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932A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932A
KR20210026932A KR1020190108402A KR20190108402A KR20210026932A KR 20210026932 A KR20210026932 A KR 20210026932A KR 1020190108402 A KR1020190108402 A KR 1020190108402A KR 20190108402 A KR20190108402 A KR 20190108402A KR 20210026932 A KR20210026932 A KR 20210026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clothing
disposed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연수
서지호
이재복
이호진
주석호
황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932A/ko
Priority to PCT/KR2020/011436 priority patent/WO2021045439A1/ko
Priority to US17/009,274 priority patent/US11371183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4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power-actu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hi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지지장치는 제 1지지부재와,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지지부재 및 제 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제 2지지부재 및 제 3지지부재와 제 1방향으로 제 1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이격 거리는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제 2지지부재와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제 3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이격 거리는 가변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다림질하여 의류를 관리하는 의류 관리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세탁물 등을 세탁 또는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추가적으로 의류 등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와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를 통해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 때 의류에 텐션을 주기위해 의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의류가 다수개의 고정부에 고정된 후 스팀에 의해 구김이 제거될 수 있는데 이 때 다수개의 고정부에 의류가 고정되면서 스팀이 의류의 전체적으로 공급되지 못하거나 의류가 포개지면서 일부 구김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김 제거의 효율을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의류를 용이하게 의류 관리기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의류 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지지부재 및 제 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이격 거리는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3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이격 거리는 가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사이의 제 3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가 각각 상기 제 3방향과 상기 제 4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이격 거리와 상기 제 2이격 거리는 각각 증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의를 지지하는 바디와, 상의의 전(前)부가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 1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부는 제 1고정체와, 상기 제 1고정체가 상기 제 1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제 1고정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고정체는 상기 제 1고정체와 상기 바디 사이에 의류의 전(前)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고정체의 전면과 상기 바디의 전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부는 상의의 칼라(collar)측이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3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의의 칼라측 전(前)부가 상기 제 1지지영역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 2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전(前)부는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평면 상측에 배치되고 하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바디의 평면이 상기 본체의 내면과 인접하게 마주하도록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평면이 상기 내면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바디의 평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의류의 소매측을 고정하는 소매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매 고정부는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1방향 및 제 2방향과 직교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소매 고정부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소매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매 고정부는 의류의 소매가 상기 중심체와 상기 소매 고정체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구동체에 연동되어 각각 상기 제 3방향과 상기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방향 및 제 4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각각의 돌기가 가이드될 시 상기 레일을 따라 각각 상기 제 3방향과 상기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의 및 하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에 배치되고 상의의 내측에서 상의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기 제 1지지부재 상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하의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사이의 제 3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기 지지 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의의 전(前)부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가 상기 제 3방향 및 상기 제 4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지지장치가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2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사이의 제 3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접히거나 가려지는 부분 없이 구김 제거에 필요한 물리력을 의류에 용이하게 전달하고, 스팀을 의류 전체에 분사하여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기계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지지장치에서 제 2지지부재와 제 3지지부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고정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소매 고정부의 소매 고정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소매 고정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에 상의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상의의 소매가 소매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소매 고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고정부에 상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 장치에 상의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제 2지지부재가 제 2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하의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관리기의 기계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과,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지지장치(10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31)가 구비되는 기계실(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5참고)
본체(10)는 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다. 도어(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 링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후측 방향을 제 1방향(X)이라고 정의할 시 본체(10)의 개구는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도어(20)는 본체(10)에서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00)는 의류가 거치되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1지지부재(110)에 대해 제 1방향(X)으로 배치되는 제 2지지부재(120a) 및 제 3지지부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장치(100)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 및 제 3지지부재(120b)를 지지하는 프레임(10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1)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 및 제 3지지부재(120b)의 하측을 지지하고 지지 장치(11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제 1방향(X)과 제 1방향(X)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Y) 사이에 형성되는 제 3방향(A)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제 2지지부재(120a)는 제 1방향(X)에 대해 예각으로 틸팅(tilting)되는 제 3방향(A)으로 병진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3방향(A)은 제 1방향(X)에 대해 0도 이상 9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이다.
