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21A -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821A
KR20210026821A KR1020190108136A KR20190108136A KR20210026821A KR 20210026821 A KR20210026821 A KR 20210026821A KR 1020190108136 A KR1020190108136 A KR 1020190108136A KR 20190108136 A KR20190108136 A KR 20190108136A KR 20210026821 A KR20210026821 A KR 2021002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expansion tube
shelter
termina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한
황윤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821A/ko
Publication of KR2021002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28Devices for projecting or releasing boats for 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와, 선체에 설치된 진수대에 거치되는 구명정과,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내부에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대피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구, 및 구명정과 대피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출입구로부터 구명정까지 대피로를 형성하는 팽창튜브, 및 구명정과 대피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구명정을 팽창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Vessel equipped with shelter}
본 발명은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하여 대피공간, 및 구명정까지 연결되는 대피로를 제공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설비에서 화재, 폭발, 충돌 등의 비상 사고 발생 시 선원들은 안전한 곳에 위치한 임시 대피소(temporary refuge)로 대피하며, 사고 상황이 해결될 때까지 임시 대피소 내에서 대기를 하게 된다. 임시 대피소 내에는 전원이 구비된 통신장치가 마련되므로, 인원체크를 통해 모든 선원이 안전하게 대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고 상황이 확대되어 총괄 책임자(OIM; Offshore Installation Manager)의 판단 하에 해양설비로부터 탈출을 해야 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선원들은 임시 대피소에 인접해 있는 구명정에 탑승하여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대피소는 거주구(living quarter) 내에 위치하는데, 규모가 큰 해양설비의 경우, 대피시간 및 사고에 의한 대피로의 차단 등을 고려하여 2차 임시 대피소(secondary temporary refuge)를 설치하기도 한다. 2차 임시 대피소는 거주구 내에 위치한 1차 임시 대피소(primary temporary refuge)와 대향된 위치에 소규모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2차 임시 대피소는 화염, 가스 등의 유입이 차단되는 대피공간의 제공을 위해 고정된 구조물로 형성되므로, 선박 내 설치를 위한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776호 (2015. 05. 0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하여 대피공간, 및 구명정까지 연결되는 대피로를 제공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된 진수대에 거치되는 구명정과,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내부에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대피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구, 및 상기 구명정과 상기 대피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구명정까지 대피로를 형성하는 팽창튜브, 및 상기 구명정과 상기 대피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명정을 상기 팽창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은, 상기 구명정과 상기 팽창튜브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를 가압하여 상기 팽창튜브로부터 상기 구명정을 이탈시키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은, 상기 구명정 내부에 설치된 제1 통신장치에 연결되며, 단부에 제1 단자가 형성된 제1 통신선과, 상기 팽창튜브 내부에 설치된 제2 통신장치에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단자와 접속되는 제2 단자가 형성된 제2 통신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리유닛이 상기 구명정을 이탈시키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은, 상기 구명정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명정이 이탈되면 상기 대피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부를 폐쇄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구명정의 외측에서 상기 입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1 단자의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연결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자력으로 결합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 시 팽창튜브가 수축되어 보관되고,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튜브가 팽창하여 대피공간, 및 구명정까지 연결되는 대피로를 제공하므로, 선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구명정과 팽창튜브 내부에 각각 설치된 제1 통신장치와 제2 통신장치가 제1 통신선과 제2 통신선에 의해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므로, 선원들의 대피 상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의 팽창튜브가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의 팽창튜브가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분리유닛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의 팽창튜브가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은 거주구에 설치된 1차 임시 대피소와 대향된 위치에 소규모의 2차 임시 대피소가 설치되어 비상 사고 발생 시 선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은 평상 시 팽창튜브(30)가 수축되어 보관되고,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튜브(30)가 팽창하여 대피공간, 및 구명정(20)까지 연결되는 대피로를 제공하므로, 선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 내부에 각각 설치된 제1 통신장치(도 3의 60A 참조)와 제2 통신장치(도 3의 60B 참조)가 제1 통신선(도 3의 61 참조)과 제2 통신선(도 3의 62 참조)에 의해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므로, 선원들의 대피 상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의 팽창튜브가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분리유닛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은 선체(10)와,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 및 연결유닛(40)을 포함한다.
