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995A - 가스 검출 장치 및 가스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검출 장치 및 가스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995A
KR20210023995A KR1020217001131A KR20217001131A KR20210023995A KR 20210023995 A KR20210023995 A KR 20210023995A KR 1020217001131 A KR1020217001131 A KR 1020217001131A KR 20217001131 A KR20217001131 A KR 20217001131A KR 20210023995 A KR20210023995 A KR 2021002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ulfonic acid
organic sulfonic
gas
sil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595B1 (ko
Inventor
마사토 다케우치
준페이 후루노
겐타 후쿠이
겐이치 요시오카
다츠야 다니히라
마사카즈 사이
다카후미 다니구치
히로카즈 마츠하시
Original Assignee
피가로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코우리츠 다이가꾸 호우진 오사카
신코스모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가로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코우리츠 다이가꾸 호우진 오사카, 신코스모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피가로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62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4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in the range 500-10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3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in the range 0.5-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6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more than 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3Pore diameter being in the range 2-50 nm, i.e. mes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14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01J20/3248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 B01J20/3251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the functional group or the linking, spacer or anchoring group as a whole comprising at least one type of heteroatom selected from a nitrogen, oxygen or sulfur, these atoms not being part of the carrier as such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heteroatoms selected from nitrogen, oxygen or sulph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3Coatings on a core, the core being particle or fiber shaped, e.g. encapsulated particles, coated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n electrically-heated body in dependence upon change of temperature
    • G01N27/1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n electrically-heated body in dependence upon change of temperature caused by burning or catalytic oxidation of surrounding material to be tested, e.g. of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12Metals or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2253/104 or B01D2253/106
    • B01D2253/1124Metal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02Dimensions
    • B01D2253/308Por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5Compounds of silicon, phosphorus, germanium or arsenic
    • B01D2257/553Compounds comprising hydrogen, e.g. si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4Pore vol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C01P2006/17Pore diameter distrib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에 의해, 분위기 중의 가스로부터 실록산 화합물을 제거하고, 가스 센싱 요소의 피독을 방지한다.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0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8 ㎤/g 이상 1.2 ㎤/g 이하,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값의 세공 직경이 4 ㎚ 이상 8 ㎚ 이하이다. 가스 센싱 요소의 실록산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가스 검출 장치 및 가스 검출 방법
이 발명은 가스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록산 제거 필터에 관한 것이다.
가스 센서에는, 실록산 화합물에 의해, 검출 재료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나 촉매, 또는 전극 촉매 등이 피독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록산 화합물을 대표하는 것은 D4(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이지만, 그 외에 D5(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D3(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등도 있다.
실록산 제거 필터로서, 특허문헌 1(JP2015-44175A)은, 평균 세공경(세공경은 세공 직경의 의미)이 3∼20 ㎚, BET 비표면적이 200∼1000 ㎡/g, 세공 용적이 0.5∼1.5 ㎤/g인 실리카 겔을 담체로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리카 겔에, 0.1∼20 mass%의 농도로 파라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 술폰산을 담지시킨다. 여기서, 담체의 실리카 겔은, 평균 세공경과 실록산 화합물의 분자 반경의 비가 큰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유기 술폰산은, 흡착한 실록산 화합물을 중합시켜 세공 내에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1에 더하여, 실리카 겔 담체에 유기 술폰산 화합물과 ZrO2 등의 루이스산을 담지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WO2018/159348A). 이 실록산 필터에서는, 루이스산에 의해 실록산 화합물의 흡착을 촉진하고, 술폰산에 의해 중합시켜 세공 내에 고정한다.
특허문헌 1: JP2015-44175A 특허문헌 2: WO2018/159348A
그러나 실록산 필터의 성능은 여전히 불충분하다. 이것은 가스 센서의 소형화가 진행되어, 실록산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발명의 과제는, 가스 검출 장치에서의 필터의 실록산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이 발명의 가스 검출 장치는, 실록산 제거 필터와, 필터를 통과한 분위기 중의 가스를 검출하는 센싱 요소를 구비한다. 필터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를 포함하고, 또한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0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8 ㎤/g 이상 1.2 ㎤/g 이하, 또한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값의 세공 직경이 4 ㎚ 이상 8 ㎚ 이하이다.