(120a)(120a)(120a)제 3지지부재(120b)는 제 1방향(X)을 중심으로 제 3방향(A)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B)을 향해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와 제 3지지부재(120b)는 제 1방향(X)을 중심으로 선대칭으로 병진 이동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한 쌍의 제 2지지부재(120a)와 제 3지지부재(120b) 중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는 제 2지지부재(120a)를 기준으로 제 2지지부재(120a) 및 제 3지지부재(12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20a)(120a)지지 장치(100)는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3방향(A)으로 병진 이동되도록 제 2지지부재(120a)를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부(140)는 프레임(10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구동부(140)는 구동 모터(145, 도 10참고)와 구동 모터(145)에 연결되는 샤프트(142)와 구동 모터(145)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통해 제 1방향(X)으로 병진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구동체(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구동체(141)와 연결되는 돌기(122)에 의해 구동체(141)와 연동되어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제 1구동부(140)는 제 3방향(A) 및 제 4방향(B)으로 연장되는 레일(144a,144b, 이하 제 3방향(A)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레일(144a)에 대하여만 설명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44)은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3방향(A)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제 2지지부재(120a)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레일(144)이 삽입되어 제 2지지부재(120a)가 레일(144)을 따라 제 3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체(141)는 돌기(122)가 삽입되어 구동체(141)에 연동되어 제 2지지부재(120a)가 병진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슬릿(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부(140)의 구동 동작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 1지지부재(110)는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는 바람직하게 인체의 목과 가슴 및 복부를 포함한 몸통의 전(前)부과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의류에 장력을 전달하면서 의류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바람직하게 인체의 등을 포함하는 몸통의 후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상의를 입히는 방식으로 의류를 지지장치(10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즉,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는 상의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는 상의의 적어도 일부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씌워지는 형태로 상의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는 상의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씌워질 시 상의의 칼라(collar)측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바디 상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상부(112)는 인체의 목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의의 칼라 측 또는 상측이 지지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는 바디 상부(112)에서 제 1방향(X)에 배치되고 제 1방향(X)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4지지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 상부(112)는 상의의 칼라 측 또는 상의의 상측을 지지하는데 제 4지지부재(116)는 칼라 측 또는 상의의 상측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111)는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 1지지부재(110)에 지지될 수 있는 하의의 구김을 제거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의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씌워지는 방식으로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상의의 전(前)부가 개방되는 셔츠와 같은 상의의 경우 지지 장치(100)에 고정되지 못하고 지지 장치(100)에 지지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지지부재(110)는 상의의 전(前)부가 바디(111)에 고정되도록 바디(111)에서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 1고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의의 칼라 측의 전(前)부가 고정되어 제 4지지부재(116)에 의해 상의의 칼라 측 또는 상의의 상측에 장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제 1지지부재(110)는 바디 상부(112)에서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 2고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는 상의뿐만 아니라 하의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는 하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제 1지지부재(110)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홈(119)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홈(119)은 평면부(1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의 및 하의가 제 1지지부재(110)에 지지되고 구김이 제거되는 특징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의류의 소매 측을 고정시키는 소매 고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는 제 1방향(X)과 직교되는 제 5방향(Z)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소매 고정부(40)는 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는 의류의 소매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의류의 소매측에 장력을 전달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양 측면(12)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30)은 본체(10)의 하측, 자세하게는 의류 관리실(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30)은 본체(10)의 일부로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30) 내부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기(31)와 스팀 발생기(31)에서 발생된 스팀을 의류 관리실(11)로 공급하는 공급팬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팀 발생기(31)에서 발생된 스팀은 공급팬 유닛(32)으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공급팬 유닛(32)으로 유동된 스팀은 공급팬 유닛(32) 내부에 배치되는 팬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의류 관리실(11)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급팬 유닛(32)은 본체(10)의 하면(13)에 형성된 공급홀(13a)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4참고)
공급홀(13a)은 의류 관리실(11)과 기계실(30) 내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0)의 전면에는 기계실(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급수통(35)이 설치될 수 있다. 급수통(35)은 스팀 발생기(31)와 연결되고 스팀발생기(31)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기계실(30)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은 공급홀(13a)을 통해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유입되고 지지 장치(100)에 지지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급팬 유닛(32) 내부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팬 유닛(32)은 히터(33)에 의해 형성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의류 관리실(11)에 공급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에 스팀이 공급되어 의류의 구김 제거가 종료된 후,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함이다.
기계실(30) 내부에는 스팀의 공급으로 다습한 의류 관리실(11) 내부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흡입팬 유닛(34)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팬 유닛(34)은 본체(10)의 하면(13)에 형성된 흡입홀(13b)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4참고)
흡입홀(13b)은 의류 관리실(11)과 기계실(30) 내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팬 유닛(34)의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이 마련되어 흡입홀(13b)을 통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다습한 공기를 흡입팬 유닛(34)으로 흡입할 수 있다.
