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766A -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766A
KR20210024766A KR1020190104339A KR20190104339A KR20210024766A KR 20210024766 A KR20210024766 A KR 20210024766A KR 1020190104339 A KR1020190104339 A KR 1020190104339A KR 20190104339 A KR20190104339 A KR 20190104339A KR 20210024766 A KR20210024766 A KR 20210024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pallet
cov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280B1 (ko
Inventor
조인남
Original Assignee
조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남 filed Critical 조인남
Priority to KR102019010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2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승강유닛,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파렛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세척부, 상기 승강유닛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렛트를 덮을 수 있는 덮개유닛,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렛트를 상기 세척부로 이동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부로부터 상기 파렛트를 전달받아 후속 세척단계로 이동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승강유닛의 구동으로 상기 세척수에 잠긴다.
따라서, 공급부에서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가 세척부로 이동하면 승강유닛의 승강으로 세척부는 파렛트와 함께 세척조의 세척수에 잠긴다. 세척수는 파렛트의 홀들을 통해 파렛트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물과 접촉되어 세척물이 자동으로 세척된다.

Description

세척 장치{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채, 과일 등을 재배할 때 발생하는 병, 해충, 잡초 등을 방제하기 위해 화학농약, 생물농약 등을 사용하게 된다. 농약의 물질은 수확물에 부착되어 잔류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수확물 재배 및 수확 과정에서 그 표면에 흙,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부착된다. 이에 수확물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깨끗하게 세척해야 한다.
수확물을 소량 소비하는 가정에서 조리자가 수확물을 세척하는 것은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수확물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급식소, 대형식당, 가공공장 등에서 조리자가 수확물을 일일이 세척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과 노력을 필요하다. 이에 비생산적인 업무로 인한 인건비 지출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많은 양의 수확물을 취급하는 곳에서는 세척하는 과정이 불가피하게 생략하거나, 약식으로 최소한의 세척 작업을 수행함으로 유해한 이물질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비위생적인 상태로 섭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25645호 (2014.07.25.) 등록특허 제10-0882733호 (2009.02.02.)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등의 세척물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곳에서 세척물의 표면에 부착된 농약, 먼지, 흙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세척물 세척에 따른 인건비 지출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는,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승강유닛,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파렛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세척부, 상기 승강유닛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렛트를 덮을 수 있는 덮개유닛,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렛트를 상기 세척부로 이동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부로부터 상기 파렛트를 전달받아 후속 세척단계로 이동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승강유닛의 구동으로 상기 세척수에 잠길 수 있다.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부로 투입된 상기 파렛트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유닛은, 상기 파렛트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세척부로 이동하면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한 상기 파렛트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위치설정유닛은 상기 세척부가 상기 파렛트를 후속 공정으로 보낼 때 상기 세척부의 아래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유닛은, 상기 파렛트의 이송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는 설정샤프트, 상기 설정샤프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설정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세척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스토퍼바, 상기 설정샤프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설정액추에이터 및 상기 설정액추에이터와 상기 설정샤프트를 연결하는 설정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트와 연결된 가이드, 상기 세척조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척수에 잠길 수 있는 승강블록 및 상기 세척조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승강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내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롤러는 승강하는 상기 승강블록의 하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조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블록의 하부측과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세척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세척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세척컨베이어 및 상기 승강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컨베이어와 동력 연결된 세척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렛트는, 상기 세척컨베이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척컨베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세척샤프트, 상기 한 쌍의 세척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있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세척샤프트 중 일측 세척샤프트는 상기 세척구동부와 동력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는 덮개샤프트, 일단이 상기 덮개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세척부 위에 위치하는 덮개프레임,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렛트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재 