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990A -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 Google Patents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990A
KR20180017990A KR1020160102791A KR20160102791A KR20180017990A KR 20180017990 A KR20180017990 A KR 20180017990A KR 1020160102791 A KR1020160102791 A KR 1020160102791A KR 20160102791 A KR20160102791 A KR 20160102791A KR 20180017990 A KR20180017990 A KR 2018001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ermeable
shoulder
lay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신인
정영욱
안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0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990A/ko
Publication of KR2018001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포장층과 상기 투수포장층 하부에 잔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과 상기 기층 하부에 굵은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기층을 포함하는 길어깨투수포장부;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에서 상면이 그레이팅에 의해 개구되고 측면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와 측면에서 연통하며 하단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빗물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Rainwater penetration and storage type shoulder LID paving structure}
본 발명은 길어깨에 투수포장구조를 도입하여 기존 또는 신규의 차도에 구조적 건전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강우량에 상관없이 빗물의 침투 및 저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길어깨 포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수질문제가 제기되면서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수질보호를 위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 보호와 수질 관리에 있어 기존의 물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 피해, 도시의 비점오염 피해, 지하수 고갈 및 그에 따른 지반 침하현상, 하천의 건천화 등의 여러 문제는 더욱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미국에서 처음 저영향 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이라는 새로운 도시 계획 기법을 제안하였다.(위키백과)
이러한 불투수층의 증가 즉 물순환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일 예로서 투수포장구조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723호는, 스티렌계 아크릴 수지 50 ~ 75 중량%, 스티렌 부타디엔 라텍스 5 ~ 25 중량%, 채움재 5 ~ 10 중량%, 증점제 1 중량%, 소포제 1 중량%, 안정제 1 중량%를 혼합교반하여 제조한 탄성포장용 바인더 20 ~ 25 중량%와; 1 ~ 5㎜ 크기를 갖는 콜크칩 이 혼합되는 탄성칩 75 ~ 80 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포장한 다음, 50 ~ 80℃로 가열된 20 ~ 30㎏의 롤러로 다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투수 포장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상부 표층이 투수층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표층의 하부에 기층 또는 보조기층은 일반적으로 혼합골재를 사용하여 다짐을 함으로써 표층으로부터의 상재하중에 대한 구조건전성을 도모하는데, 이러한 기층 또는 보조기층은 다짐으로 인해 하방향 투수에 의해 지반으로 빗물 등을 침투시킬 수 없어 표층을 통과한 빗물 등이 표층과 기층 또는 보조기층 사이로 횡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 지반으로 즉 하방향 투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횡방향 유동에 의해 표층과 기층 또는 보조기층 사이에 들뜸 등 구조건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7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도의 경우 구조적 건전성을 위해 불투수포장으로 하더라도 차도와 인접하는 길어깨부분을 투수포장으로 하여 차도의 구조적 건전성 저하없이 빗물을 길어깨부분을 통해 투수 및 저류시키도록 하는 포장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는, 투수포장층과 상기 투수포장층 하부에 잔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과 상기 기층 하부에 굵은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기층을 포함하는 길어깨투수포장부;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에서 상면이 그레이팅에 의해 개구되고 측면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와 측면에서 연통하며 하단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빗물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투수포장층은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투수포장층은 복수의 투수블럭에 의한 투수부와, 투수블럭 간의 줄눈을 석탄회를 이용하여 충진된 여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여과부는 석탄회 100중량부에 대해 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칼슘 하이포설피트(Calcium Hyposulfite, CaSO2) 1 내지 10중량부, 탄닌함유 식물추출물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에 있어 각 층 사이 또는 층 내부에는 투수성 보강그리드가 게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길어깨포장부는 인접한 차도와 보호막에 의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빗물받이부 측면에는 상기 그레이팅에 인접하면서 상기 기층과 하부에서 연통하며 복수의 침전홀이 형성된 침전블럭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빗물받이부 하면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월류관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부 하면으로 상기 월류관과 연통하면서 외부로 돌출되며 복수의 침투공이 형성된 침투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월류관의 상면에는 끼움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여과망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는 신규 또는 기존 도로에서 길어깨 부분만을 투수성구조로 하여 차도부분의 구조적 건전성의 저하없이 투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다양한 빗물의 침투루트가 형성되도록 하여 투수 및 저류효율을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길어깨의 표층을 제설재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줄눈에 석탄회가 충진되도록 하여 자원재활용에서 유리하고 투수 초기단계에서 중금속 등의 흡착으로 