흡입팬 유닛(34)은 기계실(30)의 전면에 형성되는 토출구(37)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팬 유닛(34)에 의해 흡입된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는 흡입팬 유닛(34)을 통해 토출구(37)로 토출되어 의류 관리기(1)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흡입팬 유닛(34)의 하부 및 기계실(30)의 전면에는 배수통(36)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잔존되는 다습한 공기가 흡입팬 유닛(34)으로 유입되면서 일부 공기 중의 물이 응축될 수 있는데 배수통(36)은 이에 의해 형성된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통(35)과 배수통(36)은 기계실(3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급수통(35) 또는 배수통(36)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운 위치라면 어느 곳이든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30) 내부에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보조팬 유닛(38)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팬 유닛(38)은 보조팬 유닛(38)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 공급팬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보조팬 유닛(38)의 추가적인 공기의 공급을 통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의 유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팬 유닛(32)이 스팀을 공급할 시 또는 건조한 공기를 공급할 시, 보조팬 유닛(38)은 스팀 또는 건조한 공기가 의류 관리실(11) 내부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팬 유닛(38)은 본체(10)의 하면(13)에 형성된 보조홀(13c)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4참고)
보조홀(13c)은 의류 관리실(11)과 기계실(30) 내부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의류 관리실(11)에 스팀이 제공될 시 의류 관리실(11) 전체에 스팀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장치(100)에 지지되는 의류에도 스팀이 의류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구김 제거의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종래의 구김 제거 장치의 경우 지지장치에서 스팀이 제공되어 의류의 일부에 스팀이 공급되지 못하거나 노즐 등에 의해 지지장치 외측에서 스팀이 제공되어 의류 전체에 스팀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의 경우 의류 관리실(11) 전체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배치되는 의류에 스팀이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의류 관리실(11)은 도어(20)에 의해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바 종래와 같이 의류 관리실 없이 외부에서 스팀을 제공하는 장치와 달리 스팀의 누수 없이 효율적으로 의류에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가 의류에 장력을 전달하면서 의류를 지지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지지장치에서 제 2지지부재와 제 3지지부재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실(11)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에 구김을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의류에 장력이 전달되어 의류가 구김 없이 펴진 상태에서 스팀이 제공되어야 한다.
종래의 의류 관리기의 경우 의류에 장력을 전달하기 위해 의류를 지지하는 다수의 홀더를 포함하고 다수의 홀더가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데, 이 때 홀더의 개수가 많아서 의류의 일부가 접히거나 중첩되게 배치되어 구김이 제거되지 못하거나 스팀이 충분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의류 관리기의 경우 상의의 칼라의 주름을 제거하기가 어렵거나 상의의 칼라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번거롭게 다수의 홀더에 상의의 칼라를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관리기의 경우 상의의 소매 및 소매에서부터 어깨부분의 주름을 제거하기가 어렵거나 상의의 소매 및 소매에서부터 어깨부분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번거롭게 다수의 홀더에 상의의 칼라를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의류 관리기의 경우 대부분 상의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포함하여 하의의 주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최소의 구성으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지지부재(110)는 상의뿐만 아니라 하의가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지지부재(110)를 통해 상의 및 하의의 주름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정된 제 1지지부재(110)에 대해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3방향(A)으로 병진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씌워지는 상태로 고정되어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면서 의류의 내측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의류에 장력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의류의 전방측은 공정된 제 1지지부재(110)에 의해 고정되고 의류의 후방측이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의류의 전방측은 제 1지지부재(110)에 의해, 의휴의 후방측은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텐션(tension)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는 구김이 제거되고 전체적으로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지지장치(1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지지부재(120a)가 의류의 내측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팀발생기기(31)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에 스팀이 공급되면 의류에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장력이 전달되는 상태에서 스팀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의류의 구김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지지 장치(1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상태(100A)가 될 수 있다.
지지장치(100)가 제 1상태(100A)일 시 사용자는 용이하게 지지장치(100)에 상의를 씌울 수 있다. 이 때, 제 2지지부재(120a)는 제 1지지부재(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위치(120(A))에 배치되고, 바디 상부(112)에 배치되는 제 4지지부재(116) 또한 바디 상부(11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위치(116(A))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4지지부재(116) 또한 제 1지지부재(110)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의류 특히 상의를 지지장치(100)에 용이하게 입히는 방식으로 지지장치(100)에 상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의가 지지 장치(100)에 고정된 후 제 2지지부재(120a)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제 1구동부(140)에 의해 제 3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제 1구동부(1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를 닫고 구김제거 행정을 시작하기 위해 입력부(미도시)에 시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전달받고 제 1구동부(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 1구동부(140)는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3방향(A)으로 이동되어 상의에 소정의 크기의 장력이 발생하도록 제 1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의류 관리기(1)는 상의에 발생되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의류에 전달되는 장력의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미도시)의 측정값을 통해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계산하여 제 1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미도시)의 측정값이 소정의 값에 도달될 시 제어부(미도시)는 제 1구동부(140)가 제 2지지부재(120a)를 제 3방향(A)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 후 제어부(미도시)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도록 스팀발생기(31)와 공급팬 유닛(32)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미도시)는 제 1구동부(140)의 구동 모터(145)를 구동시켜 제 2지지부재(120a)가 레일(144)을 따라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제 1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레임(101) 내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145)는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 모터(145)와 연결되는 샤프트(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샤프트(142)는 구동 모터(145)의 회전축과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구동 모터(145)에 의해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체(141)는 샤프트(142)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샤프트(142)와 구동체(141)는 나선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42)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시 구동체(141)는 나선을 통해 제 1방향(X)으로 전진할 수 있으며, 샤프트(14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시 구동체(141)는 나선을 통해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활 수 있다.
