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008A - 접이식 단말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008A
KR20210027008A KR1020197006830A KR20197006830A KR20210027008A KR 20210027008 A KR20210027008 A KR 20210027008A KR 1020197006830 A KR1020197006830 A KR 1020197006830A KR 20197006830 A KR20197006830 A KR 20197006830A KR 20210027008 A KR20210027008 A KR 2021002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body
display screen
flexible disp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959B1 (ko
Inventor
위원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8Magne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접이식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컴퓨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단말기는 제 1 본체; 제 2 본체;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 1 자성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제 1 자성 어셈블리는 서로 흡인하는 제 1 자성체와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제 1 자성체는 제 1 본체 상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고, 제 2 자성체는 제 2 본체 상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본 개시는 접이식 단말기에 대해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단말기
본 개시는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굴곡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탑재된 단말기도 접혀질 수 있어야 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탑재된 단말기는 회전축 등과 같은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으며, 회전축의 복수의 동작 구조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가 실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음.
본 개시는 관련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이식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접이식 단말기를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기는,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서로 흡인하는 제 1 자성체와 제 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제 1 본체 상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제 2 본체 상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중의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의 위치는 서로 대향되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반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안은 이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 중의 동작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자성 어셈블리들 사이의 인력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이 실현되기 때문에, 회전축의 설계가 간단하고, 복수의 동작 구조의 제조 공차로 인해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고장을 피하여, 접힘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인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자동으로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접을 필요가 없다. 이리하여, 제 1 자성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는 과정에서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 등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와 전개를 실현할 때의 사용자가 그 과정 전반에 걸쳐 힘을 써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음.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합병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본 개시에 따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것이다. 당해 도면들은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그 예는 도면에 도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경우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의미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방법은 본 개시와 일치한 모든 실시 방법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상세하게 기술된 본 개시의 여러 양태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제 1 본체 (111), 제 2 본체 (112) 및 제 1 본체 (111)와 제 2 본체 (112)를 연결하는 회전축 (113)을 포함하는 본체 (110);
본체 (110)의 일측에 고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120); 및
서로 흡인하는 제 1 자성체 (131)와 제 2 자성체 (13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130)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 1 자성체 (131)는 제 1 본체 (111) 상의 회전 축 (113)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고, 제 2 자성체 (132)는 제 2 본체 (112) 상의 회전축 (113)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120)이 접힘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130) 중의 제 1 자성체 (131)와 제 2 자성체 (132)의 위치는 서로 대향되고,
제 1 본체 (111)와 제 2 본체 (112)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제 1 자성체 (131)와 제 2 자성체 (131) 사이의 인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120)이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된다.
그 중, 반 접힘 상태는 제 1 본체 (111)와 제 2 본체 (112) 사이의 협각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상태를 의미하고, 접힘 상태는 완전 접힘 및 기본적으로 완전 접힘 상태를 의미하며, 완전히 접힐 때에는 제 1 본체 (111)와 제 2 본체 (112) 사이의 협각이 0°와 동일하고, 기본적으로 완전히 접힐 때에는 제 1 본체 (111)와 제 2 본체 (112) 사이의 협각은 약 0°와 동일한 바, 즉, 협각이 0°에 접근한 아주 작은 각도 범위 내에 있다.
도 1에서는 두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130)를 포함하며, 제 1 자성체 (131)의 자성은 북극 (N)이며, 제 2 자성체 (132)의 자성은 남극 (S)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접이식 단말기에 따르면, 회전축 중의 동작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자성 어셈블리들 사이의 인력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이 실현되기 때문에, 회전축의 설계가 간단하고, 복수의 동작 구조의 제조 공차에 의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고장을 피하여, 접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인력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자동으로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접을 필요가 없다. 이리하여, 제 1 자성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는 과정에서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 등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와 전개를 실현할 때의 사용자가 그 과정 전반에 걸쳐 힘을 써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제 1 본체 (211), 제 2 본체 (212) 및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를 연결하는 회전축 (213)을 포함하는 본체 (210)를 구비한다.
