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499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499A
KR20210025499A KR1020200107189A KR20200107189A KR20210025499A KR 20210025499 A KR20210025499 A KR 20210025499A KR 1020200107189 A KR1020200107189 A KR 1020200107189A KR 20200107189 A KR20200107189 A KR 20200107189A KR 20210025499 A KR20210025499 A KR 2021002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ipe
power storage
electronic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191B1 (ko
Inventor
준타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02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4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ssembly or relative disposition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 F01N2260/02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us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4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1)은, 수용 케이스(40)와, 수용 케이스(40) 내에 마련된 축전 모듈(41)과, 수용 케이스(40)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42)와, 수용 케이스(40)의 측방에 배치된 배기관(30)과, 냉매가 유통하는 냉각관을 포함하는 냉각 회로(31)를 구비하며, 냉각관의 일부(38C1)는 전자 기기(42)와 배기관(30) 사이에 위치해 있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개시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5713115호 공보에는, 차체 바닥 아래에 배기관 및 구동용 전지 팩을 탑재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배기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713115호 공보에 개시된 배기관 구조에 있어서는, 배기관은, 전지 팩의 일방(一方)의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713115호 공보에 개시된 배기관 구조에서는, 배기관이 전지 팩의 일방의 측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전지 팩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가 가열되기 쉽다.
본 개시는, 전지 팩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가 가열되는 것을 억제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은,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된 축전 모듈과,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측방에 배치된 배기관과, 냉매가 유통하는 냉각관을 포함하는 냉각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관의 일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배기관 사이에 위치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각관의 일부가 전자 기기와 배기관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배기관으로부터 전자 기기를 향하는 열의 이동은 냉각관의 일부에 의해서 저해되고, 나아가서는 전자 기기가 가열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로는, 상기 축전 모듈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냉각하는 모듈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기기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상류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매가 축전 모듈과 열 교환을 행하기 전에, 냉매가 전자 기기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내를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축전 모듈보다 상류측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축전 모듈보다 전자 기기 쪽이, 배기관의 상류측 부분(즉, 배기관 중의 보다 고온 부분)의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축전 모듈보다 전자 기기 쪽이, 배기관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축전 모듈보다 먼저 전자 기기를 냉각함으로써, 배기관으로부터 전자 기기에 작용할 수 있는 열의 영향을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로는, 상기 축전 모듈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냉각하는 모듈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기기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하류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차량에 의하면, 냉매가 기기 냉각부와 열 교환을 행하기 전에, 냉매가 축전 모듈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로는, 상기 축전 모듈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냉각하는 모듈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제 1 기기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제 2 기기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하류에 위치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매가 축전 모듈과 열 교환을 행하기 전후에, 냉매가 전자 기기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상기 일부는,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지 팩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가 가열되는 것을 냉각관의 상기 일부의 존재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냉각관의 상기 일부가 수용 케이스 밖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수용 케이스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냉각관의 상기 일부가 전자 기기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전지 팩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가 가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차량(1)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배터리 ECU(42) 및 그 주변의 구성을 차량의 상방(上方)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IV-IV선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며, 배터리 ECU(42) 및 냉각관의 일부(38C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배터리 ECU(42) 및 냉각관의 일부(38C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의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구성 중,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U」는 상 방향, 「D」는 하 방향, 「F」는 전 방향, 「B」는 후 방향, 「L」은 좌 방향, 「R」은 우 방향을 나타낸다.
(차량)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차량(1)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차량(1)은 차량 본체(2)와 전지 팩(3)과 구동 장치(4)와 연료 탱크(5)와 ECU(20)를 구비한다. 차량 본체(2)는, 차량(1)의 저면을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6)을 포함한다. 차량 본체(2) 내에는 엔진 컴파트먼트(8)와 차실(9)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 컴파트먼트(8)는 차실(9)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차실(9)은, 예를 들면, 탑승자가 탑승하는 공간이며, 이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ECU(20)가 차실(9) 내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엔진(10)과 회전 전기 기기(MG1, MG2)와 PCU(11)를 포함한다. PCU(11)는, 예를 들면, 2개의 인버터 및 컨버터를 포함한다. 일방의 인버터는, 회전 전기 기기(MG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타방(他方)의 인버터는 회전 전기 기기(MG2)에 접속되어 있다. 컨버터는 전지 팩(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전 전기 기기(MG2)는, 주로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모터로서 기능하고 있고, 회전 전기 기기(MG1)는 주로 발전기로서 기능하고 있다. 엔진(10)은, 연료 탱크(5)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에 의해서 구동하고,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ECU(20)는 PCU(11) 및 엔진(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지 팩(3) 및 연료 탱크(5)는 플로어 패널(6)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5)는 전지 팩(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배터리 ECU(42) 및 그 주변의 구성을 차량의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IV-IV선을 따른 화살표 단면도이며, 배터리 ECU(42) 및 냉각관의 일부(38C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차량(1)은 수용 케이스(40)를 포함한다. 수용 케이스(40) 내에는 축전 모듈(41)과 배터리 ECU(42)(전자 기기)와 정션 박스(43)가 마련된다.
