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901A - 추가장착 탐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추가장착 탐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901A
KR20210023901A KR1020207037734A KR20207037734A KR20210023901A KR 20210023901 A KR20210023901 A KR 20210023901A KR 1020207037734 A KR1020207037734 A KR 1020207037734A KR 20207037734 A KR20207037734 A KR 20207037734A KR 20210023901 A KR20210023901 A KR 2021002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trofit
lens cover
protection devi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줍 귀첼
Original Assignee
유줍 귀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줍 귀첼 filed Critical 유줍 귀첼
Publication of KR2021002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를 갖는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특히 스마트폰의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retrofit spying protection)에 관한 것으로, 이 보호 장치는 관통 리세스(6)를 갖는 필름(3;4)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는, 카메라 렌즈의 렌즈 커버(2)로 구성되며, 상기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는, 이 보호 장치가 장착형 장치의 공간 용적을 약간만 확대시키고, 나아가 작동 및 비작동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데, 이는, 필름(3;4)이 장치의 일 측면의 전체 영역을 덮고, 장치의 표면 쪽으로 확장되는 언더컷(16)이 관통 리세스(6)의 에지 둘레에 장착되며, 렌즈 커버(2)는 접근 표면(8)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표면(10)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안착하고, 측면 평탄부(18)에 의해 언더컷(16) 아래로 연장되며, 필름(3;4)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표면상에 고정됨으로써 달성되며, 이 경우 관통 리세스(6)의 단면으로 볼 때 언더컷(16)은 도브테일형 윤곽을 갖는다.

Description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예컨대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 TV와 같이,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장치의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retrofit spying protection)에 관한 것이다.
강성으로 형성된,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용 케이스가 DE 20 2016 008 109 U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조작 요소들이나 카메라를 잠그거나 덮을 수 있는 슬라이드를 구비한 리세스들이 벽부들에 제공되어 있다.
공지된 케이스에서의 단점은 특히, 이러한 케이스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용적이 현저히 확대됨으로써, 좁은 의복 주머니 속에 휴대하기가 힘들고 다루기도 불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좁은 의복 안에 밀어 넣었을 때 불룩해져서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복에 기계적 하중을 가하기도 한다.
또한,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를 자체 접착성 접착 테이프의 섹션으로 가리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는데, 이로써 사용자는, 카메라가 제공된 하이테크 장치가 사용자 모르게 카메라가 작동되게 할 수 있는 유해 소프트웨어에 감염된 경우에, 간단한 자체 보호 수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 경우,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커버링을 각각 다시 제거해야 하는데, 이는 한 편으로 하우징 또는 카메라 렌즈를 접착제 잔류물로 오염시킬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스파잉으로부터의 개인 보호(personal protection)를 다시 보장하기 위해 접착 테이프 섹션을 차후 다시 새로운 접착 스트립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 사용이 덜 편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 TV와 같이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장치의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보호 장치는 이 보호 장치가 장착된 전자 장치의 공간 용적을 약간만 확대할 뿐만 아니라, 작동 상태 및 비작동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책은 제1 특허 청구항의 특징부의 기술적 특징들과 함께 제1 특허 청구항의 전제부의 특징들과 관련하여, 특히,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소형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렌즈의 렌즈 커버가 필름 아래에, 뒤에 또는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이 필름이 관통 리세스를 가지며, 이 관통 리세스를 통해 렌즈 커버의 접근 표면이 외부로 연장되고, 렌즈 커버가 접근 표면에서는 수동으로 필름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필름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둘레 영역에 접촉 표면을 구비하고, 이 접촉 표면으로써 필름이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그리고 렌즈 커버가 두 가지 작동 상태로, 즉,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 및 카메라 렌즈 옆의 열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출된다.