이 발명의 가스 검출 방법은, 실록산 제거 필터에 의해 분위기 중의 가스로부터 실록산 화합물을 제거하고, 필터를 통과한 분위기 중의 가스를 센싱 요소에 의해 검출한다. 필터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를 포함하고, 또한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0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8 ㎤/g 이상 1.2 ㎤/g 이하, 또한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값의 세공 직경이 4 ㎚ 이상 8 ㎚ 이하이다.
가스 검출 장치는, 가스 센서와 이와는 별개의 필터를 포함해도 좋고, 필터를 내장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해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필터와 센싱 요소를 일체로 한 가스 센서를 설명한다. 가스 센서의 종류는 임의이며, 예컨대 금속 산화물 반도체 가스 센서, 접촉 연소식 가스 센서, 전기 화학식 가스 센서 등이 있다. 이들 가스 센서는, 실록산 화합물(이하 「실록산」)에 의한 피독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재료를 이용한다. 실시예에서는, 실록산에 의한 피독이 특히 문제가 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금속 산화물 반도체 가스 센서에 대해서, 필터의 구성과 효과를 설명한다.
필터는, 유기 술폰산 담지의 실리카 단독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이 발명의 필터를, 예컨대 활성탄, 실록산에 비해서 분자 반경이 작은 가스만을 투과시키는 기체 선택성막 등의 다른 가스 필터와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실리카는 실리카 겔을 의미한다. 유기 술폰산 담지의 실리카는, 실리카와 유기 술폰산 이외에, 예컨대 ZrO2, TiO2, Nb2O5, Ta2O5 등의 루이스산 화합물 등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실리카 중의 루이스산이 실록산을 강하게 흡착하는 것은, 특허문헌 2에 의해 알려져 있다. 유기 술폰산은, 술포기(-SO3H)를 갖는 유기 화합물, 특히 술포기를 갖는 방향족 유기 화합물이다. 실시예에서는 파라톨루엔술폰산을 이용하지만, 나프탈렌술폰산, 비스페놀 화합물의 술폰산 유도체 등이어도 좋다. 이들 유기 술폰산은, 실리카 겔의 세공을 블록할 정도의 분자 반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실록산이 세공 내에 확산하는 것을 저해하지 않고, 실리카 겔의 세공 표면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유기 술폰산 담지의 실리카의 형상은, 과립형, 분말형, 디스크형 등 임의이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가스 검출 장치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가스 검출 방법에도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에는, 미분 세공 용적이 피크값의 1/2이 되는 세공 직경이, 2 ㎚ 미만과, 8 ㎚ 초과이며 또한 12 ㎚ 이하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5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9 ㎤/g 이상 1.2 ㎤/g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7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93 ㎤/g 이상 1.2 ㎤/g 이하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295K에서 상대압(D4 압력과 그 포화 증기압의 비)이 적어도 0∼0.6인 범위에서 측정한, D4(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의 흡착 등온선에 있어서, 상대압이 0.2에서의 D4 흡착량이 0.25 m㏖/g 이상 1.5 m㏖/g 이하이다.
이 발명의 유기 술폰산 담지의 실리카 필터를 이용하면, 실록산에 대한 가스 센서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더구나 비표면적, 세공 용적 등이 비교적 가까운 실리카 겔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실록산 내구성은 현저히 향상된다. 예컨대 도 3∼도 5는 3종류의 실시예에서의 실록산 내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은 비교예를 이용하였을 때의 실록산 내구성을 나타낸다. 가스 센서 또는 가스 검출 장치로서 실용화하였을 때의 내구성은,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완전히 다르다.