및 일단이 상기 서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된 덮개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덮개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상기 덮개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공간을 가지며, 상기 세척조의 바닥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로 및 상기 전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로와 연결된 낙수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조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의 사이에서 상기 파렛트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 상기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 그리고 상기 세척조, 상기 서포트, 상기 승강유닛, 상기 세척부, 상기 덮개유닛 및 상기 전달부는 하나의 세척 단위체를 이루며, 상기 세척 단위체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세척물을 단계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부에서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가 세척부로 이동하면 승강유닛의 승강으로 세척부는 파렛트와 함께 세척조의 세척수에 잠긴다. 세척수는 파렛트의 홀들을 통해 파렛트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물과 접촉된다. 이때 승강유닛의 승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세척물을 흔드는 효과가 발생하여 세척물의 표면에 부착된 농약, 먼지, 흙 등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물 공급, 세척물 세척, 세척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세척물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급식소, 대형식당, 가공공장 등에서 조리자가 세척물을 직접 세척하지 않아도 되어 세척 시간 단축과 더불어 세척물 세척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유닛이 상승하면 덮개부재는 파렛트에서 떨어지며 스토퍼바는 체인 아래로 이동한다. 체인 이동으로 파렛트는 전달부로 이동한 후 두번째 세척 단위체로 이동하여 두번째 세척이 진행된다. 이에 세척물을 초벌세척, 중벌세척, 마무리세척단계로 구분하여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세척물을 여러 단계로 세척하므로 세척 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단위체들은 배수로와 연결되어 있다. 배수로를 통해 세척조에서 배수된 폐수가 세척실 외부로 배출되므로 폐수가 세척실 바닥으로 흐르지 않는다. 세척실 바닥으로 폐수가 흐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조리자의 미끄러짐, 세척실 바닥의 오염 등을 예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1의 공급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6의 공급부 동작 상태도로서 a)는 공급스토퍼가 공급롤러 위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공급스토퍼가 공급롤러 아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도 1의 승강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위치설정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위치설정부 동작 상태도로서 a)는 스토퍼바가 체인 위에 있는 상태이고 b)는 스토퍼바가 체인 아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도 1의 덮개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덮개유닛 동작 상태도로서 a)는 덮개부재가 파렛트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덮개부재가 파렛트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도 1의 세척 장치의 세척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액추에이터는 압축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며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하우징, 일단이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로드를 포함한다. 로드는 하우징의 작동유체 유동 방향에 따라 하우징에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로드는 이동 방향에 따라 그 끝이 하우징에서 멀어지거나 하우징과 가까워질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공급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공급부 동작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승강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의 위치설정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위치설정부 동작 상태도이며, 도 13은 도 1의 덮개유닛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덮개유닛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세척 장치(1)는 세척조(10), 서포트(20a, 20b), 공급부(30), 승강유닛(40), 세척부(50), 위치설정부(60), 덮개유닛(70), 전달부(80) 및 버블발생부(90)를 포함하며 야채, 과일 등의 세척물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곳에서 세척물의 표면에 부착된 농약, 먼지, 흙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세척 시 세척물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세척 장치(1)의 세척조(10), 서포트(20a, 20b), 승강유닛(40), 세척부(50), 위치설정부(60), 덮개유닛(70), 전달부(80) 및 버블발생부(90)는 하나의 세척 단위체(1a)를 이루며, 세척 단위체(1a)는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이웃한 세척 단위체(1a, 1b, 1c)는 전달부(80)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배열된 세척 단위체(1a, 1b, 1c)들을 통해 세척물을 초벌세척, 중벌세척, 마무리세척 단계로 세척할 수 있다.
세척 단위체(1a, 1b, 1c)들은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에 첫 번째 세척 단위체(1a)(초벌세척 단위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세척조(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하부에는 세척공간(11)과 연결된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세척조(10)의 내부 바닥은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배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10)의 내부 바닥의 경사를 따라 유동하여 배수구(12)로 배수되어 세척조(10)의 내부 바닥에 남지 않는다. 세척수가 세척조(10)의 내부 바닥에 남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폐, 오염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세척조(10)의 하면에는 세척조(1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세척조(10)의 전방에는 배수구(12)에서 배수된 폐수를 하수도(도시하지 않음)로 유도하는 배수로(13)가 배치되어 있으며 배수로(13)의 일측은 하수도와 연결되어 있다. 세척 단위체(1a, 1b, 1c)들은 배수로(13)와 연결되어 있다. 배수로(13)를 통해 세척조(10)에서 배수된 폐수가 배출되므로 폐수가 세척실 바닥으로 흐르지 않는다. 세척실 바닥으로 폐수가 흐르면서 발생할 수 있는 조리자의 미끄러짐, 세척실 바닥의 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조(10)에는 세척수 공급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이예 세척조(10)에서 폐수가 배수되면 세척수 공급부(30)를 통해 세척공간(11)에 새로운 세척수가 주입될 수 있다.