수용 케이스(40)는 전단(前端)면(50)과 후단(後端)면(51)과 측면(52)과 측면(53)과 경사면(54)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측면(52)은 좌측에 위치해 있고, 측면(53) 및 경사면(54)은 우측에 위치해 있다. 경사면(54)은 측면(53)의 선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경사면(54)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측면(52)에 가까이 가도록 경사져 있다.
수용 케이스(40)의 전단면(50)에는 접속 패널(55)이 장착되어 있다. 접속 패널(55)은 기판(60)과 복수의 통부(61, 62, 63, 64, 65)를 포함한다.
기판(60)은 전단면(50)에 고정되어 있고, 각 통부(61, 62, 63, 64, 65)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통부(61, 62, 63, 64, 65)에 형성된 관통 구멍은, 수용 케이스(40)의 내부 공간과 수용 케이스(40)의 외부를 연통(連通)하고 있다.
통부(61)에는 저전압 케이블(44)이 삽입되어 있다. 저전압 케이블(44)은 ECU(20)에 접속되어 있다. 통부(62)에는 고전압 케이블(45A)이 삽입되어 있고, 통부(63)에는 고전압 케이블(45B)이 삽입되어 있다. 통부(64)에는 냉각관(38E)이 삽입되어 있고, 통부(65)에는 냉각관(38C)이 삽입되어 있다.
축전 모듈(41)은 복수의 축전 유닛(48A1, 48A2, 48B1, 48B2)을 포함하며, 축전 유닛(48A1, 48A2, 48B1, 48B2)은, 차량(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각 축전 유닛(48A1, 48A2, 48B1, 48B2)은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하며, 각 축전 셀은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ECU(42) 및 정션 박스(43)는 축전 모듈(41)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 ECU(42)에는 신호선 등을 포함하는 저전압 케이블(44)이 접속되어 있고, 저전압 케이블(44)은 배터리 ECU(42) 및 ECU(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배터리 ECU(42)는, 축전 모듈(41)에 마련된 온도 센서, 전류 센서 및 전압 센서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예를 들면, 축전 모듈(41)의 SOC 등을 산출한다. 배터리 ECU(42)는, 산출한 SOC 등의 정보를 저전압 케이블(44)을 통하여, ECU(20)에 송신하고 있다.
정션 박스(43)에는 고전압 케이블(45A, 45B)이 접속되어 있고, 고전압 케이블(45A, 45B)은 정션 박스(43) 및 PCU(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정션 박스(43) 내에는 복수의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고, PCU(11) 및 축전 모듈(41)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전압 케이블(45A, 45B)에 마련된 릴레이의 ON/OFF를 전환한다. 저전압 케이블(44)에 인가되는 전압은, 고전압 케이블(45A, 45B)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다. 저전압 케이블(44) 및 고전압 케이블(45A, 45B)은, 전단면(50)으로부터 수용 케이스(4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차량(1)은 배기관(30)을 포함한다. 배기관(30)은 수용 케이스(40)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배기관(30)은, 경사면(54) 및 측면(53)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경사면(54) 및 측면(53)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30)은 엔진(10)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30) 내에는, 엔진(10)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 가스가 흐른다. 여기서는, 배기관(30) 내의 배기 가스는, 차량 전방측(도 3 지면 내의 상측)으로부터 차량 후방측(도 3 지면 내의 하측)을 향하여 흐른다. 엔진(10)으로부터 배기관(30) 내에 배기 가스가 흐르면, 배기관(30)의 온도가 상승한다. 배기관(30)의 온도 분포는 전방측이 비교적 고온이 되고, 후방측이 비교적 저온이 되기 쉽다. 배기관(30)으로부터 전지 팩(3)의 수용 케이스(40)에 열이 전달되고, 전지 팩(3) 내에 마련된 배터리 ECU(42)(전자 기기)가 가열되기 쉽다.
