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440A -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4440A KR20210024440A KR1020207028001A KR20207028001A KR20210024440A KR 20210024440 A KR20210024440 A KR 20210024440A KR 1020207028001 A KR1020207028001 A KR 1020207028001A KR 20207028001 A KR20207028001 A KR 20207028001A KR 20210024440 A KR20210024440 A KR 202100244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fibers
- liquid
- sheet
- fibrous web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0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906 menstru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2870 Inachis i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5 flexible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8 skin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6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films and nonwov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nonwoven we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투액성이 우수하며 또한 소요의 시트 강도를 가짐과 더불어, 리웨트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의 제공. 흡수성 물품(10)용의 투액성 시트(11)는, 두께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40a)과 제2 면(40b)을 갖는 직물(40)과, 직물(40)의 제1 면(40a)에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50)을 구비하고, 직물(40)의 구성사(41)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가 직물(40)의 제2 면(40b)과 거의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두께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 시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경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분비물 흡수용 패드, 소변 흡수 패드, 성인용 및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용 투액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는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흡수체의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를 갖춘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표면 시트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발명의 과제>
그러나, 표면 시트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적 시트 강도가 낮아, 착용 중에 꼬이거나 일부가 파단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이 개구를 통해 표면 시트의 표면 측으로 액이 되돌아갈(rewet back) 우려가 있다.
제1 발명은 종래 발명의 개량으로, 투액성이 우수하며 또한 소요의 시트 강도를 가짐과 더불어, 리웨트백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2 발명의 과제>
특허문헌 1의 표면 시트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적 시트 강도가 낮고, 착용 중에 꼬이거나 일부가 파단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친수성 섬유가 경혈을 흡수하고 팽윤되어 더욱 시트 강도가 약해진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표면 시트의 개구에서 긁어낼 수 없다. 한편, 이러한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 시트를 소수성 섬유로 형성한 경우에는, 체액을 충분히 끌어들일 수 없다.
또한, 표면 시트의 시트 강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생리용 냅킨을 접어 포갠 상태로 수용된 개별 포장 주머니로부터 꺼냈을 때에 접은 자국이 생기기 쉽고, 생리용 냅킨을 속옷에 붙였을 때에 일부가 속옷에서 떠올라 버려, 경혈이 옆으로 새거나 장착감이 나빠지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제2 발명은 종래 발명의 개량으로, 투액성이 우수하며 또한 소요의 시트 강도를 가짐과 더불어, 리웨트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 발명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직물과, 상기 직물의 상기 제1 면에 교락(交絡)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을 구비하고, 상기 직물의 구성사(構成絲)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웹의 구성 섬유가 상기 직물의 상기 제2 면과 거의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제2 발명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직물과, 상기 직물의 상기 제1 면에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을 구비하고, 상기 직물의 구성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연사(撚絲)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웹은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는, 표면 시트가 천과 같은 촉감을 가지고, 양호한 체액의 흡수 속도와 리웨트 현상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는, 표면 시트가 천과 같은 촉감을 가지고, 배설물의 긁어내기 성질이 우수함과 더불어, 접은 자국이 생기기 어렵고, 체액이 옆으로 새거나 장착감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은 제1 및 제2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발명이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용 냅킨을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투액성 시트(표면 시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투액성 시트를 섬유 웹과 직물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친수성 섬유의 일례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제2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생리용 냅킨을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투액성 시트(표면 시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투액성 시트를 섬유 웹과 직물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친수성 섬유의 일례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확대도이다.
도 1은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용 냅킨을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투액성 시트(표면 시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투액성 시트를 섬유 웹과 직물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친수성 섬유의 일례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제2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생리용 냅킨을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투액성 시트(표면 시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투액성 시트를 섬유 웹과 직물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친수성 섬유의 일례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확대도이다.
<제1 발명>
하기의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10)은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Z)을 갖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 및 그 길이 치수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내면) 측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외면) 측과, 볼록하게 굽은 형상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10a, 10b)와, 가로 중심선(Q)이 위치하는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굽은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10c, 10d)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1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12)와, 이들 양 시트(11, 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20)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11)와 흡수체(2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상호 접합되어, 흡액층(13)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투액성 시트)(11)와 흡수체(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제의 중간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체(20)와 이면 시트(12)의 사이에서,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샘방지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흡수체(20)는, 제1 끝가장자리(10a)와 대향하는 제1 끝가장자리(20a)와 제2 끝가장자리(10b)와 대향하는 제2 끝가장자리(20b)와,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0a, 20b) 사이에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0c, 20d)를 갖는다. 표/이면 시트(11, 12)는, 흡수체(20)의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표면 시트(11)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14)는, 표면 시트(11)에 공지된 접착 수단 또는 용착 수단을 포함하는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 시트(14)에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신체 측으로 기립하는 샘방지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재료를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시트(14)를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접합부는, 꽃 모양이나 기하학 모양 등의 의장 요소를 갖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시일 라인이라도 좋다.
생리용 냅킨(10)은, 표면 시트(11), 이면 시트(12) 및 사이드 시트(14)로 형성된, 흡수체(20)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0a, 20b)의 세로 방향(Y)의 외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단부(16)와, 흡수체(20)의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0c, 20d)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17)를 갖는다. 생리용 냅킨(10)의 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는, 가로 방향(X)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양 옆가장자리부(17)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윙부(18)가 위치한다. 또한, 상호 적층된 시트(11, 12, 14)는, 생리용 냅킨(1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19)를 통해 상호 접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의 이면 측에는 복수의 고정 영역(30)이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영역(30)은, 생리용 냅킨(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형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고정 영역(30)은, 흡수체(20)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31)과, 윙부(18)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32)을 갖는다. 고정 영역(30)은 플라스틱 필름제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된다.
표면 시트(11)는 투액성이며, 피부 대향면(상면)(11a)과 그 반대쪽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하면)(11b)을 가지고, 직물(40)과 섬유 웹(50)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된다. 이면 시트(12)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4)로서는 공지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혹은 발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시일부(19)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적층된 시트(11, 12, 1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된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3, 4를 참조하면, 흡수체(20)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플러프 목재 펄프,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賦型)한 흡액성 코어(21)와, 그 보형성 및 액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액성 코어(21)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투액성의 코어 커버 시트(22)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22)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흡액성 코어의 세로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그 양 옆가장자리부(22a, 22b)는, 흡액성 코어(21) 전체를 포피하도록 흡액성 코어(21)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서의 바닥면 측에 있어서 상호 겹치게 위치한다. 양 옆가장자리부(22a, 22b)가 상호 겹쳐 포개어짐으로써, 흡수체(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2a, 22b)끼리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23)이 형성된다.