서포트(20a, 20b)는 세척조(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세척조(10)의 좌우 방향(X)으로 배열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서포트(20a, 20b)의 하부는 하부연결프레임(21)으로 세척조(10)와 연결되어 있다. 하부연결프레임(21)은 세척조(10)의 상하 방향(Z)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 쌍의 서포트(20a, 20b) 상단은 상부연결프레임(22)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 도 6 및 도 7을 더 참고하면, 공급부(30)는 공급프레임(31a, 31b), 공급롤러(32), 공급구동부(33) 및 공급제어부(34)를 포함하며 세척조(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P)를 세척조(10)에 위치한 세척부(50)로 이동시킨다.
공급프레임(31a, 31b)은 세척조(10)의 일측 외부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세척조(10)의 전후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급롤러(32)는 한 쌍의 공급프레임(31a, 3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한 쌍의 공급프레임(31a, 31b)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공급롤러(32)의 일단에는 스프라켓(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다. 스프라켓은 공급프레임(31a, 31b)의 외측에 위치한다. 공급롤러(32)는 한 쌍의 공급프레임(31a, 31b)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배열된 공급롤러(32)들의 스프라켓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배열된 공급롤러(32)들은 체인에 의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급롤러(32)에는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P)가 놓일 수 있다. 파렛트(P)의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파렛트(P)의 바닥과 둘레에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홀을 통해 파렛트(P)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세척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급구동부(33)는 모터를 포함한다. 공급구동부(33)는 배열된 공급롤러(3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공급구동부(33)의 동력이 선택된 공급롤러(32)에 전달되면 체인을 통해 이웃한 공급롤러에 전달되어 배열된 공급롤러(32)들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급롤러(32)의 회전으로 파렛트(P)는 세척조(10)에 위치한 세척부(50)로 이동한다.
공급제어부(34)는 공급링크(341), 공급스토퍼(342) 및 공급액추에이터(343)를 포함하며 세척조(10)와 공급롤러(32) 사이에 위치하여 파렛트(P)의 이동을 제어한다.
공급링크(341)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 한 쌍의 공급프레임(31a, 31b)에 각각 배치되어 일단이 회전할 수 있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공급링크(341)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급링크(341)는 회전에 따라 타단이 공급롤러(32)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급스토퍼(342)는 한 쌍의 공급링크(3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이 공급링크(341)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공급스토퍼(342)는 공급링크(341)의 회전에 따라 공급롤러(32)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급액추에이터(343)는 공급롤러(32)와 세척조(1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한다. 공급액추에이터(343)의 하우징은 세척조(10)의 측면과 힌지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고 로드의 끝은 공급링크(341)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다. 공급액추에이터(343)의 로드 이동으로 공급링크(341)는 회전할 수 있다.
공급롤러(32) 위에 위치한 공급스토퍼(342)는 공급롤러(32)에 놓인 파렛트(P)와 접하며 세척조(10)에서 세척물 세척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공급롤러(32) 상의 파렛트(P)가 세척부(5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파렛트(P)와 접하고 있는 공급스토퍼(342)가 세척 종류 후 공급링크(341)의 회전으로 공급롤러(32) 아래에 위치하면 파렛트(P)는 공급롤러(32)의 회전으로 세척부(50)로 이동한다.
즉, 세척조(10)에서 세척물이 세척 중인 경우 공급스토퍼(342)는 공급롤러(32) 위에 위치하여 파렛트(P)를 차단하여 파렛트(P)가 공급부(30) 상에서 대기하도록 한다(도 7의 a 참조). 그리고 세척이 종료되면 대기 중이 파렛트(P)가 세척부(50)로 이동하도록 공급스토퍼(342)는 공급롤러(32) 아래로 이동하고, 공급롤러(32)는 회전한다(도 7의 b 참조).
