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11B1 -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 Google Patents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11B1
KR100908511B1 KR1020070089312A KR20070089312A KR100908511B1 KR 100908511 B1 KR100908511 B1 KR 100908511B1 KR 1020070089312 A KR1020070089312 A KR 1020070089312A KR 20070089312 A KR20070089312 A KR 20070089312A KR 100908511 B1 KR100908511 B1 KR 10090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rt
tension
human body
pressure member
sid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348A (ko
Inventor
미쯔유끼 우치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8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5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hi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4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power-actu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wherein one or more of the pressing elements is moved laterally between successive pressing ope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6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houlders or n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방향으로 인체모형(2)에 입혀지는 셔츠(1)의 측부에 대해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셔츠(1)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셔츠(1)의 측부를 간단하면서도 확실히 깔끔하게 긴장상태로 마무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모형(2)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3)를, 상기 측부가압부재(3)의 돌출용 구동장치(4)로, 인체모형(2)의 측방에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까지 돌출시켜,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측부가압부재(3)로 셔츠(1)의 측부를 당기는 최초의 긴장처리와, 셔츠(1)의 앞뒤가 프레스되면, 구동장치(4)를 다시 구동시켜 측부가압부재(3)를 더욱 돌출시켜, 셔츠(1)의 측부를 긴장상태로 마무리하는 2번째의 긴장처리에 의해 셔츠(1)의 측부를 마무리하는 방법이다. 그 다음에, 이들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구조는 상기 측부가압부재(3) 및 구동장치(4)와, 상기 구동장치(4)를 제어하여, 측부가압부재(3)에 최초의 긴장처리와 2번째의 긴장처리를 실시하게 하기 위한 컨트롤러(7)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 텐션장치{METHOD FOR TENSIONING SIDE PORTIONS OF SHIRT AND BODY TENSIONING DEVICE APPLIED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셔츠 측부의 긴장법(緊張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로서의 셔츠를 인체모형에 입힌 상태로 앞뒤 한 쌍의 프레스 다리미로 프레스 마무리하는 셔츠 프레스 마무리기로서, 셔츠의 측부를 긴장시켜 셔츠의 측부를 깔끔하게 프레스 마무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 텐션(tension)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인체모형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와, 상기 측부가압부재의 돌출용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셔츠 등의 셔츠는, 통상적으로 크기가 대, 중, 소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셔츠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셔츠를 간단하면서도 확실히 깔끔하게 긴장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사이즈마다 측부가압부재의 돌출 거리가 다른 상태로 설정된 3종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작업자가 셔츠의 사이즈를 판단하여, 사이즈에 맞는 스위치를 눌러 측부를 긴장상태로 마무리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이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작업자가 셔츠의 사이즈를 틀리는 경우가 있어, 기계로 마무리한 후, 다리미로 다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셔츠의 사이즈를 판단하고, 다음으로 각 사이즈용 스위치를 누를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제686899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셔츠의 사이즈를 판단하여 측부가압부재의 돌출거리를 선정하는 번거로움을 일소(一掃)하고, 셔츠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도 셔츠의 측부를 간단하면서도 확실히 깔끔하게 긴장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형성한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 텐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긴장법은, 도 1,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츠(1)를 장착시키는 인체모형(2)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3)를, 상기 측부가압부재(3)의 돌출용 구동장치(4)로, 인체모형(2)의 측방에 자중(自重)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까지 돌출시켜,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측부가압부재(3)로 셔츠(1)의 측부를 당기는 최초의 긴장처리와, 셔츠(1)의 앞뒤가 프레스되면, 구동장치(4)를 다시 구동시켜 측부가압부재(3)를 더욱 돌출시키고, 셔츠(1)의 측부를 긴장상태로 마무리하는 2번째의 긴장처리에 의해 셔츠(1)의 측부를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또한, 본 발명의 긴장법에 사용되는 장치는, 도 1 ~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츠(1)를 장착시키는 인체모형(2)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3)와, 상기 측부가압부재(3)의 돌출용 구동장치(4)와, 상기 구동장치(4)를 제어하여, 측부가압부재(3)에 최초의 긴장처리와 2번째의 긴장처리를 실시하게 하기 위한 컨트롤러(7)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청구항 2).