도 8은 실시예 1, 2와 비교예에서의 가스 센서의 실록산 내구성을, 실록산의 조성과 농도를 도 3∼도 6의 조건으로부터 바꾸어, 측정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도 8에서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는, 실록산 내구성이 현저히 다르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상위점은, 유기 술폰산 담지 후의 실리카 겔의 물성으로서는, 비표면적과 세공 용적 및 미분 세공경의 피크값(표 1)에 있다. 즉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비해서, 비표면적과 세공 용적이 크고, 또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가 생기는 세공경(피크 직경)이 작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비해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의 반치폭이 좁고, 바꾸어 말하면 세공경의 분포가 좁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다음 상위점은, 실록산의 흡착 등온선에 있어서, 저농도역(포화 증기압의 20% 이하)에서의, 실록산 흡착량이 많은 것에 있다(도 13). 세공의 물성(비표면적, 세공 용적, 세공경의 피크 위치 등)과 실록산 흡착 특성의 차가, 가스 센서의 실록산 내구성에 큰 차이를 부여하고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가스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이용한 MEMS 칩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실록산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실록산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5는 실시예 3의 실록산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6은 비교예의 실록산 제거제를 이용한 가스 센서의, 실록산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가스 센서에서의, 실록산이 없는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8은 실록산에의 피폭 조건을 바꾸었을 때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가스 센서에서의, 실록산 내구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3의 질소 가스에의 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3에서의, 유기 술폰산 담지 전의 실리카 겔의 질소 가스에의 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3의 세공경 분포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3에서의, 유기 술폰산 담지 전의 실리카 겔의 세공경 분포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3및 비교예의 D4 흡착 등온선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3에서의, 유기 술폰산 담지 전의 실리카 겔의 D4 흡착 등온선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 1, 도 2는 실시예에서 이용한 MEMS 가스 센서(2)와 MEMS 칩(4)(센싱 요소)을 나타내고, 필터(18)의 재질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가스 센서(2)의 구성은 임의이다. 도면 부호 6은 베이스, 7은 핀이며, MEMS 칩(4)의 전극 및 히터는 리드(8)에 의해 핀(7)에 접속된다. 캡(10)이 베이스(6)에 고정되고, 유기 술폰산 담지의 실리카 겔을 포함하는 필터(18)를 수용한다. 도면 부호 12는 필터(18)의 외측 개구, 14는 필터(18)의 내측 개구, 15는 필터(1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실시예에서는, 필터(18)로부터 실리카의 세분(細粉)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12, 14)를 부직포(16)로 덮는다. 그러나 세분이 흘러넘칠 가능성이 낮은 경우, 부직포(16)는 불필요하다. 또한 부직포(16)를 기체 선택성 투과막 등으로 바꾸어도 좋고, 또한 부직포 대신에 미세한 메쉬의 망으로 바꾸어도 좋다.
캡(10)의 내경을 r(7.7 ㎜), 필터(18)의 충전 높이를 h(2.5 ㎜), 개구(12)의 직경을 φ(4 ㎜), 개구(14)의 직경을 τ(6 ㎜)로 하였다. 또한 필터(18)의 질량은 50 ㎎, 재료의 실리카 겔은 과립형으로 통일하였다. 단 필터의 질량, 실리카 겔의 형태는 임의이다.
도 2에 MEMS 칩(4)을 나타내고, Si 기판(20)에 캐비티(22)가 마련되며, 캐비티(22) 상에 절연성의 지지막(24)이 마련된다. 지지막(24)은, 캐비티(22)를 덮는 다이어프램형의 요소여도, 또는 예컨대 4개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섬형의 요소여도 좋다. 캐비티(22) 상에서 지지막(24)에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후막이 마련되지만,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구성은 임의이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종류는 SnO2, TiO2, WO3, In2O3, ZnO 등 임의이고, Pt, Pd, Au, 그 외의 첨가물을 포함해도 좋다. 지지막(24)에 도시하지 않는 히터막을 마련하고, 금속 산화물 반도체(25)를 동작 온도로 가열한다. 또한 지지막(24)에 도시하지 않는 전극을 마련하고,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또한 히터를 전극으로 겸용하고, 히터와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병렬 저항의 값을 출력으로 하여도 좋다.