비점오염원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절개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빗물받이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절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의 강우량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호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빗물받이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절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포장층(21)과 상기 투수포장층(21) 하부에 잔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22)과 상기 기층(22) 하부에 굵은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기층(23)을 포함하는 길어깨투수포장부(2);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에서 상면이 그레이팅(31)에 의해 개구되고 측면에 유동홀(32)이 형성되어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와 측면에서 연통하며 하단부에 배수관(33)이 형성된 빗물받이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도(5)와 바로 인접한 길어깨 부분을 길어깨투수포장부(2)로 구성하여 빗물의 투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빗물받이부(3)를 통해 투수된 빗물 또는 차도(5) 등으로부터 직접 유입된 빗물을 저장 및 침투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차도(5) 또는 신설의 차도(5)를 불투수층으로 하면서 길어깨부분을 이용하여 빗물의 투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도(5)를 투수층으로 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싱크홀 등의 구조적 문제를 제어하면서도 빗물의 투수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는 표층으로 투수포장층(21)이 구성되도록 하는 바,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수포장층(21)의 재질로서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를 사용토록 한다. 이와 같이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투수포장층(21(211))이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기존에 길어깨(측구)를 구성함에 있어 시멘트몰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 특히 동절기에 차도에 결빙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설재가 살포되는데 이러한 제설재가 차도를 타고 길어깨(측구)에 침적된다. 이렇게 침적된 제설재에 의해 길어깨(측구)에 열화가 발생되어 부분적 깨짐 등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빈번하게 대두되었다. 즉 유지 및 관리에 비용적 시간적 손실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수포장층(21(211))의 재질로서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가 사용되도록 하여 투수성이 확보되면서도 재질상 제설재에 의한 열화의 문제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는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다른 실시 예의 투수포장층(21(212))도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투수포장층(212)은 복수의 투수블럭에 의한 투수부(212-1)와, 투수블럭 간의 줄눈에 석탄회가 충진된 여과부(21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의 투수포장층(212)은 투수블럭으로 이루어진 투수포장층(212)이 구성되도록 하여 빗물의 투수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투수블럭 간 줄눈에 석탄회를 충진하여 형성된 여과부(212-2)의 구성에 의해 빗물 중 특히 중금속이 석탄회에 흡착되도록 하여 초기투수에서부터 비점오염물질 특히 중금속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석탄회는 바텀애쉬, 플라이애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자체에 공극을 형성하고 있어 중금속 등의 흡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의 투수포장층(212)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여과부(212-2)가 하나의 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여과부(212-2) 상면에 각각 보도블럭이 삽입, 안치되도록 하여 여과부(212-2)가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여과부(212-2)에 의한 중금속 흡착이 기능이 강화되도록 하여 초기우수에 있어 높은 농도의 비점오염원 중 중금속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그 이후의 침투 및 저류단계에서 중금속을 제외한 비점오염원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원의 처리부하를 줄이면서도 처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여과부(212-2)는 석탄회 100중량부에 대해 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칼슘 하이포설피트(Calcium Hyposulfite, CaSO2) 1 내지 10중량부, 탄닌함유 식물추출물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고화제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칼슘 하이포설피트(Calcium Hyposulfite, CaSO2)는 석회탄에 포함된 유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에트린가이드(침상결정)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조기강도가 발현되는 것으로 조기강도의 발현에 의해 공기를 단축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중금속의 경우 상기 석탄회에 의해 흡착을 통한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나 수용액형태로 중금속이 존재하는 경우 석탄회에 의한 흡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충분한 중금속의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
이에 상기 충진재에는 수용액에서 이온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의 제거를 위해 탄닌함유 식물추출물이 더 첨가되도록 한다. 탄닌함유 식물추출물에서 탄닌은 중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중금속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탄닌함유 식물추출물의 경우는 다양한 공지기술에 의해 다양한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 그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에는 상기 투수포장층(21) 하부에 잔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22)과 상기 기층(22) 하부에 굵은 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기층(23)이 포함되는 바, 상기 투수포장층(21)을 통과한 빗물이 기층(22) 및 보조기층(23)에 침투 및 저류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는 차량 등의 상재하중의 직접적인 부담이 없어 상기 기층(22) 및 상기 보조기층(23)의 다짐도를 차도(5)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기층 및 보조기층의 다짐도보다 낮게 가져갈 수 있으므로 그 만큼 투수 및 저류효율을 기대하기 용이하다.