렌즈 커버가 제공된 상기 필름의 장점은, 필름의 두께 치수가 수십 분의 일 밀리미터에 불과함에 따라, 이러한 필름이 장착된 스마트폰의 용적이 눈에 띄지 않게 확대되고,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가 장착된 전자 장치의 공지된 취급(handling)이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렌즈 커버로의 접근 표면에 의해 상기 렌즈 커버가 필름 아래에서, 뒤에서 또는 내부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음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가리고 있는 접착 필름부의 접착 잔류물이 장치 상부면이나 심지어 카메라 렌즈 자체에 남지 않으면서, 카메라 렌즈가 필요에 따라 즉시 잔류물 없이 그리고 간단히 다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렌즈 전방으로 카메라 커버의 간단한 역 슬라이딩을 통해, 스파잉으로부터의 개인 보호가 신속하고 간단하게 다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하의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그리고 이들 종속 청구항들과의 조합을 통해 도출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이 접착력에 의해 자체 접착되는 필름으로서 형성됨에 따라, 필름은 필요 시 잔류물 없이도 다시 전자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접착력이 영구적으로 약해지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에서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는 전자 장치의 여러 세대에 걸쳐 수년 동안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필름의 사용이 배제되어서는 안 되며, 이는 특히 전자 장치와의 접촉 면적이 작은 실시예들을 위한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견고한 안착을 위해서도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커버가 평면도에서 원형 또는 길쭉한 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모델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전자 장치에 매칭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준-보편적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필름 내 관통 리세스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상응하게 렌즈 커버는 직선으로 또는 곡선형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렌즈 커버를 갖는 버전도 바람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실행 가능한 변형예들도 더욱 많아진다.
본 발명의 대상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 커버가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에 놓인 영역에서는 유색으로(colored) 형성되고, 필름도 마찬가지로 카메라 렌즈 둘레의 영역에서는 유색으로 형성됨으로써, 닫힘 위치에서 상기 두 영역은 서로 보완하여 폐쇄 유닛으로서의 하나의 공통 영역을 형성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그 결과 닫힘 위치가 전체적으로 볼 때 시각적으로 그 자체로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필름상에서 렌즈 영역 둘레에 유색 링(colored ring)이 배치될 수 있고, 렌즈 커버에는 동일하거나 다른 색상의 접근 표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함께 하나의 더 큰 단색 원을 형성할 수 있거나, 예컨대 접근 표면은 흑색으로 그리고 렌즈 영역은 청색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닫힘 위치에서 흑색 동공 및 청색 홍채를 갖는 아이(eye)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 사용자는, 예를 들어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가 닫힘 위치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의식적으로 소형 카메라를 사용해서 사진 촬영을 하려면 상기 닫힘 위치를 열림 위치로 전환해야 한다. 이로 인해, 소형 디지털 카메라의 오작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은 닫힘 위치의 시각적 식별은 당연히 바람직하게, 유색 영역이 국부적으로 분리되는 열림 위치도 그 자체로서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소형 카메라의 보호되지 않은 상태를 마찬가지로 명확하게 인식하여, 필요 시 닫힘 위치를 다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렌즈 커버가 불투명하게 또는 흐릿하게 반투명으로 구현될 수 있음으로써, 광이 소형 디지털 카메라 내로 입사될 수는 있지만 사람 또는 물체가 전혀 인식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된다.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로 슬라이딩된 렌즈 커버가 그 위치에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관통 리세스의 슬라이딩 경로 내에 바람직하게 두 가지 작동 상태를 잠그기 위한, 예컨대 칼라(collar) 형태의 탄성 협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렌즈 커버도 두 가지 작동 상태를 잠그기 위해 필름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잠금 부재는 필름 아래에 간단히 마찰 결합식으로 접할 수 있음으로써, 필름 내부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강성을 갖는 슬롯 또는 홈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또 다른 특별한 장점은, 필름이 카메라 렌즈 둘레의 부분면 둘레에 좁게만 연장되도록 필름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매우 다양한 스마트폰용으로 제공될 디스플레이 보호 필름의 부분에 준하는 전자 장치의 한쪽 면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렌즈 커버가 전자 장치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신의 접근 표면으로써 관통 리세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버전에서는 필름을 가진 평면 내에 또는 그 아래에도 놓임으로써,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조작이 간소화될 수 있거나, 가급적 눈에 띄지 않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가 선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주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리세스 주변의 필름에는, 자신의 하부에 형성되는, 렌즈 커버를 위한 자유 공간을 제공하는 융기부 형태로 입체적으로 융기된 엠보싱 형상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렌즈 커버가 상기 자유 공간 내에서 관통 리세스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렌즈 커버는 접근 표면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표면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안착하여 필름에 의해 그 위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관통 리세스 주변의 필름에는 전자 장치의 표면 쪽으로 확장되는 언더컷이 장착되며, 이 경우 렌즈 커버는 여기에서도 접근 표면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표면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안착하고, 언더컷에 매칭된 측면 평탄부에 의해 언더컷 아래로 연장되어 마찬가지로 필름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표면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렌즈 커버가 필름의 두께 치수와 동일한 높이 치수를 가짐으로써,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가 필름의 표면 위로 돌출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가장 평탄할 수 있는 실시예가 도출된다. 필름의 관통 리세스 주변의 언더컷에 바람직하게 단면으로 볼 때 도브테일 형상의 윤곽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렌즈 커버의 슬라이딩 표면이 입체적인 엠보싱 형상부 아래에서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두 부재 사이에 서로 평행한 면들의 정의된 유격 또는 그들 사이의 대략 0.05㎜의 공극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장치를 덮고 있는 필름 내에 입체적으로 융기된 엠보싱 형상부를 갖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부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렌즈 커버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부분 입체도이다.