그 중, 본체 (210)는, 단말기 중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 이외의 부품을 포함하며, 본체 (210)의 외부는 후면 케이스에 의해 커버되며, 그 내부에는 단말기 중의 메인 보드, 배터리, 안테나, 후방 카메라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체 (210)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 (210)는 회전축 (213)에 의해 두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중의 한 부분을 제 1 본체 (211)라고 칭하고, 다른 한 부분을 제 2 본체 (212)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에서 할당하는 본체 (210) 내부 부품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별의 편리를 위해, 도 1의 왼쪽 본체를 제 1 본체 (211)라고 칭하고, 오른쪽 본체를 제 2 본체 (212)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 (213)의 작용은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를 연결하는 것이며, 복수의 동작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를 기계적으로 실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 (213)의 설계는 비교적 간단하다. 즉, 제조 공차의 문제로 인해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고장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접힘 및 전개의 성공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접힘 및 전개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 (213)은 복수의 동작 구조를 포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전축 (213)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단말기의 외적인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축 (213)의 실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단말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은 본체 (210)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 중,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은 본체 (210) 상의 후방 케이스와 반대되는 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의 전체 화면은 본체 (210)의 일면을 커버하며,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전개된 상태에서는 전체적인 화면 디스플레이 효과가 있다.
단말기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한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는 서로 흡인하는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를 포함하고, 제 1 자성체 (231)는 제 1 본체 (211) 상의 회전축 (213)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며, 제 2 자성체 (232)는 제 2 본체 (212) 상의 회전축 (213)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한다.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 사이의 서로 간의 흡인은, 제 1 자성체 (231)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과, 제 2 자성체 (232)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이 서로 반대됨을 의미한다. 이하, 문구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제 1 자성체 (231)의 자성은 제 1 자성체 (231)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을 가리키며, 제 2 자성체 (232)의 자성은 제 2 자성체 (231)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을 가리킨다.
도 2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 상에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의 자성이 표기되어 있으며, 또한 제 1 자성체 (231)의 자성이 북극이고, 제 2 자성체 (232)의 자성이 남극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현할 시에는, 제 1 자성체 (231)의 자성을 북극으로 설정하고, 제 2 자성체 (232)의 자성을 남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 1 자성체 (23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는 제 2 자성체 (232)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접힘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 중의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의 위치가 서로 대향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 사이의 인력은 단말기의 측변에 평행되어, 단말기가 측변의 방향을 따라 접혀지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접힌 후의 단말기의 모양이 비교적 네모 반듯하게 되어 휴대가 편리하다.
각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 중의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 사이에는 자기 유도 선을 취집시키기 위한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기 유도 선이 더 취집될수록 자력이 더 커지므로,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 사이의 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의 자력의 크기 및 제 1 자성체 (23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는 인력 모멘트와 관련되며,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는 회전축 (213)을 기준으로 대칭되기 때문에, 이하, 제 1 자성체 (231)를 예로 들어 그 위치의 선택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자성체 (23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를 확정한 후, 제 1 본체 (211) 상에서 회전축 (213)과 상기 거리가 이격된 하나의 직선을 확정할 수 있으며, 제 1 자성체 (231)를 상기 직선 상에 배치하면 된다. 단말기가 한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를 포함하면 제 1 자성체 (231)를 직선의 중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단말기가 적어도 두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를 포함하면 적어도 두개의 제 1 자성체 (231)를 상기 직선 상에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단말기가 적어도 두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제 1 자성체 (231)의 자성이 동일할 수 있거나, 혹은 일부의 제 1 자성체 (231)의 자성이 동일하고, 다른 일부의 제 1 자성체 (231)의 자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단말기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한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는 서로 배척하는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를 포함하며, 제 3 자성체 (241)는 제 1 본체 (211) 상의 회전축 (213)에 근접한 일측에 위치하고, 제 2 자성체 (242)는 제 2 본체 (212) 상의 회전축 (213)에 근접한 일측에 위치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접힘 상태에 있으면,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는 서로 맞닿아 있는 위치 관계에 있다.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의 서로 간의 배척은, 제 3 자성체 (241)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과, 제 4 자성체 (242)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문구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제 3 자성체 (241)의 자성은 제 3 자성체 (241)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을 가리키며, 제 4 자성체 (242)의 자성은 제 4 자성체 (242)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을 가리킨다.