가스 센서(2)는 이하의 조건으로 구동하였다: 가열 주기 30초, 가열 시간 100 m초, 비가열 시간 29.9초, 최고 가열 온도 450℃. 수소 1000 ppm과 5000 ppm, 메탄 3000 ppm 및 공기 중에서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저항값[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온도는 최고 가열 온도]을 측정하고, 그 추이를 조사하였다. 필터(18)의 종류마다 4개의 가스 센서(2)를 이용하여, 4개의 가스 센서(2)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실록산 피독에 의해 금속 산화물 반도체(25)는 수소 중에서의 저항값이 저하하고, 가스 센서(2)의 출력이 증가한다. 검출 대상 가스는 메탄, 수소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며, 가스 센서(2)의 구동 조건은 임의이다.
p-톨루엔술폰산 수용액에 과립형이며 단일 성분의 실리카 겔을 침지하고, 감압하여 과립의 내부까지 p-톨루엔술폰산 수용액을 침투시켰다. 그 후, 용매의 물을 증발 건고(乾固)시켜, 회수한 고체를 8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p-톨루엔술폰산 농도가 5 mass%인 p-톨루엔술폰산 담지 실리카를 얻었다.
BET 비표면적 및 세공 용적과 그 분포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100℃에서 진공 배기한 후, 액체 질소 온도(77K)에서 N2 흡탈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N2 흡착 등온선으로부터 BET 플롯을 산출함으로써, 비표면적을 구하였다. 또한, N2 흡착 등온선으로부터 BJH 플롯을 산출함으로써, 세공 분포와 세공 용적을 구하였다.
D4의 흡착 등온선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유리 셀에 소정량의 시료를 넣고, 전처리로서 100℃에서 진공 배기를 행하였다. 그 후, 유리 셀 내에 일정량의 D4 증기를 순차 도입하여, 도입압과 평형압(흡착 평형에 달한 후의 압력)으로부터, D4 흡착량을 산출하였다. 각 상대압(평형압을, 실온에 있어서의 D4의 포화 증기압으로 나눈 값)에 있어서의 D4 흡착량(흡착제의 단위 중량당)을 플롯한 그림이, 흡착 등온선이다.
실록산 내구 시험(도 3∼도 6)에서는, 실온에서 상대 습도가 85% RH 이상, D4 농도가 20 ppm인 분위기 중에서, 필터(18)의 종류마다 각 4개의 가스 센서(2)를 동작시켰다. 도면은 4개의 가스 센서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실록산을 포함하지 않는 분위기에서의 비교예의 데이터이다. 도 8의 측정에서는, 실온에서 상습, 또한 D3, D4, D5를 각 30 ppm 포함하는 분위기 중에서, 필터(18)의 종류마다 각 3개의 가스 센서(3)를 동작시켜, 3개의 가스 센서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도 8의 종축은 메탄 3000 ppm 상당의 가스 센서 출력이 되는 수소의 농도(수소 경보 농도)를 나타낸다. 이 농도가 저하하는 것은, 실록산의 영향에 의해 수소 감도가 증가한 것을 나타낸다.
물성이 다른 4종류의 실리카(실시예 1∼3 및 비교예)에 대해서, 유기 술폰산(파라톨루엔술폰산 5 mass%) 담지의 실리카의 비표면적, 세공 용적,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에 대응하는 피크 직경과, 피크 폭에 관한 데이터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유기 술폰산 담지 전의,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의 실시예 1∼3과 비교예를 비교하면,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비표면적과 세공 용적이 크고, 피크 직경이 작고, 또한 피크 폭을 나타내는 반치 직경도 작다. 즉 실시예의 유기 술폰산 담지의 실리카는, 비교예의 실리카보다, 비표면적이 크고, 균일하며 또한 작은 직경의 세공을 구비한다. 또한 표 1, 표 2로부터, 술폰산의 담지에 의해, 비표면적과 세공 용적이 감소하는 것 및 피크 직경과 반치 직경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파라톨루엔술폰산 담지의 실리카의 질소 흡착 등온선을 도 9에, 담지 전의 흡착 등온선을 도 10에 나타낸다. 파라톨루엔술폰산 담지의 실리카의 세공 직경의 분포를 도 11에, 담지 전의 세공 직경의 분포를 도 1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에서는, 파라톨루엔술폰산의 담지 전도 담지 후도, 세공경의 분포는 비교예보다 좁고, 또한 세공 직경은 비교예보다 작다. 또한 비교예의 데이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파라톨루엔술폰산(p-TSA) 담지의 실리카에 대해서,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D4 흡착 등온선을 나타낸다. 도 14는 파라톨루엔술폰산 담지 전의, 실시예 1∼3의 D4 흡착 등온선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서는, 실시예 3에 대하여 2회 측정을 행하였지만, 결과의 재현성은 매우 높았다. 측정 온도는 22℃, D4의 포화 증기압(P0)은 거의 1 Torr이다.
