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644Y1 - 식품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644Y1
KR200332644Y1 KR20-2003-0027069U KR20030027069U KR200332644Y1 KR 200332644 Y1 KR200332644 Y1 KR 200332644Y1 KR 20030027069 U KR20030027069 U KR 20030027069U KR 200332644 Y1 KR200332644 Y1 KR 200332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food
water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20-2003-0027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5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the liquid being ozo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과일이나 야채류 등과 같은 식품(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식품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존이 혼합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품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는 농약성분과 흙먼지 등의 오물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도 농약성분의 농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식품 자동세척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과채류나 생선 등 다양한 식품을 세척 처리하도록 라인화 한 식품 자동세척장치(1)에 있어서, 식품상자를 운반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운반된 식품상자에서 식품을 분리 작업하는 작업대(3)와, 일단이 축 설치되어 실린더(6)로 회동되는 세척버켓(7)이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조(5)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수조(5)와 연결로(16) 연결되고, 작업대(3)측 수조(5)에는 배출구(17)가 배관되어 있는 세척조(4)와, 세척조(4)에서 세척된 식품이 배출되는 망판으로 구성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형 배출호퍼(8)와, 배출호퍼(8)의 단부에 위치하는 배출컨베이어(9)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며, 상기 작업대(3) 하측에는 오존희석조(10)와 오존발생기(11)를 배치하여 배관(12)으로 연결하되, 배관(12)의 중도에는 용수공급관(13)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와 오존을 혼합하는 희석펌프(14)가 설치되고, 오존희석조(10)의 배출관(15)은 상기 세척조(4)의 수조(5)중 배출호퍼(8)측에 위치하는 수조(5)상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배관되며, 각 구성부재는 작업대(2) 하측에 설치되는 컨트롤판넬(29)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되게 함으로서식품의 연속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수조(5)의 바닥에는 수개의 노즐공(18a)이 형성된 공기분사기(18)를 설치하고 공기공급수단(19)과 공급관체(20)로 연결하여 수조(5)내에 버블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식품의 세척력을 높이고, 세척조(4)의 상측으로는 활성탄으로 구성된 냄새제거용 필터(22a)와 송풍팬(22b)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스배출기(22)가 설치된 터널형 부스(21)를 설치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였으며, 배출호퍼(8) 상측으로는 세척버켓(7)을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세척버켓(7)에 담겨진 식품을 최종적으로 헹굼할 수 있도록 헹굼샤워(26)를 설치하여 식품의 청결성을 향상하고, 배출컨베이어(9) 상측으로는 공기공급수단(19)으로부터 냉풍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27)으로 연결된 냉풍 건조기(28)를 설치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자동세척장치{Automatic washing device for food}
본 고안은 각종 과일이나 야채류 등과 같은 식품(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식품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오존이 혼합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품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는 농약성분과 흙먼지 등의 오물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도 농약성분의 농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식품 자동세척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급격히 악화되는 환경 및 대기오염에 의해 청정지역의 감소, 병해충을 예방하기 위한 농약의 과다 사용 등으로 과일이나 야채류 등의 오염도도 날로 심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근자에는 농약과 화학비료 등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과채류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나, 청정지역이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실정에서 증가하는 소비물량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한편 근자에는 살균 능력이 우수한 오존 등을 이용하여 과채류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장치들이 다수 개발되어 농약 등을 사용한 농산물 등을 세척함으로써, 과채류에 잔존하는 농약성분, 흙먼지 등과 같은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 장치의 경우 대부분이 소형으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대량 소비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사용이 어려웠던 것으로, 수돗물로 여러 차례 세척하던 일반적인 방법으로 세척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세척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다량의 과채류를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오존 