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31A - 전선 피복 압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 피복 압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31A
KR20210027731A KR1020190108512A KR20190108512A KR20210027731A KR 20210027731 A KR20210027731 A KR 20210027731A KR 1020190108512 A KR1020190108512 A KR 1020190108512A KR 20190108512 A KR20190108512 A KR 20190108512A KR 20210027731 A KR20210027731 A KR 2021002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nipple
extrusion
molten resin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461B1 (ko
Inventor
홍성규
유기정
Original Assignee
진영전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전선(주) filed Critical 진영전선(주)
Priority to KR102019010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4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extru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a) 수지를 용융시키는 수지 용융 단계; (b) 용융된 수지를 다이스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상기 다이스 내부로 주입하고, 상기 주입된 수지가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 수용된 니플 사이에 형성된 수지 유로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다이스의 압출공을 통해 상기 용융된 수지를 압출하는 공압출 단계; (c) 센서를 통해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 배치된 니플의 편심 확인 및 조절 단계; (d) 상기 니플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수지 유로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용융된 수지를 투입하는 압력을 미리 설정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 단계; (e) 상기 니플에 선체의 도체를 투입하는 도체 투입 단계; 및 (f) 상기 도체에 용융된 수지가 피복되어 압출되는 압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의 압출 방식을 서로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며, 전선의 외면에 용융된 수지를 피복하기 전에 실시하는 공압출을 이용하여 다이스와 니플의 편심을 확인 및 조절되어 편심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 랜드의 삭제로 용융된 수지의 압출의 압력을 줄이며, 공압출을 수행하면서 전선이 없는 상태의 니플의 내부로 용융된 수지가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피복 압출 방법{CABLE SHEATH EXTRUDER}
본 발명은 압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성형은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파이프, 필름, 시트등 봉상이나 판상의 동일단면을 가진 성형품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원리적으로는 재료를 가열 실린더내에 녹이고 스크류 회전에 의한 압출압력으로 가열 실린더내에서 외부로 압출하고, 압출된 성형품은 물 또는 공기로 냉각되 소정의 치수로 절단한다.
압출성형은 연속성형이므로 성형능률이 높고, 성형품의 품질 관리도 용이하고, 비교적 싼 설비로 가동율이 높은 성형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복잡한 단면형상을 가진 이형압출법, 판상제품을 대상으로 한 T-die법, 공기시트를 부풀게 하여 주머니를 만드는 인플레이션법, 종이, 셀로판, 금속박등이 기재로서 용착되는 라미네이션법, 전선피복을 하는 인발법등에도 압출성형의 기술이 채용되고 응용범위가 넓다.
그중에서 전선을 피복하기 위한 압출은 충실 타입(pressure type)과 호스 타입(tube type)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두 가지 타입의 압출 방법은 현재 전선 피복 압출 기술을 대표하는 두 가지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전선 피복 압출 장치의 충실 타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종래의 전선 피복 압출 장치의 호스 타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충실 타입은 다이스 내부에서 전선 외면에 용융된 수지가 피복되며, 종래의 호스 타입은 다이스 외부에서 전선 외면에 용융된 수지가 피복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피복 압출 장치는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 모두 랜드(L)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압출장치는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야 하였고, 그로 인해 다양한 제품의 규격을 맞추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전선에 미리 정해진 두께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편심이 방지되도록 전선을 피복하기 위해 편심을 확인하고 조정하기 위해서는 선체의 도체와 용융된 수지 모두 투입되어 생산된 제품을 확인하여 조절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0941187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의 압출 방식을 서로 변경가능한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랜드를 삭제하여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의 변경이 서로 용이하고, 전선의 외면에 용융된 수지를 피복하기 전에 공압출을 실시하며, 이때의 공압출을 이용하여 다이스와 니플의 편심을 확인하고 조절하여 편심이 방지되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랜드의 삭제로 용융된 수지의 압출의 압력을 줄이며, 공압출을 수행하면서 전선이 없는 상태의 니플의 내부로 용융된 수지가 역류가 방지되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은, (a) 수지를 용융시키는 수지 용융 단계; (b) 용융된 수지를 다이스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상기 다이스 내부로 주입하고, 상기 주입된 수지가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 수용된 니플 사이에 형성된 수지 유로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다이스의 압출공을 통해 상기 용융된 수지를 압출하는 공압출 단계; (c) 센서를 통해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 배치된 니플의 편심 확인 및 조절 단계; (d) 상기 니플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수지 유로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용융된 수지를 투입하는 압력을 미리 설정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 단계; (e) 상기 니플에 선체의 도체를 투입하는 도체 투입 단계; 및 (f) 상기 도체에 용융된 수지가 피복되어 압출되는 압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도체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은 상기 다이스의 내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가상의 중심선을 향하여 테이퍼지고 랜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플은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다이스 내부에서 상기 니플의 가상의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수지 유로의 용융된 수지가 상기 니플의 내부로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의 압출 방식을 서로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은 랜드를 삭제하여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의 변경이 서로 용이하고, 전선의 외면에 용융된 수지를 피복하기 전에 실시하는 공압출을 이용하여 다이스와 니플의 편심이 방지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 랜드의 삭제로 용융된 수지의 압출의 압력을 줄이며, 공압출을 수행하면서 전선이 없는 상태의 니플의 내부로 용융된 수지가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전선 피복 압출 장치의 충실 타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의 (b)는 종래의 전선 피복 압출 장치의 호스 타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사용되는 전선 피복 압출 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선 피복 압출 방법에 사용되는 전선 피복 압출 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방법의 전선 피복 압출 장치는 용융된 수지(10)가 도체(20)의 외면에 피복되는데, 다이스(30) 내부에서 니플(40)이 길이방향 또는 도체(20)의 압출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니플(40)이 고정된 상태에서 다이스(30)가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니플(40)은 다이스(30)와 별도의 볼트(미도시) 등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볼트를 조절함으로써 니플(40) 또는 다이스(30)는 그 위치가 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지 유로(P)의 크기 및 형태가 변화할 수 있다.
