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173B1 -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173B1
KR100322173B1 KR1019990047418A KR19990047418A KR100322173B1 KR 100322173 B1 KR100322173 B1 KR 100322173B1 KR 1019990047418 A KR1019990047418 A KR 1019990047418A KR 19990047418 A KR19990047418 A KR 19990047418A KR 100322173 B1 KR100322173 B1 KR 10032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annequin
press
vent
h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143A (ko
Inventor
미쯔유끼 우찌꼬시
Original Assignee
우치꼬시 미쯔유끼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치꼬시 미쯔유끼,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filed Critical 우치꼬시 미쯔유끼
Priority to KR101999004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1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wherein one or more of the pressing elements is moved laterally between successive pressing ope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네킹에 입힌 상의의 내부에 증기나 열풍을 공급해서 주름을 제거하고, 평활 가공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마네킹(1)과, 마네킹에 입힌 상의(4)의 앞 뒤 자락을 누르기 위해, 마네킹(1)의 전후의 하부(1a)에, 마네킹(1)을 향해서 전후진 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프론트 패드(10)와 리어 패드(14)를 구비한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로서, 마네킹(1)이 반전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되고, 리어 패드(14)가 옷자락의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와, 이 프레스 패드(14a)의 양측에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프레스 패드(14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THREE DIMENSIONAL FINISH DEVICE OF AN UPPER CLOTHING}
본 발명은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네킹에 입힌 상의의 내부에 증기나 열풍을 공급해서 주름을 제거하고, 평활 가공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서는 기립 형상으로 설치한 마네킹과, 상기 마네킹에 입힌 상의의 앞 뒤 자락을 누르기 위해, 마네킹의 전후의 하부에, 마네킹을 향해 전후퇴 동작이 자유롭게 설치한 프론트 패드와 리어 패드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화59(1984)-148794호 참조).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마네킹에 상의를 입히거나 벗기는 작업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 장치는 마네킹이 전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장치를 사용하면, 작업자는 한 손으로 상의를 잡고, 다른 한 손을 예를 들면 마네킹의 뒤쪽으로 돌려서 상의를 끌어당겨서 마네킹에 입힐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장치의 경우에는 앞자락을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나, 또한 각종 스위치류 등이 마네킹의 앞쪽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장치에 따르면, 상의의 장착 작업시에, 작업자는 앞으로 기울인 자세로 손을 마네킹의 뒤쪽으로 뻗쳐서, 상의를 바꿔 쥐거나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작업이 불편했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육체적인 부담을 강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신사복이나 재킷 등의 상의는 옷자락에 센터 벤트(옷자락의 정가운데의 뒤트임, 혹은 사이드 벤트(옷자락의 양측의 옆트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는 이러한 센터 벤트, 사이드 벤트의 구별 없이, 한 대로 두 종류의 상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리어 패드를 마네킹 뒤쪽의 중앙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관례였었다. 따라서, 종래에 상의가 사이드 벤트식일 경우에는 예를 들어 빨래집게 형상의 전용 클립을 사용하여, 작업자는 마네킹의 뒤쪽으로 손을 뻗어서, 몸을 굽혀서 고정 작업을 해야만 했었다.
그 결과, 종래 장치를 사용하면, 사이드 벤트의 상의를 마무리할 때, 옷자락의 프레스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또한 클립 자국이 옷자락에 남아서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의를 마네킹에 입히거나 벗기는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사이드 벤트식 상의의 옷자락을 누르는 데 드는 수고를 없애고, 마무리 상태가 양호해지도록 형성한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장치의 마네킹이 전방을 향할 때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장치의 마네킹이 후방을 향할 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장치의 마네킹이 전방을 향할 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리어 패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Ⅷ-Ⅷ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마네킹의 일부를 절결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겨드랑이 패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12의 (A), 도 12의 (B) 모두 평면에서 본 요부 구성도이다.
도 13은 상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13의 (A), 도 13의 (B) 모두 평면에서 본 요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네킹 1a : 하부
4 : 상의 4a : 센터 벤트
4b : 사이드 벤트 10 : 프론트 패드
14 : 리어 패드 14a : 센터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
14b :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취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마네킹(1)과, 상기 마네킹에 입힌 상의(4)의 앞 뒤 자락을 누르기 위해, 마네킹(1)의 전후의 하부(1a)에, 마네킹(1)을 향해서 전후진 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프론트 패드(10)와 리어 패드(14)를 구비한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로서, 상기 마네킹(1)이 반전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드(14)가 옷자락의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와, 이 프레스 패드(14a)의 양측에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프레스 패드(14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범위 제 1항).