즉, 구동체(141)는 구동모터(145)의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의 회전을 통해 제 1방향(X)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구동체(141)는 제 2지지부재(120a)의 돌기(122)가 삽입되는 슬릿(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122)는 제 2지지부재(120a)의 가이드(12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체(141)가 제 1방향(X)으로 이동될 시 슬릿(143)에 삽입된 돌기(122)는 구동체(141)의 제 1방향(X)으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 1방향(X)으로 가압될 수 있다.
돌기(122)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제 2지지부재(120a)의 가이드(121)는 돌기(122)가 가압되는 방향인 제 1방향(X)으로 가압되고 가이드(121)는 1방향(X)에서 대각선 방향인 제 3방향(A)으로 연장되는 레일(144)을 따라 제 3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2지지부재(120a)는 제 1구동부(140)에 의해 구동체(141)의 제 1방향(X)으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 3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1방향(X)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된 제 1지지부재(110)와 이격 배치되고 상의의 내측을 제 1방향(X)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장치(100)는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1지지부재(110)로부터 이격되고 제 3방향(A)으로 이동되어 상의의 내측을 가압하는 제 2상태(100B)가 될 수 있다.
지지 장치(100)가 제 2상태(100B)일 시 제 2지지부재(120a)는 제 1지지부재(110)에 대해 제 3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지지부재(120a)는 상의의 내측에 소정의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만큼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는 제 2위치(120(B))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상의의 내측이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제 3방향(A)을 향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상의에 장력이 전달되어 상의가 팽팽한 상태로 지지 장치(1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8 참고)
또한 지지 장치(100)가 제 2상태(100B)일 시 제 4지지부재(116)는 제 1지지부재(110)에 대해 제 1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4지지부재(116)는 상의의 상부 또는 상의의 칼라측 내부에 소정의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만큼 제 1방향(X)으로 이동되는 제 2위치(116(B))까지 이동될 수 있다.
즉, 지지 장치(100)가 제 2상태(100B)일 시 제 2지지부재(120a)와 제 4지지부재(116)는 의류에 소정의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만큼 고정된 제 1지지부재(110)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장치(100)가 제 2상태(100B)일 시 제어부(미도시)는 상의에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스팀이 공급되도록 스팀 발생기기(31)를 제어할 수 있다.
소정의 기간 동안 스팀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의의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미도시)는 스팀 발생기기(31)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히터(33)를 가동하여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고온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히터(33) 및 공급팬 유닛(32)을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미도시)는 흡입팬 유닛(34)을 가동하여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습한 공기를 제거하도록 마련되고 의류 관리기(1)의 구김 제거 행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의류 관리기(1)의 구김 제거 행정이 종료될 시, 제어부(미도시)는 지지 장치(100)가 다시 제 1상태(100A)로 복귀되도록 제 2지지부재(120a)를 제 1위치(120(A))로 이동시키도록 제 1구동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 4지지부재(116)가 다시 제 1위치(116(A))로 복귀하도록 제 4지지부재(116)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지지부재(120a)가 제 2위치(120(B))에서 제 1위치(120(A))로 이동될 시 구동 모터(14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 모터(14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샤프트(142)는 연동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체(141)는 이에 따라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구동체(141)의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 3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시 제 1위치(120(A))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구동부(14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제 2지지부재(120a)를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 1구동부(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제 1구동부(140)를 조정하여 제 2지지부재(120a)가 소정의 거리만큼 제 3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제 1구동부(140)를 직접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미도시)에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 모터(145)가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모터(145)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4지지부재(116)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 1방향(X)으로의 병진 이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 4지지부재(116)를 제 1방향(X)으로 가압하거나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4지지부재(116)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지지부재(120a)는 단순하게 제 1방향(X) 또는 제 1방향(X)에 직교되는 제 5방향(Y)으로 이동되지 않고 2-dimension인 제 3방향(A) 및 이에 선 대칭되는 제 4방향(B)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의가 인체의 상체에 입혀졌을 때 전달받는 장력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 2지지부재(120a)가 상의에 장력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의가 지지 장치(100)에 지지되어 의류 관리 행정이 진행될 시, 상의는 지지 장치(100)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상의가 인체에 입혀졌을 시 형성될 수 있는 구김을 효과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제 2지지부재(120a) 및 제 3지지부재(120b)와 제 1방향(X)으로 제 1지지부재(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이격 거리(d1)는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부재(120a)와 제 2방향(Y)으로 제 3지지부재(120b)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이격 거리(d2)는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지지장치(100)가 제 1상태(100A)일 시 제 1이격 거리(d1)와 제 