혼합된 세척수를 격벽에 의해 수개의 수조로 구획되는 세척조의 수조에 투입하고 일정시간 후 이웃하는 수조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과채류 등과 같은 식품에서 농약 성분의 잔존률을 최소화하고, 이 과정에서 각 수조에 고압 공기로 버블(bubble)을 제공하여 식품에 묻어 있는 흙먼지 등과 같은 오물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고, 세척조에서 세척 처리된 식품류에서 적정 수분이 남을 수 있도록 냉풍 건조토록 하여 식품의 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조의 상측으로는 오존 특유의 냄새를 정화할 수 있도록 정화수단을 부가함으로서 작업환경도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식품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존희석조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척조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세척조를 구성하는 수조의 연결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세척조를 구성하는 수조에 설치되는 공기공급기의 설치 상 태를 보인 일부 파절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세척버켓 회동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배출호퍼 상측에 설치되는 헹굼샤워 설치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배출컨베이어 상측에 설치되는 냉풍건조기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식품 자동 세척장치 2:공급컨베이어
3:작업대 4:세척조
5:수조 5a:브라켓
6:실린더 7:세척버켓
8:배출호퍼 8a:이탈방지판
9:배출컨베이어 10:오존희석조
10a:격벽 10b:가스배출필터
11:오존발생기 12:배관
13:용수공급관 14:희석펌프
15:배출관 16:연결로
17:배출구 18:공기분사기
18a:노즐 19:공기공급수단
20:공급관체 21:부스
22:가스배출기 22a:냄새제거용 필터
22b:송풍팬 23:축지부
24:회동축 24a,33a:스프로킷
25:연결부재 26:헹굼샤워
27:공급관 28:냉풍 건조기
28a,30:공기노즐 29:컨트롤판넬
33:기어드 모터 34:체인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존희석조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척조 발췌 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1)는 산지에서 차량 등으로 운반되는 과일, 채소, 감자나 고구마 등의 각종 과채류나 생선 등 다양한 식품을 신속하면서도 깨끗이 세척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농약의 잔존률을 현저히 낮추면서도 신선도나 청결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라인화 한 장치이다.
즉, 본 고안은 차량 등으로부터 하역되는 식품상자를 운반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운반된 식품상자에서 식품을 분리 작업하는 작업대(3)와, 일단이 축 설치되어 실린더(6)로 회동되는 망공이 형성된 세척버켓(7)이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조(5)로 이루어지는 세척조(4)와, 세척조(4)에서 세척된 식품이 배출되도록 설치된 망판으로 구성되고 양측으로 이탈방지판(8a)이 절곡 구성된 경사형 배출호퍼(8)와, 배출호퍼(8)의 단부에 위치하는 배출컨베이어(9)를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상기 작업대(3) 하측에는 오존희석조(10)와 오존발생기(11)를 배치하여 배관(12)으로 연결하되, 이 배관(12)의 중도에는 용수공급관(13)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와 오존을 혼합하는 희석펌프(14)가 설치되고, 오존희석조(10)의 배출관(15)은 상기 세척조(4)를 구성하는 수조(5)중 배출호퍼(8)측에 위치하는 수조(5)상에 오존이 혼합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배관한다.
상기 오존희석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격벽(10a)을 설치하여 희석펌프(14)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및 용수의 효과적인 희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오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활성탄 구성으로 된 가스배출필터(10b)가 상측으로 설치된다. 상기 격벽(10a)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조(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4)를 구성하는 다수(2개~5개)의 수조(5)는 상단이 연결로(16)에 의해 상호 연결 구성되며, 작업대(3)측 수조(5)에는 배출구(17)가 배관되어 있다. 또한 각 수조(5)의 바닥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노즐공(18a)이 형성된 공기분사기(18)를 설치하고 에어 콤프레서(air compressor) 등과 같은 공기공급수단(19)과 공급관체(20)로 연결하여 수조(5)내에 버블이 형성되게 하여 세척버켓(7) 내에 있는 식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세척조(4)의 상측으로는 터널형 부스(21)가 설치되며, 부스(21) 상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탄으로 구성된 냄새제거용 필터(22a)와 송풍팬(22b)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스배출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세척조(4)의 각 수조(5)에 설치된 세척버켓(7)과 이를 회동시키는 실린더(6)의 결합 구성은 각 수조(5)의 배출호퍼(8)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축지부(23)에 세척버켓(7)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동축(24)을 결합하여 자유 회전되게 하고, 일측 회동축(24)에는 Γ형 연결부재(25)로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부재(25)의 타단에는 수조(5)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라켓(5a)에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6)의 로드와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연결 구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세척버켓(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실린더로 세척버켓(7)을 들어올려 회동할 시 내부에 있는 식품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한다.
