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34A -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34A
KR20210025834A KR1020190105676A KR20190105676A KR20210025834A KR 20210025834 A KR20210025834 A KR 20210025834A KR 1020190105676 A KR1020190105676 A KR 1020190105676A KR 20190105676 A KR20190105676 A KR 20190105676A KR 20210025834 A KR20210025834 A KR 2021002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ainwater
permeable
boundary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469B1 (ko
Inventor
한신인
정영욱
안재윤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0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또는 신설 도로 시설물의 측구부를 개선하여 빗물을 침투, 저류, 순환시킬 수 있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능을 부여한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불투수성 포장층을 갖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구간에 형성되어 차도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의 하향 침투와 저류를 수행하는 측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구부는, 상기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과의 경계면에서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불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계블록; 및 상부에 투수포장층과 상기 투수포장층의 하부에서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구간에 있어 상기 경계블록과 상기 보도 사이에 마련되는 침투저류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Rainwater penetration and storage type shoulder structure for impermeable pavement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존 또는 신설 도로 시설물의 측구부를 개선하여 빗물을 침투, 저류, 순환시킬 수 있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능을 부여한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수질문제가 제기되면서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수질보호를 위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 보호와 수질 관리에 있어 기존의 물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 피해, 도시의 비점오염 피해, 지하수 고갈 및 그에 따른 지반 침하현상, 하천의 건천화 등의 여러 문제는 더욱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이상 기후로 인해 여름철 예상치 못한 강수량 혹은 지속된 가뭄 및 이상 고온 현상으로 인한 환경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심 지역의 경우, 지면의 대부분이 불투수성이므로 대지를 통한 자연적인 물순환은 이루어지기 힘들며, 지면에 내린 빗물은 대부분 하천으로 유출되므로 환경적 폐해는 도심지에서 더욱 가중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72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또는 신설 도로 시설물의 측구부를 개선하여 빗물을 침투, 저류, 순환시킬 수 있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능을 부여한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이하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라 칭함)는, 불투수성 포장층을 갖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구간에 형성되어 차도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의 하향 침투와 저류를 수행하는 측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구부는, 상기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과의 경계면에서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불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계블록; 및 상부에 투수포장층과 상기 투수포장층의 하부에서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구간에 있어 상기 경계블록과 상기 보도 사이에 마련되는 침투저류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투수포장층은, 상기 보도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측구부는, 상기 침투저류층의 하부와 상기 차도 또는 보도의 경계구간에 노출되는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투수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측구부는, 상기 경계블록과 상기 침투저류층과의 경계면에서 상기 경계블록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투수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측구부는, 상기 침투저류층 및 투수블록의 하부와 원지반 상부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그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보강그리드는, 상기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 하부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차도와 보도의 경계구간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그레이팅이 마련되어 빗물이 유입되며 이를 외부로 배수하는 빗물저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구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저류조와 연통하며 상기 투수블록 하부에 내재되는 종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한편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이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라 칭함)은, 기존 도로 시설물에 대한 측구 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 사이에 측구부가 시공될 경계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구간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 하되, 상기 경계구간에 포함된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의 터파기 깊이를 상기 침투저류조의 터파기 깊이보다 얕게 