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453A -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 Google Patents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453A
KR20210027453A KR1020217003341A KR20217003341A KR20210027453A KR 20210027453 A KR20210027453 A KR 20210027453A KR 1020217003341 A KR1020217003341 A KR 1020217003341A KR 20217003341 A KR20217003341 A KR 20217003341A KR 20210027453 A KR20210027453 A KR 2021002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carbon dioxide
sheet
container
dioxid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692B1 (ko
Inventor
쇼헤이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08Oxides; Hyd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혈행 촉진 작용의 증강 및 지속이 우수함과 함께, 시트로서의 첩부성이나 추종성이 높아, 모든 사용 장면에 있어서 간편하고 또한 광범위하게 신체에 적용할 수 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을 함유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로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본 발명은,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서서 하는 업무나 데크스 워크에 의해, 신체의 각 부위에 피로, 나른함, 부종, 통증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증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마사지, 스트레치, 입욕 등으로 혈행을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탕 중의 탄산 가스 농도를 60 ppm 이상으로 할 수 있는 양의 탄산 가스 발생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부종 개선제가 개시되어 있고, 높은 정수압의 조건하에서, 모세 혈관을 확장시키는 탄산 가스를 작용시킴으로써, 부종에 대해, 단시간에 매우 높은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입욕과 같이 몸에 수압이 가해지지 않아도, 탄산 가스가 피부에 작용하면 피부의 혈행이 촉진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을 이용한 여러 가지의 탄산 가스, 혹은 탄산 가스 발생물을 배합한 화장료 등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탄화수소, 이산화탄소, 유화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피부 혈행 촉진 도포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기포율 5 ∼ 50 % 의 기포를 함유하는 발포 겔층 또는 발포액층과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를 기체 난 (難) 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하여 이루어지고, 보존시의 용기 중의 공극부에, 신체에 대해 생리 활성이 있는 기체를 3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42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02609호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을 함유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로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假想)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부종 개선제에서는, 온열과 높은 정수압을 가한 상태를 5 분 이상 계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 국면이 한정되어, 간편성이 부족한 것이다. 또, 상기 특허문헌 2 및 3 에 기재된 제 (劑) 나 시트에서는, 탄산 가스에 의한 혈행 촉진 효과를 이용하고는 있지만, 신체에 대한 적용 후, 탄산 가스는 신속하게 대기 중으로 방산되거나, 혹은 생체 내에서 대사되기 때문에, 몸의 피로, 나른함, 부종, 통증과 같은 증상을 개선하려면, 적용 후에 있어서의 혈류 증가의 지속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도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시트는, 신체에 있어서의 큰 부위나 다리 등의 움직임이 격렬한 부위에 사용하면, 신체에 대한 첩부성이나 추종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해 판명되었다.
즉, 본 발명은, 혈행 촉진 작용의 증강 및 지속이 우수함과 함께, 시트로서의 첩부성이나 추종성이 높아, 모든 사용 장면에 있어서 간편하고 또한 광범위하게 신체에 적용할 수 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특정량의 탄산 가스를 함유하면서, 기포율 및 기포의 크기를 특정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시트로서의 첩부성이나 추종성을 유효하게 높이면서, 혈행 촉진 작용을 증강 및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특정량의 탄산 가스를 특정 상태의 기포로서 함유함으로써, 시트로서의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하면서 첩부성이나 추종성을 유효하게 높이고, 혈행 촉진 효과를 효과적으로 증강시키면서, 그 즉효성이나 지속성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이하, 간단히「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라고도 칭한다) 는,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을 함유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로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상의 형태이면 되는데, 겔 시트와 같이 함수 겔층과 지지체층이나 박리층을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에는, 이들 지지체층 및 박리층을 제외한 함수 겔층 부분이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상당한다. 또, 성분 (A)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은, 성분 (A) 를 제외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서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성분 (A) 로서,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기포율로 10 ∼ 40 % 함유하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신체의 원하는 부위에 첩부하기 위한 시트로서, 이러한 적용 부위에 있어서 혈행 촉진 작용을 증강 및 지속시켜, 피로, 나른함, 부종, 통증을 완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있어서, 탄산 가스의 일부는 기포를 형성하지 않고 시트 내에 용해되고, 또 그 나머지의 탄산 가스의 일부는, 육안 관찰도 가능한 미세한 기포로서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존재하는, 이러한 미세한 기포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의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을 지표로 하면서, 기포율, 및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혈행 촉진 효과의 즉효성 및 지속성, 및 욱신욱신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100 ppm 이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0 pp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상이다.
한편,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혈행 촉진 효과와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압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20000 ppm 이하로서, 또한 탄산 가스의 양호한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ppm 이하이다. 또,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의 크기를 적절히 제어하여, 상기 범위 내의 기포율을 유지하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를 초과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20000 ppm 이하로서, 바람직하게는 10000 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ppm 이하이다.
그리고,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100 ∼ 20000 ppm 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0 ∼ 10000 ppm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3000 ppm 이며,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1600 ppm 이다.
