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053A - 유체 제품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유체 제품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053A
KR20210025053A KR1020217001412A KR20217001412A KR20210025053A KR 20210025053 A KR20210025053 A KR 20210025053A KR 1020217001412 A KR1020217001412 A KR 1020217001412A KR 20217001412 A KR20217001412 A KR 20217001412A KR 20210025053 A KR20210025053 A KR 20210025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fluid
dispenser
applicator
ai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데릭 뒤께
프랑시스 모로
Original Assignee
아프타르 프랑스 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타르 프랑스 사 filed Critical 아프타르 프랑스 사
Publication of KR2021002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05B11/061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gas or vapour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 유체 저장소(1);
· 도포기(2); 및
· 저장소(1)와 도포기(2) 사이에 배치된 디스펜서 모듈(3);을 포함하고,
디스펜서 모듈(3)이, 공기를 저장소(1)로 보내기 위한 공기 펌프(4) 및 저장소(1)를 도포기(2)와 연결하는 유체 덕트(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제품 디스펜서
본 발명은 유체 저장소, 도포기, 및 저장소와 도포기 사이에 배치된 디스펜서 모듈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응용이 유리한 분야는 화장품 분야이나, 의약, 가정용 세제, 및 식품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유체 저장소 상에 장착되고 도포기를 지지하는 펌프를 사용하고, 이 펌프는 저장소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을 받아 도포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다양한 디스펜서들은 이미 알려져 있다. 펌프는 유입 밸브 및 배출 밸브를 구비한 펌프 챔버를 포함하고, 유체는 유입 밸브를 통해 펌프 챔버로 들어가 배출 밸브를 통해 펌프 챔버에서 나온다. 문서 FR 2 978 684는 좋은 예를 기술한다. 저장소에서 유체를 취하기 위하여, 펌프에 침적관이 끼워지거나 저장소에 종동 피스톤을 포함한다. 어느 방식이든, 저장소가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지면, 침적관 또는 종동 피스톤이 보인다.
게다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몇몇 디스펜서들/도포기들을, 대체로 길쭉한 구성을 갖는, 펜의 형태로 만들어서, 펜처럼 다룰 수 있게 하고, 도포하는데 증가된 정확도를 부여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통 검지로, 그 위를 눌러서 펌프 챔버 안에 유체를 압력하에 놓기 위한 가요성 슬리브 형태의 측방향 작동 펌프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기술하는 문서 FR 2 852 933의 상황이다. 이 디스펜서의 단점은 유체가 가요성 슬리브를 구성하는 물질과 직접적으로 접촉해 있다는 것에서 기인하는데, 이 물질이 유체와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부품을 제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엘라스토머는 오래 계속해서 접촉을 하고 있으면 유체에 화합물을 유출할 공산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종류의 디스펜서/도포기를 정의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선행 기술의 단점들을 치유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펜" 구성을 갖고, 여기엔 유체가 엘라스토머나 어느 다른 가요성 물질의 존재로 인해 오염되거나 악화될 어떤 위험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분배 동작을 부드럽게 또는 감쇠하기 위하여, 작동과 분배 사이의 상관을 제거하는 것도 추구하며, 따라서 보다 더 제어 가능하고 정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저장소와 디스펜서 모듈을 완전하게 비우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디스펜서로서:
· 유체 저장소;
· 도포기; 및
· 저장소와 도포기 사이에 배치된 디스펜서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펜서 모듈은 공기를 저장소로 보내기 위한 공기 펌프, 및 저장소를 도포기와 연결하는 유체 덕트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를 제안한다.