도면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승강유닛(40)은 가이드(41a, 41b), 승강블록(42) 및 승강액추에이터(43)를 포함하며 세척부(50)가 세척수에 잠기도록 승강한다.
가이드(41a, 41b)는 세척조(10)의 후방에서 세척조(10)의 좌우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41a, 41b)의 하단은 하부연결프레임(21)과 결합되어 있고 상단은 상부연결프레임(22)과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41a, 41b)는 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승강블록(42)은 수직바(421a, 421b), 후방돌출바(422a, 422b) 및 수평바(423)를 포함한다.
수직바(421a, 421b)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세척조(10)의 좌우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다. 수직바(421a, 421b)는 세척조(10) 위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 있다.
후방돌출바(422a, 422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한 쌍의 수직바(421a, 421b) 상단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조(10)를 벗어나 있다.
수평바(423)는 상부연결프레임(22)의 아래에 위치하여 세척조(10)의 좌우 방향(X)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수평바(423)의 양단은 후방돌출바(422a, 422b)의 돌출된 끝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41a, 41b)는 수평바(423)를 관통한다. 수평바(423)에는 가이드(41a, 41b)와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부싱(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액추에이터(43)는 수평바(423)와 하부연결프레임(21)의 사이에 위치한다. 승강액추에이터(43)의 하우징은 하부연결프레임(21)과 결합되어 있고 로드는 수평바(423)와 결합되어 있다. 로드의 이동으로 승강블록(42)은 가이드(41a, 41b)의 길이를 따라 상하 직선 이동하여 승강할 수 있다. 하강하는 승강블록(42)의 하부는 세척조(10)의 내부로 수용되어 세척수에 잠길 수 있다. 이때 승강블록(42)의 상부는 세척수에 잠기지 않는다.
한편, 승강유닛(40)은 가이드롤러(44a, 44b) 및 가이드레일(45a, 4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5a, 45b)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수직바(421a, 421b)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세척조(10)의 내부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45a, 45b)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45a, 45b)은 수직바(421a, 421b)와 마주한다.
가이드롤러(44a, 44b)는 한 쌍의 수직바(421a, 421b)의 하부에 각각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45a, 45b)과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롤러(44a, 44b)는 승강블록(42)이 승강할 때 가이드레일(45a, 45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승강블록(42)이 승강할 때 가이드롤러(44a, 44b)와 가이드레일(45a, 45b)은 승강블록(42)의 하부를 가이드하여 흔들리지 않고 반듯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도 10을 더 참고하면, 세척부(50)는 지지대(51a, 51b), 세척프레임(52a, 52b), 세척컨베이어(53) 및 세척구동부(54)를 포함하며 승강유닛(40)을 따라 승강하여 세척수에 잠길 수 있다.
지지대(51a, 51b)는 한 쌍을 이루며 세척조(1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수직바(421a, 421b)의 하부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세척프레임(52a, 52b)은 세척조(10)의 좌우 방향(X)을 따라 배치되어 지지대(51a, 51b)에 설치되어 있다. 세척프레임(52a, 52b)은 지지대(51a, 51b)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세척컨베이어(53)는 세척샤프트(531a, 531b), 스프라켓(532a, 532b), 체인(533), 받침샤프트(534) 및 받침롤러(535)를 포함하며 한 쌍의 세척프레임(52a, 52b)의 사이에 위치하여 공급부(30)에서 이동한 파렛트(P)를 지지하고 세척물 세척 후 파렛트(P)를 세척조(10) 외부로 이동시킨다.
세척샤프트(531a, 531b)는 한 쌍의 수직바(421a, 421b)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한 쌍의 세척프레임(52a, 5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세척샤프트(531a, 531b)는 세척프레임(52a, 5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한 쌍의 세척샤프트(531a, 531b) 중 일측 세척샤프트(531a)는 세척프레임(52a, 52b)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 세척샤프트(531b)는 세척프레임(52a, 52b)에 회전할 수 있게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세척샤프트(531a, 531b)에는 각각 스프라켓(532a, 532b)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일측 세척샤프트(531a)에 결합된 스프라켓(532a, 532b)은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지지되어 세척샤프트(531a)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타측 세척샤프트(531b)에 배치된 스프라켓(532a, 532b)은 키 결합되어 세척샤프트(531b)를 따라 회전한다.