2이격거리(d2)는 최소값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지장치(100)가 제 2상태(100B)일 시 제 1이격 거리(d1)와 제 2이격거리(d2)는 각각 최대값(d1', d2')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이격 거리(d1)와 제 2이격 거리(d2)는 가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에 대해 제 2지지부재(120a)와 제 3지지부재(120b)가 각각 제 3방향(A)과 제 4방향(B)으로 이동되면서 제 1이격 거리(d1)와 제 2이격 거리(d2)는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지지부재(110)가 제 2지지부재(120a)와 제 3지지부재(120b)에 대해 제 1방향(X) 및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지지부재(110)의 이동을 통해 제 1이격 거러(d1)와 제 2이격 거리(d2)가 가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이격 거리(d1)와 제 2이격 거리(d2)가 가변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의에 장력을 전달하여 구김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의가 지지 장치(100) 및 소매 고정부(40)에 고정되는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고정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소매 고정부의 소매 고정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소매 고정부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츠와 같이 전(前)부가 개방된 상의의 경우 단순하게 지지 장치(100)에 상의를 씌우는 형태로 지지 장치(100)에 상의가 고정될 수 없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츠와 같은 타입의 상의를 지지 장치(100)에 고정시키도록 제 1지지부재(110)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상의의 전(前)부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고정부(114)와 상의의 칼라측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제 2고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부(114)는 제 1고정체(114a)와 제 1고정체(114a)가 제 1방향(X)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제 1고정체(114a)를 제 1방향(X)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114b)를 포함할 수 있다.(도 7참고)
제 1고정부(114)는 바디(111)의 평면부(1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부(114)는 바디(111)의 평면부(113)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고정체(114a)를 제 1방향(X)과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고정체(114a)가 평면부(113)의 홈에서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고정체(114a)는 제 1탄성부재(114b)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바 사용자의 가압이 종료될 시 다시 제 1방향(X)으로 이동되어 평면부(113)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고정체(114a)을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시 제 1고정체(114a)와 평면부(113)의 홈 사이에는 제 1이격(114c)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고정체(114a)을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시 형성되는 제 1이격(114c)에 상의의 전(前)부를 삽입하고 제 1고정체(114a)에 대한 가압을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상의의 전(前)부는 제 1고정체(114a)와 평면부(113)의 홈 사이에 배치되고 제 1탄성부재(114b)에 발생하는 제 1고정체(114a)의 제 1방향(X)으로의 가압에 의해 제 1고정체(114a)와 평면부(113)의 홈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의의 전(前)부가 제 1고정부(114)에 의해 고정되어 상의는 지지 장치(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 1고정체(114a)의 전면과 평면부(113)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고정체(114a)가 제 1방향(X)으로 바이어스될 시 제 1고정체(114a)의 전면과 평면부(113)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으나 하의가 고정 홈(119)에 삽입되어 제 1지지부재(110)에 지지될 시 하의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 1고정부(114)와 유사한 형태로 제 2고정부(115)는 상의의 칼라 측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고정부(115)는 제 2고정체(115a)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고정체(115a)을 제 1방향(X)으로 바이어스하는 제 2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고정체(115a)을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시 제 2고정체(115a)와 바디 상부(112)의 홈 사이에는 제 2이격(115c)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고정체(115a)을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시 형성되는 제 2이격(115c)에 칼라측을 삽입하고 제 2고정체(115a)에 대한 가압을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상의의 칼라측은 제 2고정체(115a)와 바디 상부(112)의 홈 사이에 배치되고 제 2탄성부재(미도시)에 발생하는 제 2고정체(115a)의 제 1방향(X)으로의 가압에 의해 제 2고정체(115a)와 바디 상부(112)의 홈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칼라측이 제 2고정부(1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4지지부재(116)가 제 1방향(X)으로 이동되어 칼라측의 내부를 가압함에 따라 칼라측의 구김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를 통해 상의의 구김이 전체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롱 슬리브(long-sleeve) 타입의 상의의 경우 의류의 소매측에서부터 어깨측 사이의 구김은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를 통해 제거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의류의 소매측에서부터 어깨측 사이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의 소매측을 고정하고 의류의 소매측에서부터 어깨측 사이에 장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소매 고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소매 고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체(10)의 양측면(12) 내측에 소매 고정부(40)가 배치될 수 있다.(도 4참고)