코어 커버 시트(22)는, 흡액성 코어(21)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25)와, 흡액성 코어(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26)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22)는 1장의 연속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피복부(25)를 형성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1 코어 커버 시트와는 별개이며 제2 피복부(26)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표면 시트(11)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표면 시트(11)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면 시트(11)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직물(40)과,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섬유 웹(50)을 포함한다. 직물(40)은, 섬유 웹(50)과 대향하는 하면(제1 면)(40a)과, 하면(40a)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면(제2 면)(40b)을 갖는다. 직물(40)과 섬유 웹(50)은 서로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에 따라서는, 직물(40)의 상면(40b)이 아래쪽, 하면(40a)이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직물(40)은 메쉬형으로 엮어 짠 구성사(41)로 구성된다. 구성사(41)는, 복수의 경사(42)와, 경사(42)와 상호 교차하는 복수 가닥의 위사(43)를 가지고, 경사(42)와 위사(43)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상호 교차함으로써 복수의 메쉬(45)가 형성된다. 직물(40)의 구성사(41)는 면사(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꼬아 형성된 연사이다. 원사의 재료에는, 코튼 섬유 외에, 펄프 섬유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단, 본원발명의 후기하는 기술적 효과를 발휘하는 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이들의 혼합체 등의 재료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성사(41)의 사수(경사과 위사의 합계)는 60∼100 가닥이고, 원사에 사용되는 면사로서는 굵기 10∼100 면번수인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섬유 웹(50)은, 장섬유를 사용한 스펀본드법이나 단섬유를 카드기로 일정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웹 형성하는 건식법 등의 공지된 제법에 의해서 형성된, 포밍되어 부직포로 되기 전 단계의 섬유 집합체이며,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 섬유(51)로 형성된다. 소수성 섬유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섬유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섬유 등의 단섬유 외에, 심초형(core-sheath) 복합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 해도형(海島型) 복합 섬유 등의 각종 복합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코튼, 분쇄 펄프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는 소수성 섬유 10∼20 gsm과 친수성 섬유 5∼10gsm을 갖는다.
직물(40)과 섬유 웹(50)을 교락 일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공지된 유체 교락 처리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체 교락 처리법에 의한 투액성 시트의 제조 공정에서는, 직물(40)의 자재인 연속 망상 구조체의 상면에 섬유 웹(50)의 자재인 연속 섬유 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연속 적층체에 대하여, 위쪽에서부터 연속 적층체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나 물 등의 유체를 고압 분사함으로써, 연속 섬유 웹의 섬유(장섬유와 단섬유를 포함한다)와 연속 망상체의 구성사를 교락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속 적층체는, 금속제 메쉬 벨트를 포함하는 반송 수단에 의해서 반송되어, 노즐로부터 연속 적층체의 상면에 유체를 분사했을 때에, 상면 측에 있어서 연속 섬유 웹의 섬유와 연속 망상 구조체의 구성사가 교락함과 더불어, 반송 수단과 대향하는 하면 측에 있어서도 반송 수단에 맞닿아 튕겨 되돌아가는 유체에 의해 교락된다. 표면 시트(11)는, 섬유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웹(50)을 직물(40)에 유체 교락법에 의해서 교락한 것이므로, 부직포 시트를 적층하여 유체 교락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가 직물(40)에 교락하기 쉽고,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교락 처리법에 의하면, 반송 수단의 메쉬 벨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두께, 질량, 흡수 속도, 시트 강도 등에 관해서 원하는 시트 특성을 갖춘 표면 시트(11)를 얻을 수 있다.
표면 시트(11)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직물(40)을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섬유 웹(50)와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것이므로, 표면 시트(11)가 부직포만으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가 높아, 천과 같은 시원한 느낌의 질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직물(40)이 메쉬 구조를 가지므로,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산뜻한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표면 시트(11)에 배설된 경혈은, 직물(40)의 경사(42)와 위사(43)를 따라서 확산됨과 더불어, 직물(40)의 메쉬(45)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를 타고서 아래쪽의 흡수체(20)로 이행된다. 또한, 표면 시트(11)가 투액성의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질량이 동일하여도,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와 비교하여 섬도가 큰 구성사(41)를 포함하는 메쉬형의 직물(40)을 가짐으로써 비교적 시트 강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11)의 흡수체(20)로부터 꼬임이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표면 시트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 속도와 액확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경혈의 배설량이 소량이라도 재빠르게 광범위하게 퍼져 확산되어 피부가 더러워져 피부 트러블 등의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11)가 직물(40)과 섬유 웹(50)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 직물(40)의 구성사를 타고서 경혈이 확산되기 어렵고, 배설량이 소량일 때에는 점점이 흡수되기 때문에, 피부가 광범위하게 더러워져 피부 트러블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표면 시트(1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흡수체(20)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면 시트(11)에 있어서,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가 직물(40)로부터 두께 방향(Z)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웹(50)은 직물(40)의 하면(제1 면)(40a)에서 아래쪽으로 아래쪽 연장 부분(52)과, 직물(40)의 상면(제2 면)(40b)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위쪽 연장 부분(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53)을 갖는다.
즉, 섬유 웹(50)의 일부는, 직물(40)로부터 상면(40b)과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표면 시트(11)가 유체 교락법으로 형성된 것인 경우, 섬유 웹(50)의 아래쪽 연장 부분(52)는 유체가 고압 분사된 연속 섬유 웹인 한편, 위쪽 연장 부분(53)은, 연속 섬유 웹의 구성 섬유의 일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직물(40)의 자재인 연속 망상체를 관통하여 반송 수단인 메쉬 벨트 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표면 시트(11) 상에 배설된 체액은, 섬유 웹(50)의 위쪽 연장 부분(53)에 포함되는 친수성 섬유에 의해서 흡수, 확산됨과 더불어, 직물(40)의 경사(42)와 위사(43)에 의해서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으로 퍼져, 흡수체(20)로 빠르게 이행된다. 이때, 섬유 웹(50)의 일부가 직물(40)의 상면(40b)과 거의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피부에 가까워짐과 더불어 경혈의 흡수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경혈을 끌어들일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50)의 일부가 직물(40)의 상면(40b)으로부터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직물(40) 및 흡수체(20)에 흡수 유지된 체액이 체압 등에 의해서 액으로 되돌아가는, 소위 리웨트 현상(리웨트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직물(40)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경사(42)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이들에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위사(4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 중에 체압이 부하되거나 경혈에 닿더라도, 그 강도가 저하하기 어렵고, 보풀이 일거나 주저앉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섬유 웹(50)보다도 직물(40)이 피부 측에 위치함으로써,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보다도 섬도가 크며, 또한 강성이 높은 구성사(41)에 의해서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긁어낼 수 있다. 특히, 경혈은 공기에 닿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었을 때에는 피부에 달라붙는 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의 유연한 섬유 부직포제의 표면 시트가 슬라이딩 접촉된 것만으로는 긁어낼 수 없는 바, 체압이 부하되더라도 경혈에 닿더라도 강도가 저하하기 어려운 직물(40)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에 닿음으로써, 복수의 메쉬(45)에 의해서 피부에 달라붙은 경혈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직물(40)의 구성사(41)가 연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주면 전체가 요철형이므로, 긁어내기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직물(40)의 두께 치수(D2)에 대하여, 섬유 웹(50) 중의 직물(40)의 상면(40b)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위쪽 연장 부분(53)의 두께 치수(D3)는 1.1∼4.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치수(D3)가 상대적으로 이러한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긁어내기 성능과 리웨트 현상의 억제를 양립할 수 있다. 즉, 두께 치수(D3)가 두께 치수(D2)의 1.1배 미만인 경우에는, 직물(40)이 피부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보다 긁어내기 성능이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지만, 섬유 웹(50)만인 부분이 비교적 얇아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50)에 의해서 리웨트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한편, 두께 치수(D3)가 두께 치수(D2)의 4.0배를 넘는 경우에는, 비교적 두꺼운 섬유 웹(50)의 위쪽 연장 부분(53)에 의해서 리웨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 과 더불어 구성 섬유(51)를 타고서 체액을 끌어들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직물(40)이 피부에서 떨어져 위치하므로,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긁어내기가 어렵게 된다.