수지 유로(P)의 크기 및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수지 유로에 공급되는 수지(10)의 양과 압력이 변화할 수 있고, 도체(20)의 표면에 형성되는 피복의 두께가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니플(40)이 도체(20)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이스(30)와 니플(40) 사이가 벌어지면 수지 유로(P)가 커지게 되고, 도체(20)의 표면에 피복되는 수지(10)의 양이 많아지며, 도체(20)의 표면에는 피복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니플(40)이 도체(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이스(30)와 니플(40) 사이가 가까워지면 수지 유로(P)가 얇아지게 되고, 도체(20)의 표면에 피복되는 수지(10)의 양이 적어지며, 도체(20)의 표면에는 피복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와 (b)를 참조하면,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 모두 랜드(L)가 형성되며, 이 랜드(L)는 전선의 외면에 피복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압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랜드(L)의 존재로 인해 수지 유로(P)에서 외부로 압출되는 압력보다 수지 유로(P)에 투입되는 용융된 수지(10)의 압력은 상승되고, 결국 편심 확인 및 조절을 위한 공압출시 니플(40)의 내부로 용융된 수지(10)가 역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랜드(L)를 삭제함으로써 충실 타입과 호스 타입의 변경이 용이하고, 전선에 피복하기 전에 공압출을 실시하여 미리 편심을 방지함으로써 생산되는 전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압출 장치는 (a) 수지 용융 단계, (b) 공압출 단계, (c) 편심 확인 및 조절 단계, (d) 압력 조절 단계, (e) 도체 투입 단계 및 (f) 압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수지 용융 단계는, 도체(200)의 표면에 피복될 수지(100)에 열을 가하여 수지(100)를 점성이 있는 액체상태로 용융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자는 도체(20)를 피복할 수지(100)의 종류를 선택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100)를 용융시킬 수 있다.
(b) 공압출 단계는 니플(400)에 도체를 투입하지 않고, 용융된 수지(100)만으로 압출을 시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용융된 수지(100)를 다이스에 형성된 주입공(미도시)을 통해 다이스(30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다이스(30) 내부로 주입된 용융된 수지(100)는 다이스(300)와 니플(400) 사이에 형성된 수지 유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고, 다이스(300)의 압출공(미도시)을 통해 다이스(300)의 외부로 압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공은 다이스(30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구멍으로써 다이스(300) 내부의 물질들이 상기 압출공을 통해 압출될 수 있다. 상기 압출공은 다이스(300)의 내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가상의 중심선을 향하여 테이퍼지고 랜드(L)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 단계는 도체(200)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 편심 확인 및 조절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압출되는 수지(100)들을 상태를 확인하면서 센서(미도시)를 통해 다이스(300)와 니플(40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니플(400)과 다이스(300)의 편심상태를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다.
니플(400)은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다이스(300) 내부에서 니플(400)의 가상의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예컨대, 압출되는 수지(100)들 및 상기 센서를 통해 편심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다이스(300) 또는 니플(4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이스(300)와 니플(400)의 가상의 중심선을 서로 맞추어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다이스(300) 내부에 배치된 니플(400)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c)단계는 상기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수지 유로(P)의 용융된 수지(100)가 니플(400)의 내부로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용융된 수지(100)의 공급 압력에 의해 수지 유로(P) 내부에 존재하는 수지(100)가 상기 압출공으로 밀려남에 따라 수지 유로(P) 내부의 용융된 수지가 니플(400) 내부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b) 단계와 (c)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b) 단계와 (c) 단계가 동시에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며, 어느 하나가 먼저 실시되거나 늦게 시작되어야만 하는 조건이 필요없이, 어느 하나가 먼저 이루어지면 나머지가 후에 이루어짐으로써 (b) 단계와 (c)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순간이 발생될 수 있다.