차량(1)은 냉각 회로(31)를 포함한다. 냉각 회로(31)는 컴프레서(32)와 콘덴서(33)와 리시버 탱크(34)와 익스팬션 밸브(36A, 36B)와 모듈 냉각부(37A, 37B)와 복수의 냉각관(38A, 38B, 38C, 38E)을 포함한다. 냉각 회로(31) 내에는, 냉매(C)가 유통한다.
모듈 냉각부(37A, 37B)는, 축전 모듈(4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축전 모듈(41)을 냉각한다.
모듈 냉각부(37A)는 상류관(39A1) 및 하류관(39A2)을 포함한다. 냉매(C)는, 모듈 냉각부(37A) 내를 유통 방향 D1로 흐르고 있고, 하류관(39A2)은, 상류관(39A1)보다 유통 방향 D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관(39A1)은 축전 유닛(48A1)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고, 하류관(39A2)은 축전 유닛(48A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모듈 냉각부(37B)는 상류관(39B1) 및 하류관(39B2)을 포함한다. 냉매(C)는, 모듈 냉각부(37B) 내를 유통 방향 D1로 흐르고 있고, 하류관(39B2)은, 상류관(39B1)보다 유통 방향 D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류관(39B1)은 축전 유닛(48B1)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고, 하류관(39B2)은 축전 유닛(48B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관(38C)은 냉각관(38C)의 일부(38C1)와 기기 냉각부(38C2)(제 1 기기 냉각부)를 포함한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는 냉각관(38C)의 구성 요소이며, 냉각관(38C)은, 분기점 P2에 있어서, 냉각관(38C)의 일부(38C1)와 기기 냉각부(38C2)로 분기된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는, 배터리 ECU(42)와 배기관(30) 사이에 위치한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는, 수용 케이스(40) 내에 마련되어도 되고, 수용 케이스(40) 밖에 마련되어도 된다.
기기 냉각부(38C2)는, 배터리 ECU(4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배터리 ECU(42)를 냉각한다. 냉매(C)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기기 냉각부(38C2)는, 모듈 냉각부(37B)의 상류관(39B1)보다 상류에 위치해 있다.
냉각관(38E)은 기기 냉각부(38E1)(제 2 기기 냉각부)를 포함한다. 기기 냉각부(38E1)는 배터리 ECU(4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배터리 ECU(42)를 냉각한다. 냉매(C)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기기 냉각부(38E1)는, 모듈 냉각부(37A)의 하류관(39A2) 및 모듈 냉각부(37B)의 하류관(39B2)보다 하류에 위치해 있다. 하류관(39A2) 및 하류관(39B2)은, 하류관(39A2)의 하류단(端) 및 하류관(39B2)의 하류단에 위치하는 합류단(端)(P1)에서, 냉각관(38E)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ECU(42)는 하류관(39A2, 39B2), 합류단(P1) 및 기기 냉각부(38E1)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관(38E)은, 수용 케이스(40) 내로부터 수용 케이스(4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컴프레서(32) 및 콘덴서(33)는 냉각관(38A)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고, 콘덴서(33) 및 리시버 탱크(34)는 냉각관(38B)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리시버 탱크(34) 및 익스팬션 밸브(36A, 36B)는 냉각관(38C)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33)는, 외기와 냉매(C)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고, 냉매(C)를 냉각한다. 이에 의해, 냉매(C)는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가 된다. 리시버 탱크(34)는 기체를 분리하여, 액체 상태의 냉매(C)를 익스팬션 밸브(36A, 36B)에 공급한다.
익스팬션 밸브(36A)에는 모듈 냉각부(37A)가 접속되어 있고, 익스팬션 밸브(36B)에는 모듈 냉각부(37B)가 접속되어 있다. 익스팬션 밸브(36A, 36B)는, 공급된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C)를 단열 팽창시켜, 냉매(C)를 저온 저압의 안개 상태로 한다.