이와 같이 기층(22) 및 보조기층(23)에 다짐도를 낮게 가져가서 투수성 및 저류성을 확보하면서도 층간, 층내부의 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층에 있어 계면 또는 층 내부에 투수성 보강그리드(4)가 게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보조기층(23) 내부에 투수성 보강그리드(4)가 게재되도록 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투수성 보강그리드(4)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빗물받이부(3)는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에서 상면이 그레이팅(31)에 의해 개구되고 측면에 유동홀(32)이 형성되어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와 측면에서 연통하며 하단부에 배수관(33)이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이 상기 그레이팅(3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빗물받이부(3)에 저류되면서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2)에서 침투된 빗물이 상기 유동홀(32)을 통해 빗물받이부(3)에 저류되면서 상기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동홀(32)에는 도 3b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크린이 장착되어 유입되는 빗물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도 3a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빗물받이부(3) 측면에는 상기 그레이팅(31)에 인접하면서 상기 기층(21)과 하부에서 연통하며 복수의 침전홀(61)이 형성된 침전블럭(6)이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침전블럭(6)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빗물받이부(3)로 직접 유입되는 빗물의 경우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바, 빗물받이부(3)로 직접 유입되기 전에 상기 침전블럭(6)을 거치도록 하여 침전블럭(6)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내어진 빗물이 상기 빗물받이부(3)로 유입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빗물받이부(3) 내부에 침적되는 양을 줄이는 등으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차도로부터 빗물받이부(3)로 직접 유입되는 빗물의 경우 차도로부터의 이물질이 빗물에 혼입되어 이러한 빗물이 그대로 빗물받이부(3)로 유입되면 그 내부에 이물질의 침적량이 많아져 그 만큼 유지 및 관리의 빈도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러한 유동과정을 가진 빗물로부터 1차적으로 외부에 노출된 침전블럭(6)을 거치도록 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이 빗물받이부(3)로 유입되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어깨포장부(2)는 인접한 차도(5)와 보호막(8)에 의해 구획됨이 타당하다. 이렇게 보호막(8)을 구성하는 이유는 길어깨포장부(2)로 유입된 빗물이 차도(5)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기층 또는 보조기층으로 유입되어 기층 또는 보조기층의 골재의 다짐도를 헐겁게 하여 싱크홀 등 차도의 구조적 건전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바,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길어깨포장부(2)와 인접하는 차도(5) 사이에 보호막(8)이 게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보호막(8)은 길어깨포장부(2)에 침투된 빗물이 차도(5)의 기층 또는 보조기층으로 유입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차도(5) 및 측벽(7) 사이에 각각 보호막(8)이 게재된 상태에서 본 발명 즉 길어깨포장부(2) 및 빗물받이부(3)가 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측벽(7)의 경우도 측벽(7) 내부에 다짐에 의한 기층 또는 보조기층이 존재하는 경우 길어깨포장부(2)로부터 빗물이 측벽(7)으로 침투되어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가 야기되므로 길어깨포장부(2)와 측벽(7) 사이에도 보호막(8)이 게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막(8)은 차수막으로 하여 완전한 빗물의 유동을 차단토록 할 수도 있으나 차수막의 경우 빗물 유동의 완전차단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경우에 따라 구조적 건전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으므로 어느 정도 빗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부직포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보호막(8)은 본 발명의 시공과정에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차도(5) 및 측벽(7) 면에 지지되는 트렌치블레이드(81) 및 트렌치블레이드(81) 간을 지지하는 스트럿로드(82)를 설치하여 각각 기존 차도(5) 및 측벽(7) 면에 보호막(8)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을 차례로 시공토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가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소규모 빗물(W1)의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로 길어깨포장부(2)를 통한 투수가 이루어져 길어깨포장부(2)의 각 층을 통과하면서 비점오염원의 처리가 되며 자연지반내로 침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중규모 빗물(W1+W2+W4)의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규모 빗물의 침투경로에 더하여 길어깨포장부(2)로 침투된 빗물이 상기 유동홀(32)을 통해 빗물받이부(3)로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이 빗물받이부(3) 내부에서 저류되면서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기존 