따라서, 압력하에서 공기의 흐름은 저장소로 내려가고, 압력하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저장소 안에서 압력을 받는 유체의 일부는 디스펜서 모듈을 통과하는 유체 덕트로 상승하여 도포기에 공급한다. 이는 공기와 유체의 흐름들이 디스펜서 모듈 내에서 서로를 지나쳐 교차한다고 말할 수 있고, 디스펜서 모듈은 저장소와 도포기 사이의 중앙, 가운데 또는 사이에 개재된 방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공기 펌프를 사용하는 것은, 공기가 유체 상에 작용하고 공기가 압축 가능하단 것을 고려하면, 유체를 분배할 때 일종의 감쇠를 생성한다. 공기 펌프를 작동시키는데 가해지는 압력이 유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용자는 부드러운 느낌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유체 디스펜서는 길이방향 축(X)을 따라 길쭉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고, 저장소, 도포기, 및 디스펜서 모듈은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하고, 디스펜서 모듈은 저장소와 도포기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은 통상적으로 "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공기 펌프는 단방향 배출 밸브를 통해 저장소를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 펌프는 단방향 유입 밸브를 통해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방향 배출 밸브 및 단방향 유입 밸브는 일체형 밸브 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유리한 양태에 있어서, 공기 펌프는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을 포함한다.
실용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펜서 모듈은:
· 유체 덕트 및 저장소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수단을 형성하는 모듈 몸체;
· 도포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을 형성하는 커버; 및
· 펌프 챔버 및 공기 펌프의 작동을 위한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을 형성하는 일체형의 공기 방출기의 형태를 한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용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펜서 모듈은:
· 저장소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수단, 및 유체 덕트의 하단 부분을 형성하는 모듈 몸체;
· 도포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 및 유체 덕트의 상단 부분을 형성하는 덮개; 및
· 모듈 몸체와 커버 사이를 연결해서 공기 펌프를 형성하고, 공기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을 형성하는 가요성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모듈 몸체는 공기 펌프를 저장소와 연결하는 단방향 배출 밸브, 및 외부를 공기 펌프와 연결하는 단방향 유입 밸브를 각각 형성하는 일체형 밸브 부재를 위한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두 가지 실용적인 실시 형태 모두에 있어서, 디스펜서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축, 즉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장착된다.
다른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공기 펌프는 유체 덕트의 옆에, 또는 사방에 연장한다.
마지막으로, 유체 저장소를, 침적관(dip tube)이나 종동 피스톤 없이, 투명한 물질로 만드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저장소를 압력하에 놓는 공기 펌프를 사용하는 것에 있고, 공기 펌프는 저장소와 도포기 둘 모두가 장착되어 있는 한 모듈에 통합되어서, 저장소에서 나오는 유체가 도포기에 도달하기 위해서 모듈을 통과해 가도록 한다. 공기 펌프로의 공기의 유입과 그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관리하기 위한 "두방향-유동" 밸브는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고, 도면은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 형태를 비 제한적인 예로서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유체 디스펜서의 전면도;
도 2는 도 1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3은 도 2 디스펜서를 관통하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위 도면들에 디스펜서의 분해도;
도 5는 도 3의 도면과 유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5 디스펜서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유체 디스펜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즉각 관찰되어야 하는 것은 디스펜서가 대체로 길이방향 축(X)을 따라서 길쭉한 모양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디스펜서는 대체로 볼펜 또는 펠트 펜을 닮았다. 또한, 관찰되어야 할 것은 디스펜서가 도 2보단 도 1에서 더 폭이 큰, 그의 단면이 장방형,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또한, 관찰되어야 할 것은 디스펜서가 크게 세 부분, 즉 하단 부분에 자리하는 저장소(1), 상단 부분에 자리하는 도포기(2), 및 축방향으로 저장소(1)와 도포기(2) 사이에 자리하는 디스펜서 모듈(3)을 포함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저장소(1)는 그 상단 부분이 모듈(3)과 연결되고, 도포기(2)도 그 하단 부분이 모듈(3)과 연결된다. 관찰되어야 할 것은 디스펜서 모듈(3)이 디스펜서가 가장 큰 곡률을 갖는 곳에 자리하는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유체 저장소(1)는 어느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져서, 담긴 유체를 볼 수 있게 한다. 저장소(1)는 길이방향 축(X)을 따라 길쭉하고 한쪽 끝에 막혀있는 바닥과 다른 쪽 끝에 목부(11)를 정의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에서, 도포기(2)는 길이방향 축 X을 따라 길쭉한 단부편의 형태를 갖는다. 도포기(2)는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은, 디스펜서 모듈과 맞물리는 체결구 스터브(21)를 포함한다. 도포기(2)는 도포기의 상단 끝에 자리하는 디스펜서 오리피스(23)로 끝나는 내부 채널(22)도 포함한다. 도포기(2)를 만들기에 적절한 어느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유리하게는 도포기의 어느 정도의 가변성을 부여할 수 있는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단지 한 가지 특수한 그리고 비-제한적인 실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도포기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모든 종류의 것일 수 있다. 도포기는 한 개의 다공성 물질, 주걱, 또는 붓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에 있어서, 도포기가 디스펜서 모듈(3)과 맞물리기에 적절한 체결구 스터브(21)를 포함한 것이라면, 도포기(2)의 특성과 기능은 본 발명에 있어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펜서 모듈(3)은 네 개의 구성요소, 즉 공기 펌프(4), 모듈 몸체(5), 일체형 밸브 부재(6) 및 커버(7)를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공기 펌프(4)는 예를 들어, 블로-몰딩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일체형의 공기 방출기의 형태를 갖는다. 그의 하단 끝에서, 펌프(4)는 개구(42)를 정의하고, 측방향으로는, 그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이 유리한,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구비한다. 펌프(4)의 내부는 펌프 챔버(40)를 형성한다.