익스팬션 밸브(36A, 36B)에 있어서 저온 저압 상태가 된 냉매(C)는, 모듈 냉각부(37A, 37B) 내를 유통 방향 D1로 흐른다. 모듈 냉각부(37A) 내를 흐르는 냉매(C)는, 상류관(39A1)을 지나가고, 그 후, 하류관(39A2) 내를 흐른다. 상류관(39A1) 내를 냉매(C)가 지나감으로써, 축전 유닛(48A1)이 냉각된다. 하류관(39A2) 내를 냉매(C)가 흐름으로써, 축전 유닛(48A2)이 냉각된다. 그 한편으로, 냉매(C)가 상류관(39A1) 및 하류관(39A2)을 지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냉매(C)의 일부는 저온 저압 상태의 기체가 된다. 여기서, 상류관(39A1)을 빠져 나갔을 때에 있어서, 안개 상태(액체 상태)의 냉매(C)는, 기체 상태의 냉매(C)보다 중량%가 많다.
냉매(C)가 합류단(P1)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냉매(C)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C)와, 저온 저압의 안개 상태의 냉매(C)가 혼합된 상태가 되어 있고, 안개 상태의 냉매(C)의 중량% 쪽이 기체 상태의 냉매(C)의 중량%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모듈 냉각부(37B) 내를 흐르는 냉매(C)는, 상류관(39B1)을 지나가고, 그 후, 하류관(39B2) 내를 흐른다. 상류관(39B1) 내를 냉매(C)가 지나감으로써, 축전 유닛(48B1)이 냉각된다. 하류관(39B2) 내를 냉매(C)가 흐름으로써, 축전 유닛(48B2)이 냉각된다. 그 한편으로, 냉매(C)는, 상류관(39B1) 및 하류관(39B2)을 지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냉매(C)의 일부는 저온 저압 상태의 기체가 된다. 여기서, 상류관(39B1)을 빠져 나갔을 때에 있어서, 안개 상태(액체 상태)의 냉매(C)는, 기체 상태의 냉매(C)보다 중량%가 많다.
냉매(C)가 합류단(P1)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냉매(C)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C)와, 저온 저압의 안개 상태의 냉매(C)가 혼합된 상태가 되어 있고, 안개 상태의 냉매(C)의 중량% 쪽이 기체 상태의 냉매(C)의 중량%보다 크다.
안개 상태의 냉매(C)가 기체 상태의 냉매(C)가 될 때의 잠열(潛熱)은, 액체 상태의 냉매(C)가 온도 상승할 때에 필요한 열량보다 훨씬 크다.
하류관(39A2) 및 하류관(39B2)을 지나 배터리 ECU(42)의 하방(下方)을 흐르는 냉매(C)는, 액체 상태의 냉매(C)의 중량%가 기체 상태의 냉매(C)의 중량%보다 크기 때문에, 배터리 ECU(42)를 양호하게 냉각할 수 있다. 냉각관(38E)에 있어서, 배터리 ECU(42)보다 유통 방향 D1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냉매(C)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가 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차량의 배기관이 수용 케이스의 측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배기관으로부터 수용 케이스에 열이 전달되기 쉽다. 배기관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서,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된, 축전 장치를 제어하는 배터리 ECU가 가열된 경우에는, 배터리 ECU의 제어 동작에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제어 동작은, 배기관으로부터의 열 외에, 엔진 배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에는 엔진이 탑재되기 때문에 배기관의 탑재는 필수적이지만, 대형 전지 팩의 경우에는 차량의 바닥 아래에 배터리 ECU가 탑재되는 일이 많아, 배기관과 배터리 ECU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쉽다.
