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663A -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663A
KR20210027663A KR1020190107408A KR20190107408A KR20210027663A KR 20210027663 A KR20210027663 A KR 20210027663A KR 1020190107408 A KR1020190107408 A KR 1020190107408A KR 20190107408 A KR20190107408 A KR 20190107408A KR 20210027663 A KR20210027663 A KR 2021002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hase
switching elements
battery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배수현
유정모
황재호
박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7663A/ko
Priority to US16/774,362 priority patent/US11292362B2/en
Priority to CN202010103322.4A priority patent/CN112448640A/zh
Publication of KR2021002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damping motor oscillations, e.g. for reducing h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7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2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urrent used in the control circuit
    • B60L15/025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urrent used in the control circuit using field orientation; Vector control; Direct Torque Control [D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5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eversible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e.g. NTC, PTC or bimetal devices; characterised by control of the intern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s, e.g. by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orque ripple, e.g. providing reduced torque ripp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50Structural details of electrical machines
    • B60L2220/54Windings for different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상호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레그를 갖는 인버터; 상기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는 모터- 상기 복수의 코일 각각의 일단은 대응되는 레그 각각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됨; 상기 복수의 상 중 두 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두 상에 대응되는 인버터 내 두 개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EMPERATURE OF BATTERY}
본 발명은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인버터 및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이 반복될 수 있도록 교류 전류를 배터리로 주입함으로써 배터리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친환경 차량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복수의 상을 갖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는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로 제작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실온에서 우수한 에너지 밀도와 충방전 싸이클을 고려할 때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성하는 전해질의 특성 때문에 저온에서는 용량이 줄어들고, 저항이 증가하며,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저온에서 충전 시 또는 과충전 시 음극의 표면에 리튬 이온이 불균일하게 침착되어 그 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문제로 인해 리튬이온 배터리는 저온 상태에서 신속하게 효율이 높은 고온 상태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온 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배터리에 히터(예를 들어,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추가하여 배터리를 직접 가열하거나 배터리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데워서 순환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승온 방식은 별도의 히터를 부가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 증대 및 부피 증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다른 종래의 배터리 승온 기법으로서, 전기적인 방식으로 배터리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은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이용하는 것으로 배터리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손실을 열로써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배터리에 균일하게 전류가 도통하게 되므로 배터리에 열이 균일하게 상승한다는 장점을 가지나 배터리로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별도의 전용 회로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역시 추가적인 부피와 비용을 초래하며, 배터리의 승온을 위한 전류를 생성하고 흘려주는 전용 회로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관리 포인트가 발생하여 차량의 유지 관리를 복잡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1-0112132 A JP 2016-004649 A
이에 본 발명은, 배터리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별도의 승온 장치 없이 차량에 구비된 인버터 및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이 반복될 수 있도록 교류 전류를 배터리로 주입함으로써 배터리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상호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레그를 갖는 인버터;
상기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는 모터- 상기 복수의 코일 각각의 일단은 대응되는 레그 각각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됨;
상기 복수의 상 중 두 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두 상에 대응되는 인버터 내 두 개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한 두 상 중 하나의 상에 대응되는 제1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두 상 중 나머지 하나의 상에 대응되는 제2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레그 내 스위칭 소자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레그 내 스위칭 소자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두 상 이외의 상에 대응되는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모터의 회전자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상 중 두 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상 중 두 상에 해당하는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가 dq 정지좌표평면에서 나타내는 각도 중 상기 회전자 각도의 차가 최소인 두 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상호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는 a상 레그, b상 레그 및 c상 레그를 갖는 인버터;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a상 코일,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b상 코일 및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c상 코일을 포함하는 모터- 상기 a상 코일의 타단, 상기 b상 코일의 타단 및 상기 c상 코일의 타단을 상호 연결됨;