소매 고정부(40)는 한 쌍으로 배치되어 의류의 양소매측이 각각의 소매 고정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소매 고정부(40)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 설명의 편의 상 한 쌍의 소매 고정부(40) 중 하나의 소매 고정부(4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소매 고정부(40)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제 1방향(X) 및 제 2방향(Y)과 직교되는 제 5방향(Z)으로 병진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소매 고정부(40)는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는 중심체(42)와 중심체(42)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소매 고정체(41)를 포함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는 중심체(42)를 지지하고 본체(10)의 측면(12)에 소매 고정부(4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플레이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3)는 본체(10)의 측면(12)에 결합되어 소매 고정부(40)가 본체(10)의 측면(12)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는 고정 플레이트(43) 상에 마련되고 중심체(4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44)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체(42)와 중심체(42)에 결합되는 소매 고정체(41)는 가이드 레일(44)을 따라 제 5방향(Z)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매 고정체(41)는 중심체(42)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소매 고정체(41)가 중심체(42)와 결합되는 위치는 제 1위치(41a)라고 하고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가 이격 배치되는 제 2위치(41b)라고 할 시, 소매 고정부(41)가 제 2위치(41b)에 배치될 시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 사이에 제 3이격(45)이 형성되는데 이 때 사용자는 소매측을 제 3이격(45)에 배치시켜 소매측을 소매 고정부(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소매 고정체(41)는 중심체(42)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소매 고정체(41)의 중심측에는 힌지축(41c)이 형성되어 소매 고정체(41)의 일단이 소정의 길이로 확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소매 고정체(41)의 일단이 소정의 길이로 확대될 시 소매 고정체(41)는 중심체(42)에서 이탈 가능할 수 있으며 소매 고정체(41)의 이탈에 의해 형성되는 제 3이격(45)에 소매측을 배치시키고 다시 소매 고정체(41)를 중심체(42)에 결합시킬 시 소매측은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축(41c)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소매 고정체(41)의 양단이 중심체(42)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 사이에 소매측이 배치될 시 소매측은 소매 고정체(41)의 바이어스되는 힘에 의해 안정적으로 소매 고정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에 있어서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가 가이드 레일(44)의 상단에 배치되는 위치를 제 1위치(40A)라고 할 때, 소매측은 소매 고정부(40)가 제 1위치(40A)에 위치할 시 소매 고정부(4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 고정부(40)는 소매측이 소매 고정부(4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44)을 따라 제 5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소매 고정부(40)는 가이드 레일(4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소매 고정부(40)의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가 가이드 레일(44)을 따라 가이드 레일(44)의 하단에 위치될 시 이 위치를 제 2위치(40B)에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소매측이 소매 고정체(41)와 중심체(42)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의의 소매측에서부터 상의의 어깨측까지 장력이 전달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4)은 고정 플레이트(43)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단 및 하단에 측면으로 연장되는 상단부(44a)와 하단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체(42)가 상단부(44a)에 거치될 시 소매 고정부(40)는 제 1위치(4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체(42)가 하단부(44b)에 거치될 시 소매 고정부(40)는 제 2위치(40B)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중심체(42)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소매 고정부(40)를 제 1위치(40A)와 제 2위치(40B)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소매 고정부(40)를 제 5방향(Z)에 대해 병진 이동되도록 제어부(미도시)는 소매 고정부(4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상의의 전체적인 영역의 구김이 제거될 수 있으며, 제 4지지부재(116)와 소매 고정부(40)에 의해 상의의 칼라측, 소매측 등 일반적으로 구김이 제거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는 구김까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 장치(100)에 셔츠와 같이 전(前)부가 개방된 상의가 고정되고 상의에 장력이 제공되는 기술적 특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에 상의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상의의 소매가 소매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소매 고정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고정부에 상의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 장치에 상의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제 2지지부재가 제 2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T)는 제 1상태(100A)의 지지 장치(100)에 씌워질 수 있다. 다만, 셔츠 타입의 상의(T) 의 경우 상의(T)의 전(前)부(T1)가 개방되어 지지 장치(100)에 고정되지 않고 지지 장치(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의(T)의 칼라측(T2) 및 소매측(T3) 또한 지지 장치(100)에 지지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T)를 제 1지지부재(110)에 고정시키도록 제 1고정부(114)와 제 2고정부(115)를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1이격(114c)과 제 2이격(115c)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이격(114c)에 상의(T)의 전(前)부(T1)를 삽입할 수 있고 제 2이격(115c)에 상의(T)의 칼라측(T2)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매측(T3)을 소매 고정부(40)에 삽입하여 소매측(T3)을 소매 고정부(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소매 고정부(40)는 제 1위치(40A)에 배치된 상태에서 소매측(T3)이 소매 고정부(4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부(114)와 제 2고정부(115)의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에 대한 가압을 종료할 수 있다. 제 1고정부(114)와 제 2고정부(115)에 대한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의 가압이 종료되면 제 1고정부(114)와 제 2고정부(115)는 제 1방향(X)으로 바이어스되고 이에 따라 전(前)부(T1)와 칼라측(T2)이 각각 제 1고정부(14)와 제 2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매 고정부(40)를 제 1위치(40A)에서 제 2위치(40B)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소매측(T3)이 소매 고정부(40)와 함께 제 5방향(Z)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소매측(T3)부터 상의(T)의 어깨측(T4)은 소매 고정부(40)에 의해 장력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도 15,16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소매 고정부(40)에 소매측(T3)을 고정시키기 전에 전(前)부(T1)와 칼라측(T2)을 제 1고정부(114)와 제 2고정부(11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순서는 무관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상태(100A)의 지지 장치(100)에 상의(T)가 고정될 시 단면을 기준으로 상의(T)의 단면적이 지지장치(10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의(T)는 지지 장치(100)로부터 장력을 전달받을 수 없어 구김이 제거될 수 없다.