모듈 몸체(5)는 유리하게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의 하단 끝에는, 저장소(1)의 목부(11)와 밀봉 결합하게 되는 체결구 스커트(51)를 포함한다. 체결구 스커트(51)의 안에서, 모듈 몸체(5)는 공기 배출 채널(52)과 유체 유입 우물(53)을 정의하고, 이들은 거의 나란히 배치된다. 그의 상단 끝에서, 공기 배출 채널(51)은 일체형 밸브 부재(6)가 수용되어 있는 밸브 하우징(56)과 연통한다. 더 자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밸브 하우징(56)이 두 개의 별개의 밸브 시트(561 및 562)를 정의하고 있고 밸브 시트들은 일체형 밸브 부재(6)와 협력하여 공기 배출 밸브와 공기 유입 밸브를 정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밸브 하우징(56)의 두 개의 밸브 시트(561 및 562)는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고, 일체형 밸브 부재(6)는 외측 이동성 립(62) 및 내측 이동성 립(61)을 포함한다. 내측 이동성 립(61)은 내측 밸브 시트(561)와 함께 공기 배출 밸브를 구성하는, 반면 외측 이동성 립(62)은 외측 밸브 시트(562)와 함께 공기 유입 밸브를 형성하여 통풍구(57)에서 외부 공기를 공급 받는다.
게다가, 배출 우물(53)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포기(2)로 이어지는 유체 덕트(54)와 하류에서 연통한다.
도 3에서, 펌프(4)의 개구(42)가 밸브 하우징(56)에 맞물린 채 모듈 몸체(5) 상에 펌프(4)가 장착된 것을 볼 수 있다. 펌프(4)가 유체 덕트(54) 옆으로 연장하는 것을 발견해야 한다.
커버(7)는 모듈 몸체(5), 펌프(4), 및 일체형 밸브 부재(6)를 수용하는 일체형 중공 몸체의 형태를 갖는다. 그 하단 끝에서, 커버(7)는 저장소(1)의 목부(11)가, 유리하게는 스냅-체결에 의해, 수용되는 수용 하우징(71)을 정의한다. 그 상단 끝에서, 커버(7)는 도포기(2)의 앵커 스터브(21)가, 유리하게는 스냅-체결에 의해, 수용되는 앵커 하우징(72)을 정의한다. 앵커 하우징(72)의 하단에는 유체 덕트(54)를 도포기(2)의 배출 채널(22)과 연통시켜 놓는 관통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향에서 커버(7)는 펌프(4)의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이 수용될 큰 슬롯(74)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펜서는 커버(7) 상에 탈착식으로 스냅-체결될 수 있는 보호 캡(8)을 포함하여, 도포기(2)를 씌워 보호한다.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먼저 한 손으로 디스펜서를 쥐는데, 검지가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엄지와 중지 사이로 커버(7)를 잡는다. 사용시, 저장소(1)는 도포기(2)보다 높게 위치해 있어서, 유체가 배출 우물(53)에 있게 한다.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 위를 누르면, 펌프(4) 안에 담긴 공기는 개구(42)를 통과해 밀려나간 다음, 공기 배출 밸브를 열어서, 공기 배출 채널(52)을 통해 저장소(1) 안으로 밀고 들어가게 한다. 이런 식으로 압력하에서 공기를 저장소로 가져오면 그 안에 담긴 유체가 압력을 받아서, 유체의 일부가 유체 덕트(54)를 통해 밀려나간 다음, 구멍(73)을 통과해 나가서, 도포기(2)의 배출 채널(22)에 도달하게 한다. 일단 유체가 디스펜서 오리피스(23)에서 분배되면, 사용자는 유체를, 피부와 같은 원하는 표면에 바를 수 있다.
