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87B1 - 셔츠 마무리기 - Google Patents

셔츠 마무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87B1
KR100628587B1 KR1020050008459A KR20050008459A KR100628587B1 KR 100628587 B1 KR100628587 B1 KR 100628587B1 KR 1020050008459 A KR1020050008459 A KR 1020050008459A KR 20050008459 A KR20050008459 A KR 20050008459A KR 100628587 B1 KR100628587 B1 KR 100628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rt
clamper
human body
sleeve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678A (ko
Inventor
미쯔유키 우치꼬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고우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0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45Exposure; Apparatus therefor using originals with apertures, e.g. stencil exposure masks
    • G03F7/2047Exposure with radiation other than visible light or UV light, e.g. shadow printing, proximity prin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5/00Screening processes; Screens therefor
    • G03F5/20Screening processes; Screens therefor using screens for gravure prin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an oblique expo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lural sou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on of the optical device; characterised by a relative movement of the optical device, the light source, the sensitive system or the mas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4Contact or film exposure of light sensitive plates such as lithographic plates or circuit boards, e.g. in a vacuum fram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08Production of exposure light, i.e.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G03F7/70466Multiple exposures, e.g. combination of fine and coarse exposures, double patterning or multiple exposures for printing a single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츠(1)를 입히기 위한 인체모형(2)과, 상기 인체모형(2)의 양측에 설치되며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기울어 쓰러져서 셔츠(1)의 소매를 견인(牽引)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아암(4)과, 상기 지지아암(4)의 상부에 설치되며 셔츠(1)의 소매끝을 핀칭하여 고정하는 클램퍼(10)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클램퍼(10)는, 지지아암(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지지아암(4)이 기울어 쓰러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축(11)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종횡방향으로 전환이 자유롭도록 형성된다. 또한, 클램퍼(10)는, 지지아암(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1개의 클램퍼로, 더욱이 클램퍼의 방향이나 높이를 변경하여 클램프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천이나 솔기를 손상시키지 않고 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제품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셔츠 마무리기{SHIRT FINI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셔츠 마무리기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우측면도.
도 5는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주요부 평면도.
도 7은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9는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주요부 정면도.
도 10은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11은 블로워(blower)의 측면도.
도 12는 블로워와 유로전환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에서 본 측면도.
도 14는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
도 15는 상기 셔츠 마무리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주요부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ⅩⅦ-ⅩⅦ선에서 본 주요부 정면도.
도 18은 유로전환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유로전환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유로전환장치의 주요부 정면도.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유로전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셔츠 2 : 인체모형
4 : 지지아암 10 : 클램퍼(clamper)
11 : 축
본 발명은 세탁한 와이셔츠 등의 셔츠를 프레스 마무리하기 위한 셔츠 마무리기(shirt finish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모형에 셔츠를 입힌 상태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셔츠 마무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마무리기로는,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6758377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종래 마무리기의 경우에는, 셔츠를 입히기 위한 인체모형과, 상기 인체모형의 앞뒤를 가압하여 셔츠를 프레스 마무리하기 위한 전후 한 쌍의 프레 스 다리미와, 인체모형의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아암이 구비되고, 반소매 셔츠의 소매끝을 핀칭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가 지지아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셔츠나 블라우스와 같은 셔츠는, 소매나 소매끝의 형태가 다종다양하다. 또, 셔츠는 치수의 차이에 따라 소매 길이가 다르며, 소매는 디자인에 따라 부착 각도가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마무리기는 소매를 잡아당길 때, 천이나 소맷죽지의 솔기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그리고 쉽게 클램프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반소매나 긴소매의 차이, 혹은 소매의 기울기에 맞추어 클램프하는 방향이나 높이를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요망된다.