<두께 치수의 측정 방법>
여기서, 직물(40)의 두께 치수(D2)는, 자재 상태에 있어서, 직경 50 mm의 측정자를 갖는 「가부시키가이샤오자키세이사쿠쇼 제조 PEACOCK 다이얼 두께 게이지(dial thickness gauge) J-B」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시트(11)의 두께 치수(D1)는 외관의 두께이며,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표면 시트(11)를 바람직하게는 섬유 웹(50)의 기계 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절단면의 확대 사진을 기엔스사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0 등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이 확대 사진에 기초하여 표면 시트(11)의 최대 두께 치수를 측정하고, 랜덤하게 지정한 다섯 곳에서 같은 식의 측정을 행하여 평균치를 구하여, 이 평균치를 표면 시트(11)의 두께 치수(D1)로 했다. 또한, 표면 시트(11)의 두께 치수(D1)에서 직물(40)의 두께 치수(D2)와 아래쪽 연장 부분(52)의 두께 치수를 뺀 값을 섬유 웹(50)의 위쪽 연장 부분(53)의 두께 치수(직물(40)의 상면(40b)에서부터 위쪽 연장 부분(53)의 정점(53a)까지의 이격 치수)(D3)로 했다. 또한, 측정은 표준 분위기 하(온도 20±5℃, 상대습도 65% 이하)의 측정실 내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섬유 웹(50)의 위쪽 연장 부분(53)은, 두께 치수(D3)가 비교적 작은 복수의 낮은 부피(low-bulk) 부분(54)과, 두께 치수(D3)가 비교적 큰 복수의 높은 부피(high-bulk) 부분(55)을 갖는다. 섬유 웹(50)의 아래쪽 연장 부분(52)이 요철형을 가짐으로써, 아래쪽에 위치하는 직물(40)과 함께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11)가 유체 교락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압 분사된 유체가 직접 맞닿는 아래쪽 연장 부분(52)에서는, 섬유 웹(50) 중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직접 맞닿는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낮은 부피가 된다. 낮은 부피 부분(56)은 유체가 직접 맞닿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 경우에는, 낮은 부피 부분(56)은 높은 부피 부분(57)보다도 섬유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직물(40)로부터 아래쪽의 아래쪽 연장 부분(52)으로 이행된 체액은, 비교적 높은 섬유밀도를 갖는 낮은 부피 부분(56)에 있어서 높은 부피 부분(57)과 비교하여 빠르게 더 아래쪽에 위치하는 흡수체로 이행시킬 수 있다.
섬유 웹(50)은, 접착제 등을 통하지 않고서 교락에 의해서 직물(40)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통해 상호 접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우수하다.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가 직물(40)에 교락하는 양태로서는, 구성 섬유(51)의 일부가 직물(40)의 경사와 위사에 얽히거나 엉겨붙는 식으로 휘감겨 있는 것 외에, 구성 섬유(51)의 일부가 연사를 포함하는 경사(42)와 위사(43)의 원사 사이로 들어가게 하여 교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 섬유(51)가 경사(42)과 위사(43)의 외면 및 내면에 교락됨으로써, 섬유 웹(50)이 직물(40)에 안정적으로 일체화된다.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는, 섬도가 0.8∼6.0 dtex, 바람직하게는 1.0∼4.4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3∼3.3 dtex, 섬유 길이가 25∼64 mm, 바람직하게는 32∼5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8∼51 mm의 단섬유이며, 연사를 포함하는 구성사(41)의 섬도는 10∼100 면번수, 바람직하게는 20∼60 면번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5 면번수이다. 섬유 웹(50)의 구성 섬유(51)가 단섬유이므로, 섬유 웹(50)에는 복수의 섬유 말단이 존재하고, 섬유 말단이 그보다도 섬도가 큰 원사의 꼬여진 간극으로 들어가거나 구성사(41)에 엉겨붙는 식으로 휘감으로써, 섬유 웹(50)이 직물(40)에 안정적으로 교락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섬유 웹(50)의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상호 인접하여 병행하는 경사(42)끼리의 이격 치수(R1)와, 상호 인접하여 병행하는 위사(43)끼리의 이격 치수(R2) 중 적어도 한쪽의 이격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직물(40)의 메쉬(45)로부터 단섬유가 누락되는 것은 없고, 또한 단섬유가 메쉬(45)를 걸치는 식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11) 전체의 시트 강도와 액확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섬유 웹(50)의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은, 5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49 질량%이고,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은 50 질량%를 넘으며, 바람직하게는 51∼90 질량%이고, 섬유 웹(50)에 차지하는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친수성 섬유의 비율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높음으로써, 확산성을 억제하여, 리웨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1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많아져, 리웨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피부로부터의 경혈 끌어들이기 성능이 저하한다. 한편,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50 질량%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많은 경혈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한편, 리웨트 현상이 생기기 쉽게 된다. 표면 시트(11)에서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밸런스 좋게 함유함으로써, 양호한 흡액성 및 액확산성과 리웨트 현상의 억제를 실현하고 있다.