또한, 욱신욱신감이란,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를 첩부한 신체의 부위에 있어서, 혈행의 양호함이나 온감을 실감할 수 있는 자극적인 감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함유되는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를 알칼리 용액이 들고 덮개가 형성된 용기에 넣어 10 분 침지시키고, 수용액 중에 탄산염으로서 트랩한 후, 다시 산성 완충액으로 산성으로 되돌리고, 그 용액의 실온 25 ℃ 에서의 탄산 가스 농도를 탄산 가스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 후, 얻어진 탄산 가스 농도, 시트 중량, 용액 체적으로부터,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중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을 환산하여 얻을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혈행 촉진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중에, 성분 (A) 의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기포율로 10 % 이상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15 % 이상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22 % 이상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25 % 이상 함유한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점착성 및 첩부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중에, 성분 (A) 의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기포율로 40 % 이하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38 % 이하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35 % 이하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34 % 이하 함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이러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중에, 성분 (A) 의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기포율로 10 ∼ 40 %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15 ∼ 38 %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22 ∼ 35 %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4 % 로 함유한다.
여기서, 기포율이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및 산출되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용기를 개봉하고 시트를 꺼낸 후, 5 분 이내에 측정한 값을 기포율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포를 제외한 부분의 비중을 1 로 가정하고, 꺼낸 시트를 직방체 형상으로 잘라내어, 세로·가로·높이로부터, 그 시트의 체적 (A ㎖) 을 구하고, 추가로 중량 (B g) 을 측정한다. 이어서, 이것들을 하기 식 (1) 에 도입하여, 기포율을 산출한다.
기포율 (%) = (A - B)/A × 100·····(1)
또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추가로 지지체층이나 박리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조작의 편의상의 관점에서, 이들 층을 제거 또는 박리하지 않고 측정하고, 이들 지지체층이나 박리층의 총 중량을 나중에 제외하고 기포율을 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이러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다. 이와 같이, 기포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시트 중의 탄산 가스가 효율적으로 피부에 공급되어, 지속성이 높은 혈행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불필요하게 조대화된 기포의 혼재를 회피하여 시트 표면의 평활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시트의 점착성을 증강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신체에 대한 첩부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포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혈행 촉진 효과의 증강이나, 그 즉효성 및 지속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신체에 대한 첩부성을 높이는 것에도 많이 기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포의 크기를 제어해야 하는 것은, 본 발명자에 의한 새로운 지견이다. 즉, 본 발명자는, 종래의 탄산 가스 함유 시트에 있어서, 조대화된 기포가 많이 혼재함으로써, 시트 표면의 평활성뿐만 아니라 점착성도 저해되어 신체에 대한 첩부성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시트 중의 탄산 가스의 피부에 대한 효율적인 공급이 감소되어, 혈행 촉진 효과의 지속성도 저해되는 것이 원인인 것을 판명하기에 이르러, 본 발명을 알아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는, 실온 25 ℃ 또한 상대 습도 50 % 의 조건하, 후술하는 기체 난투과성 용기를 개봉하여, 밀봉되어 있었던 내용물인 시트를 꺼내고 나서 5 분 이내에 측정되는 것으로, 부정형인 타원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포에 대해서는, 그 장경과 단경을 더하여 2 로 나눈 값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으로 간주하고, 이러한 가상 원의 직경을「기포의 가상 직경」으로서 정의한다. 따라서,「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란, 이와 같이 정의된 가상 직경이 5 ㎜ 이상으로서, 소정의 시트의 피부에 접하는 측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전부 골라내고, 이러한 가상 직경에 기초하여 가상 원의 면적을 산출하여 합한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트의 표면적을 100 % 로 하여 이러한 총 면적의 값을 나눔으로써,「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의,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 (%)」의 값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이와 같은 미세한 기포가 시트 내 전역에 걸쳐 존재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트 내부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횡단면에 있어서도, 이러한 횡단면에 존재하는 기포에 대해, 횡단면 100 % 중에 있어서의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 (%) 의 값은,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의,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 (%) 과 동일한 값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요컨대,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함유하는 기포는 본래 입체적 형상을 갖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시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는 평면 형상으로서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에 투영된 기포로서 판단하여,「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의 값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함유하는 특정 상태의 기포를 규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시트 표면의 평활성 및 점착성의 관점에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은 10 % 이하로서,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성분 (B) 로서, 물을 함유한다. 성분 (B) 의 물의 함유량은, 탄산 가스를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중에 고농도로 함유시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100 질량% 중에, 바람직하게는 60 ∼ 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9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보다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점에서,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예를 들어, 성분 (B) 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넣고, 이어서 용기에 탄산 가스를 봉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시트 형성시 또는 형성 후에, 함수 겔층 중에 탄산 가스를 용존시키고, 얻어진 시트를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넣어, 용기 내의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또는 추가로 용기 내의 가스를 탄산 가스로 교환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대해,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인 경우, 이러한 함수 겔층을 지지체층 상에 담지시키면 되고, 이러한 함수 겔층이 지지체층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함수 겔층이 지지체층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지지체층뿐만 아니라 박리층도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지지체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층을 담지시키면 되고, 이러한 박리층이 함수 겔층 상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수 겔층은, 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층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며, 성분 (B) 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으로 이루어지고, 성형성의 관점에서 아니온성 폴리머, 가교제 및 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 구조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니온성 폴리머의 가교 구조체는, 아니온성 폴리머가 가교 반응하여, 함수 겔층의 기본 골격이 되는 치밀한 망목 구조를 형성한다. 아니온성 폴리머가 화학적으로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은, 망목 구조 중에 다량의 물을 유지하여 팽윤되어 있기 때문에, 적당한 탄력성이나 신전성, 유연성을 갖는다.