여기에서 반전 동작이 자유롭게 한다는 것은 마네킹(1)을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배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마네킹(1)을 180。, 가역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360。 회전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반전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가 서로 접촉 분리 동작해서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범위 제 2항).
이 경우, 상의(4)의 크기에 따라서 사이드 벤트(4b)의 간격이 다를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더욱 쓰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 패드(14)가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와,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로 형성되는 대신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폭(W)이 센터 벤트(4a)와 함께 한쪽의 사이드 벤트(4b)를 누르는 위치까지 길게 형성된 일측 프레스 패드(14c)와, 이 일측 프레스 패드(14c)의 옆에 형성되어, 다른 쪽의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타측 프레스 패드(14d)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 프레스 패드(14c)의 한쪽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측부(14c1)가 수직선을 축으로 해서 한쪽의 사이드 벤트(4b)를 향해 만곡이 자유롭게 형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청구범위 제 3항).
도 12의 (A)는 센터 벤트(4a)를 누를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12의 (B)는 사이드 벤트(4b)를 누를 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일측 프레스 패드(14c)의 한쪽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측부(14c1)가 수직선을 축으로 해서 한쪽의 사이드 벤트(4b)를 향해서 만곡이 자유롭게 형성된다는 것은 사이드 벤트(4b)를 누를 경우에는 한쪽의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측부(14c1)가 만곡되어, 한쪽의 사이드 벤트(4b)에 꽉 누를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좁은 폭의 판형상 부재(29)를 세로로 하여 서로 움직일 수 있게 병렬 형상으로 연결하고, 또한 한쪽의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측부(14c1)의 겉에, 이러한 측부(14c1)를 전후진시키는 동작 기구(30)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동작 기구(30)로서는 에어 실린더나 모터 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판형상 부재(29)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일측 프레스 패드(14c)의 코어 플레이트를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하고, 한쪽의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측부(14c1)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거나 해서 만곡시키고, 에어 실린더 등의 동작 기구(30)로 한쪽의 사이드 벤트(4b)에 꽉 누르도록 형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타측 프레스 패드(14d)는 에어 실린더 등의 동작 기구(30)로 다른 쪽의 사이드 벤트(4b)에 전후진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 패드(14)가 옷자락의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와,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로 형성되는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자락의 양측에 걸쳐 가로 길이 형상으로, 또한 옷자락의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위치(4b1)가 수직선을 축으로 해서 각 사이드 벤트(4b)를 향해 만곡이 자유롭게 형성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청구범위 제 4항).
더욱이, 상기 도 13의 (A)은 센터 벤트(4a)를 누를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13의 (B)은 사이드 벤트(4b)를 누를 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옷자락의 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위치(4b1)가 수직선을 축으로 해서 각 사이드 벤트(4b)를 향해 만곡이 자유롭게 형성된다고 함은 사이드 벤트(4b)를 누를 때에는사이드 벤트(4b)에 대응하는 위치(4b1)만 만곡되고, 각각의 사이드 벤트(4b)에 꽉 누를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청구범위 제 3항에 기재된 일측 프레스 패드(14c)의 측부(14c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형상 부재(29)를 연결하여 형성하거나, 형상 기억 합금의 코어 플레이트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거나 해서 만곡시켜, 에어 실린더 등의 동작 기구(30)로 꽉 누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의(4)의 양 겨드랑이를 스트레치시키기 위한 겨드랑이 패드(1c)(도 3 등을 참조)가 옆으로 진출 동작이 자유롭게 마네킹(1)의 양 겨드랑이에 형성되고, 상기 겨드랑이 패드(1c)의 진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범위 제 5항).
이 경우에는 겨드랑이 패드(1c)의 돌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상의(4)의 크기에 따라서 겨드랑이를 적당히 알맞게 내어 달 수 있고, 그만큼 마무리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등에서, 도면 부호 1은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마네킹이다. 이러한 마네킹(1)은 하부(1a)가 대좌(pedestal; 2)에 결합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네킹(1)을 후방을 향하게 할 때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되돌릴 때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3은 마네킹(1)을 회전 조작할 때에 사용하는 손잡이로서, 이 손잡이(3)는 마네킹(1) 하부(1a)의 주위에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네킹(1)은 상의(4)의 몸통부를스트레치시키기 위해 옆으로 진출이 가능하게 형성된 스트레치부(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마네킹(1)은 도 3,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4)의 양 겨드랑이를 스트레치시키기 위한 겨드랑이 패드(1c)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겨드랑이 패드(1c)는 옆으로 진출 가능하게 마네킹(1c)의 양 겨드랑이에 형성되며, 또한 이 겨드랑이 패드(1c)의 진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마네킹(1)의 상부에, 조작 레버(5)가 전후 방향으로 약 90。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조작 레버(5)의 회전 조작으로 링크 기구(6)가 확대 및 축소됨으로써, 겨드랑이 패드(1c)가 진출 동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7은 조작 레버(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지주(8)에 끼워진 링(9)을 승강 동작시키는 제어 기구이다.