도 2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 상에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의 자성이 표기되어 있어며, 또한 제 3 자성체 (241)의 자성이 북극이고, 제 4 자성체 (242)의 자성이 북극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현할 시에는, 제 3 자성체 (241)의 자성을 남극으로 설정하고, 제 4 자성체 (242)의 자성을 남극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 3 자성체 (24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는 제 4 자성체 (242)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접힘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 중의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의 위치가 서로 대향된다. 이렇게 하여,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 사이의 척력은 단말기의 측변에 평행되며, 단말기가 측변의 방향을 따라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전개된 단말기의 모양이 비교적 네모 반듯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각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 중의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 사이에는 자기 유도 선을 취집시키기 위한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기 유도 선이 더 취집될수록 자력이 더 커지므로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 사이의 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의 자력의 크기 및 제 3 자성체 (24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는 척력 모멘트와 관련되며,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는 회전축 (213)을 기준으로 대칭되기 때문에, 이하 제 3 자성체 (241)를 예로 들어 그 위치의 선택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자성체 (24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를 확정한 후, 제 1 본체 (211) 상에서 회전축 (213)과 상기 거리가 이격된 하나의 직선을 확정할 수 있으며, 제 3 자성체 (241)를 상기 직선 상에 배치하면 된다. 단말기가 한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를 포함하면 제 3 자성체 (241)를 직선의 중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단말기가 적어도 두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를 포함하면 적어도 두개의 제 3 자성체 (241)를 상기 직선 상에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단말기가 적어도 두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제 3 자성체 (241)의 자성이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제 3 자성체 (241)의 자성이 동일하고, 다른 일부의 제 3 자성체 (241)의 자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 사이의 인력 모멘트는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 사이의 척력 모멘트보다 크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은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보다 크면, 인력 모멘트는 척력 모멘트보다 작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은 반 접힘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된다.
모멘트는 작용력에 힘팔을 곱하여 얻은 값과 동일하고, 작용력이 물체를 회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에 대해 제 1 자성체 (231)와 제 2 자성체 (232)의 자력을 조정하여 모멘트 중의 작용력을 조정할 수 있는 바, 즉 자속을 조정하는 것에 해당된다. 또는 제 1 자성체 (231)에서 회전축까지의 거리를 조정하여 모멘트 중의 힘팔을 조정함으로써 인력 모멘트에 대한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자성 어셈블리 (240)에 대해서도 제 3 자성체 (241)와 제 4 자성체 (242)의 자력을 조정하여 모멘트 중의 작용력을 조정할 수 있는 바, 즉 자속을 조정하는 것에 해당된다. 또는 제 3 자성체 (241)에서 회전축까지의 거리를 조정하여 모멘트 중의 힘팔을 조정함으로써 척력 모멘트에 대한 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자동으로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될 때 인력 모멘트가 너무 크면, 완전히 접혀질 때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에서 격렬한 충돌이 발생하여 단말기가 파괴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자동으로 반 접힘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될 때 척력 모멘트가 너무 크면, 전개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치에 따라 인력 모멘트와 척력 모멘트를 조정해야 하며, 이렇게 하여 단말기를 보호할뿐만 아니라, 양호한 촉감도 함께 실현할 수 있다.
협각이 각도 역치와 같으면 인력 모멘트와 척력 모멘트가 동일하여 단말기가 정지 상태에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로부터 알다시피, 각도 역치는 인력 모멘트와 척력 모멘트가 평형될 때의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의 각도 값이며, 경험치 또는 실험치일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 접힘 상태는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상태를 의미하는 바, 즉 도 2에 나타낸 상태이다. 접힘 상태는 완전 접힘 및 기본적으로 완전 접힘 상태를 의미하고, 완전히 접혀질 때의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은 0°와 동일한 바, 즉 도 3에 나타낸 상태이며, 기본적으로 완전히 접혀질 때의 제 1 본체 (111)와 제 2 본체 (112) 사이의 협각은 약 0°와 동일한 바, 즉 협각이 0°에 접근한 아주 작은 각도 범위 내에 있다. 전개 상태는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이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상태이다.
실현할 시,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각도가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으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을 전개 상태에서 완전 전개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의 완전 전개 상태는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 사이의 협각이 180°와 동일한 상태를 의미하는 바, 도 4와 5에 나타낸 상태이다. 그 중, 도 4는 그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그 정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의 사이의 협각은 180°이다.
옵션으로서, 단말기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한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250)는 서로 흡인하는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 를 포함하고, 제 5 자성체 (251)는 제 1 본체 (211)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과 대향되는 일측에 위치하며, 또한 회전축 (213)에 근접하고, 제 6 자성체 (252)는 제 2 본체 (212)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과 대향되는 일측에 위치하며, 또한 회전축 (213)에 근접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전개 상태에 있으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은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 사이의 인력 모멘트의 제어에 의해 전개 상태에서 완전 전개 상태로 전환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본체 (210)의 일측에 위치하면,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는 본체 (210)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며, 또한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는 모두 회전축 (213)에 근접한다.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의 서로의 흡인은, 제 5 자성체 (251) 상의 회전축 (213)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과, 제 6 자성체 (252) 상의 회전축 (213)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이 서로 반대됨을 의미한다. 이하, 문구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제 5 자성체 (251)의 자성은 제 5 자성체 (251) 상의 회전축 (213)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을 가리키며, 제 6 자성체 (252)의 자성은 제 6 자성체 (252) 상의 회전축 (213)에 근접한 일측의 자성을 가리킨다.