상기한 아니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황산기, 또는 인산기를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메트)아크릴산류,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이것들의 염류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아니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이것들의 염류 ; 카라기난, 알긴산, 및 이것들의 염류, 아니온성의 전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높은 보수량과 충분한 겔 강도 및 피부의 요철이나 움직임에 추종 가능한 유연성을 만족하는 함수 겔층을 얻는 관점에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및 이것들의 염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있어서의 아니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미가교 상태의 겔의 점도 조정이나, 아니온성 폴리머의 망목 구조에 물리적으로 얽힘으로써 가교 겔의 보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러한 함수 겔층 중에, 0.5 ∼ 2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1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는, 금속 이온 화합물, 카티온성 폴리머,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는 아니온성 폴리머의 관능기와의 반응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금속 이온 화합물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을 함유하는 산화물이나 수산화물, 염류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칼륨 명반, 황산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아세트산알루미늄, 락트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함수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카올린,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수산화칼륨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폴리머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가교제로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이온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의 함유량은, 함수 겔층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이와 같이 상기 아니온성 폴리머, 가교제 및 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 구조체를 함유하는 상기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이들 아니온성 폴리머 및 가교제는, 이러한 함수 겔층 내에서 가교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니온성 폴리머 및 가교제의 함수 겔층 중에서의 함유량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했을 때의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상기 성분 외에,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상기 성분 이외의 성분인, 유성 성분, 분말 성분,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설 이온 봉쇄제, 알코올류, 당류, 아미노산 유도체, 유기 아민류, 수지 에멀션, 혈행 촉진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류,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보조제, 방부제, 색소, 향료 등을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함유할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향료를 혈행 촉진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혈행 촉진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TRPM8 아고니스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TRPM8 아고니스트는, 신체에 존재하는 온도 감수성 TRP 채널 중, 냉수용체인 TRPM8 에 작용하는 아고니스트이다. 이러한 TRPM8 아고니스트로는, TRPM8 채널을 활성화하는 화합물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L-멘톨, DL-멘톨 등의 멘톨, 멘탄디올, 시네올, 멘틸글리세릴에테르, 락트산멘틸, 숙신산멘틸, 글루타르산멘틸, 멘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 에틸멘탄카르복사미드, 멘탄카르보닐글리신에틸에스테르, 멘틸에틸아미노옥살산, 멘톤글리세린아세탈, 부틸시클로헥사논, 이소풀레골, 트리메틸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멘톡시프로판디올, 캠퍼, 이실린 등을 들 수 있고, TRPM8 아고니스트를 함유하는 박하유,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유칼리유 등의 식물이나 정유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은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사용시의 상쾌함 및 실효감의 관점에서, 멘톨, 락트산멘틸, 트리메틸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멘톡시프로판디올, 캠퍼 및 이실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멘톨이 보다 바람직하다.
TRPM8 아고니스트의 함유량은, 성분 (A) 의 탄산 가스와도 더불어, 혈행 촉진 효과를 증강시키고, 지속성을 높이며, 상쾌한 욱신욱신감을 얻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0.1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TRPM8 아고니스트의 함유량은, 피부 자극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TRPM8 아고니스트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0.15 질량%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2 ∼ 2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 1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혈행 촉진 효과 및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유성 성분으로서, 에스테르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스테르유로는, 성분 (A) 의 탄산 가스나 TRPM8 아고니스트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글리세리드가 바람직하다.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이 바람직하다. 또, 지방산 글리세리드로는,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고, 트리글리세리드가 바람직하다.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에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2 ∼ 24 의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 18 의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미리스트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α-리놀렌산, γ-리놀렌산이다. 그 중에서도, 성분 (C) 로는,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고,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유의 함유량은, 혈행 촉진 효과를 더욱 높이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에스테르유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5 ∼ 1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 0.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유에 대한 TRPM8 아고니스트의 질량비 (TRPM8 아고니스트/에스테르유) 는, 피부에 대한 침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5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8 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6 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에탄올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미량 ∼ 소량 (0.001 질량% 이상) 의 에탄올이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도 에탄올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탄올은, 특히 에탄올 과민증인 사람에 대해, 피부 자극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고속 건조를 촉진시키고, 이로써 피부의 균열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이 염려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피부 자극성이 높아지지 않고 혈행 촉진을 지속시킬 수 있는 점에서, 에탄올의 함유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탄올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에탄올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또,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두께는, 혈행 촉진 효과, 탄산 가스 유지성 및 첩부성의 관점에서,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첩부성의 관점에서, 3 ㎜ 이하가 바람직하고, 2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는 경우, 이러한 지지체층으로는, 직포, 부직포, 편포 (偏布), 합성 수지의 필름, 내수지 (耐水紙) 등의 시트 기재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이것들이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섬유, 견, 면, 마, 레이온, 콜라겐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연 섬유 등의 직포, 또는 부직포 ;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등의 시트 ; 또 풀루란이나 전분 등의 박막 시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기포율을 만족하도록 기포의 크기를 억제하는 데에 기여시키는 관점, 및 신체에 대한 양호한 첩부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직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지지체층의 두께는, 0.05 ∼ 2.0 ㎜ 정도이고, 지지체층의 표면에 친수 처리 또는 소수 처리를 실시하거나 해도 된다.
