140)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수평조닝에서 상기 객체의 속성정보에 따른 존의 공사종류에 따른 공법종류와 존별, 층별 공사선행여부를 작업자가 선택(S150)하는데 이때, 선택된 공법종류는 존 단위 같은 공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다음에는, 상기 수평조닝별 인력 및 장비를 선택(S160)하는데, 그 세부내용은 업체명, 작업자, 장비규격, 장비 대수 등과 관련된 사항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객체의 공법종류와 상기 공사선행여부 및 상기 객체에 대한 인력 및 장비가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시스템상에서 자동으로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층/수평 조닝별 액티비티(Activity)가 대/중/소분류별로 자동생성 및 배열되고 해당 객체부위, 인력 및 장비가 자동 연계(S170)된다. 여기서, 상기 액티비티 대/중/소분류의 예로, 골조공사의 경우 액티비티 대분류는 수직존 층별 철근콘크리트공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분류는 수직 수평부재 철근공사, 거푸집공사, 콘크리트공사, 마무리공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분류는 수직부재 수평부재 철근공사에 대해서는 먹매김, 철근양중, 철근설치를 포함하고, 수직부재 수평부재 거푸집공사에 대해서는 먹매김, 거푸집양중, 거푸집설치를 포함하고, 수직부재 수평부재 콘크리트공사는 콘크리트 타설을, 수직부재 수평부재 마무리는 거푸집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200)을 토대로 실시된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하는 공사정보 입력모듈(300)을 수행하며, 사무실에서 웹시스템 기반 공사계획을 입력하는 단계(S31)와, 상기 웹시스템 기반 공사계획 입력에 따라 현장에서 모바일기기 기반 현장실적을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단계(S32)를 포함한다.
상기 웹시스템 기반 공사계획을 입력하는 단계(S31)는, 중분류 액티비티 단위 순서 및 인력/장비 부분을 수정 및 공사 시작일과 종료일을 수정하여 전체 공사 일정 계획을 입력하는 단계(S310)와, 소분류 액티비티 단위 계획에 의하여 주간별 일별 계획을 입력하는 단계(S320)와, 당일 실적 확인을 포함하여 일일 계획을 입력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기기 기반 현장실적을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단계(S32)는, 상기 일일 계획과 시공체크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S340)와, 소분류 액티비티 단위 시작시간을 확인하는 단계(S350)와, 상기 소분류 액티비티 단위 종료시간 확인 및 BIM뷰어에서 작업 객체부위를 선택하는 단계(S360)와, 중분류 액티비티 단위 품질 체크리스트를 확인(S370)하여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적합여부 판단 시 부적합 사항이 없을 시 부적합 보고서 작성 및 조치를 확인(S390)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사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사계획과 상기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출력한다.
상세하게, 상기 공사정보 출력모듈(400)을 수행하는 단계는, 공사 계획, 입력 및 품질 실적 보고서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S410)와, 공사계획 및 입력 실적 정보 원자료를 출력하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은, 결과 중심의 오프라인(Off-line) 공사관리 방식에서 과정 중심의 온라인(On-line) 공사관리 방식의 실시간 공사정보관리를 할 수 있으며, 건축공사가 점차 대형화, 복잡화가 되는 요즘 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사정보를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구축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각 모듈과 연계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건설공사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향 후 재활용할 수 있어 공사정보 재활용의 기반을 다질 수 있고, 작업자가 공법을 선택하면 시스템상으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통하여 자동으로 액티비티가 생성 및 배열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건물공사를 계획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 200... 공사정보 계획모듈
300... 공사정보 입력모듈 400... 공사정보 출력모듈

Claims (14)

  1. 건설하고자 하는 해당건물의 골조부와 마감부를 포함하는 각 객체 종류에 따른 액티비티와, 공법별 액티비티 순서를 포함하는 공법 라이브러리와, 품질 체크리스트 생성 또는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불러오고, 생성된 상기 액티비티와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맵핑하는 품질 라이브러리와, 인력업체 및 장비관련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자원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공사계획 및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가 축적되는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과 연계되어 상기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설정된 구역의 객체에 대한 공사정보를 작업자가 선택하면,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객체에 대한 액티비티(Activity)가 자동생성 및 배열되어, 상기 설정된 구역에 대한 공사정보를 계획하는 공사정보 계획모듈;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토대로 공사를 실시하되,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공사정보 입력모듈; 및