상기 제어 기구(7)는 조작 레버(5) 가까이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연동해서 장치의 앞쪽으로 회전 운동하는 폴(pawl; 7a)과, 이 폴(7a)이 맞물리는 래칫(ratchet; 7b)과, 폴(7a)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후단(7c)(도 10, 도 11 참조)의 높이가 변하는 회전판(7d)과, 상기 회전판(7d)의 후단(7c)에, 상단이 원추형 접합된 좌우 한 쌍의 링크판(7e)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래칫(7b)은 일방향 클러치(7f)에 의해 장치의 앞쪽으로만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링크판(7e)의 하단은 링(9)의 측면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링크 기구(6)의 내측의 하단(6a)은 링(9)의 앞쪽에 원추형 접합되고, 링크기구(6)의 내측의 상단(6b)은 지주(8)의 상부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또한 링크 기구(6)의 바깥쪽 상단(6c) 및 하단(6d)은 겨드랑이 패드(1c)의 안쪽에 설치된 부착봉(6e)에 각각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도 2, 도 4 등 참조)은 마네킹(1)에 입힌 상의(4)의 앞자락을 누르기 위한 프론트 패드이다. 상기 프론트 패드(10)는 마네킹(1)의 앞쪽 하부(1a)에, 마네킹(1)에 대해 전후진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0a는 프론트 패드(10)의 서포트이다. 상기 서포트(10a)는 그 하부가 마네킹(1)의 하부(1a)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1은 로드를 아래를 향하게 하고, 마네킹(1)의 앞쪽 하부(1a)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 에어 실린더이다. 이러한 에어 실린더(11)는 로드의 선단이 서포트(10a)의 하부에 원추형 접합되고, 로드가 늘어나면 서포트(10a)가 피벗(12)을 중심으로 해서 마네킹(1)을 향해 회전 운동하고, 수축하면 후퇴 동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13은 프론트 패드(10)를 마네킹(1)을 향해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도면 부호 14(도 1 등 참조)는 마네킹(1)에 입힌 상의(4)의 뒷자락을 누르기 위한 리어 패드이다. 이러한 리어 패드(14)는 마네킹(1)의 뒤쪽 하부(1a)에, 마네킹(1)을 향해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리어 패드(14)는 옷자락의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와, 상기 프레스 패드(14a)의 양측에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프레스 패드(14b)로 형성되어 있다.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는 마네킹(1)에 대향하는 내면이 오목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스 패드(14a)의 서포트(15)의 하부는 마네킹(1)의 하부(1a)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도면 부호 16(도 5, 도 6 등 참조)은 로드를 아래를 향하게 하고 마네킹(1)의 뒤쪽 하부(1a)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 에어 실린더이다. 상기 에어 실린더(16)는 로드의 선단이 서포트(15)의 하부에 원추형 접합되어, 로드가 늘어나면 서포트(15)가 피벗(17)을 중심으로 해서 마네킹(1)을 향해 회전 운동하고, 수축하면 후퇴 동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면 부호 18은 마네킹(1)을 향해 프레스 패드(14a)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는 센터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와 마찬가지로, 마네킹(1)에 대향하는 내면이 오목한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레스 패드(14b)를 마네킹(1)에 대해 전후진 동작시키는 기구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19)의 하부가 마네킹(1)의 하부(1a)에 원추형 접합되고, 로드를 아래를 향하게 하고 마네킹(1)의 뒤쪽 하부(1a)로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된 에어 실린더(2)에 의해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실린더(20)의 로드의 선단이 서포트(19)의 하부에 원추형 접합되고, 로드가 늘어나면 서포트(19)가 피벗(21)을 중심으로 해서 마네킹(1)을 향해 회전 운동하고, 수축하면 후퇴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 부호 22는 마네킹(1)을 향해 프레스 패드(14b)를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이다.