도로의 우배수체계와 연계하여 배수되는 기능이 부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대규모 빗물(W1+W2+W3+W4)의 경우 상기 중규모 빗물의 침투경로에 더하여 길어깨포장부(2) 표면, 차도표면 등으로 유동하는 빗물이 상기 그레이팅(31)을 통해 빗물받이부(3)로 직접 유입되어 빗물받이부(3) 내부에서 저류되면서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빗물의 다양한 침투 및 저류경로가 가능하도록 하여 강우량에 무관하게 침투, 저류 및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홍수, 범람 등의 문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빗물받이부(3)에서 비점오염원의 처리기능과 자연지반내로 침투기능을 배가시키기 위한 실시 예를 도 6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빗물받이부(3) 하면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월류관(34)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부(3) 하면으로 상기 월류관(34)과 연통하면서 외부로 돌출되며 복수의 침투공(351)이 형성된 침투관(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빗물받이부(3)에서 저류된 빗물이 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저류된 빗물이 상기 월류관(34)을 월류하여 상기 침투관(35)으로 유입되어 침투관(35)의 침투공(351)을 통해 자연지반내로 빗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빗물받이부(3)에서도 자연지반내로 침투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침투루트가 하나 더 형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물순환구조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월류관(34) 및 침투관(35)은 빗물받이부(3)를 지반에서 지지토록 하여 구조적 지지대로서 기능도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월류관(34)의 상면에는 끼움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여과망(36, 37)이 구성되도록 하여 빗물받이부(3)를 통해 비점오염원이 최후적으로 제거된 빗물이 자연지반내로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여과망(36, 37)은 상기 월류관(34)에 끼움방식에 의해 착탈되는 캡(36)과 상기 캡(36)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틀(37)로 구성되어 월류관(34)을 월류하는 빗물이 여과틀(37)에서 여과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포장구조 2 : 길어깨투수포장부
3 : 빗물밧이부 4 : 투수성 보강그리드
5 : 차도 6 : 침전블럭
7 : 측벽 8 : 보호막

Claims (9)

  1. 투수포장층과 상기 투수포장층 하부에 잔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기층과 상기 기층 하부에 굵은골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기층을 포함하는 길어깨투수포장부;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에서 상면이 그레이팅에 의해 개구되고 측면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와 측면에서 연통하며 하단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빗물받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포장층은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포장층은 복수의 투수블럭에 의한 투수부와, 투수블럭 간의 줄눈에 석탄회가 충진된 여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석탄회 100중량부에 대해 고화제 10 내지 30중량부, 칼슘 하이포설피트(Calcium Hyposulfite, CaSO2) 1 내지 10중량부, 탄닌함유 식물추출물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충진재의 충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어깨투수포장부에 있어 각 층 사이 또는 각 층 내부에 투수성 보강그리드가 선택적으로 게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어깨포장부는 인접한 차도와 보호막에 의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부 측면에는 상기 그레이팅에 인접하면서 상기 기층과 하부에서 연통하며 복수의 침전홀이 형성된 침전블럭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부 하면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월류관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받이부 하면으로 상기 월류관과 연통하면서 외부로 돌출되며 복수의 침투공이 형성된 침투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의 상면에는 끼움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여과망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KR1020160102791A 2016-08-12 2016-08-12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KR20180017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91A KR20180017990A (ko) 2016-08-12 2016-08-12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91A KR20180017990A (ko) 2016-08-12 2016-08-12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90A true KR20180017990A (ko) 2018-02-21

Family

ID=6152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91A KR20180017990A (ko) 2016-08-12 2016-08-12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9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9624A (zh) * 2019-11-15 2020-01-31 吴永权 一种海绵城市用环保型配电柜