선체(10)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외측면이 유선형(流線型)의 형상을 이루어 해류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체(10)는 일 측, 예를 들어, 선수(船首)와 선미(船尾) 중 어느 하나에 1차 임시 대피소가 설치된 거주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타 측, 예를 들어, 선수와 선미 중 나머지 하나에 후술할 구명정(20)과, 2차 임시 대피소의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선수와 선미 중 어느 하나에 거주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명정(20)은 비상 사고 발생 시 선원의 탈출을 목적으로 하는 보트로, 별도의 추진장비를 구비하고 있어 수면에 낙하 후 자체적으로 항해할 수 있다. 구명정(20)은 내파성(耐波性)과 복원성이 뛰어난 구조로 형성되며, 선체(10)에 설치된 진수대(11)에 거치된다. 진수대(11)는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부재로 형성된 구조물로, 선체(10)에 고정되어 구명정(20)을 지지할 수 있다. 구명정(20)의 후미(後尾)에는 팽창튜브(30)가 배치된다.
팽창튜브(30)는 비상 사고 발생 시 대피공간(31a)과, 구명정(20)까지 연결되는 대피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상 시에는 수축되어 보관되고 비상 사고 발생시에만 팽창할 수 있다. 이 때, 팽창튜브(30)는 일 측에 연결된 기체주입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동으로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도 있고, 선원에 의해 수동으로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될 수도 있다. 팽창튜브(3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산소공급장치(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부(31)와, 출입구(32), 및 연결통로(33)를 포함한다.
본체부(31)는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내부에 대피공간(31a)을 형성하는 것으로, 불연성(不燃性)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튜브(tub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는 평상 시 수축되어 접힌 상태로 보관되며, 비상 사고 발생 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일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본체부(31)가 팽창하여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팽창 후 본체부(31)가 이루는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체부(31)는 구명정(20)과 인접한 일 측이 선체(10)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며,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에 출입구(32)가 형성된다. 출입구(32)는 대피공간(31a)과 외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본체부(31)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비상 사고 발생 시 본체부(31)가 팽창되어 내부에 대피공간(31a)을 형성하면, 선원들은 출입구(32)를 통해 대피공간(31a) 내부로 대피할 수 있다. 본체부(31)가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하여 대피공간(31a)을 형성함으로써, 선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대피공간(31a)은 연결통로(33)를 통해 구명정(2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통로(33)는 구명정(20)과 대피공간(31a)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구명정(20) 내부와 대피공간(31a)에 연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명정(20)과 인접한 본체부(31)의 일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31)가 팽창하면, 출입구(32)로부터 구명정(20)까지 대피로가 형성되므로, 출입구(32)를 통해 대피공간(31a) 내부로 대피한 선원들은 연결통로(33)를 통해 구명정(20) 내부로도 이동할 수 있다.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는 연결유닛(40)에 의해 결합된다.
연결유닛(40)은 구명정(20)을 팽창튜브(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구명정(20)과 대피공간(31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유닛(40)은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1)는 구명정(20)에 설치되는 것으로, 팽창튜브(30)와 인접한 후미 측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2)는 연결통로(33)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명정(20)과 인접한 전단 측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제1 연결부(41)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는 서로 대향된 극성을 갖는 자력체로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는 자력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체로 형성되어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가 자력으로 결합됨으로써,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이상이 되면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되어 수면에 낙하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구명정(20)과 연결통로(33)의 상측에 각각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의 배치 및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 중 어느 하나에는 분리유닛(50)이 설치될 수 있다. 분리유닛(50)은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 중 나머지 하나를 가압하여 팽창튜브(30)로부터 구명정(20)을 이탈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미만일 때 동작하여 구명정(20)을 이탈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이상이 되면,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나, 필요에 따라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미만인 상태에서 긴급하게 구명정(20)의 이탈이 요구될 수 있다. 분리유닛(50)은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미만인 상태에서 동작하여 팽창튜브(30)로부터 구명정(20)을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유닛(50)이 팽창튜브(30)로부터 구명정(20)을 이탈시키면, 후술할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가 분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명정(20) 내부에는 전원이 구비된 제1 통신장치(60A)가 설치되며, 제1 통신장치(60A)에는 단부에 제1 단자(61A)가 형성된 제1 통신선(61)이 연결된다. 또한, 팽창튜브(30) 내부에는 전원이 구비된 제2 통신장치(60B)가 설치되며, 제2 통신장치(60B)에는 단부에 제2 단자(62A)가 형성된 제2 통신선(62)이 연결된다.