또한,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서로 접촉 분리 동작하여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8에 있어서, 도면 부호 23a, 23b는 서로 로드를 반대측을 향해서 수평이면서 평행한 형상으로, 마네킹(1)의 뒤쪽 하부(1a)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이다. 도 5에 있어서, 한쪽의 에어 실린더(23a)는 로드의 선단이 우측의 프레스 패드(14b) 지지부(24)의 소정 위치에 원추형 접합되고, 다른 쪽의 에어 실린더(23b)는 로드의 선단이, 좌측의 프레스 패드(14b)의 지지부(25)의 소정 위치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도면 부호 26은 마네킹(1)의 뒤쪽 하부(1a)에 수평 형상으로 가로로 현가된 상하 한 쌍의 안내봉이다.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는 이러한 안내봉(26)에 안내되어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부호 27(도 1 등 참조)은 제어부이다. 상기 제어부(27)는 윗면에 각 프레스 패드(14a, 14b)의 선택 스위치, 스팀의 분출 시간 등의 설정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27)의 앞면에는 작업자가 무릎으로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무릎 스위치(2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네킹(1)이 후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의(4)를 마네킹(1)에 입힌다. 상의(4)가 센터 벤트(4a)일 때에는 센터 벤트(4a)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a)의 스위치를 넣는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16)의 로드가 늘어나, 서포트(15)가 마네킹(1)측으로 회전 운동하다. 그 결과, 프레스 패드(14a)가 마네킹(1)을 향해서 링크(18)의 작용으로 평행 이동하여, 센터 벤트(4a)를 누른다(도 6 참조).
또한 사이드 벤트(4b)의 상의(4)인 경우에는 사이드 벤트(4b)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14b)의 스위치를 누른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20)의 로드가 늘어나서, 서포트(19)가 마네킹(1)쪽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 결과, 프레스 패드(14b)가 마네킹(1)을 향해서 링크(22)의 작용으로 평행 이동하여, 사이드 벤트(4b)를 누르는 것이다(도 7 참조). 더욱이 프레스 패드(14b)의 간격을 변경할 경우에는 에어 실린더(23a, 23b)를 구동시켜서 로드를 늘린다. 그러면, 도 5에 있어서, 각 프레스 패드(14b)는 서포트(19), 에어 실린더(20), 지지부(24, 25) 등과 함께, 안내봉(26)에 안내되어 각각 옆으로 이동하여, 간격이 넓어진다.
그리고 뒷자락을 고정시킨 후, 작업자는 손잡이(3)를 이용하여 마네킹(1)을 반전시켜, 앞을 향하게 한다(도 4의 상태 참조). 또한 이 상태에서 상의(4)의 앞자락을 정돈하고, 프론트 패드(10)의 스위치를 넣는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11)의 로드가 늘어나서, 서포트(10)가 마네킹(1)쪽으로 회전 운동한다. 그 결과, 프론트 패드(10)가 마네킹(1)을 향해서 링크(13)의 작용으로 평행 이동하여, 앞자락을 누른다.
다음에 작업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5)를 앞쪽으로 넘어뜨려, 상의(4)의 어깨 폭에 따라 겨드랑이 패드(1c)를 앞쪽으로 내어 단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5)를 앞쪽으로 넘어뜨려, 폴(7a)을 래칫(7b)에 맞물린다. 래칫(7b)은 일방향 클러치(7f)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폴(7a)은 래칫(7b)에 걸린다. 이 경우, 회전판(7d)이 폴(7a)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폴(7a)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후단(7c)의 높이가 바뀐다.
구체적으로는 폴(7a)과 래칫(7b)의 맞물림 위치가 앞으로 갈수록, 회전판(7d)의 후단(7c)이 높아지고, 뒤로 갈수록 후단(7c)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7d)의 후단(7c)에 상단이 원추형 접합된 링크판(7e)에 의해, 그에 따라 링(9)이 지주(8)를 따라 상하 이동된다. 상기 링(9)에는 링크 기구(6)의 내측 하단(6a)이 원추형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기구(6)는 링(9)의 높이에 따라 신축되어, 겨드랑이 패드(1c)를 앞쪽으로 내어 단다.