그런데 종래의 마무리기는 클램퍼가 지지아암의 상부에 종횡방향 중 어떠한 상태로 고정적으로 설치되었고, 또 클램퍼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 마무리기의 경우에는, 소매의 기울기나 소매끝의 형태에 맞추어 클램퍼의 방향을 바꾸거나 높이를 조절하여 클램프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종래 마무리기에 따르면 소매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마무리기에 따르면, 작업자는 손을 높이 들어올려 무리한 자세로 소매를 클램프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종래의 마무리기의 경우에는, 반소매용과, 긴소매용의 클램퍼를 개별적으로 구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마무리기에 따르면, 부품 수나 조립공정이 늘어 부품비용, 조립비용,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 제품가격이 높게 책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이셔츠나 폴로셔츠 등의 셔츠의 종류, 소매의 디자인, 반소매나 긴소매의 차이, 혹은 소매의 부착각도 등에 맞추어 1개의 클램퍼로, 더욱이 클램퍼의 방향이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천이나 솔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쉽게 클램프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제품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셔츠 마무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츠(1)를 입히기 위한 인체모형(2)과, 상기 인체모형(2)의 양측에 설치되며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기울어 쓰러져서 셔츠(1)의 소매를 견인(牽引)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아암(4)과, 상기 지지아암(4)의 상부에 설치되며 셔츠(1)의 소매끝을 핀칭하여 고정하는 클램퍼(10)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셔츠 마무리기로서, 상기 클램퍼(10)가, 지지아암(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지지아암(4)이 기울어 쓰러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하여 종횡방향으로 전환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아암(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본 발명의 경우, 셔츠(1)에는 와이셔츠 외에 가령 폴로셔츠나 블라우스 등도 포함된다. 또, 셔츠(1)는 반소매일 수도 있고 긴소매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클램퍼(10)의 방향이나 높이를 변경하는 장치로서는 에어실린더 등의 실린더장치나, 모터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램퍼(10)로 소매끝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턱(tuck)을 프레스할 수 있도록, 지지아암(4)의 상부에 열 다리미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셔츠(1)의 앞뒤 혹은 그 중 한 쪽만 프레스 마무리하기 위한 프레스 다리미(3)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츠(1) 소매가 견인상태의 한계에 도달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7)와, 상기 센서(7)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지지아암(4)의 구동장치(6)에 기울어 쓰러지는 동작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9)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
종래 이러한 종류의 마무리기는 셔츠(1)의 천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도, 실린더의 로드가 연장되는 동작에 따라 지지아암(4)이 측방으로 기울어 쓰러져서 소매를 견인하며, 소매에 지지아암(4)의 무게가 가중된 상태에서 소매를 팽창시켜 마무리하는 것이 통례였다. 따라서 종래의 마무리기에 따르면, 소매가 지지아암(4)의 자중(自重)에 의해 견인되어 천이나 소맷죽지의 봉제부분을 손상시키기 쉬웠다. 청구항 2에 따른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소매가 견인상태의 한계에 도달했을 때, 그 이상 소매를 잡아당기거나 소매에 지지아암의 무게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소매나 소맷죽지의 봉제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매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여기서, 소매의 견인상태의 한계란, 그 이상 지지아암(4)이 기울어 쓰러져서 소매를 잡 아당기면, 천이나 소맷죽지의 봉제부분이 손상을 입게되는 경계를 의미한다. 센서(7)로서는 광전센서나 리미트스위치 등이 있다. 지지아암(4)의 구동장치(6)로는 에어실린더나 모터가 있다. 또, 컨트롤러(9)는 마이크로컴퓨터나 시퀀서로 구성된다.