상기 a상 레그, b상 레그 및 c상 레그 중 두 개의 레그를 선택하고 선택된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된 레그 중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레그 중 나머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선택된 두 레그 내 스위칭 소자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의 상태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모터의 회전자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에 기반하여 두 레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a상 레그 및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 b상 레그 및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 및 c상 레그 및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가 dq 정지좌표평면에서 나타내는 각도 중 상기 회전자 각도와 차가 최소인 두 상의 레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가 0° 내지 60° 및 180° 내지 240°인 경우 c상 레그 및 a상 레그를 선택하고, c상 레그 및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가 60° 내지 120° 및 240° 내지 300 °인 경우 b상 레그 및 c상 레그를 선택하고, b상 레그 및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가 120° 내지 180° 및 300° 내지 360°인 경우 a상 레그 및 b상 레그를 선택하고, a상 레그 및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속하는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전자 각도가 속하는 구간에 기반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그 이외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로 온-오프 상태를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0° 내지 60° 및 180° 내지 240°인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c상 레그 및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60° 내지 120° 및 240° 내지 300 °인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b상 레그 및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120° 내지 180° 및 300° 내지 360°인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상 레그 및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히터 등과 같은 승온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서, 친환경 차량의 구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인버터 및 모터를 이용하여 교류 전류를 배터리로 주입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증가 없이 효율적인 배터리 승온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인버터 및 모터를 이용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할 때 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 맥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방법에서 배터리 전류를 생성하는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방법에서 토크 리플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벡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30)를 구동하기 위한 통상의 시스템은, 모터(3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인 배터리(10)와 배터리(10)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복수의 상을 갖는 교류로 변환하여 모터(30)로 제공하는 인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0)는 배터리(10)의 양단에 상호 병렬 관계로 연결되는 세 개의 레그(21, 23, 25)를 가지며, 각 레그(21, 23, 25)에는 두 개의 스위칭 소자(S1 내지 S6 중 두 개)가 서로 직렬 연결되고 두 스위칭 소자의 연결 노드에서 모터(30)로 한 상의 구동 전력이 제공된다. 이러한 모터 구동을 위해서는, 모터(30)의 구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모터(30)의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 지령만큼 모터(30)로 전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버터(20) 내 스위칭 소자(S1-S6)의 펄스폭 변조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은, 이와 같은 통상의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터(10)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억제하면서 배터리(10)로 교류 전류(맥동 전류)가 주입될 수 있도록 인버터(20) 내 스위칭 소자(S1-S6)의 상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은, 배터리(10)와, 배터리(10)의 양단에 상호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1-S6)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레그(21, 23, 25)를 갖는 인버터(20)와, 인버터(20) 내 레그(21, 23, 25)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연결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코일(L1, L2, L3)를 갖는 모터(40) 및 연결된 인버터(20) 및 인버터(20) 내 복수의 레그 중 두 개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제어하여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컨트롤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100)는 인버터(20) 내 레그(21, 23, 25) 중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키고 나머지 두 개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여 각 모터(30)에 포함된 복수의 상에 대응되는 코일(L1-L3) 중 두 개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변환함으로써 교류 전류가 배터리(10)로 인가되게 할 수 있다.
배터리(10)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배터리(10)의 내부 저항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는 경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점은 열의 발생량과 효율이다.
먼저, 열의 발생량은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한다. 즉, 배터리(10)의 내부 저항에 방향과 상관없이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배터리(10)로 직류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또는 배터리(10)에서 직류 전류가 출력되게 하는 방전을 통해 충전량 또는 방전량을 증대 시킴으로써 배터리(10)의 발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10)를 충전 또는 방전 중 하나만 수행하는 것 보다는 배터리(10)의 충방전을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터리(10)의 충방전을 번갈아 수행하게 되면, 배터리(10)에서 소모된 에너지는 적지만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열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배터리(10)에 직류가 아닌 교류 전류가 주입되는 경우 배터리(10)에서 전류가 출력되고 배터리(10)로 전류가 입력되는 것이 반복됨으로써 높은 에너지 효율로 배터리(10)의 발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충분히 높으면 배터리(10) 내부의 리튬 석출 및 그에 따른 배터리의 노화를 방지하면서 배터리(10)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서는, 고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류가 배터리에 주입될 수 있도록 인버터(20) 내 스위칭 소자(S1-S6)를 제어할 수 있다.