굴착시켜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시공공간에서 상기 차도의 터파기된 라인까지 골재를 1차 충진하고 다짐하는 단계; 1차 충진된 골재층의 상부와 차도의 터파기된 라인 상부에 보강 그리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도의 굴착된 공간에서 상기 불투수성 포장층과의 경계면에 경계블록과 투수블록을 나란히 배치하는 단계; 및 노출된 나머지 시공 공간에 골재를 2차 충진하여 침투저류층의 기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투수포장층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다른 예로써 신설 도로 시설물에 대한 측구 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 사이에 측구부가 시공될 경계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차도와 측구부가 시공될 원지반의 상부에 보강그리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도와의 가상 경계면에서 경계블록과 투수블록이 상기 보강그리드에 지지되도록 나란히 배치하는 단계; 침투저류층이 형성될 원지반의 상부에 골재를 일정 높이까지 충진하고 다짐하여 침투저류층의 기층을 선시공하는 단계; 상기 경계블록에 접하도록 차도측에 불투수성 포장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보도측에 기초구조물과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보차도 경계석을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침투저류층의 기층 상부에 투수포장층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은, 도심지 등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기존 또는 신설 도로 시설물의 측구부를 개선하여 빗물을 침투, 저류, 순환시킬 수 있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환경적으로 우수 유출을 저감하면서도 도시열섬 현상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의 침투 및 저류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부의 측압 저항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류조와 종배수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빗물저류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기존 도로 시설물에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를 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신설 도로 시설물에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를 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의 침투 및 저류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구부의 측압 저항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는, 기존 또는 신설 도로 시설물에 있어 불투수성 포장층(10)을 갖는 차도(1)와 보도(2)의 경계구간(a)에 형성되어 차도(1)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의 하향 침투와 저류를 유도하는 측구부(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구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도(1)의 불투수성 포장층(10)과의 경계면에서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불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계블록(110) 및 상부에 투수포장층(121)과 상기 투수포장층(121)의 하부에서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122)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구간(a)에 있어 상기 경계블록(110)과 상기 보도(2) 사이에 마련되는 침투저류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경계블록(110)은 차도(1)의 표층과 침투저류층(120)의 경계면에 마련된다.
상기 경계블록(110)은 불투수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1)의 표층에서 가해지는 측압에 충분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철근이 내재된 콘크리트 블록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계블록(110)은 측구부(100)의 한정된 폭을 고려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투수블록(150)보다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빗물의 유입 및 침투 구간 면적이 상대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측구부(100)는 상기 경계블록(110)과 상기 침투저류층(120)과의 경계면에서 상기 경계블록(11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투수블록(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블록(150)은 상기 차도(1)의 표층과 침투저류층(120)의 경계면에서 상기 경계블록(110)과 나란히 마련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계블록(110)보다 폭이 두껍게 형성되며, 침투되는 빗물이 측구부(100) 내에서 하향 침투되도록 유도 및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투수블록(150)은 빗물의 침투, 저류 기능이 측구부(100) 구간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도(1)에 대한 포장층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방지하고, 차도(1)의 표층 경계부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투수블록(150)은 상기 경계블록(110)과 함께 차도(1)와 침투저류층(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 간에서 가해지는 측압에 저항하고, 양측에서 발생하는 측압의 균형에 따라 휨 현상 없이 차도(1)와 도보 간의 경계구간(a)에서 빗물 침투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측 상기 투수블록(150)은 기존 불투수성 포장층(10)을 갖는 차도(1)와 측구부(100)의 투수포장층(121)와 같이 표층 간을 경계하는 것이며, 특히 경계 지점에서의 토사 쏟아짐의 방지, 기층의 다짐 효과 증가 등 옹벽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옹벽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강그리드(130)와의 결합을 통해 더욱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투수블록(150)의 투수성 재료는 공지 투수성 재료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침투저류층(120)은 상기 차도(1)와 보도(2)의 설정된 경계구간(a)에서 상기 경계블록(110) 및 투수블록(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빗물의 침투와 저류가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수포장층(121)이 구성되고 하부에 기층(122)이 구성된다.