체인(533)은 일측 세척샤프트(531a)의 스프라켓(532a, 532b)과 타측 세척샤프트(531b)의 스프라켓(532a, 532b)에 감아걸기되어 있다. 체인(533)의 상부는 공급롤러(32)의 상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공급부(30)에서 이동한 파렛트(P)는 체인(533)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체인(533)은 타측 세척샤프트(531b)의 회전으로 세척조(1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체인(533)의 이동으로 공급부(30)에서 이동한 파렛트(P)는 세척부(50)의 세척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파렛트(P)가 세척위치에 위치하면 타측 세척샤프트(531b)는 회전하지 않는다. 체인(533)은 공급부(30)에서 이동한 파렛트(P)를 지지하고, 세척 후 파렛트(P)를 전달부(80)로 이동시킨다.
받침샤프트(534)는 한 쌍의 세척샤프트(531a, 531b)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이 세척프레임(52a, 52b)과 결합되어 있다. 받침샤프트(534)는 체인(533)의 아래에 위치한다.
받침롤러(535)는 체인(533)과 일치하는 받침샤프트(534) 부분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받침롤러(535)는 체인(533)을 지지하여 체인(533)이 처지지 않도록 한다.
세척구동부(54)는 모터를 포함하며 타측 세척샤프트(531b)와 일치하는 수직바(421a, 421b)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세척구동부(54)는 체인으로 타측 세척샤프트(531b)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체인은 수직바(421a, 421b)의 내부에 위치한다. 세척구동부(54)의 구동으로 타측 세척샤프트(531b)가 회전하여 체인(533)이 세척조(1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 도 11 및 도 12를 더 참고하면, 위치설정부(60)는 설정샤프트(61), 설정링크(62), 스토퍼바(63) 및 설정액추에이터(64)를 포함한다.
설정샤프트(61)는 타측 세척샤프트(531b)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한 쌍의 세척프레임(52a, 52b)을 관통하고 있다. 설정샤프트(61)는 세척프레임(52a, 52b)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샤프트(61)의 일단은 수직바(421a, 421b)를 관통하면서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설정링크(6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설정샤프트(6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설정링크(62)는 일측과 타측 사이의 기설정된 지점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설정링크(62)의 타측은 설정샤프트(61)의 일단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설정링크(62)의 타측은 설정샤프트(61)보다 위에 위치한다. 그러나 설정링크(62)의 타측은 설정샤프트(61)의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스토퍼바(63)는 한 쌍의 세척프레임(52a, 52b) 사이에 위치하여 설정샤프트(61)와 연결되어 있다. 설정링크(62)의 타측이 설정샤프트(61) 위에 위치할 때 스토퍼바(63)는 체인(533)의 상부측 위로 돌출되어 체인(533)으로 이동한 파렛트(P)와 접한다(도 12 a 참조). 그러나 설정링크(62)의 타측이 설정샤프트(61)보다 아래에 위치한 스토퍼바(63)는 체인(533)의 아래에 위치하여 파렛트(P)와 접하지 않는다(도 12 b 참조). 이에 파렛트(P)는 체인(533)의 이동으로 세척조(10)를 벗어나 전달부(80)로 이동할 수 있다.
설정액추에이터(64)는 수직바(421a, 421b) 사이에 위치한다. 설정액추에이터(64)의 하우징은 일측 수직바(421a, 421b)에 결합된 브래킷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로드는 설정링크(62)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로드의 이동으로 설정링크(62)의 타측 위치가 변경된다. 설정링크(62)의 타측 위치 변경에 따른 움직임으로 설정샤프트(61)는 회전하고 스토퍼바(63)의 위치가 체인(533) 위 또는 체인(533) 아래가 될 수 있다.
도면 도 13 및 도 14를 더 참고하면, 덮개유닛(70)은 덮개샤프트(71), 덮개프레임(72), 덮개부재(73) 및 덮개액추에이터(74)를 포함하며 세척부(50)에 위치한 파렛트(P)를 덮는다.