(d) 압력 조절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니플(400)의 위치가 변하여 수지 유로(P)가 변형됨에 따라 용융된 수지(100)를 투입함에 있어 최적의 투입을 유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이후, (e) 도체 투입 단계와 (f) 압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a) 내지 (d)의 단계 이후 편심이 방지되고 최적의 용융 수지(100)의 투입 압력을 찾았다고 판단되면, 니플(400)에 선체의 도체를 투입하고, 도체(200)에 용융된 수지가 미리 정해진 두께로 피복되어 압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전선 피복 압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100 : 수지 20, 200 : 도체
30, 300 : 다이스 40, 400 : 니플
L : 랜드 P : 수지 유로

Claims (6)

  1. (a) 수지를 용융시키는 수지 용융 단계;
    (b) 용융된 수지를 다이스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상기 다이스 내부로 주입하고, 상기 주입된 수지가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 수용된 니플 사이에 형성된 수지 유로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다이스의 압출공을 통해 상기 용융된 수지를 압출하는 공압출 단계;
    (c) 센서를 통해 상기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 내부에 배치된 니플의 편심 확인 및 조절 단계;
    (d) 상기 니플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수지 유로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용융된 수지를 투입하는 압력을 미리 설정한 압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 단계;
    (e) 상기 니플에 선체의 도체를 투입하는 도체 투입 단계; 및
    (f) 상기 도체에 용융된 수지가 피복되어 압출되는 압출 단계;
    를 포함하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도체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공은 상기 다이스의 내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가상의 중심선을 향하여 테이퍼지고 랜드가 형성되지 않은 전선 피복 압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은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다이스 내부에서 상기 니플의 가상의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전선 피복 압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수지 유로의 용융된 수지가 상기 니플의 내부로 유입이 방지되는 전선 피복 압출 방법.
KR1020190108512A 2019-09-03 2019-09-03 전선 피복 압출 방법 KR102260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12A KR102260461B1 (ko) 2019-09-03 2019-09-03 전선 피복 압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12A KR102260461B1 (ko) 2019-09-03 2019-09-03 전선 피복 압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31A true KR20210027731A (ko) 2021-03-11
KR102260461B1 KR102260461B1 (ko) 2021-06-04

Family

ID=7514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12A KR102260461B1 (ko) 2019-09-03 2019-09-03 전선 피복 압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3002A (zh) * 2022-06-27 2022-07-29 南洋电缆(天津)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线芯防偏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440A (ko) * 1998-11-23 2000-06-15 권문구 전선 및 튜브 압출용 크로스 헤드
KR100941187B1 (ko) 2008-04-22 2010-02-10 글로벌광통신 (주) 압출기의 노즐헤드
JP2015156286A (ja) * 2014-02-20 2015-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製造方法、位置決め方法及び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440A (ko) * 1998-11-23 2000-06-15 권문구 전선 및 튜브 압출용 크로스 헤드
KR100941187B1 (ko) 2008-04-22 2010-02-10 글로벌광통신 (주) 압출기의 노즐헤드
JP2015156286A (ja) * 2014-02-20 2015-08-27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製造方法、位置決め方法及び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3002A (zh) * 2022-06-27 2022-07-29 南洋电缆(天津)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线芯防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461B1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9425A (en) Extrusion method
US3397428A (e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resinous composite articles
US4405547A (en) Method of coextruding diverse materials
Stevens et al. Extruder principles and operation
US4336012A (en) Coextrusion device
US8038430B2 (en) Method of using image data in the production of thin wall extrusions
US3797987A (en) Coextrusion apparatus for flat film
US34001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rusion of multi-layer film and sheet
US3365750A (en) Extrusion die
US4619799A (en) Process of making sheet material comprising a substrate web of synthetic thermoplastic material and an adhesive layer consisting of a non-crosslinkable elastomer
JPH11348096A (ja) 多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ボ―ド又はチュ―ブの押出し装置
JPWO2005120804A1 (ja) カテーテル成形装置
AU678448B2 (en) Extrusion of thermally cross-linkable materials
KR20210027731A (ko) 전선 피복 압출 방법
CN102009472B (zh) 超高分子量聚乙烯膜片热拉伸加工方法
JP3973755B2 (ja) 多層押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2015080933A (ja) 多層押出成形装置
JP2015223843A (ja) 枠システムを備えるマルチマニホールド押出ダイ及びその使用方法
US20210347117A1 (en) Device for influencing the volumetric flow of extruded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JP2005225232A (ja) 押出方式における方法、押出方式および押出方式用装置
CA3028823C (en) Plant comprising a twin-screw extruder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rolls of plastic stretch film
JP2018515376A (ja) 細長い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細長い製品
EP0345987B1 (en) Methods of making multiple layer sheet materials, methods of processing polymers, extrusion apparatus, polymeric sheet materials and packaging made therefrom
CN101808799A (zh) 熔体挤出机和用于制备热塑性树脂膜的方法
US4495022A (en) Extrus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