사용자가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에 압력을 풀어주면, 상기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은 탄성적으로 자신의 안정 위치로 복원하고, 그에 의해 펌프(4) 안에 흡입을 생성한다. 이 흡입은 공기 유입 밸브를 열리게 해서, 외부 공기가 통풍구(57)를 통해 디스펜서 안으로 침투할 수 있게 한다. 공기 배출 밸브는 닫혀 있기 때문에, 저장소(1)는 어떤 흡입도 겪지 아니한다.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공기가 저장소로 방출되고, 그 결과 유체가 덕트(54)를 통해 밀려나간다는 것조차 알지 못한다. 기껏해야, 공기 방울들이 저장소에 담긴 유체 안에 생기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저장소가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질 때 일어난다. 또한, 저장소가 침적관이나, 종동 피스톤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을 받은 공기는 저장소(1)로 올라가고, 압력을 받은 유체는 저장소에서 덕트(54)를 통해 도포기(2) 쪽으로 내려온다. 따라서, 디스펜서 모듈(3)은 공기의 유동과 유체의 유동이 서로 교차해 지나가갈 수 있게 해준다.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저장소(1)와 일체형 밸브 부재(6)가 도 1 내지 도 4의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엄밀히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포기(2')는 약간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데, 측방향으로 활짝 열린 디스펜서 오리피스(23')를 갖는 주걱의 형태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해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디스펜서 모듈(3')의 구조에 있으며, 특히 공기 펌프(4') 및 저장소와 도포기를 연결하는 유체 덕트의 구조에 있다.
디스펜서 모듈(3')도 저장소의 목부(11)에 맞물리는, 유리하게는 스냅 체결되는, 체결구 스커트(51')를 정의하는 모듈 몸체(5')를 포함한다. 또한, 스커트(51')의 내부는 공기 배출 채널(52')과 유체 배출 우물(53')을 정의한다. 몸체(5')도 일체형 밸브 부재(6)를 위한 하우징(56')을 정의한다. 나아가, 몸체(5')는 아래에 설명된 기능을 갖는 밀봉 체결구 플랜지(55')를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몸체(5')는 우물(53')에서 도포기(2')에 도달할 때까지 위로 연장하는 유체 덕트(54')의 하단 부분을 정의하는 튜브 세그먼트(58')를 포함한다.