덮개샤프트(71)는 수직바(421a, 421b) 사이에 위치하여 수직바(421a, 421b)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샤프트(71)의 양단은 베어링으로 수직바(421a, 421b)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덮개프레임(7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세척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덮개프레임(72)의 일측은 세척부(50) 위에 위치하고 타측은 덮개샤프트(71)와 결합되어 있다. 덮개프레임(72)은 외팔보 형태로 덮개샤프트(71)와 연결되어 있다. 덮개프레임(72)의 일측은 덮개샤프트(71)의 회전에 따라 덮개샤프트(71)보다 아래 또는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덮개부재(73)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세척부(50)로 이동하여 세척위치에 위치한 파렛트(P)의 위에 위치한다. 덮개부재(73)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73)는 덮개프레임(72)의 일측과 결합되어 있다. 덮개프레임(72)의 일측이 덮개샤프트(71)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덮개프레임(72)은 파렛트(P)의 상면을 덮고 있다. 그러나 덮개프레임(72)의 일측이 덮개샤프트(71)보다 위에 위치하면 덮개부재(73)는 들린 상태가 되어 파렛트(P)에서 떨어진 상태가 된다.
즉, 덮개부재(73)는 세척되는 세척물이 파렛트(P)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파렛트(P)를 덮으며, 세척 종료 후 파렛트(P)가 다음 세척 단계로 이동하도록 파렛트(P)에서 떨어진다.
덮개액추에이터(74)는 덮개프레임(72)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덮개액추에이터(74)의 하우징은 상부연결프레임(22)에 결합된 브래킷과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는 덮개프레임(72)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로드가 하우징에서 외부로 이동하면 덮개프레임(72)의 타측이 덮개샤프트(71)의 아래에 위치하고 일측이 덮개샤프트(71)의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덮개부재(73)는 파렛트(P)와 떨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도 12의 a 참조). 이와 반대로 로드가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면 덮개프레임(72)의 타측이 덮개샤프트(71)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면서 일측이 덮개샤프트(71)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덮개부재(73)는 파렛트(P)를 덮는다(도 12의 b 참조)
전달부(80)는 전달프레임(81), 전달롤러(82) 및 전달구동부(83)를 포함하며 세척조(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세척부(50)로부터 전달받은 파렛트(P)를 후속 세척단계로 이동시킨다.
전달프레임(8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세척조(10)의 타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한 상을 이루고 있다.
전달롤러(82)는 한 쌍의 전달프레임(81)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이 전달프레임(81)에 베어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전달롤러(82)는 전달프레임(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전달롤러(82)들의 일측에는 스프라켓이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라켓들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달롤러(82)의 상부는 체인(533)의 상부와 일치하며 체인(533)이 지지하고 있는 파렛트(P)가 전달롤러(82)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전달구동부(83)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의 구동축은 배열된 전달롤러(82)들 중 어느 하나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전달구동부(83)가 구동하면 이와 연결된 전달롤러가 회전하면서 체인이 움직이고 체인의 움직임으로 전달롤러(82)들은 회전할 수 있다.
전달구동부(83)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전달롤러(82)는 올려진 파렛트(P)를 다음 세척 공정이 진행되는 세척 단위체(1b)의 세척부(50)로 이동시킨다.
버블발생부(90)는 브로워(91) 및 버블배관(92)을 포함하며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켜 세척물의 세척효율을 높인다.
브로워(91)는 상부연결프레임(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세척물 세척을 위해 승강블록(42)이 하강할 때 작동할 수 있다.
버블배관(92)은 일측이 브로워(91)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세척조(10)의 내부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버블배관(92)의 타측에는 복수의 버블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수의 버블 발생으로 세척물의 세척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도 15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세척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강유닛(40)이 상승하여 세척부(50)가 세척수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P)를 공급부(30)의 공급롤러(32)에 위치시킨다. 이때 공급스토퍼(342)가 공급롤러(32)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파렛트(P)의 이동을 차단한다. 그러나 공급스토퍼(342)가 공급롤러(32)의 아래로 이동하고 공급롤러(32)가 회전하면 파렛트(P)는 세척부(50)의 체인(533) 위로 이동한다(도 15의 a 참조). 체인(533) 이동으로 파렛트(P)는 세척위치로 이동하고 스토퍼바(63)에 걸려 세척위치인 덮개부재(73)의 아래에 위치한다(도 15의 b 참조).