상기 투수포장층(121)은 통상의 무기질 투수성 콘크리트 포장층일 수 있으며, 상기 차도(1)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상기 기층(122)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투수포장층(121)은 상기 보도(2)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차도(1)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원활하게 도보측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층(122)은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투수성과 차량 하중에 대한 지지성능을 고려하여 최대입경 25 내지 40mm의 쇄석 골재, 순환 골재 등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122)은 기능성을 고려하여 하부로 갈수로고 큰 입경의 골재를 사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도(1)의 표면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상기 투수블록(150) 및 침투저류층(120)의 투수포장층(121)을 통해 측구부(100)로 침투되도록 하고, 상기 침투저류층(120)의 기층(122)을 통해 저류하면서 측구부(100) 하부측의 원지반 및 이에 인접한 도보 하부측 원지반으로 저류된 빗물이 침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름철 예상치 못한 강수량 또는 지속된 가뭄에도 자연적인 물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경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부(100)는 상기 침투저류층(120)의 보호와 내구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그리드(130)와 투수시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그리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투저류층(120) 및 투수블록(150)의 하부와 원지반 상부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그리드(130)는 상부 기층(122)의 골재의 하중 가압 및 마찰저항에 의해 상기 투수블록(150)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차도(1)의 보조 기층 포설 및 다침 시에도 측압에 의해 상기 투수블록(150)이 밀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그리드(130)는 기층(122)의 골재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침하 방지 및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때 보강그리드(130)를 상기 차도(1)의 불투수성 포장층(10) 하부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차도(1)의 불투수성 포장층(10)과 측구부(100)의 접합 구간에서도 앞서 언급한 보강 기능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수시트(140)는 상기 침투저류층(120)의 하부와 상기 차도(1) 또는 보도(2)의 경계구간(a)에 노출되는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침투저류층(120)의 시공 전에 터파기된 공간 즉 측구부(100)의 터파기 바닥과 각 측면에 선행적으로 배치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수시트(140)는 상기 침투저류층(120)으로 침투되는 빗물이 원지반으로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침투저류층(120)의 기층(122)으로 원지반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층(122)의 침투 및 저류 기능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류조와 종배수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빗물저류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어깨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저류조(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구부(100)는 상기 빗물저류조(30)와 연통하는 종배수관(5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상기 빗물저류조(30)는 차도(1)와 보도(2)의 경계구간(a)에서 차도(1) 및 보도(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그레이팅(300)에 의해 개구되어 상기 차도(1) 또는 보도(2)로부터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부에는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4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40)의 높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측구부(100)의 종배수관(5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구부(100)는 복수의 통공(500)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저류조(30)와 연통하며 상기 투수블록(150) 하부에 내재되는 종배수관(50)이 더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장마철 집중 호우 발생에 따라 일시적으로 많은량의 빗물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1) 또는 보도(2)로부터 빗물이 직접적으로 상기 그레이팅(300)을 통해 빗물저류조(3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빗물저류조(30)에 일시 저류되면서 상기 배수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빗물의 유입시에는 빗물이 상기 측구부(100)를 침투 및 저류하면서 투수블록(150)을 통해 침투된 빗물이 상기 종배수관(50)의 통공(500)을 통해 상기 빗물저류조(30)에 유입될 수 있으며, 빗물저류조(30)에 유입된 빗물이 배수관(33)의 높이까지 저류되면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종배수관(5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외주연을 감싸도록 스크린이 장착되어 상기 통공(50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배수관(5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투수블록(150)의 하부에 내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수블록(150)과 독립된 구성으로 상기 투수블록(150)의 설치 전 투수블록(150)의 하부에서 현장 타설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측구부(100)로 침투되는 빗물 또는 유수(폭염저감 살수, 청소용수)의 집수, 종방향 배수 용량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빗물저류조(30)로 상기 측구부(100) 하부로 집수된 빗물 및 유수 등이 상기 빗물저류조(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종배수관(50)이 지중 수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배수관(5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경우, 상기 측구부(100)를 침투하는 초기 빗물이 측구부(100)의 하방향 침투 과정에서 지표 오염수가 일부분 정화됨으로써 중수처리 효과와 집수 후 물의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기존 도로 시설물에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를 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은 기존 도로 시설물에 측구부(100)를 부가 시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먼저 차도(1)와 보도(2) 사이에 측구부(100)가 시공될 경계구간(a)을 설정한 후 상기 경계구간(a)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함으로써 시공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본 과정에서는 터파기에 의해 노출되는 도차보 경계석(20)의 기초구조물(21) 중 경계구간(a)을 침범하는 부위를 절단 및 제거하는 과정과, 터파기로 확보된 시공 공간의 바닥면을 정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도로 시설물의 경우 차도(1)의 과도한 굴착 시 불투수성 포장층(10)의 표층 즉 불투수성 포장층(10)의 표면을 지지하는 지지층에 교란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차도(1)의 불투수성 포장층(10)에 대한 터파기 깊이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터파기 과정을 통해 확보되는 시공 공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도(1)의 굴착된 라인까지 쇄석 등을 포함한 골재를 1차 충진시키고 다짐 과정을 거쳐 1차 충진된 골재층과 차도(1)의 굴착된 바닥면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1차 충진된 골재층의 상부와 차도(1)의 굴착된 바닥면 상부에 보강 그리드(130)를 설치하고, 차도(1)의 굴착된 공간에서 상기 불투수성 포장층(10)의 표층과의 경계면에 경계블록(110)을 배치하고, 도보측을 향하는 경계블록(110)의 일측면에는 투수블록(150)을 배치한다.