교류 전류를 배터리(10)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배터리(10)로부터 에너지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다시 배터리(10)로 제공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요구되는 에너지 저장을 위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서는 모터(30)에 구비된 복수의 상에 대응되는 코일(L1-L3)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모터(30)의 코일(L1-L3)에의 에너지 저장 및 방출이 이루어지게 하여 배터리(10)로 교류 전류가 주입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20)와 모터(30)를 이용하여 배터리(10)에 고주파의 교류 전류를 주입하여 배터리(10)를 승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배터리 전류를 확보는 것과 함께 모터(30)의 토크 발생을 억제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방법에서 배터리 전류를 생성하는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방법에서 토크 리플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벡터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기법 및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모터(30)의 토크 발생을 억제하는 기법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에서, 컨트롤러(100)는 인버터(20)에 포함된 세 레그 중 두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하고 나머지 한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는 오프 시킨다. 도 2는, 컨트롤러(100)가 모터(30)의 a상 코일(L1) 및 c상 코일(L3)와 연결된 레그(21, 25)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 S5, S6)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b상 코일(L2)에 연결된 레그(23)의 스위칭 소자(S3, S4)를 오프 시키는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D1' 구간에서 컨트롤러(100)는 모터(30)의 a상 코일(L1)로 제공되는 a상 전압(Va)이 하이 상태가 되고 c상 코일(L3)로 제공되는 c상 전압(Vc)이 로우 상태가 되도록 스위칭 소자(S1, S2, S5, S6)를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00)는, 레그(21)의 스위칭 소자(S1)을 온시키고 스위칭 소자(S2)를 오프시키며, 레그(25)의 스위칭 소자(S5)를 오프시키고 스위칭 소자(S6)를 온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구간(D1)에서 모터(30)의 a상 코일(L1)이 배터리(10)의 양(+) 단자 측에 연결됨으로써 모터(30)의 a상 코일(L1)에 흐르는 전류(Ias)는 증가하고, c상 코일(L3)에 흐르는 전류(Ics)는 감소한다. 여기서, 각 상의 전류(Ias, Ics)는 인버터(20)에서 모터(30)로 흐르는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에너지를 저장하는 코일(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통해 전기 경로가 형성되더라도 전류는 각 코일에 흐르는 전류(Ias, Ics)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전 구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그대로 일정 시간 유지한 후 전류의 방향이 변경된다. 여기서 모터(30)의 각 상에 해당하는 코일(L1, L2, L3)는 그 일단이 인버터(20)의 각 레그(21, 23, 25)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가 서로 연결된 노드에 연결되며, 그 타단은 코일(L1, L2, L3) 상호간 공통으로 연결되어 중성점을 형성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D1' 구간에서 'D5' 구간으로 변경되면, 컨트롤러(100)는 모터(30)의 c상 코일(L3)로 제공되는 c상 전압(Vc)이 하이 상태가 되고 a상 코일(L1)로 제공되는 a상 전압(Va)이 로우 상태가 되도록 스위칭 소자(S1, S2, S5, S6)를 제어한다. 즉, 컨트롤러(100)는, 레그(21)의 스위칭 소자(S1)을 오프시키고 스위칭 소자(S2)를 온시키며, 레그(25)의 스위칭 소자(S5)를 온시키고 스위칭 소자(S6)를 오프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구간(D5)에서 모터(30)의 c상 코일(L3)이 배터리(10)의 양(+) 단자 측에 연결됨으로써 모터(30)의 c상 코일(L3)에 흐르는 전류(Ics)는 증가하고, a상 코일(L1)에 흐르는 전류(Ias)는 감소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인덕터의 특성에 따라, 구간(D5)에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일정 시간동안 이전 구간(D1)에서 흐르던 전류 방향이 유지되면서 그 크기가 점차 감소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전류의 방향이 변동된다.