종래와 같은, 탄산 가스를 기포로서 함유하고, 또한 지지체층이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신체의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팔이나 다리 등의 부위에 첩부하면, 시트 표면, 구체적으로는, 함수 겔층이 첩부 부위로부터 박리되기 쉬운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해 판명되었다. 이것은, 종래의 시트에서는, 기포의 크기가 제어되지 않아 불균일하고, 또 조대화된 기포도 혼재될 수 있기 때문에, 함수 겔층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여, 함수 겔층과 첩부 부위의 접착 면적이 줄어드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이러한 종래의 시트에서는, 탄산 가스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체 투과성이 낮고 비교적 강성이 큰 수지 필름 등을 추가로 적층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시트 자체의 유연성이나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뒤떨어져, 신체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눈가와 같은 좁은 범위나 부위로 제한되는 것도 본 발명자에 의해 판명되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가,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10 % 이하가 되도록 제어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시트가 함수 겔층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그 표면의 평활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와 같이 기포의 입경이 제어되어 있음으로써, 지지체층으로서 (부)직포 등의 부드러운 시트도 사용하여 양호한 유연성이나 첩부 부위에 대한 추종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큰 부위나 움직임이 격렬한 부위 등, 신체의 광범위에 걸친 부위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체층의 10 % 신장시의 인장 강도는,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신체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켜, 신체에 대한 적용 범위를 넓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N/5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50 ㎜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체층 중에서도, 직포,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 강도는, JIS L1913 : 2010 에 의해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시트에서는, 기포로부터의 탄산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체층으로서 플라스틱 등의 수축성이 낮은 시트를 사용해야 하여, 추종성 등이 뒤떨어져, 신체의 큰 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있어서는, 미세한 기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시트 중에 탄산 가스를 많이 함유할 수 있으므로, 수축성이 높은 시트를 사용해도, 충분한 혈행 촉진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또한 박리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여도 된다. 이러한 박리층 (시트, 필름) 은, 함수 겔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지지체층과는 반대의 면에, 첩부면의 보호를 위해, 함수 겔층에 담지 또는 적층할 수 있다. 박리층 (시트, 필름) 의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상질지 등의 종이에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이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알루미늄 필로우 등의 봉입 용기 외에, 유리나 플라스틱 용기 등의 기체 난투과성 용기, 이른바 포장 필로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내에 상기 함유량의 탄산 가스를 용존시키고, 또한 탄산 가스를 용존시킨 상태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시트 중의 용존 탄산 가스 농도를 높이면서 상기 기포율을 만족하는 기포를 존재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다. 또,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상기 기포율을 만족하는 기포의 크기를 제어하여, 지속적인 혈행 촉진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3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이다.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란, 이러한 용기 내의 공극부의 기체, 및 기포 중의 기체의 쌍방을 가리킨다.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란, 이하와 같이 산출하는 값이다. 먼저,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탄산 가스를 충전시켜 포장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를 24 시간 숙성시킨다. 그 후, 평형 상태에 도달한 용기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값으로부터 용기 내의 탄산 가스 농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르코니아식 산소 농도계 LS-450F (도레이 엔지니어링사 제조) 로 용기 내의 산소 농도 (F %) 를 측정한다. 공기 중의 산소 농도는 20.6 % 이므로, 용기 내의 공기의 비율 (G %) 은, 식 : (F/20.6) × 100 으로 구해진다. 공기 이외의 기체는 탄산 가스로 가정하고, 용기 내의 탄산 가스 농도 (H %) 는, 식 : 100 - G 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있어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의 체적 비율은, 하기에서 정의되는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으로부터 계산된다. 그리고, 시트 중의 용존 탄산 가스 농도를 높이면서 상기 기포율을 만족하는 기포를 존재시키는 관점에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에서 시트의 체적을 뺀 체적 100 %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 이상이다. 또,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은, 상기 기포율을 만족하는 기포의 크기를 제어하여, 지속적인 혈행 촉진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 100 %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 이하이다. 여기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이란,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표면적으로부터 계산되는 용적의 값이며, 용기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보정을 가하여 얻을 수 있는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형상이 입방체인 경우, 입방체의 표면적 S [㎠] 는, 한 변 X ㎝ 로 했을 경우에 X 의 제곱의 6 배이므로, S 는 6X2 이고, 요컨대 X 는 (S/6) 의 1/2 승이 된다. 다음으로, 입방체의 체적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 V [㎤] 는, X 의 세제곱이므로, V 는 X3 이 된다. 즉, 형상이 입방체인 경우의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 V 는, (S/6) 의 3/2 승의 값으로서 구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이란,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표면적으로부터 계산되는 용적의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즉,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표면적을 동일한 표면적을 갖는 입방체로 판단하여, 이 입방체가 차지하는 용적의 값에 의해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의 값을 결정한다.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란,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외한, 이러한 용기 내의 공극부의 기체를 가리킨다. 또 마찬가지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란,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내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를 제외한, 이러한 용기 내의 공극부의 기체 중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를 가리킨다. 여기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 체적은,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앞서 서술한 용기 내의 탄산 가스 농도의 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내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를 제외함으로써,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의 체적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을 사용하면 된다.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탄산 가스의 체적 비율 (%) =
{((용기 내의 기체 체적 [㎤] × (용기 내의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 [%]/100)) ÷ (용기의 내용적 ―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체적))} × 100
기체 난투과성 용기는, 탄산 가스 난투과성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난투과성이란, 탄산 가스 투과도가 50 cc/㎡·day·atm (ASTM D-1434)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비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 시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재료로는,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박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 알루미늄 증착층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형태로는, 플랫 봉투, 거싯 등이 바람직하다.