상기 세척버켓(7)을 회동하는 수단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4)에 스프로킷(24a)을 축 결합하고 정역 회전이 가능한 기어드 모터(33)에 결합된 스프로킷(33a)과 체인(34)으로 연결하여 세척버켓(7)을 회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형으로 구성된 배출호퍼(8) 상측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버켓(7)을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세척버켓(7)에 담겨진 식품을 최종적으로 헹굼할 수 있도록 깨끗한 용수가 제공되는 헹굼샤워(26)를 설치하고, 배출호퍼(8)의 상측으로는 공기공급수단(19)과 연결된 공기노즐(30)을 설치하여 식품에 묻어있는 물기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배출컨베이어(9) 상측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콤프레서 등과 같은 공기공급수단(19)으로부터 냉풍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27)으로 연결된 수 개의 공기노즐(28a)이 내장 설치된 냉풍 건조기(28)를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작업대(3)의 하측에는 컨트롤판넬(29)이 설치되어 실린더(6), 공급 및 배출컨베이어(2)(9), 오존발생기(11), 희석펌프(14), 공기공급수단(19) 등 각 구성부재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1은 세척되는 식품을 도시한 것이고, 32는 각 배관상에 유체 및 기체를 제어할 수 있게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식품 자동 세척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설치된 바와 같이 공급컨베이어(2)를 통해 공급되는 과채류나, 생선 등과 같은 세척이 필요한 식품(31)을 작업대(3)에서 세척조(4)에 투입하면 실린더(6)에 의해 회동하는 세척버켓(7)에 의해 이웃하는 수조(5)로 옮겨지면서 세척이 이루어진 다음 배출호퍼(8)를 통해 배출컨베이어(9)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식품(31)의 신속한 세척으로 신선도를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위생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식품(31)을 세척코자 할 시에 컨트롤판넬(29)을 통하여 각 구성부재에 전원을 인가한 후 희석펌프(14)에서 공급되는 용수가 오존희석조(10)를 거쳐 세척조(4)의 각 수조(5)에 집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급컨베이어(2)를 통해 이동하는 과채류 등과 같은 식품(31)중 한가지를 작업대(3)에 올려 박스 등으로부터 식품(31)을 분리한 후 작업대와 이웃하는 수조(5)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세척버켓(7)에 식품(31)을 투입하면 된다.
이때 오존희석조(10)로 공급되는 용수는 격벽(10a)에 의해 이동하면서 오존과 용수의 희석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가스화 되는 오존 등은 활성탄 구성으로 된 가스배출필터(10b)에서 오존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상태로 방출된다.
이렇게 수조(5)에 투입된 식품(31)은 오존이 희석된 세척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희석 상태로 있는 오존에 의해 살균소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잔류 농약성분이 희석된다. 또한 망공이 형성되어 있는 세척버켓(7)에 수납되는 식품(31)의 경우 경작지나 운반 과정 등에서 흙먼지나 오물 등이 달라붙게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하면 수조(5)의 바닥에 수 개의 노즐공(18a)이 형성된 공기분사기(18)가 설치되어 에어 콤프레서 등과 같은 공기공급수단(19)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수조(5)내에 버블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 버블은 세척버켓(7)의 망공을 통해 세척버켓(7)으로 공급되어 식품(31)과 접촉하면서 식품(31)에 달라붙어 있는 흙먼지나 오물 등을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시간이 경과하게되면 세척조(4)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5a)상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6)가 작동하여 세척조(4)의 각 수조(5) 내에 위치하는 세척버켓(7)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세척버켓(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의 로더 작동에 따라 회동하는 연결부재(25)와 함께 상향 회동하여 이웃하는 수조(5) 내에 있는 세척버켓(7)으로 식품(31)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6)의 작동은 작업대(3)측 세척버켓(7)이 회동할 시 그 이웃하는 세척버켓(7)은 수조(5) 내에 침지된 상태로 있도록 컨트롤판넬(29)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작동이 수조(5)의 수량만큼 연속적으로 진행되면서 식품(31)이 깨끗한 상태가 되게 세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척 과정을 통해 각 수조(5)에 담겨진 세척수가 오염되는데 본 고안에 의하면 배출호퍼(8)측의 수조(5)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연결로(16)를 통하여 이웃하는 수조(5)로 넘쳐 이동하게 되고 작업대(3)측에 위치하는 수조(5)에배출구(17)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식품(31)이 점차적으로 오염도가 적은 수조(5)로 이동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세척수의 사용량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척을 행하게 되면 오존희석조(10)에서 충분히 희석된 상태의 세척수에서 오존이 기체화되면서 오존 특유의 냄새가 작업장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세척조(4)의 상측으로 터널형 부스(21)가 설치되고 이 부스(21)에 활성탄으로 구성된 냄새제거용 필터(22a)와 송풍팬(22b)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스배출기(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가스를 신속히 정화 처리하게 되므로 작업환경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척조(4)의 각 수조(5)에 담겨진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식품(31)은 배출호퍼(8)로 배출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배출호퍼(8)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헹굼샤워(2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식품(31)을 보다 깨끗한 세척 상태로 망판으로 구성된 배출호퍼(8)에 올려져 1차적으로 물 빠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호퍼(8)의 상측으로는 공기공급수단(19)과 연결된 공기노즐(3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압으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식품(31)에 묻어있는 대부분의 물기는 배출호퍼(8)에 형성되어 있는 망공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세척이 완료된 식품(31)은 경사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출호퍼(8)를 통해 충분한 물 빠짐이 이루어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배출컨베이어(9)에 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컨베이어(9)로 올려진 식품(31)은 포장 라인으로 바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배출컨베이어(9)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냉풍 건조기(28)를 이용하여 식품(31)이 최적의 상태로 포장될 수 있게 냉풍 건조를 행하게 된다.