즉, 스위칭 구간이 변동되면 스위칭 소자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이전 구간의 전류의 흐름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됨에 따라 배터리(10)는 전류를 입력 받는 상태인 충전 상태가 될 수 있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다음 스위칭 구간 변동이 발생할 때까지 배터리(10)에서 전류가 출력되는 방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동되는 배터리(10) 전류가 도 2에서 'Ibat'로 도시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배터리 전류(Ibat)는 스위칭 주기(D1+D5)의 1/2 주기, 즉 스위칭 주파수의 2 배 주파수로 맥동하는 교류 전류가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은, 복수의 상 중 두 상에 대응되는 코일에 연결된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는 상보 관계가 되도록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며, 두 상에 대응되는 코일에 연결된 두 레그 내에서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두 스위칭 소자는 상보 관계가 되도록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나머지 상에 대응되는 코일과 연결된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는 오프시키는 제어를 통해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10)의 승온을 위한 스위칭 소자(S1-S6)의 제어 과정에서 모터(30)에 토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한 상에 대응되는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고 나머지 두 상에 대응되는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 '51, 52, 53'으로 지시된 화살표와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b상에 대응되는 코일(L2)을 사용하지 않도록 b상에 대응되는 레그(23)의 스위칭 소자를 모두 오프시키고 a상과 c상에 대응되는 모터(30)의 코일(L1, L3)를 이용하는 경우, b축 값이 0에 해당하는(b축에 수직인) 참조부호 '51'과 같이 전류가 발생한다. 이와 유사하게, a상에 대응되는 코일(L1)을 사용하지 않도록 a상에 대응되는 레그(21)의 스위칭 소자를 모두 오프시키고 b상과 c상에 대응되는 모터(30)의 코일(L2, L3)를 이용하는 경우, a축 값이 0에 해당하는(a축에 수직인) 참조부호 '52'과 같이 전류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c상에 대응되는 코일(L3)을 사용하지 않도록 c상에 대응되는 레그(25)의 스위칭 소자를 모두 오프시키고 a상과 b상에 대응되는 모터(30)의 코일(L1, L2)를 이용하는 경우, c축 값이 0에 해당하는(c축에 수직인) 참조부호 '53'과 같이 전류가 발생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51'로 지시된 화살표는 a축 기준 30° 및 210°에 해당하고, 참조부호 '52'로 지시된 화살표는 a축 기준 90° 및 270°에 해당하며, 참조부호 '53'으로 지시된 화살표는 a축 기준 150°/ 330°에 해당한다.
한편, 모터 전류에 따라 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는 돌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경우 아래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Te는 모터 토크이고, λf는 모터의 기전력이며, Ld, Lq는 모터의 d축 및 q축 인덕턴스이고, id, iq는 모터로 제공되는 d축 및 q축 전류이다.
상기 식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는 q축 전류가 0(iq=0)인 경우,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모터에서 발생하는 교류 전류가 동기 좌표계의 q축으로 향하지 않고, d축에만 존재하는 경우 모터에 토크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터(30)의 회전자의 n극과 s극을 잇는 축에 해당하는 d축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에 일치하는 경우, 즉 회전자 각도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의 각도인 30°, 90°, 150°, 210°, 270°, 330°에 해당하는 경우 모터(30)의 토크는 0이 될 수 있다.
모터(30)의 회전자 위치는 임의로 결정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모터(30)에 구비되는 회전자 위치 센서(40)에서 검출된 회전자 각도와 두 상에 대응되는 레그 내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에 해당하는 각도(도 3의 화살표(51, 52, 53)가 a축 기준으로 형성하는 각도)의 차이가 최소가 되는 두 개의 상을 선택하여 그에 대응되는 레그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토크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자 각도가 0° 내지 60° 및 180° 내지 240°인 경우에는 화살표(51)에 해당하는 c상 레그 및 a상 레그를 선택하고, c상 레그 및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자 각도가 60° 내지 120° 및 240° 내지 300 °인 경우 b상 레그 및 c상 레그를 선택하고, b상 레그 및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자 각도가 120° 내지 180° 및 300° 내지 360°인 경우 a상 레그 및 b상 레그를 선택하고, a상 레그 및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배터리 승온 방법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을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은, 컨트롤러(100)가 회전자 위치 센서(40)에서 검출된 모터(30)의 회전자 각도를 입력 받고 회전자 각도가 속하는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S11)와, 컨트롤러(100)가 회전자 각도가 속하는 구간에 기반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그를 결정하는 단계(S21, S31, S41) 및 컨트롤러(100)가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그 이외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 주파수로 온-오프 상태를 번갈아 제어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S22, S32, S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의 단계들은 배터리의 온도(Tbat)가 사전 설정된 목표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S51).
컨트롤러(100)는 단계(S11)에서, 회전자 각도가 0° 내지 60° 및 180° 내지 240°인 경우, b상 레그(23)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3, S4)를 오프시키고(S21), c상 레그(25) 및 a상 레그(2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 S5, S6)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S22).
단계(S22)에서, 컨트롤러(100)는, c상 레그(25)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5, S6)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a상 레그(21)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1, S2)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c상 레그(25)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5)와 a상 레그(2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1)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단계(S11)에서, 회전자 각도가 60° 내지 120° 및 240° 내지 300 °인 경우, a상 레그(2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를 오프시키고(S31), b상 레그(23) 및 c상 레그(25)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3, S4, S5, S6)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S32).
단계(S32)에서, 컨트롤러(100)는, b상 레그(23)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3, S4)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c상 레그(25)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5, S6)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b상 레그(23)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3)와 c상 레그(25)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5)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단계(S11)에서, 회전자 각도가 120° 내지 180° 및 300° 내지 360°인 경우, c상 레그(25)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5, S6)를 오프시키고(S41), a상 레그(21) 및 b상 레그(23)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 S3, S4)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S42).