다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T)가 지지 장치(100)에 고정된 후 제 2지지 부재(120a)가 제 2위치(120(B))로 이동되어 지지 장치(100)가 제 2상태(100B)가 될 시, 상의(T)는 제 1지지부재(110)와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장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제 2지지 부재(120a)가 제 1위치(120(A))에서 제 2위치(120(B))로 이동됨에 따라 상의(T)의 후측 내면(T5)이 제 2지지부재(120a)에 의해 가압되고 상의(T)의 전방측 내면(T6)은 고정되어 있는 제 1지지부재(110)에 의해 가압되어 상의(T)에는 장력이 전달되고 상의(T)의 구김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칼라측(T2)의 전단이 제 2고정부(1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칼라측(T2)의 내부가 제 4지지부재(116)에 의해 제 1방향(X)으로 가압될 시 칼라측(T2)에 장력이 전달되고 칼라측(T2)의 구김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 장치(100)에 의해 하의의 구김이 제거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에 하의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지지장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의류 관리기의 경우 상의의 구김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1개의 구성으로 하의를 지지할 수 없어 하의의 구김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의 지지 장치(100)는 상의(T)뿐만 아니라 하의(B)를 지지하여 하의(B)의 구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B)는 제 1지지부재(110)에 형성되는 지지 홈(119)에 의해 제 1지지부재(110)에 지지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의(B)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 홈(119)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하의(B)는 지지 홈(1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홈(119)은 평면부(113)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홈(119)에 지지되는 하의(B)에 있어서 하의(B)의 하부는 평면부(113)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부(113) 상에는 제 1고정부(114)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고정부(114)의 제 1고정체(114a)의 전면은 평면부(113)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의(B)의 하부는 하나의 평면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장치(100)는 제 2구동부(150)에 의해 지지 장치(100) 전체가 본체(10) 내부에서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지지 장치(100)는 지지 장치(100) 전체를 제 1방향(X)으로 병진 이동되도록 지지 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제 2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구동부(150)는 프레임(101)의 하측에 배치되어 프레임(101)을 제 1방향(X) 또는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구동부(150)는 보조 구동 모터(151)와 보조 구동 모터(151)에 연결되는 보조 샤프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1)은 보조 샤프트(152)와 나선 결합되어 보조 샤프트(152)의 회전에 따라 제 1방향(X) 또는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프레임(101)을 가이드하는 프레임 가이드(101a)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구동 모터(151)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시 프레임(101)은 보조 구동 모터(15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부(113) 상에 거치된 하의(B)의 하부가 도어(20)의 후면(20a)가 접할 수 있다.
도어(20)는 평면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도어(20)의 후면(20a) 또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의 후면(20a)은 평면부(113)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구동 모터(151)의 회전에 따라 지지 장치(100)가 도어(20)의 후면(20b)과 점점 인접하게 이동되고 도어(20)의 후면(20a)과 평면부(113)가 접할 때까지 보조 구동 모터(151)는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의(B)의 하부는 도어(20)의 후면(20a)과 평면부(113) 사이에 배치되고 평면부(113)의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에 대한 가압으로 평면부(113)와 도어(20)의 후면(20a)에 의해 하의(B)의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프레스 플레이트(60) 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1)와 동일한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기의 지지장치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지지 장치(100)가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시 제 1지지부재(110)의 평면부(113)와 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프레스 플레이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플레이트(60)는 도어(20)의 후면(20a)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스 플레이트(60)는 평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장치(100)가 제 2구동부(150)에 의해 제 1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시, 평면부(113)는 프레스 플레이트(60) 방향으로 이동되고 프레스 플레이트(60)와 대략 면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부(113) 상에 하의(B)가 거치될 시 하의(B)는 프레스 플레이트(60)와 평면부(113)에 의해 하의(B)의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플레이트(60) 내부에는 열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스 플레이트(60)는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선(미도시)에 의해 열선(미도시)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스 플레이트(60)로 전도되어 프레스 플레이트(60)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의(B)의 구김이 더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 관리기
10; 본체
11; 의류 관리실
20; 도어
30; 기계실
40; 소매 고정부
100; 지지장치
101; 프레임
110; 제 1지지부재
111; 바디
113; 평면부
114; 제 1고정부
115; 제 2고정부
116; 제 4지지부재
119; 지지 홈
120a; 제 2지지부재
120b; 제 3지지부재
140; 제 1구동부
150; 제 2구동부

Claims (20)

  1.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지지부재 및 제 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이격 거리는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3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이격 거리는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사이의 제 3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가 각각 상기 제 3방향과 상기 제 4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제 1이격 거리와 상기 제 2이격 거리는 각각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의를 지지하는 바디와, 상의의 전(前)부가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 1고정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는 제 1고정체와, 상기 제 1고정체가 상기 제 1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상기 제 1고정체를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고정체는 상기 제 1고정체와 상기 바디 사이에 의류의 전(前)부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체의 전면과 상기 바디의 전면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는 상의의 칼라(collar)측이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제 1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4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의의 칼라측 전(前)부가 상기 바디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 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前)부는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평면 상측에 배치되고 하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홈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바디의 평면이 상기 본체의 내면과 인접하게 마주하도록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평면이 상기 내면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바디의 평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의류의 소매측을 고정하는 소매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매 고정부는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1방향 및 제 2방향과 직교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 고정부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소매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매 고정부는 의류의 소매가 상기 중심체와 상기 소매 고정체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구동체에 연동되어 각각 상기 제 3방향과 상기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 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3방향 및 상기 제 4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각각의 돌기가 가이드될 시 상기 레일을 따라 각각 상기 제 3방향과 상기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6.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의 및 하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에 배치되고 상의의 내측에서 상의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기 제 1지지부재 상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하의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사이의 제 3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재는 상기 지지 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의의 전(前)부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가 상기 제 3방향 및 상기 제 4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3지지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1구동부와,
    상기 지지장치가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장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20.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발생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의류를 지지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대해 제 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지지부재 및 상기 제 2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사이의 제 3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 3지지부재는 상기 제 1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제 3방향과 선대칭되는 제 4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의류 관리기.