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는 서로 접속되며, 이로 인해,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 사이, 및 팽창튜브(30)와 1차 임시 대피소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여 선원들의 대피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분리유닛(50)이 팽창튜브(30)로부터 구명정(20)을 이탈시키면,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도 분리되어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구명정(20)과 연결통로(33)의 하측에 각각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가 배치되고, 분리유닛(50)이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에 근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의 배치, 및 분리유닛(5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분리유닛(50)은 유압 실린더 구조, 기어 구조, 링크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팽창튜브(30)로부터 구명정(20)을 이탈시킬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분리유닛(50)은 실린더(51)와 피스톤(52)을 포함하는 유압 실린더 구조로 형성되어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51)는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의 부재로, 개방된 일 측이 팽창튜브(30)를 향하도록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51) 내부에는 피스톤(52)이 수용된다. 피스톤(52)은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일단부가 팽창튜브(30)를 향하여 배치되고 타단부가 실린더(51)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51) 내부로 공기와 같은 유체가 주입되면, 피스톤(52)이 실린더(51), 및 구명정(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팽창튜브(30)가 가압되어 구명정(20)이 이탈될 수 있다.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가 완전히 분리되면, 실린더(51) 내부로 주입된 유체를 배출하여 피스톤(52)을 실린더(51) 내측으로 수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51)와 피스톤(52)을 포함하는 분리유닛(50)이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분리유닛(50)은 팽창튜브(30)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유닛(50)은 피니언기어(53)와 랙기어(54)를 포함하는 기어 구조로 형성되어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피니언기어(53)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기어 부재로,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53)는 랙기어(54)와 치합된다. 랙기어(54)는 상면, 하면,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길이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된 기어 부재로, 나머지 어느 하나의 면이 구명정(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랙기어(54)의 상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측면이 구명정(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랙기어(54)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니언기어(53)가 일 측에 연결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기어(54)가 피니언기어(53)와 치합하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명정(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팽창튜브(30)가 가압되어 구명정(20)이 이탈될 수 있다.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가 완전히 분리되면, 피니언기어(5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랙기어(54)를 구명정(20)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피니언기어(53)와 랙기어(54)를 포함하는 분리유닛(50)이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분리유닛(50)은 팽창튜브(30)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유닛(50)은 회전핀(55)과 링크(56)를 포함하는 링크 구조로 형성되어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회전핀(55)은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크(5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56)는 일단부가 회전핀(55)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구명정(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핀(55)이 일 측에 연결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링크(56)가 팽창튜브(30)를 향하여 이동하며 팽창튜브(30)에 고정 결합된 고정핀(34)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팽창튜브(30)가 가압되어 구명정(20)이 이탈될 수 있다.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는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핀(55)과 링크(56)를 포함하는 분리유닛(50)이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분리유닛(50)은 팽창튜브(30)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분리유닛(50)기 팽창튜브(30) 측에 설치되는 경우, 고정핀(34)은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되면, 구명정(20)에 형성된 도어부(21)가 대피공간(31a)과 연통되는 입구부(20a)를 폐쇄한다. 도어부(21)는 구명정(20)의 후미 측에 힌지 결합되며, 구명정(20)의 외측에서 입구부(20a)를 폐쇄할 수 있다. 즉, 도어부(21)는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통로(33) 상측에 배치되어 입구부(20a)를 개방하고,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여 입구부(20a)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부(21)가 구명정(20)의 외측에서 입구부(20a)를 폐쇄함으로써, 입구부(20a)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2 단자(62A)와 분리된 제1 단자(61A)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명정(20)이 수면에 낙하한 상태에서도 제1 통신장치(60A)를 통해 통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1)은 평상 시 팽창튜브(30)가 수축되어 보관되고,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튜브(30)가 팽창하여 대피공간, 및 구명정(20)까지 연결되는 대피로를 제공하므로, 선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 내부에 각각 설치된 제1 통신장치(60A)와 제2 통신장치(60B)가 제1 통신선(61)과 제2 통신선(62)에 의해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므로, 선원들의 대피 상황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평상 시 팽창튜브(30)는 수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구명정(20)은 선체(10)에 설치된 진수대(11)에 거치되며, 후미 측에 팽창튜브(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팽창튜브(30)는 본체부(31)가 수축된 상태일 수 있다.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에는 각각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가 설치되므로, 구명정(20)과 팽창튜브(30)는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부(21)는 연결통로(33) 상측에 배치되어 입구부(20a)를 개방할 수 있으며, 구명정(20)에 설치된 제1 통신장치(60A)와 팽창튜브(30)에 설치된 제2 통신장치(60B)는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가 접속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비상 사고 발생 시 팽창튜브(30)는 팽창할 수 있다.