또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10 내지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모형(2)의 내부를 흡인하여 셔츠(1)를 인체모형(2)에 흡착시키는 동시에, 인체모형(2)의 내부를 통해 셔츠(1)의 소매 속으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블로워(21)와, 상기 블로워(21)와 인체모형(2)의 내부를 연통(連通)상태로 접속하는 공기의 유로를 공기의 흡인시와 송풍시로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장치(22)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마무리기에는 통상적으로 인체모형(2)에 셔츠(1)를 흡착시키기 위한 진공용 송풍기와, 소매 속으로 공기를 보내어 소매를 팽창시켜 팽팽히 마무리하기 위한 송풍기가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무리기의 경우에는, 2대의 송풍기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고 대형화나 중량의 증가가 초래되었다. 본원의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경우에는, 1대의 블로워(21)로 셔츠(1)를 인체모형(2)에 흡착시키거나 소매를 팽창시켜 마무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비용이나 조립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공간절약,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클램퍼(10)는, 도 1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을 따른 수평형상의 횡축(30)을 중심으로 하여, 기립형상으로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 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내지 6).
왜냐하면 이로써, 예컨대 양복과 같이 소매가 수직하방을 향해 늘어져 있는 경우에도, 클램퍼(10)를 소매끝에 정확하게 대향시켜 배치할 수 있어, 소매끝을 확실하고 깔끔하게 클램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립형상이란, 반드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경우, 클램퍼(10)의 기복동작은 구체적으로는 에어실린더나 모터에 의해 실현된다.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해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1은, 셔츠로서의 반소매 와이셔츠이다. 도면부호 2는 상기 셔츠(1)를 입히기 위한 인체모형이다. 또, 도면부호 3은 셔츠(1) 앞쪽을 누르기 위한 프레스 다리미이다. 상기 프레스 다리미(3)는 하부의 피봇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인체모형(2)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4는 인체모형(2)의 양쪽에 설치되며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기울어 쓰러져서 셔츠(1)의 소매를 견인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아암이다. 상기 지지아암(4)의 하단은, 인체모형(2)의 뒷쪽에 세워진 지주(5)의 양측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6은 지지아암(4)의 구동장치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이다. 상기 에어실린더(6)는 지지아암(4)의 중간정도의 위치와 지주(5)에 비스듬하게 걸쳐져 있다. 지지아암(4)은 상기 에어실린더(6)의 로드의 신축동작에 따라, 하단의 부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인체모형(2)을 향해 일으켜지거나 인 체모형(2)으로부터 측방으로 회동하여 기울어 쓰러지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아암(4)은, 셔츠(1)의 소매가 견인상태의 한계에 도달하면, 구동장치(6)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가 정지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靜止)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7(도 6 참조)은, 셔츠(1)의 소매가 견인상태의 한계에 도달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다. 상기 센서(7)는 가령 광전센서로 구성되며, 가이드가 부착된 실린더(8)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7)는 가이드가 부착된 실린더(8)의 로드(8a)의 내장(內藏)단부가 수광부와 투광부의 사이에서 빠져나오면, 온(ON)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8b는 평행한 한 쌍의 봉형상의 가이드이다. 로드(8a)는 상기 가이드(8b)의 사이에 평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부호 9는 센서(7)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지지아암(4)의 구동장치(6)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에, 기울어 쓰러지는 동작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이다. 상기 컨트롤러(9)는 가령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0은 지지아암(4)의 상부에 설치되며 셔츠(1)의 소매끝을 핀칭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램퍼이다. 상기 클램퍼(10)는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하여 종횡방향으로 전환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11)은 지지아암(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지지아암(4)이 기울어 쓰러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2는 셔츠(1)의 소매끝을 끼워넣기 위한 패드이다. 셔츠(1)의 소매끝은 상기 패드(12)를 사이에 두고 클램퍼(10)에 의해 핀칭된다.