실시 형태의 차량(1)에서는,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배터리 ECU(42)와 배기관(30)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배기관(30)으로부터의 열에 의해서 배터리 ECU(42)가 가열되는 것을 냉각관(38C)의 일부(38C1)의 존재에 의해서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배터리 ECU(42) 및 냉각관(38C)의 일부(38C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의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는, 배터리 ECU(42)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도 5에 나타내는 위치 A1에 있는 경우, 배터리 ECU(42)를, 냉각관(38C)의 일부(38C1)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투영상(像)은, 냉각관(38C)의 일부(38C1)의 하측에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도 5에 나타내는 위치 A2에 있는 경우, 배터리 ECU(42)를, 냉각관(38C)의 일부(38C1)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투영상은, 냉각관(38C)의 일부(38C1)의 전부에 겹쳐진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도 5에 나타내는 위치 A3에 있는 경우, 배터리 ECU(42)를, 냉각관(38C)의 일부(38C1)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투영상은, 냉각관(38C)의 일부(38C1)의 상측에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도 5에 나타내는 위치 A1, A2, A3의 어느 경우이더라도, 배기관(30)으로부터 배터리 ECU(42)를 향하는 열은 냉각관(38C)의 일부(38C1)에 의해서 차단되기 쉬워, 배기관(30)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배터리 ECU(42)가 가열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의 전체가 배터리 ECU(42)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즉, 냉각관(38C)의 일부(38C1)와 배터리 ECU(42)가 높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더라도),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배터리 ECU(42)와 배기관(30) 사이에 위치해 있음으로써,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배터리 ECU(42)와 배기관(30) 사이에 위치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각 회로(31)가 기기 냉각부(38C2)를 포함하는 경우, 냉매가 축전 모듈(41)과 열 교환을 행하기 전에 냉매가 배터리 ECU(42)를 냉각할 수 있고, 축전 모듈(41)보다 적어도 상류에서 배터리 ECU(42)를 냉각함으로써, 보다 기기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관(30) 내를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배터리 ECU(42)는 축전 모듈(41)보다 상류측에 위치해 있다. 환언하면,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배기관(30)은 상류측 부분과 하류측 부분을 갖고 있고, 배터리 ECU(42)는 이 상류측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축전 모듈(41)은 이 하류측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전 모듈(41)보다 배터리 ECU(42) 쪽이, 배기관(30)의 상류측 부분(즉, 배기관(30) 중의 보다 고온 부분)의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축전 모듈(41)보다 배터리 ECU(42) 쪽이, 배기관(30)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보다 받기 쉬워진다. 냉각관에 의한 냉각 능력은, 냉각관 내를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 쪽이 하류측에 비하여 높다. 따라서, 축전 모듈(41)보다 먼저 배터리 ECU(42)를 냉각함으로써, 환언하면, 냉각관 중 냉각 능력이 보다 높은 부분에 의해서 배터리 ECU(42)를 냉각함으로써, 배기관(30)으로부터 배터리 ECU(42)에 작용할 수 있는 열의 영향을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냉각 회로(31)가 기기 냉각부(38E1)를 포함하는 경우, 냉매가 배터리 ECU(42)와 열 교환을 행하기 전에 냉매가 축전 모듈(41)을 냉각할 수 있고, 축전 모듈(41)보다 적어도 하류에서 배터리 ECU(42)를 냉각함으로써, 축전 모듈(41)을 냉각하는 냉각 성능을 손상하지 않고 배터리 ECU(42)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냉각 회로(31)가 기기 냉각부(38C2) 및 기기 냉각부(38E1)의 양방(兩方)을 포함하는 경우, 냉매가 축전 모듈(41)과 열 교환을 행하기 전후에서 냉매가 배터리 ECU(42)를 냉각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배터리 ECU(42)를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냉각관(38C)의 일부(38C1)가 수용 케이스(40) 내에 마련되는 경우, 수용 케이스(40)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고, 수용 케이스(40) 내에 마련되는 배터리 ECU(42)가 배기관(30)으로부터 수용 케이스(4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고,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7)

  1.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된 축전 모듈과,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된 전자 기기와,
    상기 수용 케이스의 측방에 배치된 배기관과,
    냉매가 유통하는 냉각관을 포함하는 냉각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관의 일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배기관 사이에 위치해 있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로는,
    상기 축전 모듈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냉각하는 모듈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기기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상류에 위치해 있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내를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축전 모듈보다 상류측에 위치해 있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로는,
    상기 축전 모듈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냉각하는 모듈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기기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하류에 위치해 있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회로는,
    상기 축전 모듈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을 냉각하는 모듈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제 1 기기 냉각부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를 냉각하는 제 2 기기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상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기기 냉각부는 상기 모듈 냉각부보다 하류에 위치해 있는,