또,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이러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에 있어서는,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 100 % 에 대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체적 비율 (충전비라고 기재한다) 은,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보관·수송 중에도, 시트 내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용존시켜 두는 관점에서, 4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내용적 100 % 에 대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체적 비율 (충전비) 은, 보관, 수송, 제조에 있어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효율적인 공간 유효 이용의 관점, 및 비용 저감의 관점에서,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의 형태가, 사방 시일을 사용한 박형의 포장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비는 1 ∼ 20 % 가 바람직하고, 두께를 갖는 포장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비는 0.1 ∼ 10 %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사용시에 기체 난투과성 용기를 개봉하여 시트를 꺼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가 박리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것을 박리하여 노출된 시트의 면을 신체의 원하는 부위에 첩부함으로써, 혈행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적용 부위로는, 바람직하게는 두피 이외의 신체, 예를 들어, 발, 팔, 어깨, 허리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부위에 직접 첩부한다. 첩부하여 적용하는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5 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취침 전에 첩부하여, 취침 중 내내 계속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욱신욱신감이나 온감과 같은 실효감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감각이 둔한 부분, 구체적으로는, 장딴지, 발목, 발바닥 등의 족용 (足用) 의 첩부용 시트로서 사용해도 실효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어, 바람직한 시트이다. 또, 우수한 혈행 촉진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혈행 촉진용 시트로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높은 점착성을 갖는 점에서 첩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팔이나 다리 등, 신체에 있어서의 큰 부위나 움직임이 격렬한 부위에 적용하는 시트로서도 유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지지체층 등이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인 경우, 예를 들어, 다음의 공정 (I) ∼ (III) :
(I) 겔층 형성 성분과 물 (B) 을 혼합하여,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을 조제하는 공정
(II) 얻어진 함수 겔을, 지지체층을 통과시킨 도공기에 의해 지지체 상에 전연하여, 지지체층이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형성하는 공정
(III)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수용한 후,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밀봉하고,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A) 를 함유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공정 (I) 은, 겔층 형성 성분과 물 (B) 을 혼합하여,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을 조제하는 공정이다. 겔층 형성 성분은, 예를 들어, 전술한 아니온성 폴리머 및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성분 (A) 의 탄산 가스를 제외한 함수 겔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아니온성 폴리머, 가교제 및 물을 사용하는 것 외에, 필요에 따라, 유제나 TRPM8 아고니스트를 사용하고, 예를 들어 혼합기 등에 의해 이들 성분을 혼합하여,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을 조제한다. 여기서, 혼합 조건으로는, (대기압 ― 0.1 ㎫) 의 압력 이상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많은 기포를 함유시키는 관점에서, 대기압하에서 감압하지 않고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압력 조건하에서 공정 (I) 을 거침으로써, 얻어지는 시트 내에, 기포의 크기가 상기 특정한 범위로 제어된 탄산 가스의 기포를 존재시킬 수 있다. 또, 혼합시의 교반 시간은, 효율적인 제조의 관점에서, 1 ∼ 60 분간이 바람직하고, 5 ∼ 30 분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혼합시의 교반 속도는, 많은 기포를 함유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40 rpm (회전/분)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5 rpm 이다. 또한, 사용하는 혼합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효율적으로 많은 기포를 도입하는 관점에서, 자전 공전에 의한 혼합이 가능한 플래니터리 믹서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II) 는, 공정 (I) 에서 얻어진 함수 겔을, 지지체층을 통과시킨 도공기에 의해 전연하여, 지지체층이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지지체층을 통과시킨 도공기에 의해 함수 겔을 전연할 때, 예를 들어 부직포와 PET 필름과 같은 두 개의 시트 사이에 함수 겔을 끼워 넣고, 균일하게 전연하면 된다. 그 수단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활한 함수 겔층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도공기로서 롤 코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개 롤 코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2 개 롤 코터이면, 롤과 롤 사이에 지지체층을 통과시키고, 일정한 강한 압을 부하시키면서 함수 겔을 전연할 수 있고, 지지체층에 담지시키면서, 기포량을 유지한 상태에서 함수 겔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2 개 롤 코터로는,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터나 챔버 닥터 코터, 더블 롤 도공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진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은, 일정 시간 유지함으로써, 함수 겔에 있어서의 이온 가교 반응을 촉진시켜, 가교시키는 것이 좋다. 유지할 때, 적절히 가열해도 된다.