도 13으로부터,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서, 상대압(P/P0) 0.2 이하에서의 흡착량이 많은 것을 알았다. 도 14를 도 13과 비교하면, 파라톨루엔술폰산 담지 전의 실리카에서는, D4 흡착량은 실시예 1∼3 사이에서 크게 다르다. 그러나 파라톨루엔술폰산 담지 후의 실리카에서는, 실시예 1∼3의 D4 흡착량은 접근하고 있다.
실록산 피폭에의 내구성을 도 3∼도 7에 나타내고, 이 중, 도 3∼도 5가 실시예 1∼3에 대응하는 실시예, 도 6은 비교예, 도 7은 실록산에 노출되지 않은 참조예(비교예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필터를 사용)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공기(○)와, 수소 1000 ppm(▲), 5000 ppm(△) 및 메탄 3000 ppm(■)의 출력을 나타낸다. 또한 파선의 굵은 횡축은, 메탄 0.3%에의 기준 출력을 나타낸다. 도 3∼도 5(실시예)에서는, 실록산의 영향은 도 6(비교예)에 비해서 훨씬 작다. 또한 도 3∼도 7의 측정은 고습 분위기 중에서 행하고, 만약, 술폰산 때문에 실리카의 세공에 물이 응축하여, 필터의 성능이 저하하는 등의 일이 있어도, 그 영향이 포함되어 있다.
도 8은 D3, D4, D5의 실록산을 각 30 ppm 함유하는 분위기에 대한, 가스 센서(2)의 내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 시험에서는, 실시예 1, 2와 비교예를 비교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실록산 농도를 합계 90 ppm으로 높이고, 또한 D4 이외의 실록산에의 내구성도 반영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실록산과의 접촉에 의해, 금속 산화물 반도체(25)는 수소 중에서의 저항값이 저하한다. 메탄 3000 ppm 중에서의 초기의 저항값까지, 금속 산화물 반도체(25)의 저항값을 저하시키는 수소 농도를 수소 경보 레벨로 한다. 그리고 수소 경보 레벨이 500 ppm까지 저하하기까지의 기간을, 가스 센서(2)의 수명으로 하였다. 실시예에서도 비교예에서도 실록산에 의해 수소 경보 레벨이 저하하지만, 실시예는 비교예의 약 2배의 수명을 나타내었다.
2: 가스 센서 4: MEMS 칩(센싱 요소)
6: 베이스 7: 핀
8: 리드 10: 캡
12, 14: 개구 15: 고정 부재
16: 부직포 18: 필터
20: Si 기판 22: 캐비티
24: 지지막 25: 금속 산화물 반도체
26: 패드

Claims (7)

  1. 실록산 제거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분위기 중의 가스를 검출하는 센싱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가스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0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8 ㎤/g 이상 1.2 ㎤/g 이하, 또한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값의 세공 직경이 4 ㎚ 이상 8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에는, 미분 세공 용적이 상기 피크값의 1/2이 되는 세공 직경이, 2 ㎚ 미만과, 8 ㎚ 초과이며 또한 12 ㎚ 이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5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9 ㎤/g 이상 1.2 ㎤/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7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93 ㎤/g 이상 1.2 ㎤/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295K에서 상대압(D4 압력과 그 포화 증기압의 비)이 적어도 0∼0.6인 범위에서 측정한, D4(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의 흡착 등온선에 있어서, 상대압이 0.2에서의 D4 흡착량이 0.25 m㏖/g 이상 1.5 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장치.