도 7은 친수성 섬유의 일례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이형(異形) 형태인 이형 단면 섬유의 확대도이다. 이러한 친수성 섬유(60)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 예컨대 친수성의 PET 섬유이고,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홈(61)을 갖는다. 친수성 섬유(60)가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홈(61)을 가짐으로써, 외주면이 평탄형인 경우와 비교하여 경혈에 접하는 표면적이 커져, 경혈 끌어들이기 성능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례에서는, 직물(40)의 원사의 재료로서, 완전히 탈(脫)리그닌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그닌 성분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미표백 펄프 섬유가 천연 재료 유래의 옅은 갈색을 갖는 것이므로, 표면 시트(11) 전체가 옅은 갈색의 내츄럴한 색조를 갖는다. 표면 시트(11)가 옅은 갈색을 가짐으로써, 착용자 등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제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표백 처리된 백색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수체(20)에 흡수된 경혈의 붉은빛이 억제되기 때문에, 월경이 시작된 미성년자가 경혈을 직접 봄으로 인해 월경에 대해 가지는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리그닌 성분은 항균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0)을 보다 위생적으로 착용,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흡액성 코어(21)를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22)의 제1 및 제2 피복부(25, 26) 중 적어도 한쪽이 미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11)와 함께, 내츄럴한 색조에 의한 피부에 순한 인상을 줌과 더불어 경혈의 은폐성 및 항균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10)용의 투액성 시트로서, 흡수체(20)의 피부 대향면 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11)에 관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흡수성 물품(10)에 사용되는 시트, 예컨대 표면 시트의 내면 측에 위치하는 중간 시트, 코어 커버 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은, 생리용 냅킨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성인용·유아용의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를 포함하고, 오줌이나 무른 변을 투액하는 투액성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 기재한 제1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직물과, 상기 직물의 상기 제1 면에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을 구비하고, 상기 직물의 구성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웹의 구성 섬유가 상기 직물의 상기 제2 면과 거의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에 개시한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는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1) 상기 직물의 두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섬유 웹의 상기 직물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두께 치수는 1.1∼4.0배이다.
(2) 상기 섬유 웹의 상기 구성 섬유의 일부는, 상기 직물의 상기 구성사를 휘감고, 상기 직물의 복수의 메쉬를 통해 상기 제2 면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3) 상기 섬유 웹의 상기 구성 섬유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상기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높다.
(4) 상기 친수성 섬유는, 단면이 다른 형상이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을 갖는다.
(5) 상기 섬유 웹과 상기 직물은 유체 교락 처리에 의해서 교락 일체화된다.
(6) 상기 섬유 웹은 단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25∼64 mm, 섬도는 0.8∼6.0 dtex이며, 상기 직물의 상기 구성사는 복수의 원사를 포함하는 연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사의 섬도는 10∼100 면번수이다.
(7)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를 또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 측에 배치된다.
(8)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상기 경사끼리의 이격 치수와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상기 위사끼리의 이격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의 이격 치수보다도 크다.
<제2 발명>
하기의 실시형태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2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210)은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Z)을 갖는다.
도 8∼10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210)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 및 그 길이 치수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내면) 측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외면) 측과, 볼록하게 굽은 형상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10a, 210b)와, 가로 중심선(Q)의 위치하는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굽은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10c, 210d)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21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212)와, 이들 양 시트(211, 2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220)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11)와 흡수체(22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상호 접합되어, 흡액층(213)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2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투액성 시트)(211)와 흡수체(2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제의 중간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체(220)와 이면 시트(212)의 사이에 있어서,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샘방지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흡수체(220)는, 제1 끝가장자리(210a)와 대향하는 제1 끝가장자리(220a)와 제2 끝가장자리(210b)와 대향하는 제2 끝가장자리(220b)와,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20a, 220b)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20c, 220d)를 갖는다. 표/이면 시트(211, 212)는, 흡수체(220)의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고, 표면 시트(211)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2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214)는, 표면 시트(211)에 공지된 접착 수단 또는 용착 수단을 포함하는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 시트(214)에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신체 측으로 기립하는 샘방지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재료를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시트(214)를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접합부는, 꽃 모양이나 기하학 모양 등의 의장 요소를 갖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시일 라인이라도 좋다.
생리용 냅킨(210)은, 표면 시트(211), 이면 시트(212) 및 사이드 시트(214)로 형성된, 흡수체(220)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20a, 220b)의 세로 방향(Y) 외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단부(216)와, 흡수체(220)의 제1 및 제2옆가장자리(220c, 220d)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17)를 갖는다. 생리용 냅킨(210)의 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는, 가로 방향(X)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17)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윙부(218)가 위치한다. 또한, 상호 적층된 시트(211, 212, 214)는, 생리용 냅킨(21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219)를 통해 상호 접합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210)의 이면 측에는 복수의 고정 영역(230)이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영역(230)은, 생리용 냅킨(2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형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고정 영역(230)은, 흡수체(220)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231)과, 윙부(218)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232)을 갖는다. 고정 영역(230)은 플라스틱 필름제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된다.
표면 시트(211)는, 투액성이며, 피부 대향면(211a)과 그 반대쪽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211b)을 가지고, 직물(240)과 섬유 웹(250)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된다. 이면 시트(212)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4)로서는 공지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혹은 발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시일부(219)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의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적층된 시트(211, 212, 21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된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0, 11을 참조하면, 흡수체(220)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플러프 목재 펄프,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한 흡액성 코어(221)와, 그 보형성 및 액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액성 코어(221) 전체를 포피하는 투액성의 코어 커버 시트(222)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흡액성 코어의 세로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그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는, 흡액성 코어(221) 전체를 포피하도록 흡액성 코어(221)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서의 바닥면 측에 있어서 상호 겹치게 위치한다.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가 상호 겹쳐 포개어짐으로써, 흡수체(2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끼리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223)이 형성된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흡액성 코어(221)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225)와, 흡액성 코어(2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226)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222)는 1장의 연속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피복부(225)를 형성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1 코어 커버 시트와는 별개이며 제2 피복부(226)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은 표면 시트(211)의 일부 확대도, 도 12는 표면 시트(211)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면 시트(211)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직물(240)과,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섬유 웹(250)을 포함한다. 직물(240)은, 섬유 웹(250)과 대향하는 하면(제1 면)(240a)과, 하면(240a)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면(제2 면)(240b)을 갖는다. 직물(240)과 섬유 웹(250)은 서로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상태에 따라서는, 직물(240)의 상면(240b)이 아래쪽, 하면(240a)이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직물(240)은 메쉬형으로 엮어 짠 구성사(241)로 구성된다. 구성사(241)는, 복수의 경사(242)와, 경사(242)와 상호 교차하는 복수 가닥의 위사(243)를 가지고, 경사(242)와 위사(243)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상호 교차함으로써 복수의 메쉬(245)가 형성된다. 직물(240)의 구성사(241)는 면사(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꼬아 형성된 연사이다. 원사의 재료에는, 코튼 섬유 외에, 펄프 섬유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단, 본원발명의 후기하는 기술적 효과를 발휘하는 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이들의 혼합체 등의 재료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성사(241)의 사수(경사과 위사의 합계)는 60∼100 가닥이고, 원사에 사용되는 면사로서는 굵기 10∼100 면번수인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섬유 웹(250)은, 장섬유를 사용한 스펀본드법이나 단섬유를 카드기로 일정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웹을 형성하는 건식법 등의 공지된 제법에 의해서 형성된, 포밍되어 부직포로 되기 전 단계의 섬유 집합체이며,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 섬유(251)로 형성된다. 소수성 섬유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섬유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섬유 등의 단섬유 외에, 심초형 복합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 해도형 복합 섬유 등의 각종 복합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코튼, 분쇄 펄프 등의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는 소수성 섬유 10∼20 gsm과 친수성 섬유 5∼10gsm을 갖는다.