상기 공정 (III) 은, 공정 (II) 에서 얻어진,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수용한 후, 얻어지는 시트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 되도록,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밀봉하고,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A) 를 함유시키는 공정이다. 탄산 가스를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의 포장 필로우 등의 기체 난투과성 용기에, 공정 (II) 에서 얻어진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넣고, 탄산 가스를 주입 후에 밀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정 (II) 에서 얻어진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수용한 용기에,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3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가 되도록, 탄산 가스를 주입한다.
또한, 확실하게, 탄산 가스를 함수 겔층 중에 용해시키고, 또 함수 겔층의 기포에 내재하는 공기 등에 탄산 가스를 유입시키는 관점에서, 이러한 시트를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한 채, 사용 개시까지 수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침으로써, 탄산 가스가 함수 겔층 및 기포 중으로 확산되어,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함유하는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밀봉된 필로우 내에 있어서 탄산 가스가 농도 구배를 이용하여 함수 겔층에 용해되고, 나아가서는 기포 중으로도 확산되어 가므로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공정 및 공정의 일부를 거침으로써 제조되는,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로서 설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시트로서의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하면서 첩부성이나 추종성을 유효하게 높이고, 혈행 촉진 효과를 효과적으로 증강시키면서, 그 즉효성이나 지속성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사용시에 바람직한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하기 성분 (A) 및 (B)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을 함유하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500 ∼ 3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는, 시트로서의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하면서 첩부성이나 추종성을 유효하게 높이고, 혈행 촉진 효과를 효과적으로 증강시키면서, 그 즉효성이나 지속성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사용시에 바람직한 욱신욱신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하기 성분 (A) ∼ (C)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C) 멘톨 0.15 ∼ 3 질량%
를 함유하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500 ∼ 3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해,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1]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을 함유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로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2] 성분 (A) 의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15 % 이상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22 % 이상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25 % 이상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38 % 이하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35 % 이하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포율로 34 % 이하 함유하는 상기 [1] 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3]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1] 또는 [2] 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4]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200 pp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 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ppm 이하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5]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3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6] 성분 (B) 의 물의 함유량이, 본 발명의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100 질량% 중에, 바람직하게는 60 ∼ 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9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0 질량% 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7] 두께가,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3 ㎜ 이하가 바람직하고, 2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한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8]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 혹은 지지체층 및 박리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인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9] 함수 겔층이, 아니온성 폴리머, 가교제 및 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 구조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8] 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10] 아니온성 폴리머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황산기, 또는 인산기를 갖는 폴리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및 이것들의 염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8] 또는 [9] 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11] 지지체층의 10 % 신장시의 인장 강도가, 바람직하게는 20 N/5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50 ㎜ 이하인 상기 [8] ∼ [10]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12] 지지체층의 두께가, 0.05 ∼ 2.0 ㎜ 인 상기 [8] ∼ [11]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13] 지지체층이, 직포, 부직포, 편포, 합성 수지의 필름, 및 내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직포,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인 상기 [8] ∼ [12]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14] 다음의 공정 (I) ∼ (III) :
(I) 겔층 형성 성분과 물 (B) 을 혼합하여,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을 조제하는 공정
(II) 얻어진 함수 겔을, 지지체층을 통과시킨 도공기에 의해 지지체 상에 전연하여, 지지체층이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형성하는 공정
(III)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수용한 후,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밀봉하고,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A) 를 함유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는, 상기 [8] ∼ [13]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제조 방법.
[15] 공정 (II) 에서 사용하는 도공기가, 바람직하게는 롤 코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개 롤 코터인 상기 [14] 의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제조 방법.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표 중에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각 성분의 함유량은 질량% 를 나타낸다.
[실시예 1 ∼ 7, 비교예 1 ∼ 4]
표 1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하기 방법에 따라 각 첩부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1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대기압하에서, 숙신산 수용액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수산화알루미늄, 글리세린, 파라옥시 벤조산메틸을 배합하고, 플래니터리 믹서에 투입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에 대해서는, TRPM8 아고니스트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 (카오 제조) 을 가온 용해시킨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미가교 겔을 조제하였다. 모든 처방에 있어서, 혼합시의 교반 속도는 33 rpm 으로 하였다. 얻어진 미가교 겔은, 많은 기포가 확인되었다. 얻어진 미가교 겔을 폴리에틸렌 필름과 부직포 사이에 끼워 넣고, 2 개 롤 코터에 의해, 함수 겔의 두께가 2 ㎜ 가 되도록 전연하였다.