본 발명의 경우, 구동장치(4)는 예컨대 에어실린더나 모터로 실현된다. 또한, 컨트롤러(7)로서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나 시퀀서(sequencer)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구동장치(4)는 인체모형(2) 하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왜냐하면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장치(4)를 인체모형(2)의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인체모형(2) 측부의 개구 면적을 좁힐 수 있어, 인체모형(2) 내에 공급되는 열풍이나 증기가 인체모형(2)의 측부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가압부재(3)를 지지하는 기립형상의 지지부재(5)의 하부가, 상기 지지부재(5)의 피봇부착용 축(11)의 위치로부터 인체모형(2)의 내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굴곡부분(5a)의 하단에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피봇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왜냐하면 이렇게 함으로써, 지지부재(5)의 하부가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를 인체모형(2) 내에 넣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모형(2) 하부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가 로드를 위로 하여 기립형상으로 1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왜냐하면 이렇게 함으로써, 구동장치(4)가 1대이기 때문에, 측부가압부재(3)를 동기시키기 쉬워져, 부품비용이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구동장치(4)가 1대이기 때문에, 인체모형(2) 하부의 빈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인체모형(2) 내에 공급되는 열풍이나 증기의 흐름을 흩뜨리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장치(4)가 에어실린더이며, 상기 에어실린더가, 인체모형(2)의 몸통부 내에, 로드를 인체모형(2)의 측방을 향하게 하여 수평형상으로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청구항 6).
이 경우에는, 측부가압부재(3)를 매우 가까운 거리부터 제어할 수 있으며, 능력이 작은, 염가의 에어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함 으로써, 구동장치(4)가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인체모형(2) 내에 공급되는 열풍이나 증기의 흐름을 흩뜨리는 경우 없이, 셔츠(1)를 신속하고도 깔끔하게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르면 셔츠의 사이즈에 맞추어 측부가압부재의 돌출거리를 선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판단에 좌우되지 않고, 인체모형에 입힌 셔츠의 측부를, 간단하면서도 확실히 깔끔하게 긴장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등에서, 도면부호 1은 와이셔츠 등의 셔츠이다. 또한, 도면부호 2는 상기 셔츠(1)를 장착시키는 인체모형이며, 도면부호 3은 상기 인체모형(2)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이다. 또한, 도면부호 4는 측부가압부재(3)를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긴장법은, 상기 구동장치(4)로 측부가압부재(3)를, 인체모형(2)의 측방에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도 1의 A의 위치)까지 돌출시켜,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측부가압부재(3)로, 셔츠(1)의 측부를 당기는 최초의 긴장처리(도 1의 B의 위치)와, 셔츠(1)의 앞뒤가 프레스되면, 구동장치(4)를 다시 구동시켜 측부가압부재(3)를 더욱 돌출시키고, 셔츠(1)의 측부를 긴장상태로 마무리하는 2번째의 긴장처리(도 1의 C의 위치)에 의해 셔츠(1)의 측부를 마무리하는 것이다.
상기 측부가압부재(3)는, 초기의 위치(도 1, 도 3의 실선상태 참조)로부터, 구동장치(4)에 의해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측부가압부재(3)는, 수직선(도 1의 D)을 약간 넘은 위치부터 자중에 의해 기울어진다. 구동장치(4)는 측부가압부재(3)가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에 이르면, 구동이 정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구동장치(4)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실린더의 로드의 연장동작이 정지되고, 로드의 인출이 자유로워진다. 그 결과, 측부가압부재(3)는 자중에 의해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기울어져, 셔츠(1)의 측부를 누르고 정지한다. 이로써, 셔츠(1)의 측부가 당겨져 최초의 긴장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측부가압부재(3)는 셔츠(1)의 사이즈에 맞추어 측부를 긴장시킨다. 즉, 셔츠(1)의 사이즈가 클 경우에는, 측부가압부재(3)를 지지하는 기립형상의 지지부재(5)의 경사각도가 큰 상태로 긴장시키고, 또한 셔츠(1)의 사이즈가 작을 때에는 경사각도가 작은 상태로 긴장시킨다. 또, 이 경우에 셔츠(1)는 인체모형(2)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앞쪽 등이 흐트러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셔츠(1)는 흡착되는 대신에, 버튼을 이용하여 앞쪽의 흐트러짐이 방지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레스 다리미(6; 도 2 참조)가 셔츠(1)의 앞뒤를 프레스하면, 구동장치(4)가 다시 구동하고, 측부가압부재(3)가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더욱 돌출된다. 이에 따라 셔츠(1)는, 프레스 다리미(6)에 의해 앞뒤가 눌려진 상태로 2번째의 긴장처리가 이루어진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츠 프레스 마무리기의 경우에는, 앞쪽의 프레스 다리미(6)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레스 다리미(6)에 의한 프레스가 종료하여, 프레스 다리미(6)가 인체모형(2)의 앞뒤로부터 떨어지면, 구동장치(4)가 반대로 구동한다. 그 결과, 측부가압부재(3)가 복귀하여, 셔츠(1)의 앞뒤가 프레스 마무리되는 동시에, 측부가 긴장상태로 마무리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긴장법에 사용되는 몸통부 텐션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츠(1)를 장착시키는 인체모형(2)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3)와, 상기 측부가압부재(3)의 돌출용 구동장치(4)와, 상기 구동장치(4)를 제어하여, 측부가압부재(3)에 최초의 긴장처리와 2번째의 긴장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컨트롤러(7)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가압부재(3)는,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향해 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부가압부재(3)는, 셔츠(1)의 측부 내면에 닿는 가요성의 선형상부재(3a)가 상하단으로 활시위형상으로 팽팽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선형상부재(3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부가압부재(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의 상단은, 연결 플레이트(8)를 통해 측부가압부재(3)의 대략 중앙위치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도면부호 9는 인체모형(2)의 앞뒤방향을 따라 수평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피봇부착핀이다. 측부가압 부재(3)는 상기 피봇부착핀(9)을 중심으로 인체모형(2)의 좌우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 또한, 지지부재(5)의 하부는, 인체모형(2) 내의 부착부(10)에 축(11)을 통해 피봇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본 발명은, 연결 플레이트(8)의 내측 상부에 기립편(8a)이 상승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립편(8a)의 상단과, 측부가압부재(3)의 대응하는 배면측의 외부가장자리의 위치가, 인장스프링(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12)은, 셔츠(1) 측부의 만곡라인에 의해 측부가압부재(3)가 피봇부착핀(9)을 중심으로 기울었을 때, 측부가압부재(3)를 용이하게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측부가압부재(3)는 통상적으로 인체모형(2)과 함께 커버(도시생략)로 덮여 있다.