    상기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사계획과 상기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출력하는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사정보 입력모듈은,
    웹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공사계획을 입력하는 공사계획 입력모듈과,
    모바일기기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에서 현장실적을 입력하는 공사실적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사계획 입력모듈은,
    상기 공사계획에 따른 각 액티비티에 대한 전체 공사 일정 계획과, 상기 액티비티 단위 계획에 따른 주간별 일별 단기 공사 일정 계획과, 당일 공사 실적 확인을 각각 입력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사실적 입력모듈은,
    단위 시간에 대한 공사계획 및 시공체크리스트 입력과, 액티비티 단위별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입력과, BIM뷰어에서 작업 객체부위 선택 입력과, 상기 액티비티 단위별 품질 체크리스트를 확인 후 적합여부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사정보 출력모듈은,
    공사 계획, 입력 및 품질 실적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공사계획 및 입력 실적 정보 자료를 출력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시스템.
  8.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이 구축된 컴퓨터가 상기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상으로 건설하고자 하는 해당건물의 각 객체 종류에 따른 액티비티를 생성하는 단계와, 공법별 상기 액티비티 순서를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법 라이브러리를 생성단계와, 품질 체크리스트 생성 또는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액티비티와 상기 품질 체크리스트를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품질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와, 인력업체 및 장비관련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자원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해당건물의 공사를 위한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모듈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와 작업자가 상기 해당건물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모델에서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토대로 실시된 각 공사계획과 공사실적에 대한 공사정보를 입력하는 공사정보 입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공사정보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사계획과 상기 공사실적을 포함하는 공사정보를 출력하는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사정보 계획모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BIM모델에서 공간별과 부재별에 대한 필터링에 따른 BIM모델 물량현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상기 BIM모델에서 복수개의 층단위로 수직조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수직조닝 된 상기 복수개의 층으로 필터링 된 상기 BIM모델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객체를 선택하여 수평조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선택된 수평조닝에서 상기 객체의 공사종류에 따른 공법종류와 공사선행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상기 수평조닝별 인력 및 장비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객체의 공법종류와 상기 공사선행여부 및 상기 객체에 대한 인력 및 장비를 선택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공사정보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객체의 공법종류에 대한 액티비티(Activity)를 자동생성 및 배열하고 인력 및 장비가 자동 연계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사정보 입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웹시스템 기반 공사계획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웹시스템 기반 공사계획 입력에 따라 모바일기기 기반 현장실적을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웹시스템 기반 공사계획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중분류 액티비티 단위 순서 및 인력/장비 부분을 수정 및 공사 시작일과 종료일을 수정하여 전체 공사 일정 계획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소분류 액티비티 단위 계획에 의하여 주간별 일별 계획을 입력하는 단계와,
    당일 실적 확인을 포함하여 일일 계획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 기반 현장실적을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일일 계획과 시공체크리스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소분류 액티비티 단위 시작시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소분류 액티비티 단위 종료시간 확인 및 BIM뷰어에서 작업 객체부위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중분류 액티비티 단위 품질 체크리스트를 확인하여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사정보 출력모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공사 계획, 입력 및 품질 실적 보고서 생성 및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자가 공사계획 및 입력 실적 정보 원자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공사 관리 방법.