덮개유닛(70)은 파렛트(P)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파렛트(P)에서 세척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도 15의 c 참조). 승강유닛(40)의 구동으로 세척부(50) 및 덮개유닛(70)은 세척조(10) 내부로 하강한다. 이때 파렛트(P) 또한 세척조(10) 내부로 하강한다. 승강유닛(40)은 승강 동작을 반복하며, 버블발생부(90)는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킨다. 반복 승강하는 승강유닛(40)에 의해 파렛트(P)는 세척조(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세척물은 파렛트(P) 내부에서 세척수와 접촉되면서 세척된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세척이 이루어지면 승강유닛(40)은 상승한 상태에서 멈춘다(도 15의 d 참조).
승강유닛(40)이 상승하면 덮개부재(73)는 파렛트(P)에서 떨어지며 스토퍼바(63)는 체인(533) 아래로 이동한다(도 15의 e, f 참조). 체인(533) 이동으로 파렛트(P)는 전달부(80)로 이동한다. 첫번째 세척 단위체(1a)의 전달부(80)는 두번째 세척 단위체(1b)의 세척부로 파렛트(P)를 공급한다.
따라서, 세척물을 초벌세척, 중벌세척, 마무리세척단계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세척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세척물을 대량으로 세척 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P: 파렛트 1: 세척 장치
1a, 1b, 1c: 세척 단위체 10: 세척조
11: 세척공간 12: 배수구
13: 배수로 14: 세척수 공급부
20a, 20b: 서포트 21: 하부연결프레임
22: 상부연결프레임 30: 공급부
31a, 31b: 공급프레임 32: 공급롤러
33: 공급구동부 34: 공급제어부
341: 공급링크 342: 공급스토퍼
343: 공급액추에이터 40: 승강유닛
41a, 41b: 가이드 42: 승강블록
421a, 421b: 수직바 422a, 422b: 후방돌출바
423: 수평바 43: 승강액추에이터
44a, 44b: 가이드롤러 45a, 45b: 가이드레일
50: 세척부 51a, 51b: 지지대
52a, 52b: 세척프레임 53: 세척컨베이어
531a, 531b: 세척샤프트 532a, 532b: 스프라켓
533: 체인 534: 받침샤프트
535: 받침롤러 54: 세척구동부
60: 위치설정부 61: 설정샤프트
62: 설정링크 63: 스토퍼바
64: 설정액추에이터 70: 덮개유닛
71: 덮개샤프트 72: 덮개프레임
73: 덮개부재 74: 덮개액추에이터
80: 전달부 81: 전달프레임
82: 전달롤러 83: 전달구동부
90: 버블발생부 91: 브로워
92: 버블배관

Claims (12)

  1. 세척수가 수용될 수 있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된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승강유닛,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세척물이 담긴 파렛트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파렛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세척부,
    상기 승강유닛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렛트를 덮을 수 있는 덮개유닛,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렛트를 상기 세척부로 이동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세척조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부로부터 상기 파렛트를 전달받아 후속 세척단계로 이동시키는 전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승강유닛의 구동으로 상기 세척수에 잠기는
    세척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세척부로 투입된 상기 파렛트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유닛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유닛은 상기 파렛트가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세척부로 이동하면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한 상기 파렛트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위치설정유닛은 상기 세척부가 상기 파렛트를 후속 공정으로 보낼 때 상기 세척부의 아래로 이동하여 위치하는
    세척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위치설정유닛은,
    상기 파렛트의 이송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는 설정샤프트,
    상기 설정샤프트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설정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세척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스토퍼바,
    상기 설정샤프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설정액추에이터 및
    상기 설정액추에이터와 상기 설정샤프트를 연결하는 설정링크
    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서포트와 연결된 가이드,
    상기 세척조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척수에 잠길 수 있는 승강블록 및
    상기 세척조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승강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승강하는
    세척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내부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롤러는 승강하는 상기 승강블록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세척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세척조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블록의 하부측과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세척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세척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세척컨베이어 및
    상기 승강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컨베이어와 동력 연결된 세척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파렛트는 상기 세척컨베이어 위에 위치하는
    세척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세척컨베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세척샤프트,
    상기 한 쌍의 세척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스프라켓 및
    상기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있는 체인
    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세척샤프트 중 일측 세척샤프트는 상기 세척구동부와 동력 연결되어 있는
    세척 장치.
