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76U -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76U
KR20150001776U KR2020130008969U KR20130008969U KR20150001776U KR 20150001776 U KR20150001776 U KR 20150001776U KR 2020130008969 U KR2020130008969 U KR 2020130008969U KR 20130008969 U KR20130008969 U KR 20130008969U KR 20150001776 U KR20150001776 U KR 20150001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emergency
ship
outboard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375Y1 (ko
Inventor
이재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7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6Pilot ladders or similar outboard ladders, e.g. bathing ladders; Pilot lif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2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Abstract

선내에서 화재, 폭발 등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최단시간 내에 선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과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은, 선내 위험 발생 시 고압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를 제공하는 튜브부재와, 팽창된 튜브부재를 선측에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로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AND VESSEL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내에서 화재, 폭발 등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최단시간 내에 선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과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부유식 구조물은 국제규정에 따라 인명구명 설비(예: Lifeboat, Life raft, Life jacket 등)를 의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인명대피 설비 중의 하나로서 갑판 상부에는 대피소가 마련되어 비, 바람 등의 환경적인 위험요소로부터 인명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들어,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이하 'FPSO'라 함)와 같이 더욱 복잡하고 거대한 해양구조물의 건조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복잡하고 거대한 부유식구조물은 화재, 폭발은 물론, 극저온물질의 누출 등과 같이 많은 위험요소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여러 구명 설비 및 탈출/대피 매뉴얼이 갖추어져 있다 하더라도 갑작스런 위험 상황 발생 시 선원이 즉시 탈출하기에는 갑판의 설비가 복잡하고 구명설비까지 이동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인명 보호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구명보트 탑승구조물을 구비한 선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25324호)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선박 또는 부유식 구조물 등에서 긴급한 위기 상황이 발생 시 최단시간 내에 선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과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은, 선내 위험 발생 시 고압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를 제공하는 튜브부재; 및 상기 팽창된 튜브부재를 선측에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로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부재에 구비되어 대피인원의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는 로프 래더(rope ladd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재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고압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충진 장치가 내장된다.
또한, 팽창 후 상기 튜브부재의 일단부는 선체 외벽에 대면 배치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에어 베드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타단부의 끝단에는 상향 돌출된 난간부가 더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은, 선내 위험 발생 시 고압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를 제공하는 튜브부재와, 상기 팽창된 튜브부재를 선측에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로프를 포함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갑판 상부 또는 선측에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부재에 구비되어 대피인원의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는 로프 래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재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고압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충진 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팽창 후 상기 튜브부재의 일단부는 선체 외벽에 대면 배치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에어 베드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타단부의 끝단에는 상향 돌출된 난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 또는 부유식 구조물 등에서 화재, 폭발, 극저온물질 누출 등과 같은 긴급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 최단시간 내에 선원을 선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PSO와 같이 갑판 상부가 복잡한 거대 해양구조물 내에서 긴급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원의 선외 대피를 즉시 도울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긴급 위험상황 발생 시 선원의 탈출 또는 대피에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 직접 바다로 뛰어드는 것보다 2차적인 보조수단으로서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로 대피할 수 있다. 이후, 비상 상황이 종료되면 로프 래더(Rope Ladder)를 이용하여 선내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은 선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구명뗏목(Life Raft) 등과 달리 해상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대피인원의 안전 확보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의 사용 전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의 사용 후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선박 또는 부유식 구조물은 국제규정 등에 따라 인명구명 설비(예: Lifeboat, Life raft, Life jacket 등)를 의무적으로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 갑판 상부에는 대피소가 마련되어 있어, 이를 통해 비, 바람 등의 자연환경적인 위험요소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고 있다.