단계(S42)에서, 컨트롤러(100)는, a상 레그(21)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1, S2)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b상 레그(23)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S3, S4)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a상 레그(21)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1)와 b상 레그(23)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배터리(10)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3)의 상태를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10)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은, 별도의 승온 장치 없이 친환경 차량의 구동을 위해 구비되는 배터리에 연결된 인버터 및 모터를 이용하여 교류 전류를 배터리로 주입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 증가 없이 효율적인 배터리 승온이 가능하다. 특히, 인버터 및 모터를 이용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할 때 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 맥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의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배터리 20: 인버터
21, 23, 25: 레그 30: 모터
L1, L2, L3: a상 코일, b상 코일, c상 코일
40: 회전자 위치 센서 100: 컨트롤러

Claims (20)

  1.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상호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레그를 갖는 인버터;
    상기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코일을 갖는 모터- 상기 복수의 코일 각각의 일단은 대응되는 레그 각각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호 연결됨;
    상기 복수의 상 중 두 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두 상에 대응되는 인버터 내 두 개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한 두 상 중 하나의 상에 대응되는 제1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두 상 중 나머지 하나의 상에 대응되는 제2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레그 내 스위칭 소자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레그 내 스위칭 소자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두 상 이외의 상에 대응되는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는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자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상 중 두 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상 중 두 상에 해당하는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가 dq 정지좌표평면에서 나타내는 각도 중 상기 회전자 각도의 차가 최소인 두 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6. 배터리의 양단 사이에 상호 직렬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포함하는 a상 레그, b상 레그 및 c상 레그를 갖는 인버터;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a상 코일,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b상 코일 및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 간의 연결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c상 코일을 포함하는 모터- 상기 a상 코일의 타단, 상기 b상 코일의 타단 및 상기 c상 코일의 타단을 상호 연결됨;
    상기 a상 레그, b상 레그 및 c상 레그 중 두 개의 레그를 선택하고 선택된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로 주입되는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된 레그 중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레그 중 나머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선택된 두 레그 내 스위칭 소자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의 상태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되지 않은 하나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는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자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자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에 기반하여 두 레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a상 레그 및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 b상 레그 및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 및 c상 레그 및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교류 전류가 dq 정지좌표평면에서 나타내는 각도 중 상기 회전자 각도와 차가 최소인 두 상의 레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가 0° 내지 60° 및 180° 내지 240°인 경우 c상 레그 및 a상 레그를 선택하고, c상 레그 및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가 60° 내지 120° 및 240° 내지 300 °인 경우 b상 레그 및 c상 레그를 선택하고, b상 레그 및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자 각도가 120° 내지 180° 및 300° 내지 360°인 경우 a상 레그 및 b상 레그를 선택하고, a상 레그 및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고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 시켜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14. 청구항 9의 배터리 승온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속하는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회전자 각도가 속하는 구간에 기반하여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는 레그 이외의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로 온-오프 상태를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0° 내지 60° 및 180° 내지 240°인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c상 레그 및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60° 내지 120° 및 240° 내지 300 °인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b상 레그 및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회전자 각도가 120° 내지 180° 및 300° 내지 360°인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c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상 레그 및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사전 설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한 쌍의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b상 레그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들 중 상기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의 상태를 상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보 관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방법.