또한, 클램퍼(10)는 지지아암(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3은 클램퍼(10)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 한 제 1 에어실린더이다. 상기 제 1 에어실린더(13)는 로드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지지아암(4)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14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하게 배치된 프레임이다. 제 1 에어실린더(13)의 로드의 상단은 상기 프레임(14)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14)은 지지아암(4)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5)에 걸림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5)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램퍼(10)는 굴곡진 형상의 다리부 사이에 제 2 에어실린더(16)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에어실린더(16)의 로드의 신축동작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퍼(10)는 로드(8a)와 가이드(8b)를 통해 가이드가 부착된 실린더(8)에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가 부착된 실린더(8)에는 판(17)이 직각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판(17)과 축(11)은, 판(17)이 축(1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축(11)은 프레임(14)의 전단부에 프레임(1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18은 클램퍼(10)를 축(11)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켜 종횡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 3 에어실린더이다. 상기 제 3 에어실린더(18)는 로드가 전방을 향해 프레임(14)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에어실린더(18)의 로드의 선단은, 축(11)과 평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연결봉(19)의 일단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연결봉(19)의 타단은 판(17)의 소정 위치에 너트(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셔츠 마무리기는 도 10 내지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모형(2)의 내부를 흡인하여 셔츠(1)를 인체모형(2)에 흡착시키는 동시에, 인체모 형(2)의 내부를 통해 셔츠(1)의 소매 속으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블로워(21)와, 상기 블로워(21)와 인체모형(2)의 내부를 연통상태로 접속하는 공기의 유로를 공기의 흡인시와 송풍시로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장치(22)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블로워(21)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21a)의 회전축과 블레이드(21b)의 회전축이 전동벨트(21c)에 의해 연결되며, 블레이드(21b)는 케이싱(21d)에 내장되어 있다. 도면부호 21e는 흡입 콘이다. 도면부호 21f는 필터가 부착된 흡입구이고, 21g는 급배기구(給排氣口)이다. 유로전환장치(22)는 블로워(21)의 케이싱(21d)과, 인체모형(2)의 받침대부(2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유로전환장치(22)는 유로전환박스(22a)와, 상기 유로전환박스(22a)를 전후방향으로 진퇴동작시키는 구동원(22b)으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와, 유로전환박스(22a)를 안내하는 평행한 한 쌍의 안내부재(22c)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전환박스(22a)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의 상하위치가 한 쪽에서 다른 쪽에 걸쳐 관통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측에 흡인로(24)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공기이송로(2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전환박스(22a)는 비스듬한 상측과 비스듬한 하측에, 유로전환박스(22a)의 측면과 면일치하는 형상으로 배기구용 차폐판(26)과 흡입구용 차폐판(27)이 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배기구용 차폐판(2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체모형(2)의 받침대부(23) 측면에 개구되어 있는 배기구(28)를, 흡입구용 차폐판(27)은 흡입구(29, 도 1 참조)를, 유로전환박스(22a)의 진퇴동작에 따라 폐색(閉塞)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구(28)와 흡입구(29)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차폐판(26,27)의 형성위치에 맞추어 받침대부(23)의 측면에 비스듬하게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인체모형(2)에 셔츠(1)를 입히고, 다음으로 지지아암(4)을 인체모형(2)의 근방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셔츠(1)의 소매끝을 클램퍼(10)로 핀칭하여 고정한다. 이 때, 작업자는 소매의 길이나 기울기, 소매끝의 형태 등에 맞추어 클램퍼(10)의 방향이나 높이를 조절한다. 즉, 클램퍼(10)의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1 에어실린더(13)의 로드를 수축시킨다. 이렇게 하면, 프레임(14)이 가이드레일(15)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14)과 함께 클램퍼(10)가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를 쉽게 세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에어실린더(13)의 구동용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제 1 에어실린더(13)가 구동하여 클램퍼(10)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클램퍼(10)의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3 에어실린더(18)의 구동용 스위치를 작업자가 누른다. 이렇게 하면, 제 3 에어실린더(18)가 구동하여 그 로드가 연장되고,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판(17), 가이드가 부착된 실린더(8), 클램퍼(10)의 전체가 90도 회전한다. 이로써 클램퍼(10)가 가령 종방향으로 배치된다(도 9의 쇄선상태 참조).