KR1020190108402A 2019-09-02 2019-09-02 의류 관리기 KR20210026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02A KR20210026932A (ko) 2019-09-02 2019-09-02 의류 관리기
PCT/KR2020/011436 WO2021045439A1 (ko) 2019-09-02 2020-08-27 의류 관리기
US17/009,274 US11371183B2 (en) 2019-09-02 2020-09-01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02A KR20210026932A (ko) 2019-09-02 2019-09-02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932A true KR20210026932A (ko) 2021-03-10

Family

ID=7468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02A KR20210026932A (ko) 2019-09-02 2019-09-02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71183B2 (ko)
KR (1) KR20210026932A (ko)
WO (1) WO2021045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50997S (ja) * 2021-05-21 2023-08-16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JP1752904S (ja) * 2021-05-21 2023-09-13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JP1750999S (ja) * 2021-05-21 2023-08-16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の本体
USD1011660S1 (en) * 2021-08-04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USD1016415S1 (en) * 2021-10-07 2024-02-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care machine with showcase
USD1012389S1 (en) * 2021-10-08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396A (en) * 1954-01-11 1957-09-24 Ward Ind Corp Single lay shirt press
US3471067A (en) * 1967-01-31 1969-10-07 Mc Graw Edison Co Shirt pressing machine
US3632041A (en) * 1970-03-09 1972-01-04 Mc Graw Edison Co Water spray device for a garment press
US3613969A (en) * 1970-05-05 1971-10-19 Harry D Forse Shirt press
DE2138490C2 (de) * 1971-07-31 1973-09-20 Hoffman Rheem Maschinen Gmbh, 5000 Koeln Bügelpresse, insbesondere fur Sakkos od dgl
US4728015A (en) * 1987-01-05 1988-03-01 Hotec Incorporated Garment shaping system
US5305484A (en) * 1988-01-13 1994-04-26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JPH07124393A (ja) * 1993-10-28 1995-05-16 Hideaki Shibata 衣類仕上げ機
IT233390Y1 (it) * 1994-04-29 2000-01-28 Dalf S N C Di Pessina Enzo & C Macchina perfezionata,particolarmente studiata per la stiratura di capi di vestiario come camicie o simili
KR100322173B1 (ko) * 1999-10-29 2002-03-13 우치꼬시 미쯔유끼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DE10156859A1 (de) * 2001-11-20 2003-05-2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Glätten hemdförmiger Kleidungsstücke
JP2004236778A (ja) * 2003-02-05 2004-08-26 Miyata Koki:Kk シャツ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KR100628587B1 (ko) 2005-01-31 2006-09-26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셔츠 마무리기
US9410281B2 (en) * 2009-05-01 2016-08-09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systems and accessories
US20120018461A1 (en) * 2010-07-24 2012-01-26 Hovik Azizian Portable Garment Steaming System
US20120291823A1 (en) * 2011-05-19 2012-11-22 John Trent Portable hanging device for washing, drying and storing a wetsuit
KR101926415B1 (ko) * 2012-07-30 2018-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셔츠 건조장치
US20160215440A1 (en) 2015-01-26 2016-07-28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refreshing appliance
KR101708314B1 (ko) * 2015-05-29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439A1 (ko) 2021-03-11
US11371183B2 (en) 2022-06-28
US20210062404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6932A (ko) 의류 관리기
EP3511463B1 (en)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018327B (zh) 衣物处理设备
CN104695195B (zh) 衣物处理装置
CN104294529B (zh) 衣物处理设备
RU25120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102083959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936690B (zh) 衣物处理装置
KR20120091799A (ko)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116180411A (zh) 衣物处理装置
CN105714541B (zh) 衣物处理装置
KR10240751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1339B1 (ko) 세탁장치
CN113445287A (zh) 一种熨烫模块及熨烫机
KR100595240B1 (ko) 세탁물접이수단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10237814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1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48659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40076002A1 (en) Washing machine
KR1022548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913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7860B1 (ko) 다리미 및 다리미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9135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46409A1 (en) Automatic iro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