도 4는 장치를 덮는 필름 내에 있는 또 다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부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렌즈 커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렌즈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가능한 가장 소형의 실시예에서의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라인 "9-9"를 따라 잘라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필름의 하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라인 "12-12"를 따라 잘라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라인 "13-13"을 따라 잘라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전자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 TV와 같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장치의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는 실질적으로, 필름(3;4) 아래에, 뒤에 또는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카메라 렌즈의 렌즈 커버(1;2)로 구성되며, 이때 필름(3;4)은 관통 리세스(5;6)를 구비하고, 이 관통 리세스를 통해 렌즈 커버(1;2)의 접근 표면(7;8)이 외부로 연장되며, 그 결과 렌즈 커버(1;2)가 접근 표면(7;8)에서는 수동으로 필름(3;4)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이 경우 필름(3;4)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둘레의 좁은 영역에 접촉 표면을 구비하며, 이 접촉 표면으로써 필름은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 커버(1;2)는 두 가지 작동 상태로, 즉,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 및 카메라 렌즈 옆의 열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필름(3;4)은 접착력에 의해 자체 접착되는 필름으로서 형성됨으로써, 필름이 제거된 후에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접착제 잔류물이 전혀 남지 않을 수 있다. 렌즈 커버(1;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볼 때 원형인 슬라이딩 부재 및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쭉한 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로 형성된다.
필름(3;4) 내에 있는 관통 리세스(5;6)가 도 1, 도 3, 도 4, 도 7, 도 8,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서는 직선형 리세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리세스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부러진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렌즈 커버(1;2)는 전자 장치 표면상의 직선 경로를 통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이 경우,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렌즈 커버도 가능하다.
렌즈 커버(1;2)는 불투명하거나 약간 반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투명 렌즈 커버(1;2)는 흐릿한 광 입사만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필름(3;4)이 카메라 렌즈의 주변 영역에서 유색으로 구현될 수 있듯이, 렌즈 커버(1;2)도 카메라 렌즈 전방에 놓인 영역에서 유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닫힘 위치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진다.
렌즈 커버(1;2)의 슬라이딩 경로 내에서 관통 리세스(5;6) 내에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두 가지 작동 상태를 잠그기 위해 칼라 형태의 탄성 협착부(11)가 배치되거나, 렌즈 커버(1;2)에 필름(3;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잠금 부재(12)가 장착되며, 이 잠금 부재는, 필름(3;4) 내에 잠금 리세스들을 설치할 필요 없이, 렌즈 커버(1;2)를 마찰에 의해 그의 두 가지 작동 상태 중 하나에 고정한다.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필름(3;4)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일 측면의 전체 표면을 덮을 수 있고, 이로써 보호 필름의 일부일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필름(3;4)이,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에 의해 가능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주변의 작은 부분면만을 덮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서, 렌즈 커버(1;2)가 필름(3;4)의 평면 위로 돌출할 수 있거나, 도 1,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4)의 윤곽 위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렌즈 커버(1;2)는 필름(3;4)의 두께 치수와 동일한 높이 치수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렌즈 위에 배치하기 위해 필름(3) 내에서 입체적으로 융기된 엠보싱 형상부(13)가 제공되며, 이 경우 엠보싱 형상부(13)가 관통 리세스(5) 둘레에 연장됨으로써, 그 아래에 렌즈 커버(1)를 위해 수백 분의 1밀리미터의 유격을 갖는 자유 공간이 만들어지며, 이 자유 공간 내에 렌즈 커버(1)가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이 경우 렌즈 커버는 접근 표면(7)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표면(9)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안착하고, 렌즈 커버(1)의 측면 슬라이딩 면(15)에 걸쳐 필름(3)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 위에 고정된다. 관통 리세스(5)의 에지 영역에서 관통 리세스에는 칼라 형태의 탄성 협착부(11)가 장착되며, 이 탄성 협착부는 렌즈 커버(1)를 두 가지 기능 위치들 중 하나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한다.