직물(240)과 섬유 웹(250)을 교락 일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공지된 유체 교락 처리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체 교락 처리법에 의한 투액성 시트의 제조 공정에서는, 직물(240)의 자재인 연속 망상 구조체의 상면에 섬유 웹(250)의 자재인 연속 섬유 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연속 적층체에 대하여, 위쪽에서부터 연속 적층체의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에어나 물 등의 유체를 고압 분사함으로써, 연속 섬유 웹의 섬유(장섬유와 단섬유를 포함한다)와 연속 망상체의 구성사를 교락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연속 적층체는, 금속제의 메쉬 벨트로 이루어지는 반송 수단에 의해서 반송되어, 노즐로부터 연속 적층체에 상면에 유체를 분사했을 때에, 상면 측에 있어서 연속 섬유 웹의 섬유와 연속 망상 구조체의 구성사가 교락함과 더불어, 반송 수단과 대향하는 하면 측에 있어서도 반송 수단에 맞닿아 튕겨 되돌아가는 유체에 의해서 교락된다. 표면 시트(211)는, 섬유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웹(250)을 직물(240)에 유체 교락법에 의해서 교락한 것이므로, 부직포 시트를 적층하여 유체 교락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가 직물(240)에 교락하기 쉽고,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교락 처리법에 의하면, 반송 수단인 메쉬 벨트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두께, 질량, 흡수 속도, 시트 강도 등에 관해서 원하는 시트 특성을 갖춘 표면 시트(211)를 얻을 수 있다.
표면 시트(211)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직물(240)을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섬유 웹(250)과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것이므로, 표면 시트(211)가 부직포만으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가 높고, 천과 같은 시원한 느낌의 질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직물(240)이 메쉬 구조를 가지므로,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산뜻한 촉감을 줄 수 있다.
표면 시트(211)에 배설된 경혈은, 직물(240)의 경사(242)와 위사(243)를 따라 확산됨과 더불어, 직물(240)의 메쉬(245)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를 타고서 아래쪽의 흡수체(220)로 이행된다. 또한, 표면 시트(211)가 투액성의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트 질량이 동일하여도,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와 비교하여 섬도가 큰 구성사(241)를 포함하는 메쉬형의 직물(240)을 가짐으로써 비교적 시트 강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211)의 흡수체(220)로부터의 꼬임이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통상 생리용 냅킨에 사용되는 표면 시트는, 비교적 얇으면서 또한 친수성 섬유를 많이 포함하므로, 경혈 흡수 후에 팽윤된 섬유끼리 달라붙기 쉽게 된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을 접어 포갠 상태로 개별 포장체에 수용했을 때에 형성된 절곡선에 의한 접은 자국이 생길 우려가 있다. 접은 자국이 생긴 생리용 냅킨을 속옷 등에 부착한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의 일부가 신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경혈이 옆으로 새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음과 더불어 착용감이 저하한다.
표면 시트(211)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친수성 섬유보다도 높으므로, 섬유끼리 달라붙음으로 인한 접은 자국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1)는, 피부 대향면(내면) 측에 부직포 등의 시트 재료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은 직물(240)이 위치함으로써, 접은 자국이 생기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접어 포개어진 상태로 수용된 개별 포장체로부터 생리용 냅킨을 꺼냈을 때에, 경혈이 옆으로 새는 원인이 되는, 절곡선을 따르는 접은 자국이 생기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표면 시트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 속도와 액확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경혈의 배설량이 소량이라도 재빠르고 광범위하게 퍼져 확산되어 피부가 더러워져 피부 트러블 등의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11)가 직물(240)과 섬유 웹(250)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 직물(240)의 구성사를 타고서 경혈이 확산되기 어렵고, 배설량이 소량일 때에는 점점이 흡수되기 때문에, 피부가 광범위하게 더러워져 피부 트러블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표면 시트(211)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흡수체(220)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면 시트(211)에 있어서,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가 직물(240)로부터 두께 방향(Z)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웹(250)은, 직물(240)의 하면(제1 면)(240a)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연장 부분(252)과, 직물(240)의 상면(제2 면)(240b)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위쪽 연장 부분(제2 면에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253)을 갖는다.
즉, 섬유 웹(250)의 일부는, 직물(240)로부터 상면(240b)과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표면 시트(211)가 유체 교락법으로 형성된 것인 경우, 섬유 웹(250)의 아래쪽 연장 부분(252)은 유체가 고압 분사된 연속 섬유 웹인 한편, 위쪽 연장 부분(253)은, 연속 섬유 웹의 구성 섬유의 일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직물(240)의 자재인 연속 망상체를 관통하여 반송 수단인 메쉬 벨트 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표면 시트(211) 상에 배설된 체액은, 섬유 웹(250)의 위쪽 연장 부분(253)에 포함되는 친수성 섬유에 의해서 흡수, 확산됨과 더불어, 직물(240)의 경사(242)와 위사(243)에 의해서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으로 퍼져, 흡수체(220)로 빠르게 이행된다. 이때, 섬유 웹(250)의 일부가 직물(240)의 상면(240b)과 거의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피부에 가까워짐과 더불어 경혈의 흡수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경혈을 끌어들일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250)의 일부가 직물(240)의 상면(240b)으로부터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직물(240) 및 흡수체(220)에 흡수 유지된 체액이 체압 등에 의해서 액으로 되돌아가는, 소위 리웨트 현상(리웨트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직물(240)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경사(242)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이들에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위사(24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 중에 체압이 부하되거나 경혈에 닿더라도 그 강도가 저하하기 어렵고, 보풀이 일거나 주저앉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섬유 웹(250)보다도 직물(240)이 피부 측에 위치함으로써,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보다도 섬도가 크며 또한 강성이 높은 구성사(241)에 의해서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긁어낼 수 있다. 특히 경혈은 공기에 닿아 시간이 경과하여 경화되었을 때에는 피부에 달라붙는 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의 유연한 섬유 부직포제의 표면 시트가 미끄럼 접촉된 것만으로는 긁어낼 수 없는 바, 체압이 부하되더라도 경혈에 닿더라도 강도가 저하하여 어려운 직물(240)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에 닿음으로써, 복수의 메쉬(245)에 의해서 피부에 달라붙은 경혈도 닦아낼 수 있다. 또한, 직물(240)의 구성사(241)가 연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주면 전체가 요철형이므로, 긁어내기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직물(240)의 두께 치수(D2)에 대하여, 섬유 웹(250) 중의 직물(240)의 상면(240b)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위쪽 연장 부분(253)의 두께 치수(D3)는 1.1∼4.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치수(D3)가 상대적으로 이러한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긁어내기 성능과 리웨트 현상의 억제를 양립할 수 있다. 즉, 두께 치수(D3)가 두께 치수(D2)의 1.1배 미만인 경우에는, 직물(240)이 피부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보다 긁어내기 성능이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지만, 섬유 웹(250)만인 부분이 비교적 얇아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웹(250)에 의해서 리웨트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한편, 두께 치수(D3)가 두께 치수(D2)의 4.0배를 넘는 경우에는, 비교적 두꺼운 섬유 웹(250)의 위쪽 연장 부분(253)에 의해서 리웨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구성 섬유(251)를 타고서 체액을 끌어들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직물(240)이 피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므로,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긁어내기 어렵게 된다.