얻어진 겔 시트를 12.5 × 8.5 ㎝ (면적 106.25 ㎠, 체적 21.25 ㎤) 로 형발 (型拔) 하고, 15 × 11 ㎝ 의 알루미늄 필로우 (체적 407 ㎤) 에 수용하고, 각각 특정 농도의 탄산 가스를 함유한 기체를 60 ㎖ 이상 충전함으로써, 알루미늄 필로우 중의 대기의 90 % 이상을 탄산 가스로 치환한 후, 히트 시일에 의한 봉입을 실시하고, 그 후 5 일간 유지하여 첩부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각 첩부용 시트를 사용하여, 하기 방법 및 기준에 따라 각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용기의 내용적에서 시트의 체적을 뺀 체적 100 % 에 대한 탄산 가스의 체적 비율 (%), 용기 내의 기체 체적 (㎤), 첩부용 시트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 (%), 기포율 (%), 및 용기 내의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의 탄산 가스 함유량 (질량%) 에 대해서는, 실온 25 ℃ 또한 상대 습도 50 % 에서 상기 서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 첩부용 시트의 피부에 접하는 측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전부 골라낼 때,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첩부용 시트의 피부에 첩부하는 면을 위로부터 관찰하여, 육안으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기포 전부를 골라냈다.
각 측정 및 평가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첩부용 시트 중의 탄산 가스 농도의 측정》
알루미늄 필로우를 개봉한 직후와, 개봉한 직후로부터 5 분 경과한 시점에 있어서, 첩부용 시트 중의 탄산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첩부용 시트를 알칼리 용액이 들고 덮개가 형성된 병에 침지시켜, 겔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산성 완충액 (pH 4.5) 으로 산성으로 되돌리고, 탄산 가스 전극 (CE-2041 ; 토아 디케이케이 제조) 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탄산 가스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탄산 가스 농도로부터 첩부용 시트 중의 탄산 가스 농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탄산 가스 농도의 값은, 얻어진 시트의 탄산 가스의 유지성의 평가의 지표로 할 수 있다.
《혈류 증가율》
미리, 25 ± 1 ℃, 습도 50 ± 5 % 에서 20 분간, 전문 패널리스트의 전완 (前腕) 을 순화시킨 후, 레이저 스펙클 혈류량계를 사용하여 전완 내측부의 혈류를 측정하여, 첩부용 시트 적용 전의 값으로 하였다.
알루미늄 필로우를 개봉하여, 신속하게 각 첩부용 시트를 전문 패널리스트의 전완 내측에 첩부한 후, 첩부로부터 5 분 후, 10 분 후 및 30 분 후에 혈류를 측정하여, 적용 전의 혈류량을 100 으로 했을 때의 증가율 (%) 을 구하였다. 이러한 증가율 (%) 의 값은, 얻어진 시트의 혈행 촉진 작용 및 지속력의 평가의 지표로 할 수 있다.
《욱신욱신감 및 온감의 평가》
알루미늄 필로우를 개봉하여, 신속하게 각 첩부용 시트를 전문 패널리스트 1 명의 각 장딴지에 첩부하였다. 이어서, 첩부로부터 5 분 후, 10 분 후 및 30 분 후의 욱신욱신감 및 온감에 대해,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러한 값은, 얻어진 시트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상쾌한 자극감 및 혈행 촉진을 상기시키는 감각의 평가의 지표로 할 수 있고, 수치가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7 : 매우 강하게 느낀다.
6 : 강하게 느낀다.
5 : 약간 강하게 느낀다.
4 : 확실히 느낀다.
3 : 느낀다.
2 : 미미하게 느낀다.
1 : 전혀 느끼지 않는다.