도 4 내지 도 13에 따른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에는, 관통 리세스(6)의 에지 둘레에 전자 장치의 표면 쪽으로 확장되는 도브테일형 윤곽 형태의 언더컷(16)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경우 렌즈 커버(2)는 접근 표면(8)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표면(10)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에 안착하고, 언더컷(16)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 평탄부들(14)을 가지며, 그 결과 렌즈 커버(2)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필름(4)에 의해 표면상에 고정된다.

Claims (13)

  1.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같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장치를 위한, 카메라 렌즈의 렌즈 커버(1;2) 및 필름(3;4)을 포함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retrofit spying protection)로서,
    - 렌즈 커버(1;2)가 필름(3;4) 아래에서, 뒤에서 또는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 필름(3;4)이 관통 리세스(5;6)를 구비하고, 이 관통 리세스를 통해 렌즈 커버(1;2)의 접근 표면(7;8)이 외부로 연장되며,
    - 렌즈 커버(1;2)가 접근 표면(7;8)에서는 수동으로 필름(3;4)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 필름(3;4)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둘레 영역에 접촉 표면(9;10)을 구비하고, 이 접촉 표면으로써 필름이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 렌즈 커버(1;2)가 두 가지 작동 상태로, 즉,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 및 카메라 렌즈 옆의 열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에 있어서,
    렌즈 커버(1;2)의 슬라이딩 경로 내에서 관통 리세스(5;6) 내에는 두 가지 작동 상태의 잠금을 위한 탄성 협착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2.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같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장치를 위한, 카메라 렌즈의 렌즈 커버(1;2) 및 필름(3;4)을 포함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로서,
    - 렌즈 커버(1;2)가 필름(3;4) 아래에서, 뒤에서 또는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 필름(3;4)이 관통 리세스(5;6)를 구비하고, 이 관통 리세스를 통해 렌즈 커버(1;2)의 접근 표면(7;8)이 외부로 연장되며,
    - 렌즈 커버(1;2)가 접근 표면(7;8)에서는 수동으로 필름(3;4)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 필름(3;4)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둘레 영역에 접촉 표면(9;10)을 구비하고, 이 접촉 표면으로써 필름이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 렌즈 커버(1;2)가 두 가지 작동 상태로, 즉,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 및 카메라 렌즈 옆의 열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에 있어서,
    관통 리세스(5) 주변의 필름(3)에는, 자신의 하부에 형성되는, 렌즈 커버(1)를 위한 자유 공간을 제공하는 융기부 형태의 입체 엠보싱 형상부(13)가 장착되고, 렌즈 커버(1)는 상기 자유 공간 내에서 관통 리세스(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렌즈 커버(1)는 접근 표면(7)의 반대편에 위치한 접촉 표면(9)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안착하여 필름(3)에 의해 그 위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3.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또는 스마트 TV와 같은 통신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같이,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 전자 장치를 위한, 카메라 렌즈의 렌즈 커버(1;2) 및 필름(3;4)을 포함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로서,
    - 렌즈 커버(1;2)가 필름(3;4) 아래에서, 뒤에서 또는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 필름(3;4)이 관통 리세스(5;6)를 구비하고, 이 관통 리세스를 통해 렌즈 커버(1;2)의 접근 표면(7;8)이 외부로 연장되며,
    - 렌즈 커버(1;2)가 접근 표면(7;8)에서는 수동으로 필름(3;4) 아래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며,
    - 필름(3;4)은 적어도 카메라 렌즈 둘레 영역에 접촉 표면(9;10)을 구비하고, 이 접촉 표면으로써 필름이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 렌즈 커버(1;2)가 두 가지 작동 상태로, 즉,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 및 카메라 렌즈 옆의 열림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에 있어서,