제 5 자성체 (251)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는 제 6 자성체 (252)와 회전축 (21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이 완전 전개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250) 중의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의 위치가 서로 대향된다. 이렇게 하여,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 사이의 인력은 단말기의 측변에 평행되며, 단말기가 측변의 방향을 따라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접힌 후의 단말기의 모양이 비교적 네모 반듯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각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250) 중의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 사이에는 자기 유도 선을 취집시키기 위한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기 유도 선이 더 취집될수록 자력이 더 커지므로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 사이의 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에서 제 5 자성체 (251)의 자극이 북극이고, 제 6 자성체 (252)의 자극이 남극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220)의 배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6에서 점선으로 제 5 자성체 (251)와 제 6 자성체 (252)를 나타낸다. 실현할 시에는, 제 5 자성체 (251)의 자성을 남극으로 설정하고, 제 6 자성체 (252)의 자성을 북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적어도 두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250)를 포함하면, 모든 제 5 자성체 (251)의 자성이 동일할 수 있거나, 혹은 일부의 제 5 자성체 (251)의 자성이 동일하고, 다른 일부의 제 5 자성체 (251)의 자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회전축 등의 기계적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를 실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힘쓰기를 중지하면 단말기는 상기 어느 위치에서 정지되며, 보조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이 비교적 차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성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를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 등의 기계적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를 실현할 경우, 기계적 구성 문제로 인해 단말기가 완전히 접혀지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전개되지 않을 수 있기에,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완전한 접힘을 확보할 수 있고, 제 3 성 어셈블리 (250)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완전한 전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210)가 하나의 제 1 본체 (211)와 하나의 제 2 본체 (212)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는 바,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그 중,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의 크기의 동일함은, 제 1 본체 (211)와 제 2 본체 (212)의 길이와 폭이 모두 대응되게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때 접힌 후의 단말기의 크기는 전개된 단말기의 크기의 절반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고하면, 본체 (210)가 두개의 제 1 본체 (211)를 포함할 경우 두개의 제 1 본체 (211)는 각각 제 2 본체 (212)의 양단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210)가 두개의 제 1 본체 (211)를 포함할 경우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크기의 합계는 제 2 본체 (212)의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2 본체 (212)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제 2 본체 (212)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그 중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크기의 합계가 제 2 본체 (212)의 크기와 동일한 것은,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폭이 각각 제 2 본체 (212)의 폭과 동일하며, 또한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길이의 합계가 제 2 본체 (212)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크기의 합계가 제 2 본체 (212)의 크기와 같을 경우,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크기가 동일하면 두개의 제 1 본체 (211)의 크기는 모두 제 2 본체 (212)의 크기의 절반이며,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도 8의 대응되는 두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는 하나의 제 2 자성체 (232)를 공유하지 않으며, 도 9의 대응되는 두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230)는 하나의 제 2 자성체 (232)를 공유한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접이식 단말기에 따르면, 회전축 중의 동작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를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자성 어셈블리들 사이의 인력 및 제 2 자성 어셈블리들 사이의 척력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 및 전개를 실현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설계가 간단하고, 복수의 동작 구조의 제조 공차에 의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고장을 피하여, 접힘 및 전개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인력 모멘트가 척력 모멘트보다 크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자동으로 반 접힘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접을 필요가 없다. 제 1 본체와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보다 크면 인력 모멘트가 척력 모멘트보다 작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자동으로 반 접힘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개할 필요가 없다. 이리하여, 제 1 자성 어셈블리와 제 2 성 어셈블리는 단말기를 접는 과정과 전개하는 과정에서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기에, 회전축 등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단말기의 접힘와 전개를 실현할 때의 사용자가 그 과정 전반에 걸쳐 힘을 써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다.