커버(7')도 도포기(2')의 앵커 스터브(21')가, 유리하게는 스냅-체결에 의해, 수용되는 앵커 하우징(72')을 정의한다. 커버는, 아래에 정의된 기능을 갖는, 밀봉 체결구 칼라(75')를 정의한다. 커버(7')는 유체 덕트(54')의 상단 부분을 정의하는 파이프(74')를 형성한다. 파이프(74')는 튜브 세그먼트(58') 둘레에 맞물린다. 파이프(74')는 앵커 하우징(72')으로 열린다. 파이프(74') 및 튜브 세그먼트(58')는 서로 협력하여 우물(53')을 하우징(72')과 연결하는 유체 덕트(54')를 형성한다. 나아가, 커버(7')는 파이프(74') 둘레에 연장하는 튜브(76')를 형성하거나, 또는 변형 예에서, 파이프(74')가 튜브(76') 안에서 연장한다. 튜브(76')의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디스펜서 모듈(3')은 플랜지(55')와 밀봉 결합하는 하단 단부(42') 및 칼라(75')와 밀봉 결합하는 상단 단부(43')를 갖는 가요성 슬리브(4')를 역시 포함한다. 두 단부 사이에서, 가요성 슬리브(4')는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형성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슬리브(4')는 파이프(74') 및 튜브(76')를 감싼다. 따라서, 공기 펌프(44')는 슬리브(4'), 모듈 몸체(5'), 및 커버(7')로 정의된다. 펌프(44')는 둥그런 원통형의 챔버(40')를 정의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 디스펜서의 작동은 제1 실시 형태의 디스펜서에 대한 것과 대체로 같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쥐어짜면, 공기는 슬리브(4') 안에서 압력을 받는다. 공기 배출 밸브는 열려서, 공기의 흐름이 배출 채널(52')을 통과해 가고 저장소(1)에 도착한다. 결과적으로, 저장소(1)에 저장된 유체의 압력은 상승하고, 유체의 일부가 우물(53)을 통과한 다음, 튜브 세그먼트(58')와 파이프(74')를 통과해 밀려나가서 도포기(2')의 배출 채널(22')에 도달하게 된다. 유체는 디스펜서 오리피스(23')를 통해 분배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표면에 유체를 도포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 상에 압력을 풀면, 외부 공기는 통기 구멍(57')을 통해 디스펜서로 침투하고 공기 유입 밸브를 열어서 가요성 슬리브(4') 안에 대기압을 다시 수립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 엄지와 검지 사이로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변형시켜서 공기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슬리브(41')가 원통형이고, 가변형 액추에이터 벽(41')이 결과적으로 디스펜서 모듈(3')의 모든 둘레에서 연장할 경우에 가능하다. 그러나, 벽(41')의 변형은 튜브(76')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 펌프에서 압력을 받은 공기에 의해 작용하는 측방향-작동하는 벽을 갖는, 펜 모양을 가질 수 있는 유체 디스펜서/도포기를 제공한다. 공기 펌프의 공기 챔버는 저장소를 도포기와 연결시키는 유체 채널 옆에서 연장할 수 있거나, 또는 변형 예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처럼, 이 덕트의 전체 둘레에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이 공기 펌프의 장점은 저장소(1)가 오직 유체만 담을 수 있고, 침적관이나 종동 피스톤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 모듈(3 또는 3')은 어느 저장소와 어느 도포기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Claims (13)

  1. 유체 디스펜서로서,
    · 유체 저장소(1);
    · 도포기(2; 2'); 및
    · 상기 저장소(1)와 도포기(2; 2') 사이에 배치된 디스펜서 모듈(3; 3');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모듈(3; 3')은, 공기를 저장소(1)로 보내기 위한 공기 펌프(4; 44') 및 상기 저장소(1)를 도포기(2; 2')와 연결하는 유체 덕트(54; 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모듈(3; 3')은, 상기 유체 저장소(1)와 도포기(2; 2')가, 유리하게는 스냅-체결에 의해, 각각 수용되는, 수용 하우징(71, 72; 51', 72')들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디스펜서는 길이방향 축(X)을 따라 길쭉한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저장소(1), 도포기(2; 2'), 및 디스펜서 모듈(3; 3')은 상기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디스펜서 모듈(3; 3')은 상기 저장소(1)와 도포기(2; 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유체 디스펜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4; 44')는 단방향 배출 밸브(61, 561)를 통해 상기 저장소(1)와 연결되는, 유체 디스펜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4; 44')는 단방향 유입 밸브(62, 562)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유체 디스펜서.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배출 밸브(61, 561) 및 단방향 유입 밸브(62, 562)는 일체형 밸브 부재(6)로 형성되는, 유체 디스펜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4; 44')는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 41')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4)는 펌프 챔버(40) 및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형성하는 단일 부품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모듈(3)은,