    관통 리세스(6) 주변의 필름(4)에는 전자 장치의 표면 쪽으로 확장되는 언더컷(16)이 장착되며, 렌즈 커버(2)는 접근 표면(8)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표면(10)으로써 전자 장치의 표면상에 안착하고, 측면 평탄부(18)에 의해 언더컷(16) 아래로 연장되며, 필름(4)에 의해 형상 결합 방식으로 표면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필름(3;4)은, 접착력에 의해 자체 접착되거나 접착제로 접착되는 필름(3;4)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커버(1;2)가 평면도로 볼 때 원형의 또는 길쭉한 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 리세스(5;6)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그에 상응하게 렌즈 커버(1;2)가 직선으로 또는 곡선형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형성되거나, 전자 장치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커버(1;2)가 카메라 렌즈 전방의 닫힘 위치에 놓인 영역에서는 유색으로 형성되고, 필름(3;4)도 마찬가지로 카메라 렌즈 둘레의 영역에서는 유색으로 형성되며, 닫힘 위치에서 상기 두 영역은 서로 보완하여 폐쇄 유닛으로서의 하나의 공통 영역을 형성하거나, 시각적으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그 결과 닫힘 위치가 시각적으로 그 자체로서 두드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열림 위치에서는 유색 영역들의 국부적 분리가 이루어지고, 열림 위치도 마찬가지로 그 자체로서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커버(1;2)가 불투명하게 또는 반투명 유리로 또는 광택 마감되어 반투명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커버(1;2)가 두 가지 작동 상태를 잠그기 위해 필름(3;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잠금 부재(12)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3;4)이 카메라 렌즈 둘레의 한 부분면 또는 전자 장치의 일 측면의 전체 표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커버(1;2)가 전자 장치상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자신의 접근 표면(7;8)으로써 관통 리세스(5;6)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또는 필름(3;4)을 가진 평면 내에 또는 그 아래에 놓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언더컷(16)은 관통 리세스(6)의 단면으로 볼 때 도브테일형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로핏 스파잉 보호 장치.
KR1020207037734A 2018-05-29 2019-05-29 추가장착 탐지 보호 장치 KR20210023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2763.4A DE102018112763B3 (de) 2018-05-29 2018-05-29 Nachrüst-Ausspähschutz
DE102018112763.4 2018-05-29
PCT/DE2019/000152 WO2019228581A1 (de) 2018-05-29 2019-05-29 Nachrüst-ausspähschu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901A true KR20210023901A (ko) 2021-03-04

Family

ID=6667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734A KR20210023901A (ko) 2018-05-29 2019-05-29 추가장착 탐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15997A1 (ko)
EP (1) EP3803508A1 (ko)
JP (1) JP2021525938A (ko)
KR (1) KR20210023901A (ko)
CN (1) CN112513732B (ko)
DE (1) DE102018112763B3 (ko)
WO (1) WO2019228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5553A (zh) * 2019-03-12 2020-09-22 丽宝大数据股份有限公司 智能镜的闹钟控制方法
US11653756B2 (en) * 2021-03-30 2023-05-23 Fivo Design, Inc. Modular pane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7138U1 (ko) * 1992-05-26 1992-08-13 Bronnersberger, Ludwig, 8000 Muenchen, De
JP3793203B2 (ja) * 2004-02-12 2006-07-05 シーレックス株式会社 撮影防止用セキュリティシール及び撮影防止用セキュリティシール供給シート
KR100671696B1 (ko) * 2005-03-09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US7990469B2 (en) * 2007-02-26 2011-08-02 Intel Corporation Cleaning friendly camera privacy feature
DE202009014628U1 (de) * 2009-10-29 2010-01-07 Bornbex Handels- Und Vertriebs Gmbh & Co. Kg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Bilderfassungseinrichtung
TWI401561B (zh) * 2010-01-22 2013-07-11 Asustek Comp Inc 具影像擷取模組之筆記型電腦裝置
JP3170619U (ja) * 2011-07-12 2011-09-22 明日香 曽根 電子機器に搭載された通信カメラ用覗き見防止装置
JP3173514U (ja) * 2011-11-26 2012-02-09 明日香 曽根 スマートフォンに搭載された通信カメラ用覗き見防止装置
DE202012008921U1 (de) 2012-09-18 2012-11-23 Jörg Petzel Schutzvorrichtung für optische Linsen an Elektrogeräten
US20140198439A1 (en) * 2013-01-15 2014-07-17 David De Pietro Cover for audio and video inputs
ES2427430B2 (es) * 2013-06-24 2014-10-21 José Manuel GÓNZALEZ SÁNCHEZ Cubierta de seguridad en cámaras web con control parental
DE202013006539U1 (de) 2013-07-16 2013-10-29 Michael Egermann Kamerapflaster - ein Pflaster für die Kamera
CN103533225A (zh) * 2013-11-01 2014-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及电子设备
US9854142B2 (en) * 2014-09-19 2017-12-26 Andrew J. Freeze Security door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JP2016180970A (ja) * 2015-03-23 2016-10-13 健一 荻本 ウェブカメラ用覗き見盗撮防止カバー
DE102015014980A1 (de) * 2015-11-23 2017-05-24 Tuna Bükin Abdeckvorrichtung für ein Kameraobjektiv
DE202016001623U1 (de) * 2016-03-11 2016-06-27 Lanato GmbH Ausziehtisch "CamSafe": Aus zwei übereinander verschiebbare bzw. aufschiebbarer Kunststoffteile entsteht ein Verschlussmechanismus zum sicheren Abdecken der Kamera bei z. B. modernen Smartphones/Smart-TVs usw.