이후 노출된 나머지 시공 공간에 쇄석 등을 포함한 골재를 2차 충진시켜 상기 침투저류층(120)의 기층(122)이 먼저 구성되도록 한 후, 그 상부에 차도(1)와 대응되는 높이로 투수포장층(121)을 포장함으로써 침투저류층(120)이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투수포장층(121)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보도(2)를 향하여 햐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포장함으로써 차도(1)로부터 빗물이 용이하게 측구부(100)로 흘러들어올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7은 신설 도로 시설물에 본 발명의 길어깨 구조를 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은 신설 도로 시설물에 측구부(100)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이다.
먼저 차도(1)와 보도(2) 사이에 측구부(100)가 시공될 경계구간(a)을 설정한 후 차도(1)와 보도(2)를 시공하기 앞서 차도(1)와의 가상 경계면에 경계블록(110)을 배치하고, 도보측을 향하는 경계블록(110)의 일측면에는 투수블록(150)을 배치함으로써 차도(1)가 시공될 영역과 측구부(100)의 침투저류층(120)이 시공될 영역이 구획되도록 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그리드(130)는 차도(1)와 측구부(100)가 시공될 원지반의 상부에 사전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계블록(110) 및 투수블록(150)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후 침투저류층(120)이 형성될 원지반의 상부에 쇄석 등을 포함하는 골재를 일정 높이까지 충진하고 다짐 과정을 거쳐 침투저류층(120)의 기층(122)을 먼저 구성하고, 차도(1)의 불투수성 포장층(10)을 시공함으로써 상기 경계블록(110) 및 투수블록(150)이 상기 불투수성 포장층(10)을 시공함에 있어 성토 및 다짐 과정에서 발생하는 측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도(2)측에 상기 침투저류층(120)에 일부가 내재될 수 있도록 기초구조물(21)을 시공하고, 기초구조물(21)의 상부에 보차도 경계석(20)을 차례로 시공한 후, 마지막으로 상기 침투저류층(120)의 기층(122) 상부에 투수포장층(121)을 포장함으로써 침투저류층(120)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차도 2 : 보도
10 : 불투수성 포장층 20 : 경계석
30 : 빗물저류조 50 : 종배수관
21 : 보도블록 22 : 기초구조물
100 : 측구부 110 : 경계블록
120 : 침투저류층 121 : 투수포장층
122 : 기층 130 : 보강그리드
140 : 투수시트 150 : 투수블록

Claims (9)

  1. 불투수성 포장층을 갖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구간에 형성되어 차도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의 하향 침투와 저류를 수행하는 측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구부는,
    상기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과의 경계면에서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불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경계블록; 및
    상부에 투수포장층과 상기 투수포장층의 하부에서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구간에 있어 상기 경계블록과 상기 보도 사이에 마련되는 침투저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포장층은,
    상기 보도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부는,
    상기 침투저류층의 하부와 상기 차도 또는 보도의 경계구간에 노출되는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투수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부는,
    상기 경계블록과 상기 침투저류층과의 경계면에서 상기 경계블록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투수성 재료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투수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부는,
    상기 침투저류층 및 투수블록의 하부와 원지반 상부 사이에 마련되는 보강그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그리드는,
    상기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 하부측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의 경계구간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그레이팅이 마련되어 빗물이 유입되며 이를 외부로 배수하는 빗물저류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구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저류조와 연통하며 상기 투수블록 하부에 내재되는 종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8. 기존 도로 시설물에 대한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 사이에 측구부가 시공될 경계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경계구간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 하되, 상기 경계구간에 포함된 차도의 불투수성 포장층의 터파기 깊이를 상기 침투저류조의 터파기 깊이보다 얕게 굴착시켜 시공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시공공간에서 상기 차도의 터파기된 라인까지 골재를 1차 충진하고 다짐하는 단계;
    1차 충진된 골재층의 상부와 차도의 터파기된 라인 상부에 보강 그리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도의 굴착된 공간에서 상기 불투수성 포장층과의 경계면에 경계블록과 투수블록을 나란히 배치하는 단계; 및