    · 상기 유체 덕트(54), 및 상기 저장소(1) 상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수단(51)을 형성하는 모듈 몸체(5);
    · 상기 도포기(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72)을 형성하는 커버(7); 및
    · 펌프 챔버(10), 및 상기 공기 펌프(4)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형성하는 일체형의 공기 방출기의 형태를 갖는 공기 펌프(4);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모듈(3')은,
    · 상기 저장소(1) 상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 수단(51'), 및 상기 유체 덕트(54')의 하단 부분을 형성하는 모듈 몸체(5');
    · 상기 도포기(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72'), 및 상기 유체 덕트(54')의 상단 부분을 형성하는 커버(7'); 및
    · 상기 모듈 몸체(5')와 커버(7') 사이에서 공기 펌프(44)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듈 몸체(5')를 커버(7')에 연결하는 가요성 슬리브(4')로서, 상기 공기 펌프(44')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변성 액추에이터 벽(41')을 형성하는 가요성 슬리브(4');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몸체(5; 5')는, 상기 공기 펌프(4; 44')를 상기 저장소(1)와 연결하는 단방향 배출 밸브(61, 561), 및 외부를 상기 공기 펌프(4; 44')와 연결하는 단방향 유입 밸브(62, 562)를 각각 형성하는 일체형 밸브 부재(6)를 위한 밸브 시트들을 형성하는, 유체 디스펜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4; 44')는 상기 유체 덕트(54; 54')의 옆에서, 또는 사방에서 연장되는, 유체 디스펜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1)는 투명하고 침적관을 갖지 않는, 유체 디스펜서.
KR1020217001412A 2018-06-29 2019-06-28 유체 제품 디스펜서 KR20210025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5972A FR3083146B1 (fr) 2018-06-29 2018-06-29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FR1855972 2018-06-29
PCT/FR2019/051606 WO2020002854A1 (fr) 2018-06-29 2019-06-28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053A true KR20210025053A (ko) 2021-03-08

Family

ID=6383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412A KR20210025053A (ko) 2018-06-29 2019-06-28 유체 제품 디스펜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2020B2 (ko)
EP (1) EP3814019B1 (ko)
KR (1) KR20210025053A (ko)
CN (1) CN112384306B (ko)
FR (1) FR3083146B1 (ko)
WO (1) WO20200028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983A (en) * 1881-11-01 Sylvester w
US206653A (en) * 1878-07-30 Improvement in syringe apparatus
US1577539A (en) * 1922-08-28 1926-03-23 Polk Alexander Hamilton Dispensing device
US1776489A (en) * 1928-03-12 1930-09-23 Carolus M Cobb Powder distributor
US1808662A (en) * 1928-04-20 1931-06-02 Kline Max Atomizer
US2223256A (en) * 1938-12-27 1940-11-26 Mark R Kross Liquid separating device
US3940030A (en) * 1974-08-16 1976-02-24 Hirosi Kondo Dispenser device for taking out contents
JPS61133Y2 (ko) * 1977-10-20 1986-01-07
FR2586233B1 (fr) * 1985-08-13 1987-11-27 Oreal Dispositif de distribution en quantites dosees d'au moins un produit relativement visqueux
DE8601783U1 (de) * 1986-01-24 1986-06-05 Tunap Deutschland Vertriebs GmbH + Co KG, 8190 Wolfratshausen Druckluftbetriebene Versprüheinrichtung für Flüssigkeiten
IT1230221B (it) * 1989-05-29 1991-10-18 Vasapollo Giuseppe Pietrasanta Nebulizzatore ecologico ad aria compressa ad azionamento manuale.