<두께 치수의 측정 방법>
여기서, 직물(240)의 두께 치수(D2)는, 자료 상태에 있어서, 직경 50 mm의 측정자를 갖는 「가부시키가이샤오자키세이사쿠쇼 제조 PEACOCK 다이얼 두께 게이지 J-B」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시트(211)의 두께 치수(D1)는 외관의 두께이며,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표면 시트(211)를 바람직하게는 섬유 웹(250)의 기계 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절단면의 확대 사진을 기엔스사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0 등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이 확대 사진에 기초하여 표면 시트(211)의 최대 두께 치수를 측정하고, 랜덤하게 지정한 다섯 곳에서 같은 측정을 행하여 평균치를 구하여, 이 평균치를 표면 시트(211)의 두께 치수(D1)로 했다. 또한, 표면 시트(211)의 두께 치수(D1)로부터 직물(240)의 두께 치수(D2)와 아래쪽 연장 부분(252)의 두께 치수를 뺀 값을 섬유 웹(250)의 위쪽 연장 부분(253)의 두께 치수(직물(240)의 상면(240b)에서부터 위쪽 연장 부분(253)의 정점(253a)까지의 이격 치수)(D3)로 했다. 또한, 측정은 표준 분위기 하(온도 20±5℃, 상대습도 65% 이하)의 측정실 내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섬유 웹(250)의 위쪽 연장 부분(253)은, 두께 치수(D3)가 비교적 작은 복수의 낮은 부피 부분(254)과, 두께 치수(D3)가 비교적 큰 복수의 높은 부피 부분(255)을 갖는다. 섬유 웹(250)의 아래쪽 연장 부분(252)이 요철형을 가짐으로써, 아래쪽에 위치하는 직물(240)과 함게 피부에 부착된 경혈을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1)가 유체 교락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압 분사된 유체가 직접 맞닿는 아래쪽 연장 부분(252)에서는, 섬유 웹(250) 중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직접 맞닿는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낮은 부피가 된다. 낮은 부피 부분(256)은 유체가 직접 맞닿는 부분을 포함하고, 그 경우에는 낮은 부피 부분(256)은 높은 부피 부분(257)보다도 섬유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직물(240)로부터 아래쪽의 아래쪽 연장 부분(252)으로 이행된 체액은, 비교적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낮은 부피 부분(256)에 있어서 높은 부피 부분(257)과 비교하여 빠르게 더 아래쪽에 위치하는 흡수체로 이행시킬 수 있다.
섬유 웹(250)은, 접착제 등을 통하지 않고서 교락에 의해서 직물(240)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통해 상호 접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우수하다.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가 직물(240)에 교락하는 양태로서는, 구성 섬유(251)의 일부가 직물(240)의 경사과 위사에 얽히거나 엉겨붙는 식으로 휘감겨 있는 것 외에, 구성 섬유(251)의 일부가 연사를 포함하는 경사(242)와 위사(243)의 원사 사이로 들어가게 하여 교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 섬유(251)가 경사(242)와 위사(243)의 외면 및 내면에 교락됨으로써, 섬유 웹(250)이 직물(240)에 안정적으로 일체화된다.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는, 섬도가 0.8∼6.0 dtex, 바람직하게는 1.0∼4.4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3∼3.3 dtex, 섬유 길이가 25∼64 mm, 바람직하게는 32∼5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8∼51 mm의 단섬유이고, 연사를 포함하는 구성사(241)의 섬도는 10∼100 면번수, 바람직하게는 20∼60 면번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5 면번수이다.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가 단섬유이므로, 섬유 웹(250)에는 복수의 섬유 말단이 존재하고, 섬유 말단이 그보다도 섬도가 큰 원사의 꼬여진 간극으로 들어가거나 구성사(241)에 엉겨붙는 식으로 휘감김으로써, 섬유 웹(250)이 직물(240)에 안정적으로 교락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섬유 웹(250)의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경사(242)끼리의 이격 치수(R1)와,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위사(243)끼리의 이격 치수(R2) 중 적어도 한쪽의 이격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직물(240)의 메쉬(245)로부터 단섬유가 누락되는 일은 없고, 또한 단섬유가 메쉬(245)를 걸치는 식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211) 전체의 시트 강도와 액확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섬유 웹(250)의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은 50 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49 질량%이고,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은 50 질량%를 넘으며, 바람직하게는 51∼90 질량%로, 섬유 웹(250)에 차지하는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친수성 섬유의 비율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높음으로써, 확산성을 억제하여, 리웨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수성 섬유의 비율이 많아져, 리웨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피부로부터 경혈을 끌어들이는 성능이 저하한다. 한편,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많은 경혈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한편, 리웨트 현상이 생기기 쉽게 된다. 표면 시트(211)에서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밸런스 좋게 함유함으로써, 양호한 흡액성 및 액확산성과 리웨트 현상의 억제를 실현하고 있다.
<비틀림 평가>
우선, 실시예에 대응하는 샘플 A로서, 표면 시트(211)의 자재가 되는 두께 0.57 mm, 질량 47 g/㎡의 투액성 시트를 길이 치수 100 mm×폭 치수 50 mm로 컷트한 것과, 비교예에 대응하는 샘플 B로서, 두께 0.33 mm, 질량 31 g/㎡의 코튼 시트(코튼 100%)를 길이 치수 100 mm×폭 치수 15 mm로 컷트한 것을 준비했다. 이어서, 각 샘플을 가쿠신 타입(學振型) 마찰 견뢰 시험기로 소정의 측정 조건 하(내마모도 100회, 하중 50 g)에서 문질러, 착용 중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와 신체의 표면 마찰 상태를 재현했다.
이어서, 이마다 제조의 토크 시험기(EX-0762)를 사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 하에서, 각 샘플 A, B의 토크치를 측정한다.