KR1020140134887A 2014-10-07 2014-10-07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66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87A KR101662651B1 (ko) 2014-10-07 2014-10-07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87A KR101662651B1 (ko) 2014-10-07 2014-10-07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81A KR20160041281A (ko) 2016-04-18
KR101662651B1 true KR101662651B1 (ko) 2016-10-05

Family

ID=5591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87A KR101662651B1 (ko) 2014-10-07 2014-10-07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531B1 (ko) 2019-11-26 2020-09-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모델을 이용한 3d 프린팅 설계 및 시공방법
KR102561303B1 (ko) 2023-02-21 2023-07-28 (주)원빔그룹 건축 설계 bim 데이터 및 시공 스케줄의 연동을 통한 공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16734A (ko) 2022-07-29 2024-0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 공정계획 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914B1 (ko) 2016-06-23 2017-01-16 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 토공공사 수행시 굴삭기의 형상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굴삭기 3d 토공 bim 시스템
KR101885692B1 (ko) * 2016-11-16 2018-08-06 현대건설 주식회사 Bim기반 중장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장비 관리 방법
CN109360123B (zh) * 2018-10-22 2021-07-2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房间的多专业施工管理方法和系统
KR102112749B1 (ko) * 2018-11-28 2020-05-21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타워크레인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2747B1 (ko) * 2018-11-28 2020-05-21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를 이용한 건설 공사 통합 일정 계획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2748B1 (ko) * 2018-11-28 2020-05-21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44028B1 (ko) 2019-09-17 2021-12-27 현대건설(주) Bim 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706086A (zh) * 2020-05-22 2021-11-26 成晟 桥梁施工质量计量变更进度计划管理数据结构设计
CN111877760A (zh) * 2020-06-16 2020-11-03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基于bim在超高层房建中的施工方法
CN111950119A (zh) * 2020-07-01 2020-11-17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混凝土现浇工程管理系统
CN112241770A (zh) * 2020-08-05 2021-01-19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和rfid的建筑分块拆分和重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4162A (ko) * 2005-07-04 2007-01-09 심영호 일정관리프로그램을 이용한 건설공사현황정보의통합관리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KR20130016620A (ko) * 2011-08-08 2013-02-18 삼성물산 주식회사 Bim 구현을 위한 3차원 공정관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성열 외 2인,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법 템플릿 기반의 건설공정 자동 생성", 산업공학(IE interfaces) 제25권 제2호, 2012년6월, pp. 216 ~ 22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531B1 (ko) 2019-11-26 2020-09-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모델을 이용한 3d 프린팅 설계 및 시공방법
KR20240016734A (ko) 2022-07-29 2024-02-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 공정계획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561303B1 (ko) 2023-02-21 2023-07-28 (주)원빔그룹 건축 설계 bim 데이터 및 시공 스케줄의 연동을 통한 공사 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81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651B1 (ko)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754328B1 (ko)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Getuli et al. A BIM-based construction supply chain framework for monitoring progress and coordination of site activities
Wu et al. Bridge construction schedule generation with pattern-based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aint-based simulation
Popov et al. The use of a virtual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odel for developing an effective project concept in 5D environment
Sacks et al. Requirements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lea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s for construction
Li et al. Optimizing construction planning schedules by virtual prototyping enabled resource analysis
KR101717766B1 (ko) 노무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수준의 건설사업 진도 관리방법
Larsson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analysis of product and process platforms: A bridge construction case study
Bascoul et al. Visual management of daily construction site space use
Si et al. A dynamic just-in-time component delivery framework for off-site construction
Peñaloza et al. Guidelines for integrated production control in engineer-to-order prefabricated concrete building systems: preliminary results
Ocheoha et al. Impac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n just-in-time material delivery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Nguyen et al. Decision analysis using virtual first-run study of a viscous damping wall system
Porwal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at source: 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system dynamic approach
Krepp et al. BIMsite-towards a BIM-based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realization variants comprising construction methods, site layouts and schedules
Kanai et al. Visilean® application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pre-fabricated concrete panels
Ghammad et al. Transforming building renovation: A holistic, strategic approach with construction robot management
Khanh et al. Exploring productivity of concrete truck for multistory building projects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Leifgen et al. Integrated digital and model-based construction logistics management based on lean thinking approaches
Nguyen Process-based cost modeling to support target value design
Agostinelli et al. 4D Bim-Oriented Digital Project Construction Management for the Aec Industry
Florez et al. Labor management in masonry construction: a sustainable approach
CN117421808B (zh) 一种基于bim的建筑工程施工优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