그리고 이렇게 하여 클램퍼(10)에 의해 소매끝을 핀칭한 후에, 작업자는 구동장치(6)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의 스위치를 켜고 로드를 연장시킨다. 이렇게 하면, 지지아암(4)이 인체모형(2)의 측방으로 회동하여 기울어 쓰러진다. 그리고 셔츠(1)의 소매가 견인상태의 한계에 도달하면, 센서(7)가 온이 되며 이 신호를 컨트롤러(9)가 받으면, 컨트롤러(9)로부터 구동장치(6)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로 구동정지신호가 보내진다. 이로써 구동장치(6)의 구동이 정지되고 지지아암(4)이 정지(靜止)한다.
그리고 인체모형(2)에 셔츠(1)를 흡착시킬 때에는 구동원(22b, 도 12 참조)으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연장된다. 이렇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박스(22a)가 안내부재(22c)에 의해 안내되어 전진하여, 받침대부(23)의 배기구(28)와 유로전환박스(22a) 상측의 흡인로(24)가 연통하게 된다. 이 때, 유로전환박스(22a)의 흡입구용 차폐판(27, 도 13 참조)은 받침대부(23)의 흡입구(29, 도 1 참조)를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 블로워(21)를 운전하면, 인체모형(2)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어 셔츠(1)가 인체모형(2)의 표면에 흡착된다. 그리고 그 공기는 배기구(28)로부터 유로전환박스(22a)의 흡인로(24)를 흘러 케이싱(21d)의 필터가 부착된 흡입구(21f, 도 11 참조)를 통해 케이싱(21d)속으로 유입되어 케이싱(21d)의 급배기구(21g)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소매를 팽창시킬 때에는, 구동원(22b)으로서 기능하는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수축시킨다. 이렇게 하면 유로전환박스(22a)가 안내부재(22c)에 의해 안내되어 후퇴한다. 그리고 공기이송로(25, 도 13 참조)가 도 1, 도 10,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부(23)의 흡입구(29), 케이싱(21d)의 급배기구(21g)와 연통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부(23)의 배기구(28)는 배기구용 차폐판(26)에 의해 폐색된다. 이 상태에서 블로워(21)를 운전하면, 외부공기가 케이싱(21d)의 필터가 부착된 흡입구(21f)로부터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가 급배기구(21g), 공기이송로(25), 흡입구(29), 인체모형(2)의 내부를 흘러 셔츠(1)의 소매 속으로 보내진다. 이로써 소매가 팽창되어 마무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클램퍼(10)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을 따른 수평형상의 횡축(30)을 중심으로 하여, 기립상태로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도면부호 31은 로드가 하방을 향하여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제 4 에어실린더이다. 또한, 도면부호 32는 프레임(14)의 선단부에 연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제 2 프레임이다. 상기 제 2 프레임(32)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90도로 굴곡되며, 좌우방향으로 뻗은 직선부(32a)의 위치가, 횡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90도 회동할 수 있도록 너트에 의해 프레임(14)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 4 에어실린더(31)의 로드의 하단은, 도 16에서 횡축(30)으로부터 우측으로 치우쳐 직선부(32a)의 단부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3 에어실린더(18)는 제 2 프레임(32)에 부착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상기한 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의 상태에서, 제 4 에어실린더(31)의 로드가 수축하면, 도 17에서 제 2 프레임(32)과 함께 클램퍼(10)가, 횡축(3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한다. 이로써 클램퍼(10)가 기립상태로 일으켜진다. 또, 제 4 에어실린더(31)의 로드가 연장되면, 클램퍼(10)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수평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클램퍼(10)를 프레임(14) 및 제 2 프레임(32)과 함께 끌어내린 후에 기립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양복과 같이 소매가 수직하방을 향해 늘어져 있는 경우에도 클램퍼(10)를 소매끝에 대향시켜 확실하고 깔끔하게 클램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유로전환장치(22)는 도 18 내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전환장치(22)는 유로전환박스(22a)의 상면에, 상기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수평형상으로 설치된 제 5 에어실린더(33)와, 상기 제 5 에어실린더(33)의 로드의 신축동작에 따라 흡인로(24, 도 19 참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형상의 제 1 밸브(34)와, 공기이송로(25)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형상의 제 2 밸브(35)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밸브(34)와 제 2 밸브(35)는 흡인로(24)와 공기이송로(25)의 각 개구부를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유로전환박스(22a)의 내측면에 맞닿는 주변부가 고무재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5 에어실린더(33)의 로드의 선단은 수평형상의 연장 플레이트(36)의 일단에 피봇부착되며, 연장 플레이트(36)의 타단은 유로전환박스(22a)의 앞쪽 모퉁이에 수직상태로 세워져 있는 제 1 회전축(37)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밸브(34)는 흡인로(24)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제 1 회전축(37)에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제 1 회전축(37)과 함께 회동한다.