  8. 제4항에서,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는 덮개샤프트,
    일단이 상기 덮개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세척부 위에 위치하는 덮개프레임,
    상기 덮개프레임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렛트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재 및
    일단이 상기 서포트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덮개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된 덮개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프레임은 상기 덮개액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상기 덮개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하는
    세척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공간을 가지며, 상기 세척조의 바닥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세척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로 및
    상기 전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로와 연결된 낙수 회수부
    를 더 포함하는 세척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세척조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세척부의 사이에서 상기 파렛트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
    상기 세척수에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부, 그리고
    상기 세척조, 상기 서포트, 상기 승강유닛, 상기 세척부, 상기 덮개유닛 및 상기 전달부는 하나의 세척 단위체를 이루며, 상기 세척 단위체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세척물을 단계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장치.
KR1020190104339A 2019-08-26 2019-08-26 세척 장치 KR102300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339A KR102300280B1 (ko) 2019-08-26 2019-08-26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339A KR102300280B1 (ko) 2019-08-26 2019-08-26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766A true KR20210024766A (ko) 2021-03-08
KR102300280B1 KR102300280B1 (ko) 2021-09-09

Family

ID=7518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339A KR102300280B1 (ko) 2019-08-26 2019-08-26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812B1 (ko) * 2023-05-25 2023-10-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명도식품 스마트 팩토리형 농산물 세척 및 이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232A (ja) * 2005-06-03 2006-12-14 Als Co Ltd 物品処理機
KR100882733B1 (ko) 2007-08-02 2009-02-06 이병운 초음파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산업용 세척기
KR100922283B1 (ko) *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세척기
KR101425645B1 (ko) 2012-12-21 2014-08-04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컨베이어이송형 자동세척장치
KR20180001863A (ko) * 2016-06-28 2018-01-05 이준구 식기세척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232A (ja) * 2005-06-03 2006-12-14 Als Co Ltd 物品処理機
KR100882733B1 (ko) 2007-08-02 2009-02-06 이병운 초음파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산업용 세척기
KR100922283B1 (ko) * 2009-02-18 2009-10-15 (주)명성 야채세척기
KR101425645B1 (ko) 2012-12-21 2014-08-04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컨베이어이송형 자동세척장치
KR20180001863A (ko) * 2016-06-28 2018-01-05 이준구 식기세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812B1 (ko) * 2023-05-25 2023-10-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명도식품 스마트 팩토리형 농산물 세척 및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280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207B1 (ko) 야채 세척장치
CN106077005B (zh) 冬虫夏草养殖套盘消毒清洗分盘自动线
CN205390208U (zh) 一种水产品清洗机
JP2007228862A (ja) 野菜洗い機及び野菜洗浄システム
KR100922283B1 (ko) 야채세척기
CN105852683A (zh) 自动洗菜机
KR102300280B1 (ko) 세척 장치
KR20130129709A (ko) 농산물 세척 장치 및 세척 방법
CN206083337U (zh) 冬虫夏草养殖套盘消毒清洗分盘自动线
KR100808219B1 (ko) 당근의 세척 및 자동분류장치
JP6578088B2 (ja) ワゴン洗浄機
US2559403A (en) Flotation washer
KR100605007B1 (ko) 초음파 세척 시스템
KR101723856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KR101994068B1 (ko) 대용량 세척 및 건조 장치
CN203776750U (zh) 自动洗菜机
KR100914827B1 (ko) 농산물 자동세척기
JPH08322532A (ja) 食品洗浄機
JP2007143502A (ja) 作物洗浄装置
CN204035143U (zh) 自动洗罐机
KR200332644Y1 (ko) 식품 자동세척장치
US2143838A (en) Apparatus for washing fruit
US2076487A (en) Means for fruit washing
JP2010193819A (ja) 作物洗浄装置
JP3382229B2 (ja) 荷役パレット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