최근 들어, FPSO 등과 같은 갑판 상태가 복잡하고 거대한 해양구조물의 건조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해양구조물에서는 화재, 폭발은 물론, 액화가스 등의 극저온물질이 갑판 상으로 누출되는 등 각종 사고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구비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 대피용 구조물 중 하나의 구성으로서 튜브부재(110)가 나타나 있는데, 이 튜브부재(110)는 선박(1), 더 구체적으로는 갑판(3) 상부 또는 선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재(110)의 개수 및 설치 위치는 조금씩 달라져도 무방하며, 도 1에 도시된 튜브부재(110)의 배치 형태에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의 사용 전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의 사용 후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은 튜브부재(110), 스프링 로프(spring rope)(도 3의 120) 및 로프 래더(rope ladder)(도 3의 130)를 포함한다.
튜브부재(110)는 선내 위험 발생 시 고압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를 제공하는 패키지(package) 형태의 인명구조수단이다.
상기 튜브부재(11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 전 상태는 선박(1), 더 구체적으로는 갑판(3) 상부 또는 선측에 패키지 된 상태로 접혀 보관된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튜브부재(110)는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있는데, 겉은 튜브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튜브부재(110)는 비상 시 부피가 크게 팽창되어야 하므로, 튜브부재(110)의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으로 고압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충진 장치(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충진 장치는 관용적으로 이용되는 gas bottle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에어백 등에서 고압 가스가 급속 충진 되는 구성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측에 점선 형태로 보관되어 있는 튜브부재(110)가 고압 가스의 충진 작용으로 L자 단면 형상으로 펼쳐져 팽창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0'은 사용 후의 튜브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팽창된 튜브부재(도 3의 110')는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로 제공된다.
스프링 로프(120)는 팽창된 튜브부재(110')를 선측에 고정시켜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로프(120)는 선측에서 팽창된 튜브부재(110') 사이에 고정되며, 그 개수 및 연결 위치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만, 튜브부재 상에는 스프링 로프(120)가 미리 묶여 보관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로프 래더(130)는 선박(1)과 팽창된 튜브부재(110') 사이 및/또는 팽창된 튜브부재(110')로부터 수면 위까지 구비되어 대피인원의 탈출 또는 복귀 경로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팽창된 튜브부재(110')의 상부에 상단 로프 래더(131)가 마련되며, 이의 하부에 하단 로프 래더(133)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역시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단 로프 래더(131)는 대피인원이 갑판으로부터 팽창된 튜브부재로 대피하거나, 또는 위험상황이 해제되었을 때 다시 갑판으로 복귀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하단 로프 래더(133)는 대피인원이 구명정 등으로 탈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이 팽창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3) 상부 또는 선측에 상시 마련되어 있던 패키지 형태의 튜브부재(110)는 선내 위험 발생 시 내부로 고압 가스가 충진 되어 L자 단면 형상으로 부피가 크게 팽창된다.
팽창된 튜브부재(110')와 선박(1) 사이에는 다수의 스프링 로프(120: 121, 123, 125)가 연결되어 상기 튜브부재를 선체 외벽 상에 고정시켜준다. 다만, 이들 스프링 로프의 개수 및 연결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팽창된 튜브부재(110')의 상부에는 상단 로프 래더(131)가 마련되며, 이의 양단 하부에는 복수 개의 하단 로프 래더(133)가 마련된다.
이로써, 팽창된 튜브부재(110')의 일단부는 선체 외벽에 대면 배치되어 스프링 로프들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선체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어 마치 에어 베드와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대피인원의 안전을 위해 상기 팽창된 튜브부재(110')의 타단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상향 돌출된 난간부가 더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대피인원이 실수로 낙하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튜브부재의 재질은 갑판으로부터 선원이 낙하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 또는 부유식 구조물 등에서 화재, 폭발, 극저온물질 누출 등과 같은 긴급 위기상황이 발생할 때 최단시간 내에 선원을 선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FPSO와 같이 갑판 상부가 복잡한 거대 해양구조물 내에서 긴급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선원의 선외 대피를 즉시 도울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긴급 위험상황 발생 시 선원의 탈출 또는 대피에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 직접 바다로 뛰어드는 것보다 2차적인 보조수단으로서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로 대피할 수 있다. 이후, 비상 상황이 종료되면 로프 래더(Rope Ladder)를 이용하여 선내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은 선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구명뗏목(Life Raft) 등과 달리 해상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대피인원의 안전 확보에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형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선박
3: 갑판
110, 110': 튜브부재
120(121, 123, 125): 스프링 로프(spring rope)
130(131, 133): 로프 래더(rope ladder)