상기 구동장치(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되고, 인체모형(2) 하부의 내측에, 로드를 안쪽(內方)을 향하게 하여 경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측부가압부재(3)를 지지하는 기립형상의 지지부재(5)의 하부는, 축(11)으로부터 인체모형(2)의 안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로드는, 이러한 굴곡부분(5a)의 하단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7)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최초의 긴장처리, 및 2번째의 긴장처리를 실시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7)는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공기의 유로를 제어하는 전자밸브(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4 등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셔츠(1)가 인체모형(2)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시동 스위치(14; 도 2 참조)를 넣는다. 그러면, 컨트롤러(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전자밸브(13)가 공기의 유로를 개방하고,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가, 지지부재(5)의 굴곡부분(5a)의 하단을, 인체모형(2)의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그 결과, 지지부재(5)가 축(11)을 중심으로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구동이 정지되고, 로드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된다. 설정시간은 측부가압부재(3)를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시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가압부재(3)가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도 1의 A 참조)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위치에 측부가압부재(3)가 배치되면, 측부가압부재(3)는 자중에 의해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기울어져, 셔츠(1)의 측부를 긴장시킨다(도 1의 B 참조). 구체적으로는 측부가압부재(3)에 당겨져 있는 선형상부재(3a)가, 셔츠(1)의 측부내면에 눌러붙여져, 선형상 부재(3a)가 셔츠(1) 내측의 만곡라인을 따라 휘면서, 셔츠(1)의 측부를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긴장시킨다.
그리고 앞뒤 한 쌍의 프레스 다리미(6; 도 2 참조)가 셔츠(1)의 앞뒤를 프레스하면, 컨트롤러(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전자밸브(13)가 다시 작동하고,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조금 연장된다. 이에 따라, 셔츠(1)의 측부가 더욱 당겨져, 2번째의 긴장처리가 이루어진다(도 1의 C 참조).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앞쪽의 프레스 다리미(6)는, 인체모형(2) 우측의 퇴피(退避)위치로부터, 인체모형(2) 앞쪽으로 이동하여 셔츠(1)를 프레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레스 다리미(6)에 의한 프레스가 종료하면, 컨트롤러(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전자밸브(13)가 공기의 유로를 바꾸어,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수축된다. 그 결과, 지지부재(5)가 축(11)을 중심으로 인체모형(2) 측으로 회동하고, 측부가압부재(3)가 복귀한다.
이상의 내용에서 상기 예에서는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가, 인체모형(2) 양측의 측부가압부재(3)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모형(2) 하부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가 로드를 위로 하여 기립형상으로 1대 설치되고, 상기 1대의 구동장치(4)로 좌우의 측부가압부재(3)를, 동시에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왜냐하면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실린더가 1대만 있으면 되어, 제품비용,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지부재(5)의 굴곡부분(5a)에는 긴 구멍(5b)이 형성되고, 에어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긴 구멍(5b)을 통해 굴곡부분(5a)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가, 인체모형(2)의 몸통부 내에, 로드를 인체모형(2)의 측방을 향하게 하여 수평형상으로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면부호 15는, 구동장치(4)를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기둥이다. 구동장치(4)로서의 에어실린더의 로드는, 연결플 레이트(8)의 기립편(8a)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측부가압부재(3)의 근처에서 에어실린더를 작동시켜, 측부가압부재(3)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능력이 작은, 염가의 에어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구동장치(4)의 배치위치가 높기 때문에, 인체모형(2)의 하부에 구동장치(4)를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인체모형(2) 내에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나 증기의 흐름을 흩뜨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렇게 함으로써, 셔츠(1)를 구석구석까지 빨리 건조시킬 수 있으며, 완성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가 절결(切缺)된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비한 셔츠 프레스 마무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낸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 : 셔츠 2 : 인체모형
3 : 측부가압부재 4 : 구동장치
7 : 컨트롤러

Claims (6)

  1. 셔츠를 장착시키는 인체모형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를, 상기 측부가압부재의 돌출용 구동장치로, 인체모형의 측방에 자중(自重)에 의해 기울어지는 위치까지 돌출시켜,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측부가압부재로 셔츠의 측부를 당기는 최초의 긴장처리와, 셔츠의 앞뒤가 프레스되면, 구동장치를 다시 구동시켜 측부가압부재를 더욱 돌출시켜, 셔츠의 측부를 긴장상태로 마무리하는 2번째의 긴장처리에 의해 셔츠의 측부를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측부의 긴장법.