회전 속도: 50 rpm
체크 사이 거리: 25 mm
회전 각도(측정 각도): 90°(60°)
각 샘플 A, B의 세로 방향(Y)의 토크치와 가로 방향의 토크치를 구하여 평균하여, 그 값을 각 샘플의 토크치로 했다. 또한, 각 샘플 A, B는, 마찰 견뢰 시험기에 의해서 표면 마찰을 가한 상태의 것과 표면 마찰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것 양쪽을 준비하여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실시예에 대응한 샘플 A의 표면 마찰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토크치는 7.1, 표면 마찰을 가한 상태의 토크치는 6.8, 비교예에 대응한 샘플 B의 표면 마찰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토크치는 3.9, 표면 마찰을 가한 상태의 토크치는 2.2였다. 실시예의 표면 시트(211)는, 표면 마찰의 유무에 따라 토크치에 큰 변화는 없고, 사용 중에 신체와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더라도 꼬이는 일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1)는, 비교예의 코튼 시트와 비교하여 시트 강성이 높고, 꼬이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비교예의 코튼 시트의 토크치가 실시예의 표면 시트(211)와 비교하여 55% 이하로 되고 있는 요인으로서는, 코튼 시트의 경우에는, 표면 마찰을 가했을 때에 코튼 섬유의 교락이 벗겨져 시트 강도가 저하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꼬임 평가>
꼬임 평가의 측정을 위해서, 실시예에 따른 생리용 냅킨으로서 샘플 C, 비교예에 따른 생리용 냅킨으로서 샘플 D를 제작했다. 샘플 C와 샘플 D는 표면 시트의 구성 이외에는 전부 동일한 구성이며, 샘플 C에 사용한 표면 시트는 비틀림 평가 측정에서 사용한 샘플 A의 투액성 시트, 샘플 D에 사용한 표면 시트는 샘플 B의 투액성 시트이다. 우선, 인간의 하반신을 본뜬 인형을 준비하여, 인형에 각 샘플 C, D의 생리용 냅킨을 착용시켰다. 이어서, 보행 시를 상정하여 인형의 대퇴부를 5분간 계속하여 전후로 이동시킨 후, 인형의 질구(膣口)에 대응하는 개구 부분으로부터 인공 경혈 2 g을 배출하여, 생리용 냅킨의 표면에 적하했다. 그 후, 앉은 위치를 상정하여 인형의 대퇴부를 좌우로 다시 짜는 동작을 했다. 이러한 행위를 1 셋트로 하여 5회(5 셋트) 행하고, 인형으로부터 샘플을 떼어냈다. 인형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샘플 C, D에 관해서, 가랑이 아래 부근에 맞닿은, 가장 폭이 좁은 부분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최협폭 치수(mm)를 측정기로 측정했다. 이러한 측정을 3회 행하여, 그 평균치를 각 샘플의 흡수체의 최협폭 치수로 했다.
측정 결과, 표면 시트(211)를 사용한 샘플 C의 흡수체의 최협폭 치수는 30 mm, 코튼 시트를 사용한 샘플 D의 흡수체의 최협폭 치수는 14 mm였다. 샘플 C에 사용한 표면 시트(211)에서는, 인공 경혈을 흡수하여 표면 마찰을 가한 상태라도, 섬유 웹(250)의 구성 섬유(251)끼리 부착되는 일은 없고, 꼬이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샘플 D에 사용한 코튼 시트에서는, 흡수체의 폭 치수가 작아져, 큰 꼬임이 생겼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서는, 표면 마찰에 의해서 코튼 섬유끼리의 교락이 벗겨지고, 게다가 착용 중에 형성된 게더에 있어서 교락이 벗겨진 섬유끼리 서로 부착됨으로써,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4는 친수성 섬유의 일례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이형 형태인 이형 단면 섬유의 확대도이다. 이러한 친수성 섬유(260)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 예컨대 친수성의 PET 섬유이며,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홈(261)을 갖는다. 친수성 섬유(260)가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홈(261)을 가짐으로써, 외주면이 평탄형인 경우와 비교하여 경혈에 접하는 표면적이 커져, 경혈의 끌어들이기 성능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일례에서는, 직물(240)의 원사의 재료로서, 완전히 탈리그닌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리그닌 성분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미표백 펄프 섬유가 천연 재료 유래의 옅은 갈색을 갖는 것이므로, 표면 시트(211) 전체가 옅은 갈색의 내츄럴한 색조를 갖는다. 표면 시트(211)가 옅은 갈색을 가짐으로써, 착용자 등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제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표백 처리된 백색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수체(220)에 흡수된 경혈의 붉은빛이 억제되기 때문에, 월경이 시작된 미성년자가 경혈을 직접 봄으로 인해 월경에 대해 가지는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리그닌 성분은 항균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210)을 보다 위생적으로 착용,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흡액성 코어(221)를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제1 및 제2 피복부(225, 226) 중 적어도 한쪽이 미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211)와 함께, 내츄럴한 색조에 의한 피부에 순한 인상을 줌과 더불어, 경혈의 은폐성 및 항균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210)용의 투액성 시트로서, 흡수체(220)의 피부 대향면 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211)에 관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흡수성 물품(210)에 사용되는 시트, 예컨대 표면 시트의 내면 측에 위치하는 중간 시트, 코어 커버 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210)은, 생리용 냅킨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성인용·유아용의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를 포함하고, 소변이나 무른 변을 투액하는 투액성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 기재한 제2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직물과, 상기 직물의 상기 제1 면에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을 구비하고, 상기 직물의 구성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연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웹은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제2 발명에 개시한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는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1) 상기 직물의 상기 연사를 포함하는 상기 구성사는,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경사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호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위사를 포함한다.
(2) 상기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상기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높다.
(3) 상기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51∼90 질량%, 상기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10∼49 질량%이다.
(4) 상기 친수성 섬유는, 단면이 다른 형상이며,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을 갖는다.
(5) 상기 섬유 웹과 상기 직물은 수류 교락 처리에 의해서 교락 일체화된다.
(6) 상기 섬유 웹은 단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25∼64 mm, 섬도는 0.8∼6.0 dtex이며, 상기 직물의 상기 구성사는 복수의 원사를 포함하는 연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사의 섬도는 10∼100 면번수이다.
(7)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 측에 배치된다.
(8)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상기 경사끼리의 이격 치수와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상기 위사끼리의 이격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의 이격 치수보다도 크다.
10: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 11: 투액성 시트(표면 시트), 20: 흡수체, 40: 직물, 40a: 제1 면(하면), 40b: 제2 면(상면), 41: 구성사, 45: 메쉬, 50: 섬유 웹, 51: 구성 섬유, 53: 섬유 웹 중 직물의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분, 60: 친수성 섬유, 61: 홈, D2: 직물의 두께 치수, D3: 섬유 웹의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 치수, Z: 두께 방향, 210: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 211: 투액성 시트(표면 시트), 220: 흡수체, 240: 직물, 240a: 제1 면(하면), 240b: 제2 면(상면), 241: 구성사, 245: 메쉬, 250: 섬유 웹, 251: 구성 섬유, 260: 친수성 섬유, 261: 홈, R1: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경사끼리의 이격 치수, R2: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위사끼리의 이격 치수, Z: 두께 방향
Claims (12)
-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직물과, 상기 직물의 상기 제1 면에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을 구비하고,
상기 직물의 구성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웹의 구성 섬유가, 상기 직물의 상기 제2 면과 동일면으로 또는 그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 -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직물과, 상기 직물의 상기 제1 면에 교락에 의해서 일체화된 섬유 웹을 구비하고,
상기 직물의 구성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연속되는 연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웹은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웹의 상기 구성 섬유는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투액성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두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섬유 웹의 상기 직물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부분의 두께 치수는 1.1∼4.0배인 투액성 시트.