각 그룹의 자성 어셈블리 중의 2 개의 자성체의 위치는 서로 대향되기 때문에, 단말기가 측변의 방향을 따라 접혀지거나 또는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 그룹의 자성 어셈블리 중의 두개의 자성체 사이에는 자기 유도 선 을 취집할 수 있는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자성체 사이의 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한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전개 상태에서 완전 전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0 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말기(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0)는, 휴대 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디바이스, 게임 콘솔, 태블릿 디바이스, 의료 기기, 피트니스 장치,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 등일수 있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 메모리(1004), 전원 어셈블리(10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 오디오 어셈블리(10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012), 센서 어셈블리(1014) 및 통신 어셈블리(1016)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020)를 구비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트렉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 사이의 인트렉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0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단말기(1000)의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단말기(10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연락인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0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006)는 단말기(10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어셈블리(10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단말기(1000)의 전력 생성, 관리 및 분배에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는 상기 단말기(10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바, 상기 스크린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모니터(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상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단말기(10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매개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적 주밍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하나의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단말기(10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진일보 메모리(10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016)를 통하여 송신될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하나의 스피커가 더 포함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용된다.
I/O 인터페이스(10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조절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단말기(10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014)는 단말기(1000)의 온/오프 상태,단말기(10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 같은 어셈블리의 상대 위치 지정을 검출할 수 있다.센서 어셈블리(1014)는 단말기(1000) 혹은 단말기(10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단말기(1000)사이의 접촉여부, 단말기(10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단말기(10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016)는 단말기(1000)와 기타 장치 사이에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10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 표준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0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0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전파식별(RFID) 기술, 국제 적외선 데이터 통신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1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10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단말기(1000)의 프로세서(10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여 본 개시를 실현한 후, 본 개시의 기타 실시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커버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또한 본 개시에서 개시되지 않은 당업계의 공지 상식 또는 통상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지적된다.
본 개시는 상기에 기술되고 또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실현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9)

  1.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서로 흡인하는 제 1 자성체와 제 2 자성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제 1 본체 상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제 2 본체 상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중의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의 위치는 서로 대향되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각도 역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반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배척하는 제 3 자성체와 제 4 자성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3 자성체는 상기 제 1 본체 상의 상기 회전축과 근접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4 자성체는 상기 제 2 본체 상의 상기 회전축과 근접한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 3 자성체와 상기 제 4 자성체는 서로 맞닿아 있는 위치 관계에 있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상기 각도 역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 사이의 인력 모멘트는 상기 제 3 자성체와 상기 제 4 자성체 사이의 척력 모멘트보다 크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반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접힘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 사이의 협각이 상기 각도 역치보다 크면, 상기 인력 모멘트는 상기 척력 모멘트보다 작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반 접힘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흡인하는 제 5 자성체와 제 6 자성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5 자성체는 상기 제 1 본체 상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대향되는 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과 근접하며, 상기 제 6 자성체는 상기 제 2 본체 상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대향되는 일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과 근접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완전 전개 상태에 있으면, 각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중의 상기 제 5 자성체와 상기 제 6 자성체의 위치는 서로 대향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전개 상태에 있으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 5 자성체와 상기 제 6 자성체 사이의 인력 모멘트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개 상태에서 완전 전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제 3 자성 어셈블리 중의 상기 제 5 자성체와 상기 제 6 자성체 사이에 자기 유도 선을 취집시키기 위한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제 1 자성 어셈블리 중의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 사이에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거나,
    및 / 혹은,
    각 그룹의 제 2 자성 어셈블리 중의 제 3 자성체와 상기 제 4 자성체 사이에 자기 차폐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자기 차폐 시트는 자기 유도 선을 취집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하나의 제 1 본체와 하나의 제 2 본체를 포함하면,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두개의 제 1 본체를 포함하면, 상기 두개의 제 1 본체는 각각 상기 제 2 본체의 양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제 1 본체의 크기의 합계는 상기 제 2 본체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제 1 본체의 크기는 모두 상기 제 2 본체의 크기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단말기.