《점착성의 평가》
알루미늄 필로우를 개봉하여, 신속하게 각 첩부용 시트를 전문 패널리스트의 장딴지에 첩부하고, 발목의 저배굴을 10 회 실시하였다. 이어서, 첩부한 장딴지로부터 들떠 있는 (박리되어 있는) 첩부용 시트의 면적이 첩부용 시트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 (%) 을 구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점착성 (첩부성 및 추종성) 의 평가의 지표로 하였다. 평가의 수치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6 : 0 % 초과 10 % 이하
5 : 10 % 초과 20 % 이하
4 : 20 % 초과 30 % 이하
3 : 30 % 초과 40 % 이하
2 : 40 % 초과 50 % 이하
1 : 50 % 초과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예를 들어,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기포율로 10 % 이상 40 % 함유하는 실시예 5 ∼ 7 은, 사용 후 10 분 후에 있어서도 혈류 증가율이 130 % 이상의 높은 값을 유지하고 있는 데에 반해,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를 기포율로 10 % 미만 함유하는 비교예 3 에서는, 10 분 후의 혈류 증가율이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가 되었다. 또, 시트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의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를 초과하는 비교예 2 에서는, 10 분 후의 혈류 증가율이 낮고, 비교예 4 에서는, 점착성이 뒤떨어져, 충분한 첩부성 및 추종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중에서도, 멘톨과 유제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릴을 함유하는 실시예 1 ∼ 4 에서는, 시트 중의 탄산 가스 농도의 유지성이나 점착성에 추가하여, 보다 우수한 혈류 증가율과 양호한 욱신욱신감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감의 평가에서는, 멘톨 및 유제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5 ∼ 7 쪽이, 보다 우수한 장시간의 온감이 얻어진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Claims (4)

  1. 다음의 성분 (A) 및 (B) :
    (A)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기포율로 10 % 이상 40 % 이하
    (B) 물
    을 함유하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로서,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표면적 100 % 중에 있어서, 가상 직경 5 ㎜ 이상의 기포가 차지하는 총 면적이 10 % 이하이고,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전체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100 ∼ 20000 ppm 이고, 또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 혹은 지지체층 및 박리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존재하는 기체 전체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의 함유량이 30 ∼ 90 질량% 인,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4. 다음의 공정 (I) ∼ (III) :
    (I) 겔층 형성 성분과 물 (B) 을 혼합하여,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을 조제하는 공정
    (II) 얻어진 함수 겔을, 지지체층을 통과시킨 도공기에 의해 지지체 상에 전연하여, 지지체층이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형성하는 공정
    (III) 지지체층에 담지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기포를 함유하는 함수 겔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를 기체 난투과성 용기 내에 수용한 후,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밀봉하고, 탄산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 (A) 를 함유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217003341A 2018-10-05 2019-09-25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KR102542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0446 2018-10-05
JP2018190446 2018-10-05
PCT/JP2019/037449 WO2020071186A1 (ja) 2018-10-05 2019-09-25 容器入り身体貼付用粘着性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453A true KR20210027453A (ko) 2021-03-10
KR102542692B1 KR102542692B1 (ko) 2023-06-13

Family

ID=7005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41A KR102542692B1 (ko) 2018-10-05 2019-09-25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38712A1 (ko)
EP (1) EP3862008A4 (ko)
JP (1) JP7421296B2 (ko)
KR (1) KR102542692B1 (ko)
CN (1) CN112789049A (ko)
TW (1) TWI825181B (ko)
WO (1) WO2020071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4653A1 (ja) * 2021-06-15 2022-12-22 花王株式会社 身体貼付用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046A (ja) 2003-06-12 2005-01-06 Kao Corp 発泡性皮膚塗布剤
JP2005314298A (ja) 2004-04-28 2005-11-10 Kao Corp むくみ改善剤
JP2010202609A (ja) 2009-03-05 2010-09-16 Kao Corp 容器入り身体貼付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187A (ja) 1999-05-06 2000-11-21 Medion Research Laboratories Inc 二酸化炭素経皮・経粘膜吸収用組成物
AU2002362186A1 (en) * 2001-12-28 2003-07-24 Neochemir Inc. Carbon dioxide compositions for external us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215544B2 (ja) * 2006-08-25 2013-06-19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5226948B2 (ja) * 2006-12-14 2013-07-03 花王株式会社 積層シート及び身体貼付用シート
WO2009084234A1 (ja) * 2007-12-27 2009-07-09 Kao Corporation 身体貼付用シート剤
JP5856739B2 (ja) 2011-02-15 2016-02-10 花王株式会社 血行促進用身体化粧料
JP6006478B2 (ja) * 2011-07-08 2016-10-12 花王株式会社 皮膚血行促進化粧料
CN110430859B (zh) * 2017-03-31 2022-09-30 积水化成品工业株式会社 凝胶片
CN110545783B (zh) * 2017-04-04 2023-07-14 花王株式会社 身体化妆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046A (ja) 2003-06-12 2005-01-06 Kao Corp 発泡性皮膚塗布剤
JP2005314298A (ja) 2004-04-28 2005-11-10 Kao Corp むくみ改善剤
JP2010202609A (ja) 2009-03-05 2010-09-16 Kao Corp 容器入り身体貼付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186A1 (ja) 2020-04-09
JP7421296B2 (ja) 2024-01-24
TW202021631A (zh) 2020-06-16
TWI825181B (zh) 2023-12-11
KR102542692B1 (ko) 2023-06-13
EP3862008A4 (en) 2022-06-29
CN112789049A (zh) 2021-05-11
JP2020059697A (ja) 2020-04-16
US20210338712A1 (en) 2021-11-04
EP3862008A1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230B1 (ko) 발열구
US10857076B2 (en)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US20110071461A1 (en) Carbon dioxide external administration device
US10751265B2 (en)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CN102869326A (zh) 水蒸气产生温热器
JP6006478B2 (ja) 皮膚血行促進化粧料
KR102542692B1 (ko) 용기에 들어있는 신체 첩부용 점착성 시트
KR102655921B1 (ko) 신체 화장료
JP5548420B2 (ja) 発熱具
CN110545783B (zh) 身体化妆品
JP2006089459A (ja) シート状組成物
JP7213652B2 (ja) 下肢のセルフケア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