    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상기 일부는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마련되는,
    차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
KR1020200107189A 2019-08-26 2020-08-25 차량 KR102415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3940A JP7147718B2 (ja) 2019-08-26 2019-08-26 車両
JPJP-P-2019-153940 2019-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499A true KR20210025499A (ko) 2021-03-09
KR102415191B1 KR102415191B1 (ko) 2022-07-01

Family

ID=7456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89A KR102415191B1 (ko) 2019-08-26 2020-08-25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40436B2 (ko)
JP (1) JP7147718B2 (ko)
KR (1) KR102415191B1 (ko)
CN (1) CN112498079B (ko)
DE (1) DE102020120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9043B2 (ja) * 2020-03-06 2023-10-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7375722B2 (ja) * 2020-10-12 2023-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8576A1 (en) * 2011-01-06 2012-07-12 Beechie Brian E Axle system
JP5713115B2 (ja) * 2011-11-04 2015-05-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ト車の排気管構造
US20160226041A1 (en) * 2015-01-29 2016-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mounted high voltage battery assembly
US9796293B2 (en) * 2015-06-04 2017-10-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power device
US20180111499A1 (en) * 2016-10-25 2018-04-26 Honda Motor Co., Lt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975B2 (ja) * 1992-12-10 2000-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加温装置
JP3879339B2 (ja) * 1999-11-17 2007-02-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US7043926B2 (en) * 2004-03-18 2006-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go area grocery chiller
JP4542414B2 (ja) * 2004-11-18 2010-09-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水素燃料自動車における水素タンク冷却装置
US7896115B2 (en) * 2005-07-08 2011-03-01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vehicle
JP4415910B2 (ja) * 2005-07-12 2010-0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構造
JP4919102B2 (ja) * 2008-11-17 201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ユニットの冷却構造
WO2011111949A2 (ko) * 2010-03-08 2011-09-15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2067683A (ja) * 2010-09-24 2012-04-05 Toyota Industries Corp ランキンサイクル装置
JP5473954B2 (ja) * 2011-01-14 2014-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冷却構造を有する高電圧機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9587546B2 (en) * 2013-10-02 2017-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hybrid vehicle waste heat recovery
JP6387422B2 (ja) * 2014-12-04 2018-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7055642B2 (ja) * 2018-01-16 202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8576A1 (en) * 2011-01-06 2012-07-12 Beechie Brian E Axle system
JP5713115B2 (ja) * 2011-11-04 2015-05-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ト車の排気管構造
US20160226041A1 (en) * 2015-01-29 2016-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mounted high voltage battery assembly
US9796293B2 (en) * 2015-06-04 2017-10-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power device
US20180111499A1 (en) * 2016-10-25 2018-04-26 Honda Motor Co., Lt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61131A1 (en) 2021-03-04
CN112498079A (zh) 2021-03-16
DE102020120607A1 (de) 2021-03-04
US11440436B2 (en) 2022-09-13
KR102415191B1 (ko) 2022-07-01
JP2021034251A (ja) 2021-03-01
JP7147718B2 (ja) 2022-10-05
CN112498079B (zh)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664B2 (en) Battery pack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US7913787B2 (en) Structure for mounting power source pack
US9742043B2 (en) Battery pack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CN102029892A (zh) 混合动力车的冷却装置
CA2624804C (en) In-vehicle device cooling apparatus
KR20210025499A (ko) 차량
WO2011065074A1 (ja) 電動車両の冷却システム
JP2013097891A (ja) バッテリケース、車両
CN101389502A (zh) 电源设备
US20220305877A1 (en) Thermal management for electrified vehicle
JP7192705B2 (ja) 蓄電装置
JP7251428B2 (ja) 車両
JP2011134657A (ja) バッテリーの温度調整装置
CN111319441A (zh) 自动驾驶车辆
US20220263389A1 (en) Driving unit and vehicle
US20210001701A1 (en) Vehicle
JP7095373B2 (ja) インバータ及び電動車両
US20220111761A1 (en) Vehicle battery cooling apparatus
US11489415B2 (en) Drive unit
JP2020147069A (ja) 電動4輪駆動車の冷却装置
JP2022127457A (ja) 車両、及び、熱交換プレート
KR20230072296A (ko) 벤팅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터리 팩 어셈블리 및 벤팅 가스의 배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