DE202016008109U1 (de) 2016-05-10 2017-02-20 Otto-Von-Guericke-Universitat Magdeburg Hülle für elektronische Geräte
US9829770B1 (en) * 2016-05-13 2017-11-28 Sol Pals, Llc Camera obstructing device
CN205945826U (zh) * 2016-05-16 2017-02-08 昆明理工大学 一种带镜头保护盖的手机壳
US9813100B1 (en) * 2016-08-25 2017-11-07 Blackberry Limited Privacy enhancing device case
US10816878B2 (en) * 2017-01-30 2020-10-27 Kameron Miller Electronic device privacy cover
DE202017001907U1 (de) 2017-04-11 2017-06-19 Benjamin Pardowitz Verschlussvorrichtung basierend auf Kunststofffolien
CN106952577A (zh) * 2017-04-12 2017-07-14 江门市艾加得电子有限公司 电子屏幕防窥装置
CN206789202U (zh) * 2017-04-12 2017-12-22 江门市艾加得电子有限公司 电子屏幕防窥装置
DE202017003715U1 (de) * 2017-07-14 2017-08-11 Daniel HEINECKE Abdeckvorrichtung
DE102017006746A1 (de) 2017-07-15 2019-01-17 Daniel HEINECKE Abdeckvorrichtung
CN206993265U (zh) * 2017-08-10 2018-02-09 深圳市同心圆进出口贸易有限公司 一种摄像头遮挡结构
US10761404B2 (en) * 2017-12-11 2020-09-01 Handstands Promo, Llc Privacy shutter for computer camera
US20200033697A1 (en) * 2018-07-27 2020-01-30 Anil Rami Slidable webcam concealing apparatus
DE102019115822A1 (de) * 2019-06-11 2020-12-17 Schreiner Group Gmbh & Co. Kg Verschlussvorrichtung zum reversiblen Verschließen einer Linse, einer Öffnung oder einer Einheit eines Gegenstands
KR20210002378U (ko) * 2020-04-17 2021-10-27 김미현 클립형 개폐식 웹캠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3732A (zh) 2021-03-16
DE102018112763B3 (de) 2019-06-19
CN112513732B (zh) 2022-07-12
WO2019228581A4 (de) 2020-02-27
EP3803508A1 (de) 2021-04-14
WO2019228581A1 (de) 2019-12-05
US20210215997A1 (en) 2021-07-15
JP2021525938A (ja)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61538S1 (en) Videoconference device
KR101936918B1 (ko) 가상 현실 헤드셋
TWI538600B (zh) 殼體結構
AU2013299337B2 (en)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053583A1 (en) Customizable Protective Case
US940844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23901A (ko) 추가장착 탐지 보호 장치
CN109151098A (zh) 电子设备
US20150207907A1 (en) Housing
US11005516B2 (en) Protective case
KR101285669B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7835966B (zh) 保护用具
EP3046262A1 (en) Protector attatching case for mobile terminal
KR20110044190A (ko) 칼라가 구비된 지문방지용 화면보호필름 및 투명 수납 케이스
JP3200002U (ja) 通信端末ケース
KR20180096641A (ko) 보호구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0690826B1 (ko) 카메라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23147B1 (ko) 렌티큘러 방식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윈도우 커버및 그 제조방법
TW201635879A (zh) 電子裝置保護殼
JP2003319233A (ja) 撮影機能付携帯情報機器
KR20150015894A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JP3192585U (ja) 保護シートで被覆されたスマートフォン
CN107317900B (zh) 一种用于对位固定立体显示膜的手机壳
JP2020170023A (ja) 携帯電話用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