Claims (8)

  1. 선내 위험 발생 시 고압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를 제공하는 튜브부재; 및
    상기 팽창된 튜브부재를 선측에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로프;를 포함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에 구비되어 대피인원의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는 로프 래더(rope ladder)를 포함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고압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충진 장치가 내장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팽창 후 상기 튜브부재의 일단부는 선체 외벽에 대면 배치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에어 베드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타단부의 끝단에는 상향 돌출된 난간부가 더 구비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5. 선내 위험 발생 시 고압 가스에 의해 팽창되어 대피인원의 긴급구난 장소를 제공하는 튜브부재와, 상기 팽창된 튜브부재를 선측에 고정시켜주는 스프링 로프를 포함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갑판 상부 또는 선측에 구비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에 구비되어 대피인원의 이동 수단으로 이용되는 로프 래더를 더 포함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고압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충진 장치가 내장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팽창 후 상기 튜브부재의 일단부는 선체 외벽에 대면 배치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에어 베드 형태로 제공되되, 상기 타단부의 끝단에는 상향 돌출된 난간부가 더 구비되는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을 갖는 선박.
KR2020130008969U 2013-10-31 2013-10-31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0486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69U KR200486375Y1 (ko) 2013-10-31 2013-10-31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69U KR200486375Y1 (ko) 2013-10-31 2013-10-31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76U true KR20150001776U (ko) 2015-05-08
KR200486375Y1 KR200486375Y1 (ko) 2018-05-09

Family

ID=5343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69U KR200486375Y1 (ko) 2013-10-31 2013-10-31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691A (zh) * 2019-08-22 2019-11-1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救生筏登乘系统
KR20210026821A (ko) 2019-09-02 2021-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69U (ko) * 2009-04-14 2010-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 유지보수용 발판구조체
KR20110025324A (ko) 2009-09-04 2011-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명보트 탑승구조물을 구비한 선박
KR20130099446A (ko) * 2012-02-29 2013-09-06 서영도 침몰중 선박 긴급 구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69U (ko) * 2009-04-14 2010-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 유지보수용 발판구조체
KR20110025324A (ko) 2009-09-04 2011-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명보트 탑승구조물을 구비한 선박
KR20130099446A (ko) * 2012-02-29 2013-09-06 서영도 침몰중 선박 긴급 구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691A (zh) * 2019-08-22 2019-11-1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救生筏登乘系统
CN110466691B (zh) * 2019-08-22 2021-07-1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救生筏登乘系统
KR20210026821A (ko) 2019-09-02 2021-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피처가 구비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75Y1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4016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JP3068849B2 (ja) 水難救命器具
US20080229524A1 (en) Gangway Apparatus
US3811534A (en) Escape slide assembly
WO2014125503A2 (en) Rounded life boat
CN209096975U (zh) 一种航运救生舱
KR200486375Y1 (ko)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10259546B2 (en) Recovery system
US20170137096A1 (en) Device for Sealing an Opening in a Wall
GB2225753A (en) Abandonment systems for structures surrounded by water
RU14388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ания людей пр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на воде
US20140165900A1 (en) Marine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JP3979988B2 (ja) 折り畳み格納型浮き輪
KR20120053107A (ko) 선박의 침몰방지용 에어백
JP4801214B1 (ja) 流体導入式中空孔形成チューブ及びこのチューブを用いたチューブシステム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CN102756795A (zh) 水上救生舱
RU264620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дувного спасательного плота
CN103342158A (zh) 四面体救生舱
KR102660095B1 (ko) 압력용기 일체형 리프팅 백
EP2045182A2 (en) Fluid displacement body for emergency floatation of marine craft
RU155213U1 (ru) Морская эваку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US20150183491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RU1635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на воде
CN103448884A (zh) 四面体救生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