KR1020197006830A 2018-07-16 2018-09-27 접이식 단말기 KR102492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75832.9A CN110730255A (zh) 2018-07-16 2018-07-16 可折叠的终端
CN201810775832.9 2018-07-16
PCT/CN2018/108034 WO2020015185A1 (zh) 2018-07-16 2018-09-27 可折叠的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008A true KR20210027008A (ko) 2021-03-10
KR102492959B1 KR102492959B1 (ko) 2023-01-30

Family

ID=6609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830A KR102492959B1 (ko) 2018-07-16 2018-09-27 접이식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71126B2 (ko)
EP (1) EP3598266A1 (ko)
JP (1) JP7369035B2 (ko)
KR (1) KR102492959B1 (ko)
CN (1) CN110730255A (ko)
RU (1) RU2728288C1 (ko)
WO (1) WO20200151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31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33542A1 (ko) * 2021-08-31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4010341A1 (ko) * 2022-07-04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석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18B1 (ko) * 2012-01-03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DE112018007747T5 (de) * 2018-12-18 2021-04-08 Intel Corporation Systeme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Öffnen aufklappbarer Bauelemente elektronischer Vorrichtungen
KR20200101791A (ko) 2019-02-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장치
KR20200127744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히든 댐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20220147100A1 (en) * 2019-07-25 2022-05-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ldable computing device
US11169573B2 (en) * 2019-12-23 2021-1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positioning assembly
CN111459228A (zh) * 2020-03-31 2020-07-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开合方法
NL2025586B1 (en) * 2020-05-14 2021-1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gnetic closure system for a device
CN113539107B (zh) 2021-07-23 2023-09-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3676577B (zh) * 2021-08-17 2024-04-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设备
CN114338870A (zh) * 2021-12-21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464090B (zh) * 2022-01-26 2023-0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810802B (zh) * 2022-04-21 2023-05-23 荣耀终端有限公司 转轴组件和可折叠装置
CN115695604B (zh) * 2022-09-29 2023-08-08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屏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6848A1 (en) * 2004-04-27 2005-10-27 Lg Electronics Inc. Latch device in portable computer
CN105491194A (zh) * 2015-12-29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KR20160112090A (ko) * 2015-03-17 2016-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69115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20170086369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6547121U (zh) * 2016-03-10 2017-10-10 吕岳川 一种包括柔性显示屏的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5004B (en) * 2005-08-16 2007-03-01 Asustek Comp Inc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583500B2 (en) * 2005-12-13 2009-09-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agnetic latching mechanism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7593524B2 (en) * 2006-11-27 2009-09-22 Nokia Corporation Hinge arrangement
US20080278269A1 (en) * 2007-05-10 2008-11-13 Ernesto Ramirez System and Method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rticulated Magnetic Latch
KR20090036191A (ko) * 2007-10-09 2009-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TWI340618B (en) * 2007-10-23 2011-04-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US20100238620A1 (en) * 2009-03-23 2010-09-23 Ram David Adva Fish Magnetic Notebooks and Tablets
US9338265B2 (en) * 2011-12-29 2016-05-10 Intel Corporation Mobile device to operate in tablet mode and phone mode
US9064654B2 (en) *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8705229B2 (en) * 2012-04-25 2014-04-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old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magnet
US8947874B2 (en) * 2012-06-08 2015-02-03 Bartley K. Andre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a housing secured by a magnetic element and related method
KR101991940B1 (ko) * 2012-08-08 201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CN103729026B (zh) * 2012-10-16 2017-09-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保护盖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CN108491107B (zh) * 2015-12-29 2021-11-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207184560U (zh) * 2017-09-05 2018-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及其折叠机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6848A1 (en) * 2004-04-27 2005-10-27 Lg Electronics Inc. Latch device in portable computer
KR20160112090A (ko) * 2015-03-17 2016-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69115A (ko) * 2015-12-10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CN105491194A (zh) * 2015-12-29 2016-04-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终端
KR20170086369A (ko) * 2016-01-18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6547121U (zh) * 2016-03-10 2017-10-10 吕岳川 一种包括柔性显示屏的移动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31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033542A1 (ko) * 2021-08-31 2023-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4010341A1 (ko) * 2022-07-04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석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959B1 (ko) 2023-01-30
EP3598266A1 (en) 2020-01-22
WO2020015185A1 (zh) 2020-01-23
CN110730255A (zh) 2020-01-24
US20200019215A1 (en) 2020-01-16
RU2728288C1 (ru) 2020-07-29
US10671126B2 (en) 2020-06-02
JP7369035B2 (ja) 2023-10-25
JP2022503244A (ja)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959B1 (ko) 접이식 단말기
US9813629B2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hotographing system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by using multipl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s thereof
CN207304636U (zh) 移动终端
KR10178545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483029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154325A1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6319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6318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426484B2 (ja) 携帯端末
CN208739154U (zh) 可折叠的终端
JP2007017596A (ja) 携帯端末装置
KR1020191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4838A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20110042856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방법,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KR201500841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799522A (zh) 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80994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5002526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14430431A (zh) 一种可折叠电子设备
JP6372078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201288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66078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00043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74911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82624A (ja)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