-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웹의 상기 구성 섬유의 일부는, 상기 직물의 상기 구성사를 휘감고, 상기 직물의 복수의 메쉬를 통해 상기 제2 면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투액성 시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상기 연사로 이루어진 상기 구성사는,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경사와, 상기 경사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호 교차하도록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위사를 포함하는 투액성 시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상기 친수성 섬유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투액성 시트.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는, 단면이 다른 형상이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을 갖는 투액성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웹과 상기 직물은 유체 교락 처리에 의해서 교락 일체화되는 투액성 시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웹은 단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25∼64 mm, 섬도는 0.8∼6.0 dtex이고, 상기 직물의 상기 구성사는 복수의 원사로 이루어진 연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사의 섬도는 10∼100 면번수인 투액성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 측에 배치되는 투액성 시트.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의 섬유 길이는, 상기 직물의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상기 경사끼리의 이격 치수와 상호 인접하여 병행되는 상기 위사끼리의 이격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의 이격 치수보다도 큰 투액성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25331 | 2018-06-29 | ||
JP2018125331A JP2020000720A (ja) | 2018-06-29 | 2018-06-29 |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
JP2018125330A JP7085921B2 (ja) | 2018-06-29 | 2018-06-29 |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
JPJP-P-2018-125330 | 2018-06-29 | ||
PCT/JP2019/025924 WO2020004648A1 (ja) | 2018-06-29 | 2019-06-28 |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4440A true KR20210024440A (ko) | 2021-03-05 |
KR102606001B1 KR102606001B1 (ko) | 2023-11-23 |
Family
ID=6898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8001A KR102606001B1 (ko) | 2018-06-29 | 2019-06-28 |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6001B1 (ko) |
CN (1) | CN112334110B (ko) |
TW (1) | TWI778276B (ko) |
WO (1) | WO20200046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57075A1 (en) * | 2021-10-08 | 2023-04-13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Absorbent article |
EP4412571A1 (en) * | 2021-10-08 | 2024-08-14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Absorbent article |
WO2023057076A1 (en) * | 2021-10-08 | 2023-04-13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Absorbent articl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008U (ko) * | 1987-06-24 | 1989-01-09 | ||
JP3018173U (ja) * | 1994-08-18 | 1995-11-14 | 株式会社タカギ | 失禁用パンツ |
JPH08246321A (ja) | 1995-03-10 | 1996-09-24 | Kao Corp |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
WO2001045927A1 (en) * | 1999-12-22 | 2001-06-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Elastic laminate including elastomeric scrim and fibrous layer bonded thereto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JP2003136621A (ja) * | 2001-11-01 | 2003-05-14 | Kurabo Ind Ltd | 高吸液性複合材及びおむつ |
JP2011030940A (ja) * | 2009-08-05 | 2011-02-17 | Unitika Ltd |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
CN102299900A (zh) * | 2010-06-24 | 2011-12-28 | 王江涛 | 基于实时视频流媒体编码的游戏运行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8173B1 (ja) | 1998-09-10 | 2000-03-13 | 大阪大学長 | 極短光パルスの波形計測方法 |
US20020090875A1 (en) * | 1999-06-18 | 2002-07-11 | Vincent P. Lasko | Unitized cover and absorbent transfer layer |
CN100564641C (zh) * | 2002-12-20 | 2009-12-02 | 宝洁公司 | 簇状的层压纤维网 |
CN104540988B (zh) * | 2012-08-08 | 2017-12-15 | 大和纺控股株式会社 | 无纺织物、用于吸收制品的片材和使用其的吸收制品 |
US10988868B2 (en) * | 2015-03-20 | 2021-04-27 | Sysco Guest Supply, Llc | Textile structures comprising core spun yarns and associated methods for manufacture |
-
2019
- 2019-06-28 KR KR1020207028001A patent/KR1026060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6-28 CN CN201980043913.2A patent/CN112334110B/zh active Active
- 2019-06-28 TW TW108122896A patent/TWI778276B/zh active
- 2019-06-28 WO PCT/JP2019/025924 patent/WO202000464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008U (ko) * | 1987-06-24 | 1989-01-09 | ||
JP3018173U (ja) * | 1994-08-18 | 1995-11-14 | 株式会社タカギ | 失禁用パンツ |
JPH08246321A (ja) | 1995-03-10 | 1996-09-24 | Kao Corp |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
WO2001045927A1 (en) * | 1999-12-22 | 2001-06-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Elastic laminate including elastomeric scrim and fibrous layer bonded thereto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JP2003136621A (ja) * | 2001-11-01 | 2003-05-14 | Kurabo Ind Ltd | 高吸液性複合材及びおむつ |
JP2011030940A (ja) * | 2009-08-05 | 2011-02-17 | Unitika Ltd |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
CN102299900A (zh) * | 2010-06-24 | 2011-12-28 | 王江涛 | 基于实时视频流媒体编码的游戏运行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가 복수의 개구를 가짐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으로부터 신속하게 체액을 흡수체로 이행시킬 수 있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04648A1 (ja) | 2020-01-02 |
CN112334110A (zh) | 2021-02-05 |
TWI778276B (zh) | 2022-09-21 |
KR102606001B1 (ko) | 2023-11-23 |
TW202017543A (zh) | 2020-05-16 |
CN112334110B (zh) | 2022-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68110B2 (ja) | 吸収性物品 | |
KR101784052B1 (ko) | 초흡수성 얀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 |
JP6239965B2 (ja) | 吸収性物品 | |
JP4173844B2 (ja) | 吸収性物品 | |
JP2007202575A (ja) | 吸収用積層体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 |
JP6580171B2 (ja) |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 |
KR102606001B1 (ko) | 흡수성 물품용의 투액성 시트 | |
JP4739608B2 (ja) |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吸収用積層体および該吸収用積層体を備え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 |
JP6219701B2 (ja) | 吸収性物品 | |
TW202022187A (zh) | 吸收性物品 | |
JP7388868B2 (ja) | 吸収性物品 | |
JP7452976B2 (ja) | 吸収性物品 | |
KR20210080617A (ko) | 흡수 용품 | |
JP7411430B2 (ja) |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 |
JP7085921B2 (ja) |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 |
EP3672549B1 (en) | Disposable hygiene article with liquid side barriers | |
JP2020000720A (ja) |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 |
JP2019187800A (ja) | 吸収性物品 | |
JP7385468B2 (ja) | 吸収性物品 | |
JP7424848B2 (ja) | 吸収性物品 | |
EP3672547B1 (en) | Disposable hygiene article | |
KR20220121798A (ko) | 흡수성 물품 | |
JP2021101867A (ja) | 吸収性物品 | |
JP2020137764A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