  6. 실록산 제거 필터에 의해 분위기 중의 가스로부터 실록산 화합물을 제거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분위기 중의 가스를 센싱 요소에 의해 검출하는, 가스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는,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비표면적이 500 ㎡/g 이상 750 ㎡/g 이하, 세공 용적이 0.8 ㎤/g 이상 1.2 ㎤/g 이하, 또한 질소 가스 흡착법에 따라 구한 미분 세공 용적의 피크값의 세공 직경이 4 ㎚ 이상 8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술폰산 담지 실리카에는, 미분 세공 용적이 상기 피크값의 1/2이 되는 세공 직경이, 2 ㎚ 미만과, 8 ㎚ 초과이며 또한 12 ㎚ 이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검출 방법.
KR1020217001131A 2019-05-17 2020-05-01 가스 검출 장치 및 가스 검출 방법 KR102517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3817 2019-05-17
JPJP-P-2019-093817 2019-05-17
PCT/JP2020/018396 WO2020235335A1 (ja) 2019-05-17 2020-05-01 ガス検出装置及びガス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995A true KR20210023995A (ko) 2021-03-04
KR102517595B1 KR102517595B1 (ko) 2023-04-03

Family

ID=7345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131A KR102517595B1 (ko) 2019-05-17 2020-05-01 가스 검출 장치 및 가스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7007B2 (ko)
EP (1) EP3805745A4 (ko)
JP (1) JP7057576B2 (ko)
KR (1) KR102517595B1 (ko)
CN (1) CN112639454A (ko)
WO (1) WO2020235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3730B1 (ja) 2023-06-27 2023-09-12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Mems型半導体式ガスセン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1037A (ja) * 2011-05-16 2012-12-10 Osaka Gas Co Ltd 多孔質樹脂の凝集体、シロキサン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KR20150008167A (ko) * 2012-05-07 2015-01-21 도널드선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실록산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물질, 방법 및 장치
JP2015044175A (ja) 2013-08-29 2015-03-12 東洋紡株式会社 シロキサン除去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ロキサン除去フィルタ
JP2015174006A (ja) * 2014-03-13 2015-10-05 大阪瓦斯株式会社 シロキサン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WO2018159348A1 (ja) 2017-03-02 2018-09-07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ガス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3369B2 (en) * 1983-11-25 1997-09-2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 porous adsorbent for adsorbing low density lipoproteins
US20030157011A1 (en) * 2001-11-27 2003-08-21 Yutaka Mori Silica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393381B2 (en) * 2003-06-19 2008-07-01 Applied Filter Technology, Inc. Removing siloxanes from a gas stream using a mineral based adsorption media
US7789930B2 (en) * 2006-11-13 2010-09-07 Research Triangle Institute Particle filter system incorporating nanofibers
WO2009091367A1 (en) * 2008-01-17 2009-07-23 Carrier Corporation Filters for removal of volatile siloxanes and lifetime extension of photcatalytic devices
EP2507320B1 (en) * 2009-12-03 2020-05-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water adsorption of powder by addition of hydrophobic nanoparticles
JP5690075B2 (ja) * 2010-03-31 2015-03-25 大阪瓦斯株式会社 シロキサン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JP2013111507A (ja) * 2011-11-25 2013-06-10 Fujifilm Corp ガス分離膜、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US9480944B2 (en) * 2013-06-18 2016-11-01 Guild Associates Inc. Process for removal of siloxanes and related compounds from gas streams
DE102013018457A1 (de) * 2013-11-02 2015-05-07 Dräger Safety AG & Co. KGaA Filmmaterial zur selektiven Entfernung von Siloxanen
WO2015066693A1 (en) * 2013-11-04 2015-05-07 The Regents Of Thd University Of California Metal-organic frameworks with a high density of highly charged exposed metal cation sites