DE3928156A1 (de) * 1989-08-25 1991-02-28 Bay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spruehen einer zahnaerztlichen abformmasse
DK302890D0 (da) * 1990-12-21 1990-12-21 Novo Nordisk As Dispenser
CN2159217Y (zh) * 1993-03-20 1994-03-23 刘波 医用多功能抽吸器
FR2765560B1 (fr) * 1997-07-02 1999-08-13 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liquide ou pateux comportant des moyens de pompage ameliores
US6200055B1 (en) * 1999-06-18 2001-03-13 Stephen Gould Corporation Dispenser device for dispensing metered doses of viscous material
FR2852933B1 (fr) 2003-03-24 2005-05-13 Airlessystem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S7140522B2 (en) * 2003-06-26 2006-11-28 Spencer Forrest, Inc. Applicator for hair building solids
FR2863938B1 (fr) * 2003-12-19 2006-03-03 Bic Soc Instrumentd'ecriture a jet de liquide
CN102764719B (zh) * 2004-09-27 2016-10-05 因斯蒂尔医学技术有限公司 用于存储分配物质的分配器及其充填固定装置
EP1877310A2 (en) * 2005-04-25 2008-01-16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Material storage and dispensing packages and methods
WO2007040133A1 (ja) * 2005-10-03 2007-04-12 Mika Watanabe 手動ポンプ及び手動ポンプ付き液体容器
US7841494B2 (en) * 2007-03-16 2010-11-30 Randall Batinkoff Pump dispenser
JP4309443B2 (ja) * 2007-08-29 2009-08-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加圧ペン
JP5785755B2 (ja) * 2010-04-02 2015-09-30 花王株式会社 内容物押出容器
US9321064B2 (en) * 2010-09-24 2016-04-26 Blake Vanier Drinking vessel with pump and methods
DE102011007405A1 (de) * 2011-04-14 2012-10-18 Ing. Erich Pfeiffer Gmbh Kosmetik-Spender
FR2978684B1 (fr) 2011-08-01 2013-08-23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EP2890621B1 (en) * 2012-08-30 2018-10-03 Zhejiang JM Industry Co. Ltd Powder dispenser
CN104058180B (zh) * 2013-03-18 2017-03-01 F·霍尔泽有限责任公司 药剂分配器
US9770736B2 (en) * 2013-07-09 2017-09-26 Gerhard Brugger Metering dispenser for discharging an in particular pasty or viscous material, such as cosmetic cream, adhesive, and the like
FR3020748B1 (fr) * 2014-05-07 2020-10-30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BR112017007675B1 (pt) * 2014-10-28 2020-12-01 Ya-Man Ltd. aerógrafo
CA2885599A1 (en) * 2015-03-20 2016-09-20 Vincent Cheng Wall paint repair tool
CN205849001U (zh) * 2016-07-29 2017-01-04 江阴和盛塑胶有限公司 一种侧压式真空瓶
CN107605899A (zh) * 2017-09-25 2018-01-19 天津市凌宇金属制品制造有限公司 胶液注射式强力铁钉
JP7254074B2 (ja) 2017-11-02 2023-04-07 エフ・ホフマン-ラ・ロシュ・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液滴分注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84306A (zh) 2021-02-19
FR3083146B1 (fr) 2020-06-19
EP3814019B1 (fr) 2023-08-16
FR3083146A1 (fr) 2020-01-03
EP3814019A1 (fr) 2021-05-05
CN112384306B (zh) 2023-11-10
WO2020002854A1 (fr) 2020-01-02
US20210252537A1 (en) 2021-08-19
US11292020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949B2 (en) Assembly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liquid
US4230242A (en) Triple seal valve member for an atomizing pump dispenser
US4244525A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fillable scent dispenser
HU221949B1 (hu) Billentyűs-szivattyús folyadékadagoló
US9585459B2 (en) Vacuum container for cream type cosmetic
KR101833957B1 (ko) 화장품 디스펜서
JPH02180178A (ja) ペーストスペンダ
US20060175357A1 (en) Valve
KR101866230B1 (ko) 액체 배출 용기
JP6651470B2 (ja) 流体製品ディスペンサー
IT9021979A1 (it) Dispositivo a pompa per dosare o dispensare fluidi azionabile a mano
CN110446438B (zh) 具有排出海绵的液体分配器
CN101387286B (zh) 用于产品储存及分配容器的分配泵和设置有这种泵的容器
US20190231053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US20190090611A1 (en) Pump-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ide button
KR20210025053A (ko) 유체 제품 디스펜서
CN111655376B (zh) 流体产品分配器
US20080251541A1 (en) Fluid Product Dispenser
US20060157511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semi-liquid product
US6945473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US6776312B2 (en) Actuating head of a double-acting pump for ejecting a product from a container
US8978932B2 (en) System and bottle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US20060237484A1 (en) Pump
CN110167853B (zh) 包括可移动活塞和泵系统的用于包装和分配产品的装置
CN114072239B (zh) 可再填充流体产品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