도면부호 38은 제 5 에어실린더(33)의 로드의 신축동작을 제 2 밸브(35)로 전달하여, 제 2 밸브(35)를 90도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기구이다. 상기 링크기구(38)는 연장 플레이트(36)의 바디부에 선단이 피봇부착되어 있는 수평형상의 봉부 재(38a)와, 상기 봉부재(38a)의 후단에 피봇부착되어 있는 수평형상의 링크피스(38b)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39는 유로전환박스(22a)의 뒤쪽 모퉁이에 수직형상으로 세워져 있는 제 2 회전축이다. 링크피스(38b)의 일단은 제 2 회전축(39)의 상단에 고정되고, 링크피스(38b)의 타단은 봉부재(38a)의 후단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제 2 밸브(35)는, 공기이송로(25)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제 2 회전축(39)에 수직형상으로 고정되어 제 2 회전축(39)과 함께 회동한다. 유로전환박스(22a)의 흡인로(24)와 공기이송로(25)의 각 개구부는, 받침대부(23)의 배기구(28, 도 1 참조), 흡입구(29)의 위치에 맞추어 비스듬히 어긋나 형성되어 있다(도 19 참조).
다음으로 상기 유로전환장치(22)의 작용을 도 21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제 5 에어실린더(33)의 로드가 연장되면, 제 1 밸브(34)가 상기 도면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37)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한다. 이 때 링크기구(38)의 봉부재(38a) 및 링크피스(38b)가 전방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제 2 밸브(35)는 제 2 회전축(39)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흡인로(24)의 개구부가 제 1 밸브(34)에 의해 개방되고 공기이송로(25)의 개구부가 제 2 밸브(35)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배기구(28), 흡인로(24), 필터가 부착된 흡입구(21f), 케이싱(21d) 내부가 연통하며, 블로워(21)에 의해 인체모형(2)의 내부가 흡인되어 인체모형(2)에 셔츠(1)가 흡착된다.
또, 소매에 공기를 보내는 경우에는, 제 5 에어실린더(33)의 로드를 수축시킨다. 이렇게 하면 제 1 밸브(34)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흡인로(24)의 개 구부를 폐쇄하고 배기구(28)를 폐색한다. 또, 로드의 수축동작을 받아 링크기구(38)의 봉부재(38a) 및 링크피스(38b)가 후방으로 당겨져 제 2 밸브(35)가 제 2 회전축(39)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동한다. 이로써 공기이송로(25)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흡입구(29)가 개방된다. 따라서, 공기이송로(25), 흡입구(29), 인체모형(2)의 내부가 연통되며, 블로워(21)로부터 소매로 공기가 보내져 소매가 팽팽히 마무리된다.