KR20200114116A (ko) * 2019-03-27 2020-10-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안재해 방지 및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 위한 lid 기반 투수성 호안 구조물
KR20210025834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9100B1 (ko) * 2020-06-30 2021-03-18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을 갖는 도로 측구 및 배수 시설물
KR102290677B1 (ko) * 2020-04-27 2021-08-17 우정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KR102571749B1 (ko) * 2022-03-21 2023-08-29 주식회사 대명농업 담배꽁초 낙엽 쓰레기유입 방지 및 악취 차단 그레이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969A (ja) * 1998-03-26 1999-10-05 Ibigawa Concrete Kogyo Kk 導水用部材、導水用部材を装着するための側溝ブロック、および導水用部材を装着した側溝ブロック
KR100946184B1 (ko) * 2009-08-31 2010-03-08 양지콘크리트(주) 복합기능성 투수평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4372B1 (ko) * 2009-10-28 2010-09-30 (주)나비콘건설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101013091B1 (ko) * 2010-08-25 2011-02-14 (주)수지로드텍 우수 정화구조물
KR20120126657A (ko) * 2011-05-12 2012-11-21 서울특별시 투수 포장 구조체
KR101511366B1 (ko) * 2014-06-16 2015-04-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녹지 및 도로 유출수 분리 여과 기능을 갖는 빗물 저류 시스템 및 빗물 저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969A (ja) * 1998-03-26 1999-10-05 Ibigawa Concrete Kogyo Kk 導水用部材、導水用部材を装着するための側溝ブロック、および導水用部材を装着した側溝ブロック
KR100946184B1 (ko) * 2009-08-31 2010-03-08 양지콘크리트(주) 복합기능성 투수평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4372B1 (ko) * 2009-10-28 2010-09-30 (주)나비콘건설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101013091B1 (ko) * 2010-08-25 2011-02-14 (주)수지로드텍 우수 정화구조물
KR20120126657A (ko) * 2011-05-12 2012-11-21 서울특별시 투수 포장 구조체
KR101511366B1 (ko) * 2014-06-16 2015-04-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녹지 및 도로 유출수 분리 여과 기능을 갖는 빗물 저류 시스템 및 빗물 저류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16A (ko) * 2019-03-27 2020-10-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안재해 방지 및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 위한 lid 기반 투수성 호안 구조물
KR20210025834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739624A (zh) * 2019-11-15 2020-01-31 吴永权 一种海绵城市用环保型配电柜
KR102290677B1 (ko) * 2020-04-27 2021-08-17 우정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KR102229100B1 (ko) * 2020-06-30 2021-03-18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을 갖는 도로 측구 및 배수 시설물
KR102571749B1 (ko) * 2022-03-21 2023-08-29 주식회사 대명농업 담배꽁초 낙엽 쓰레기유입 방지 및 악취 차단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990A (ko)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KR101362254B1 (ko)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CN203546888U (zh) 一种渗透式雨水过滤井
KR101225072B1 (ko) 투수 포장 구조체
KR20110106860A (ko) 포장체, 포장체의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용 형틀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JP6335569B2 (ja) 地盤造成工法および地盤構造
KR101393021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CN109577132A (zh) 道路下沉式绿化带及施工方法
KR20110128474A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10097788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여재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침투도랑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100855630B1 (ko) 우수의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지하 구조물
KR101127810B1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109532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0966473B1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KR20150135671A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1715196B1 (ko) 무막힘 표면여과 탄성블럭
KR101205814B1 (ko) 터널 포장면 용출수 방지를 위한 집수정과 집수정 시공방법
KR101480037B1 (ko) 기후변화 적응형 다목적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CN208981067U (zh) 一种海绵城市可储水的透水性路面及透水性田径场跑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