비상 사고 발생 시 본체부(31)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체가 주입되면, 본체부(31)는 팽창하여 내부에 대피공간(31a)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31)는 구명정(20)과 인접한 일 측이 선체(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팽창하여 일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본체부(31)가 팽창하여 내부에 대피공간(31a)을 형성하면, 선원들은 출입구(32)를 통해 대피공간(31a) 내부로 대피할 수 있다. 대피공간(31a)은 연결통로(33)를 통해 구명정(20)의 입구부(20a)와 연통되므로, 출입구(32)로부터 구명정(20)까지 대피로가 형성되어 필요 시 선원들은 구명정(20) 내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사고 상황이 확대되면, 팽창튜브(30)로부터 구명정(20)을 이탈시켜 선체(10)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다.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이상이 되면,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수면에 낙하할 수 있다. 또는, 구명정(20), 및 구명정(20)에 탑승하는 탑승객의 총 중량이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에 형성된 자력의 크기 미만인 상태에서 분리유닛(50)이 구명정(20) 또는 팽창튜브(30)를 가압하면 구명정(20)이 팽창튜브(30)로부터 이탈되어 수면에 낙하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자(61A)와 제2 단자(62A)도 분리되며, 도어부(21)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여 입구부(20a)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부(21)는 구명정(20)의 외측에서 입구부(20a)를 폐쇄하여, 입구부(20a)를 통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1 단자(61A)가 해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10: 선체 11: 진수대
20: 구명정 20a: 입구부
21: 도어부 30: 팽창튜브
31: 본체부 31a: 대피공간
32: 출입구 33: 연결통로
34: 고정핀 40: 연결유닛
41: 제1 연결부 42: 제2 연결부
50: 분리유닛 51: 실린더
52: 피스톤 53: 피니언기어
54: 랙기어 55: 회전핀
56: 링크 60A: 제1 통신장치
60B: 제2 통신장치 61: 제1 통신선
61A: 제1 단자 62: 제2 통신선
62A: 제2 단자 70: 산소공급장치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된 진수대에 거치되는 구명정;
    기체가 주입되면 팽창하여 내부에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대피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출입구, 및 상기 구명정과 상기 대피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구명정까지 대피로를 형성하는 팽창튜브, 및
    상기 구명정과 상기 대피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명정을 상기 팽창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과 상기 팽창튜브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를 가압하여 상기 팽창튜브로부터 상기 구명정을 이탈시키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 내부에 설치된 제1 통신장치에 연결되며, 단부에 제1 단자가 형성된 제1 통신선과,
    상기 팽창튜브 내부에 설치된 제2 통신장치에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제1 단자와 접속되는 제2 단자가 형성된 제2 통신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리유닛이 상기 구명정을 이탈시키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분리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정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구명정이 이탈되면 상기 대피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부를 폐쇄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구명정의 외측에서 상기 입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1 단자의 노출을 차단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구명정에 설치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연결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자력으로 결합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KR1020190108136A 2019-09-02 2019-09-02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KR20210026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36A KR20210026821A (ko) 2019-09-02 2019-09-02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136A KR20210026821A (ko) 2019-09-02 2019-09-02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821A true KR20210026821A (ko) 2021-03-10

Family

ID=7514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136A KR20210026821A (ko) 2019-09-02 2019-09-02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8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776U (ko) 2013-10-31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776U (ko) 2013-10-31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500A (en) Life rafts on ships
KR20140037223A (ko) 수난 구조 장치
JPS61193988A (ja) 膨張可能の救命いかだ
CN104875863A (zh) 一种船舶防倾覆装置
US3107641A (en) Submarine vessel
CN106043626A (zh) 一种水险救生弹及其投掷装置
KR100554491B1 (ko) 대피처
EP0245343A1 (en) D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Drysdale et al. The explosion and fire on the Piper Alpha platform, 6 July 1988. A case study
NO782595L (no) Dykkeinnretning med loesbare, selvstendige enheter for utfoerelse av undersoekelser og undervannsarbeider
KR101293480B1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KR20210026821A (ko)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Ølgaard Accidents in nuclear ships
GB2123353A (en) A survival cabin for use at an offshore vessel
US10730596B2 (en) Submarine support ship
RU2066658C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камера подводного объекта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RU2248301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асения экипажа подводного судна
JPS5832079B2 (ja) 救命ボ−ト
KR102006901B1 (ko) 해상플랫폼용 개인 긴급 탈출 장치
KR200483927Y1 (ko) 해양 구조물의 대피시설물
RU23307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US20220017196A1 (en) Capsular-type underwater release lifeboat
KR20240024943A (ko) 잠수함용의 팽창가능한 딩기들을 위한, 특히 은밀한 작전을 위한 사출 시스템
RU2116225C1 (ru) Многоцелевой самолет-амфиб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