유로전환장치(22)가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에는, 배기구용 차폐판(26, 도 14 참조)이 받침대부(2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발밑을 신경쓰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셔츠의 소매끝을 핀칭하여 고정하는 클램퍼를, 지지아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지지아암이 기울어 쓰러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켜 종횡방향으로 전환이 자유롭도록 형성하고, 또한 클램퍼를 지지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소매끝의 형태나 소매의 길이, 혹은 소매의 기울기에 맞추어 클램퍼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또 클램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소매의 클램프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소매의 마무리상태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소매 셔츠와 긴소매 셔츠 모두를 지지아암의 상부에 설치 된 1개의 클램퍼로 클램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르면 부품비용, 조립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제품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셔츠를 입히기 위한 인체모형과, 상기 인체모형의 양쪽에 설치되며 인체모형의 측방으로 기울어 쓰러져 셔츠의 소매를 견인(牽引)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의 상부에 설치되며 셔츠의 소매끝을 핀칭하여 고정하는 클램퍼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셔츠 마무리기(shirt finishing machine)로서,
    상기 클램퍼는, 지지아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지지아암이 기울어 쓰러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종횡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마무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셔츠의 소매가 견인상태의 한계에 도달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지지아암의 구동장치에 기울어 쓰러지는 동작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마무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체모형의 내부를 흡인하여 셔츠를 인체모형에 흡착시키는 동시에, 인체모 형의 내부를 통해 셔츠의 소매 속으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와 인체모형의 내부를 연통(連通)상태로 접속하는 공기의 유로를 공기의 흡인시와 송풍시로 전환하기 위한 유로전환장치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마무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전후방향을 따른 수평형상의 횡축을 중심으로, 기립상태로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마무리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전후방향을 따른 수평형상의 횡축을 중심으로, 기립상태로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마무리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전후방향을 따른 수평형상의 횡축을 중심으로, 기립상태로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츠 마무리기.
KR1020050008459A 2005-01-31 2005-01-31 셔츠 마무리기 KR100628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59A KR100628587B1 (ko) 2005-01-31 2005-01-31 셔츠 마무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59A KR100628587B1 (ko) 2005-01-31 2005-01-31 셔츠 마무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678A KR20060087678A (ko) 2006-08-03
KR100628587B1 true KR100628587B1 (ko) 2006-09-26

Family

ID=371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459A KR100628587B1 (ko) 2005-01-31 2005-01-31 셔츠 마무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5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40B1 (ko) 2009-04-03 2011-05-30 최윤섭 셔츠 프레스
KR200470282Y1 (ko) 2012-06-15 2013-12-06 이영종 상의 다림장치
US11371183B2 (en) 2019-09-02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40B1 (ko) 2009-04-03 2011-05-30 최윤섭 셔츠 프레스
KR200470282Y1 (ko) 2012-06-15 2013-12-06 이영종 상의 다림장치
US11371183B2 (en) 2019-09-02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678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0639B2 (ja) 厚手衣類専用折り畳み機
KR100628587B1 (ko) 셔츠 마무리기
US8025190B2 (en) Upgraded ironing machine for ironing trousers
JP2003024699A (ja) シャツ仕上げ機及び人体型装着用カバー
US5722572A (en) Machine for ironing cloth articles such as shirts and the like
JP2013215361A (ja) 布類展開装置
WO2005124009A1 (ja) シャツ仕上げ機
JP2008006097A (ja) 布類の整形装置
KR200463981Y1 (ko) 상의 다림장치
JP4043346B2 (ja) 布類展張機
US7392919B2 (en) Shirt finishing machine
ES2217484T3 (es) Dispositivo para planchar cuellos de camisa.
KR101118272B1 (ko) 셔츠 프레스
JP2012125540A (ja) 衣類投入機
JPH0351439B2 (ko)
JP5758185B2 (ja) 衣類投入機
EP2310565B1 (en) Trousers pressing machine
JPH0339198Y2 (ko)
KR20190030331A (ko) 스타킹 가공장치
CN115787235B (zh) 一种服饰生产的皱纹烫平固定装置
KR20120109811A (ko) 바지프레스기의 가압장치
CN113415491B (zh) 一种整理机构
CN108861755B (zh) 一种能翻转的展布机
JP2009279266A (ja) 布類整形投入装置
JPH03416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