CN106660039B (zh) * 2014-06-13 2020-10-27 3M创新有限公司 含磺酸聚合物材料作为胺吸附剂
JP6657184B2 (ja) * 2015-03-26 2020-03-04 ニッタ株式会社 ケミカルフィルタ
US10532340B2 (en) * 2015-08-20 2020-01-14 Arkema Inc. High performance sorption binder for gas phase storage devices
JP6644445B2 (ja) * 2015-09-17 2020-02-12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電気化学ガスセンサ
JP6485890B2 (ja) * 2016-02-12 2019-03-20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ガスセンサ
JP6537154B2 (ja) * 2016-06-23 2019-07-03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ガスセンサ
CN108387617B (zh) * 2017-02-03 2021-07-06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气体传感器及其制造方法
JP6878107B2 (ja) * 2017-04-14 2021-05-26 大阪瓦斯株式会社 シロキサン除去材、シロキサン類を除去する方法、フィルター、ガスセンサーおよびガス検出装置
CN108654569A (zh) * 2018-03-23 2018-10-16 长沙小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孔活性硅胶制备方法
CN108906005A (zh) * 2018-07-12 2018-11-30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硅胶固相萃取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031723A1 (ja) * 2018-08-10 2020-02-13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ガス検出器
WO2020189675A1 (ja) * 2019-03-19 2020-09-24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ガス検出器
KR20230076836A (ko) * 2020-10-01 2023-05-31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표면-반응된 탄산칼슘 촉매를 사용한 축합 반응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1037A (ja) * 2011-05-16 2012-12-10 Osaka Gas Co Ltd 多孔質樹脂の凝集体、シロキサン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KR20150008167A (ko) * 2012-05-07 2015-01-21 도널드선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실록산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물질, 방법 및 장치
JP2015044175A (ja) 2013-08-29 2015-03-12 東洋紡株式会社 シロキサン除去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ロキサン除去フィルタ
JP2015174006A (ja) * 2014-03-13 2015-10-05 大阪瓦斯株式会社 シロキサン除去剤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ー
WO2018159348A1 (ja) 2017-03-02 2018-09-07 フィガロ技研株式会社 ガス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235335A1 (ja) 2021-12-09
KR102517595B1 (ko) 2023-04-03
EP3805745A1 (en) 2021-04-14
US11977007B2 (en) 2024-05-07
WO2020235335A1 (ja) 2020-11-26
JP7057576B2 (ja) 2022-04-20
CN112639454A (zh) 2021-04-09
US20210310906A1 (en) 2021-10-07
EP3805745A4 (en)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on et al. Enhancement of CO2 affinity in a polymer of intrinsic microporosity by amine modification
EP2864770B1 (en) Sensor element,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968421B2 (ja) 吸収性センサ素子の使用方法
WO2020031724A1 (ja) ガス検出器
KR102517595B1 (ko) 가스 검출 장치 및 가스 검출 방법
JPWO2017138190A1 (ja) ガスセンサ
JP4542248B2 (ja) シリコーンガス吸着剤及びガスフィルタ及びガスセンサ
CN113574369A (zh) 气体检测器
CN110078046A (zh) 一种氮掺杂多孔碳材料的制备与应用
JP6537154B2 (ja) ガスセンサ
CN105229463A (zh) 双气体传感器结构及测量方法
JP5881205B2 (ja) ガスセンサ
EP353558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US11940432B2 (en) Gas detector
JP2006250569A (ja) ガスセンサ用フィルタおよび接触燃焼式都市ガスセンサ
TWI415143B (zh) 用於偵測氣體之可導電的高分子複合材料元件的製造方法
WO2022181503A1 (ja) ガスフィルタ、ガスセンサ及びガス検知装置
CN210322956U (zh) 气体传感器
CN219399432U (zh) 带有单层过滤结构的半导体气体传感器过滤装置
JP6556288B2 (ja) ガス検知器
Dagnelie et al. Scaling the hydrophobicity of porous materials to water vapour with Fluoral-P
JP2020008340A (ja) ガスセンサ
WO20201440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nalyte
Sarafraz-Yazdi et al. Application of molecularly-imprinted polymers in solid-phase
JPS62138744A (ja) 湿度計ないし露点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