즉, 배출컨베이어(9)를 따라서 이동하는 식품(31)이 냉풍 건조기(28) 하측으로 통과할 시 공기노즐(28a)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냉풍이 식품(31)의 표면에 제공되면서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이탈시키면서 식품(31)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1)는 공급컨베이어(2)를 통해 공급되는 과채류나, 생선 등과 같은 세척이 필요한 식품(31)을 작업대(3)에서 오존이 희석된 세척수가 담겨진 세척조(4)에 투입하여 버블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고 실린더(6)에 의해 회동하는 세척버켓(7)에 의해 이웃하는 수조(5)로 옮겨지면서 여러 차례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배출호퍼(8)를 통해 배출컨베이어(9)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헹굼샤워(26)에 의해 헹굼이 행해지게 하고 또한 배출컨베이어(9) 상에서 냉풍건조기(18)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 과정이 라인화 되어 있어 다량의 식품(31)을 연속적으로 세척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의 편리성이 보장되면서도 오존희석수를 세척수로 하여 신속하게 여러 차례 세척을 하게 되므로 식품(31)의 신선도를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존하는 농약 성분 등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에서는 세척수가 오염도가 적은 쪽에서 오염도가 심한 쪽으로 흘러가도록 구성하여 세척수의 사용량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작업성 개선으로 인한 인건비 절약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Claims (8)

  1. 과채류나 생선 등 다양한 식품을 세척 처리하도록 라인화 한 식품 자동세척장치(1)에 있어서,
    식품상자를 운반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상기 운반된 식품상자에서 식품을 분리 작업하는 작업대(3)와,
    일단이 축 설치되어 실린더(6)로 회동되는 세척버켓(7)이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조(5)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수조(5)와 연결로(16)로 연결되고, 작업대(3)측 수조(5)에는 배출구(17)가 배관되어 있는 세척조(4)와,
    세척조(4)에서 세척된 식품이 배출되는 망판으로 구성되고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형 배출호퍼(8)와,
    배출호퍼(8)의 단부에 위치하는 배출컨베이어(9)를 순차적으로 배치하며,
    상기 작업대(3) 하측에는 오존희석조(10)와 오존발생기(11)를 배치하여 배관(12)으로 연결하되, 배관(12)의 중도에는 용수공급관(13)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용수와 오존을 혼합하는 희석펌프(14)가 설치되고, 오존희석조(10)의 배출관(15)은 상기 세척조(4)의 수조(5) 중 배출호퍼(8)측에 위치하는 수조(5)상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배관되며,
    상기 각 구성부재는 작업대(2) 하측에 설치되는 컨트롤판넬(29)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희석조(10)는 내부에 격벽(10a)을 설치하여 희석펌프(14)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용수의 효과적인 희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상기 오존희석조(10)의 상측에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가스배출필터(10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를 구성하는 수조(5)의 바닥에는 수 개의 노즐공(18a)이 형성된 공기분사기(18)를 설치하고 공기공급수단(19)과 공급관체(20)로 연결하여 수조(5)내에 버블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의 상측으로는 활성탄으로 구성된 냄새제거용 필터(22a)와 송풍팬(22b)의 조합으로 구성된 가스배출기(22)가 설치된 터널형 부스(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의 각 수조(5)에 설치된 세척버켓(7)과 이를 회동시키는 실린더(6)의 결합 구성은 각 수조(5)의 배출호퍼(8)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축지부(23)에 세척버켓(7)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동축(24)을 결합하여 자유 회전되게 하고, 일측 회동축(24)에는 Γ형 연결부재(25)로 일단을 연결하고 연결부재(25)의 타단에는 수조(5)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라켓(5a)에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6)의 로드와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의 각 수조(5)에 설치된 세척버켓(7)의 회동축(24)에 스프로킷(24a)을 축 결합하고 정역 회전이 가능한 기어드 모터(33)에 결합된 스프로킷(33a)과 체인(34)으로 연결하여 세척버켓(7)을 회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퍼(8) 상측으로는 세척버켓(7)을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세척버켓(7)에 담겨진 식품을 최종적으로 헹굼할 수 있도록 헹굼샤워(26)를 설치하고,배출호퍼(8)의 상측으로는 공기공급수단(19)과 연결된 공기노즐(3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9) 상측으로는 공기공급수단(19)으로부터 냉풍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27)으로 연결된 공기노즐(28a)을 내장 설치한 냉풍 건조기(2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세척장치.