  2. 제 1항에 기재된 셔츠 측부의 긴장법에 사용되는 몸통부 텐션(tension)장치로서, 셔츠를 장착시키는 인체모형의 양측부에 세로로 설치되어 있는 측부가압부재와, 상기 측부가압부재의 돌출용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측부가압부재에 최초의 긴장처리와 2번째의 긴장처리를 실시하게 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부 텐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인체모형 하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부 텐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측부가압부재를 지지하는 기립형상의 지지부재의 하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피봇부착용 축의 위치로부터 인체모형의 안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굴곡 부분의 하단에 구동장치로서의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피봇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부 텐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인체모형 하부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구동장치로서의 에어실린더가, 로드를 위로 하여 기립형상으로 1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부 텐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구동장치가 에어실린더이며, 상기 에어실린더가, 인체모형의 몸통부 내에, 로드를 인체모형의 측방을 향하게 하여 수평 형상으로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통부 텐션장치.
KR1020070089312A 2007-09-04 2007-09-04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KR10090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12A KR100908511B1 (ko) 2007-09-04 2007-09-04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12A KR100908511B1 (ko) 2007-09-04 2007-09-04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48A KR20090024348A (ko) 2009-03-09
KR100908511B1 true KR100908511B1 (ko) 2009-07-20

Family

ID=4069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312A KR100908511B1 (ko) 2007-09-04 2007-09-04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40B1 (ko) * 2009-04-03 2011-05-30 최윤섭 셔츠 프레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143A (ko) * 1999-10-29 2001-05-15 우치꼬시 미쯔유끼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KR20040013266A (ko) * 2002-08-05 2004-02-14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셔츠 마무리 장치
KR20050007054A (ko) * 2003-07-11 2005-01-17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셔츠 프레스기의 몸통부 인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143A (ko) * 1999-10-29 2001-05-15 우치꼬시 미쯔유끼 상의의 입체 마무리 장치
KR20040013266A (ko) * 2002-08-05 2004-02-14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셔츠 마무리 장치
KR20050007054A (ko) * 2003-07-11 2005-01-17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셔츠 프레스기의 몸통부 인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48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511B1 (ko) 셔츠 측부의 긴장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몸통부텐션장치
US7594597B2 (en) Method for tensioning side portions of shirt and body tensioning device applied for the method
US7370778B1 (en) Solid finishing device for jackets
JP5026878B2 (ja) シャツの側部の胴張り装置
CN101380189B (zh) 衬衫侧部的张紧法以及用于该方法的躯干张紧装置
US7438205B2 (en) Shirt finishing machine
US5452530A (en) Presser with movable sectional platen and fabric support
EP1757725A1 (en) Shirt finish machine
EP2031122B1 (en) Method for tensioning side portions of shirt and body tensioning device applied for the method
KR20020053691A (ko) 옷감의 정형 마무리 방법 및 장치
JP4409522B2 (ja) シャツ仕上げ機
US5335431A (en) Pressing machine for unfolding seamed and folded margins in clothing
EP1978148B1 (en) Shirt finishing machine
KR102166735B1 (ko) 라벨 공급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20120109811A (ko) 바지프레스기의 가압장치
KR100602392B1 (ko) 칼라의 신장 기능이 구비된 셔츠 마무리기
KR200332510Y1 (ko) 바지 프레스의 주름 가압장치
US20060196897A1 (en) Shirt finishing machine
JPH11128579A (ja) ポケットセッターの布押え装置
KR20110129678A (ko) 의류의 칼라 자동 스팀 프레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팀프레스 방법
JP4281955B2 (ja) カラーの伸張機能付きシャツ仕上げ機
JP3849894B2 (ja) 畳製造用の作業台
JPH0316639Y2 (ko)
EP1978147B1 (en) Solid finishing device for jackets
JP2734126B2 (ja) 縫製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