KR1020190107408A 2019-08-30 2019-08-30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7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08A KR20210027663A (ko) 2019-08-30 2019-08-30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US16/774,362 US11292362B2 (en) 2019-08-30 2020-01-28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emperature of battery using motor driving system
CN202010103322.4A CN112448640A (zh) 2019-08-30 2020-02-19 利用电机驱动系统升高电池温度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08A KR20210027663A (ko) 2019-08-30 2019-08-30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63A true KR20210027663A (ko) 2021-03-11

Family

ID=7468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08A KR20210027663A (ko) 2019-08-30 2019-08-30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92362B2 (ko)
KR (1) KR20210027663A (ko)
CN (1) CN112448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588B2 (en) 2020-12-21 2023-01-1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emperature of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1718B (zh) * 2020-06-04 2020-10-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能量处理装置、方法及车辆
DE102021107091A1 (de) * 2021-03-23 2022-09-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heizen eines Kraftfahrzeugs
CN113691193A (zh) * 2021-07-13 2021-11-23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电池包加热方法、电机控制器、电动汽车及系统
CN115769417A (zh) * 2022-04-22 2023-03-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加热的装置和方法
US11929475B2 (en) * 2022-06-23 2024-03-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heating during vehicle operation and/or during vehicle charg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32A (ko) 2010-04-06 2011-10-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 모터와 유도 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JP2016004649A (ja) 2014-06-16 2016-01-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昇温制御装置及び昇温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7476B2 (ja) 2005-07-12 2011-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制御装置
JP4179346B2 (ja) * 2006-06-16 2008-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452735B2 (ja) * 2007-09-05 2010-04-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昇圧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858597B2 (ja) * 2008-11-28 2012-01-18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機の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2453514B1 (en) 2009-07-08 2017-11-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condary-battery temperature-rais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same
WO2011108058A1 (ja) * 2010-03-01 2011-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77195B2 (ja) * 2010-09-21 2013-04-0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機の制御装置
JP5259752B2 (ja) 2011-02-04 2013-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走行用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JP5849917B2 (ja) 2012-09-28 2016-02-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バッテリ昇温制御装置
JP6032143B2 (ja) * 2013-07-12 2016-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機の制御装置
JP5924367B2 (ja) 2014-05-01 2016-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CN106464171B (zh) * 2014-05-20 2018-11-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机控制装置
JP6390489B2 (ja) * 2015-03-30 2018-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6402708B2 (ja) * 2015-12-24 2018-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インバータ装置
JP2019161704A (ja) * 2018-03-07 2019-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CN108705943B (zh) 2018-05-22 2020-05-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组加热装置与控制方法
CN108878996B (zh) 2018-05-22 2021-03-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系统及其控制方法、管理设备
CN108879027B (zh) 2018-05-22 2021-08-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加热系统和功率开关器件
CN108736108B (zh) 2018-05-22 2020-03-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加热控制方法和加热控制装置
CN108682909B (zh) 2018-05-22 2021-06-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系统及其控制方法、管理设备
CN108711662B (zh) 2018-05-22 2020-05-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组加热装置与控制方法
CN108666713B (zh) 2018-05-22 2020-05-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双车加热的电池组加热装置与控制方法
CN108736107B (zh) 2018-05-22 2020-06-2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加热模块和电池组加热方法、加热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32A (ko) 2010-04-06 2011-10-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 모터와 유도 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JP2016004649A (ja) 2014-06-16 2016-01-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昇温制御装置及び昇温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588B2 (en) 2020-12-21 2023-01-10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emperature of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92362B2 (en) 2022-04-05
CN112448640A (zh) 2021-03-05
US20210061128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7663A (ko)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배터리 승온 시스템 및 방법
CN110116653B (zh) 电动汽车驱动系统、驱动电路及电动汽车电池加热方法
US20220077709A1 (en) Power battery charging method, motor control circuit, and vehicle
US11563396B2 (en) Battery he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tor driving system
US115633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battery using motor driving system
JP6404221B2 (ja) 電池の電圧を変調させるための構造、及びその能動的平衡化
CN102577093A (zh) 电动机驱动装置的控制装置
CN111404246B (zh) 电池能量处理装置、方法和车辆
KR20210133374A (ko)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78690A1 (en) Charge/discharge circuit,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5956332A (zh) 充放电电路、系统及其控制方法
US115525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emperature of battery
JP2009095099A (ja)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パルス振幅変調制御装置
JPWO2019193749A1 (ja) 交流回転機装置
KR20200106592A (ko) 배터리 충방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3782841B1 (en) System of increasing temperature of battery for vehicle
CN114374024A (zh) 动力电池的加热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电动汽车
JP7407247B1 (ja) バッテリ保護回路
KR20210091603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CN116039341B (zh) 一种电机加热方法、计算机设备、可读存储介质及电动车
GR1010204B (el) Προηγμενο συστημα οδηγησης ηλεκτρικων μηχανων διακοπτικης διεγερσης (switched reluctance machine, srm)
Kashif et al. Control of PV-BES Fed Sensorless PMSM Driven Water Pump With BES Deep Discharge Protection
Kim et al. Dual motor drive for HVAC applications based on a multifunctional bidirectional energy conversion system
CN117656952A (zh) 电池自加热系统及车辆
CN117656947A (zh) 电池自加热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