KR20-2003-0027069U 2003-08-22 2003-08-22 식품 자동세척장치 KR200332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69U KR200332644Y1 (ko) 2003-08-22 2003-08-22 식품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69U KR200332644Y1 (ko) 2003-08-22 2003-08-22 식품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644Y1 true KR200332644Y1 (ko) 2003-11-07

Family

ID=4934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69U KR200332644Y1 (ko) 2003-08-22 2003-08-22 식품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6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75B1 (ko) 2007-12-05 2010-05-27 신안군 야채 세척기
KR101697174B1 (ko) * 2016-02-29 2017-01-17 김채우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CN109007899A (zh) * 2018-09-14 2018-12-18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保鲜竹笋自动生产线
KR102000873B1 (ko) * 2018-02-19 2019-10-01 (주)삼성초음파 초음파를 이용한 캔들형 필터 세척 장치
CN117338006A (zh) * 2023-09-28 2024-01-05 马鞍山市汤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坚果加工用清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575B1 (ko) 2007-12-05 2010-05-27 신안군 야채 세척기
KR101697174B1 (ko) * 2016-02-29 2017-01-17 김채우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KR102000873B1 (ko) * 2018-02-19 2019-10-01 (주)삼성초음파 초음파를 이용한 캔들형 필터 세척 장치
CN109007899A (zh) * 2018-09-14 2018-12-18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保鲜竹笋自动生产线
CN109007899B (zh) * 2018-09-14 2024-01-09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保鲜竹笋自动生产线
CN117338006A (zh) * 2023-09-28 2024-01-05 马鞍山市汤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坚果加工用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475B2 (ja) 野菜の洗浄方法及び野菜の洗浄装置
US5567246A (en) Industrial parts cleaning method and system
KR100998135B1 (ko) 혼합 장치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KR20180010412A (ko) 농산물 세척 장치
KR100337773B1 (ko) 과일 세척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세척장치
US20110061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washing, and drying cut vegetables and produce
CN103908001A (zh) 循环臭氧果蔬农药残留清洗装置
WO2016111648A1 (en) Compact dishwasher
KR20100005996U (ko) 컨테이너 세척장치
KR200332644Y1 (ko) 식품 자동세척장치
CN207839456U (zh) 一种玉米循环清洗装置
CN205690847U (zh) 烘干装置
CN216123817U (zh) 一种农产品加工用清洗槽
KR100808219B1 (ko) 당근의 세척 및 자동분류장치
KR100264143B1 (ko) 야채 살균 세정기
JP4923540B2 (ja) 作物洗浄装置
WO1995035040A1 (fr) Dispositif de lavage en continu de produits, notamment de vegetaux
KR200394201Y1 (ko) 고추세척기
KR101723856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JP4711047B2 (ja) 野菜等の洗浄装置
CN107360989B (zh) 一种智能化的食品加工杀菌清洗综合设备
CN106766551B (zh) 水产清洗设备
KR200198478Y1 (ko) 과일 세척장치
CN203709228U (zh) 设有解毒和风干的全自动果蔬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