    노출된 나머지 시공 공간에 골재를 2차 충진하여 침투저류층의 기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투수포장층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
  9. 신설 도로 시설물에 대한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 사이에 측구부가 시공될 경계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차도와 측구부가 시공될 원지반의 상부에 보강그리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도와의 가상 경계면에서 경계블록과 투수블록이 상기 보강그리드에 지지되도록 나란히 배치하는 단계;
    침투저류층이 형성될 원지반의 상부에 골재를 일정 높이까지 충진하고 다짐하여 침투저류층의 기층을 선시공하는 단계;
    상기 경계블록에 접하도록 차도측에 불투수성 포장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보도측에 기초구조물과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보차도 경계석을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침투저류층의 기층 상부에 투수포장층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90105676A 2019-08-28 2019-08-28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2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76A KR102362469B1 (ko) 2019-08-28 2019-08-28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76A KR102362469B1 (ko) 2019-08-28 2019-08-28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34A true KR20210025834A (ko) 2021-03-10
KR102362469B1 KR102362469B1 (ko) 2022-02-15

Family

ID=7514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76A KR102362469B1 (ko) 2019-08-28 2019-08-28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4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57B1 (ko) * 2002-07-12 2005-07-18 수석토건설(주) 투수성 포장재를 가진 도로 경계용 측구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704723B1 (ko) 2006-08-04 2007-04-09 정홍기 탄성 투수 포장체 및 탄성 투수 포장체 포장방법
JP2008289496A (ja) * 2003-06-13 2008-12-04 Kawada Construction Co Ltd 浄化された路面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20090120987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자연과건설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20180017990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57B1 (ko) * 2002-07-12 2005-07-18 수석토건설(주) 투수성 포장재를 가진 도로 경계용 측구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08289496A (ja) * 2003-06-13 2008-12-04 Kawada Construction Co Ltd 浄化された路面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100704723B1 (ko) 2006-08-04 2007-04-09 정홍기 탄성 투수 포장체 및 탄성 투수 포장체 포장방법
KR20090120987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자연과건설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20180017990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69B1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35198U (zh) 一种用于高地下水位的排水路基
Zumrawi The impacts of poor drainage on road performance in Khartoum
CN111042293A (zh) 一种道路中央绿化带防渗排水结构的施工工艺
CN111648383A (zh) 一种黄土高填方边坡体内部排水方法
CN210177294U (zh) 一种山区公路路基
KR100855630B1 (ko) 우수의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지하 구조물
TWM621567U (zh) 因應氣候變遷水資源調適系統之高強度道路
CN211228269U (zh) 一种高等级公路中央分隔带构造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CN110172884B (zh) 一种山区公路路基及施工方法
US20120269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Sub-surface Water
RU2516408C1 (ru) Доро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2362469B1 (ko)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12895755U (zh) 一种城市道路人行道排水装置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CN113152628A (zh) 一种v字型冲沟高填方临时排水系统及其构筑方法
JP4039445B2 (ja) 排水構造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CN217579586U (zh) 一种用于市政道路的下沉式绿化带结构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JP2016079592A (ja) 舗装構造
CN217324803U (zh)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TWI833115B (zh) 因應氣候變遷水資源調適系統之高強度道路
CN217078279U (zh) 一种用于市政道路的排水边石结构
CN218478984U (zh) 一种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