또한, 조작 레버(5)를 기립 형상으로 세우면, 회전판(7d)의 후단(7c)이 하강한다. 따라서, 링크판(7e)을 통해서 링(9)이 하강한다. 그 결과 링크 기구(6)의 내측 하단(6a)이 하강하기 때문에 링크 기구(6)가 신축되어, 겨드랑이 패드(1c)가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드랑이 패드(1c)를 내달은 상태에서, 스트레치부(1b)가 스트레치한다. 그리고 스팀이 소정 시간 분출되어 상의(4)를 찌고, 그런 다음 열풍을 내부에서부터 상의(4)에 내뿜어, 그 풍압과 열로 건조시켜 주름을 제거한다. 또한 일련의 처리가 끝나면, 프론트 패드(10), 리어 패드(14)가 복귀하여, 옷자락이 해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마네킹(1)을 뒤를 향하게 해서, 상의(4)를 벗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로서, 마네킹을 반전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하고, 옷자락의 센터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와, 이 프레스 패드의 양측에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프레스 패드에 의해 리어 패드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마네킹을 뒤로 향하게 하고, 상의를 양손으로 잡아서, 손을 바꿔 쥐지 않고 마네킹을 입히거나 벗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종류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경우에는 사이드 벤트식 상의인 경우에도, 전용 클립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옷자락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하면 센터 벤트, 사이드 벤트의 구별 없이 대처할 수 있고, 또한 클립 자국을 옷자락에 남기지도 않으므로, 마무리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마네킹과, 상기 마네킹에 입힌 상의의 앞 뒤 자락을 누르기 위해 마네킹의 전후의 하부에, 마네킹을 향해서 전후진 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된 프론트 패드와 리어 패드를 구비한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로서,
    상기 마네킹이 반전 동작이 자유롭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드가 옷자락의 센터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와, 상기 프레스 패드의 양측에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프레스 패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가 서로 접촉 분리 동작해서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드가 옷자락의 센터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와, 상기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로 형성되는 대신에, 가로 폭이 센터 벤트와 함께 한쪽의 사이드 벤트를 누르는 위치까지 길게 형성된 일측 프레스 패드와, 상기 일측 프레스 패드의 옆에 형성되어 다른 쪽의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한 타측 프레스 패드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 프레스 패드의 한쪽 사이드 벤트에 대응하는 측부가 수직선을 축으로 해서 한쪽의 사이드 벤트를 향해 만곡이 자유롭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드가 옷자락의 센터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와, 상기 사이드 벤트를 누르기 위한 프레스 패드로 형성되는 대신에, 옷자락의 양측에 걸쳐 가로 길이 형상으로, 또한 옷자락의 사이드 벤트에 대응하는 위치가 수직선을 축으로 해서 각 사이드 벤트를 향해 만곡이 자유롭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의 양 겨드랑이를 스트레치시키기 위한 겨드랑이 패드가 옆으로 진출 동작이 자유롭게 마네킹의 양 겨드랑이에 형성되고, 상기 겨드랑이 패드의 진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KR1019990047418A 1999-10-29 1999-10-29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KR10032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418A KR100322173B1 (ko) 1999-10-29 1999-10-29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418A KR100322173B1 (ko) 1999-10-29 1999-10-29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143A KR20010039143A (ko) 2001-05-15
KR100322173B1 true KR100322173B1 (ko) 2002-03-13

Family

ID=3752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418A KR100322173B1 (ko) 1999-10-29 1999-10-29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39A1 (ko) * 2019-09-02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11B1 (ko) * 2007-09-04 2009-07-20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JP5593535B2 (ja) * 2010-07-07 2014-09-24 株式会社三幸社 衣服仕上げ機及びこれに使用するボディカ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39A1 (ko) * 2019-09-02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US11371183B2 (en) 2019-09-02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143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0106B1 (en) A laundry press
JP3799572B2 (ja) シャツ仕上げ機及び人体型装着用カバー
KR101234163B1 (ko) 휴대용 다리미
JPH068878Y2 (ja) 分離型アイロン台及びこの分離型アイロン台を用いたアイロン装置
KR100322173B1 (ko)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US4057179A (en) Garment pressing machines
JP3751454B2 (ja) 上着の立体仕上げ装置
US2658649A (en) Pants pressing machine
JP4368347B2 (ja) 上着の立体仕上げ装置
CN101245545B (zh) 衬衫整烫机
JP4644583B2 (ja) ハンガー
US43468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finish pressing
US2195737A (en) Buck for pressing machines
US3491927A (en) Garment sleeving pressing apparatus
KR200490606Y1 (ko) 옷걸이
ITMI970761A1 (it) Macchina automatica per lo stiro del collo, della spezzatura e delle paramonture del capospalla, di un capo di abbigliamento in genere
JPH0339196Y2 (ko)
JP4281955B2 (ja) カラーの伸張機能付きシャツ仕上げ機
ATE224848T1 (de) Greifvorrichtung zum erfassen,fördern und freigeben von gegenstände unterschiedlicher dimensionen
JPH06128872A (ja) シート状物の模様プレス機
JP2012019969A (ja) 半袖の上着仕上げ機
JP2562875Y2 (ja) ロータリープレス機
JPH0310960Y2 (ko)
KR800000799B1 (ko) 의류 절첩(折疊) 및 프레스장치
JP3024371B2 (ja) 裁縫ご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