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696B1 -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696B1
KR100671696B1 KR1020050019820A KR20050019820A KR100671696B1 KR 100671696 B1 KR100671696 B1 KR 100671696B1 KR 1020050019820 A KR1020050019820 A KR 1020050019820A KR 20050019820 A KR20050019820 A KR 20050019820A KR 100671696 B1 KR100671696 B1 KR 10067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camera lens
casing
camera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475A (ko
Inventor
안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696B1/ko
Priority to CNB2006100013825A priority patent/CN100430820C/zh
Publication of KR2006009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커버가 판스프링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을 향해 편향되어 있어, 보호커버의 신뢰성 있는 정지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그 보호커버의 이동 및 정지 조작에 따른 조작감이 향상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와,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카메라 렌즈를 사이에 두고 케이싱 상에 마련되며 한 쌍의 안내면을 나란하게 구비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안내면에 면하는 피안내면을 구비하고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의 이동 경로에 상응하게 상기 케이싱 상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면을 향해 편향 가압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보호커버의 신뢰성 있는 정지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그 보호커버의 이동 및 정지 조작에 따른 조작감이 향상된 채,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케이싱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데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 렌즈, 이동통신 단말기, 판스프링, 보호커버, 가이드 프레임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CAMERA LENS PROTECTING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HAVING THE SAM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주요부를 이루는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가 절개된 채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의 작용을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의 작용을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를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가이드 프레임 20: 보호커버
21: 가이드 돌기 22: 피안내면
32; 가압부 34a: 고정부
34b: 슬라이딩부 122: 안내면
T: 이동통신 단말기 L: 카메라 렌즈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된 카메라 렌즈를 보호커버를 이용하여 보호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그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전화통신 및/또는 인터넷 통신과 같은 기존의 무선통신 기능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추가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통상의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케이싱 내부에 카메라를 구비하되, 그 케이싱 상에는 빛을 투과하는 카메라 렌즈가 설치되어, 그 카메라 렌즈를 통해 케이싱 내부의 카메라가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의 렌즈가 케이싱 외측에서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므로, 렌즈 표면이 이물질, 지문 또는 스크래치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수동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흔히 채용되는 렌즈 보호커버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싱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한 카 메라 렌즈 보호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보호커버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보호커버를 케이싱 상의 가이드에 흔들림 없이 유지시키기 위해, 보호커버와 가이드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부여된다.
그러나, 상기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보호커버와 가이드 사이에 부여된 마찰력에도 불구하고, 가이드에 대한 보호커버의 신뢰성 있는 정지 조작이 어렵고, 또한, 그 보호커버를 이동 조작할 때 보호커버와 가이드 사이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커버를 케이싱 상의 가이드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보호커버가 판스프링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을 향해 편향되어 있어, 보호커버의 신뢰성 있는 정지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그 보호커버의 이동 및 정지 조작에 따른 조작감이 향상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의 보호커버를 쉽고, 신뢰성 있게 이동 및 정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해진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카메라 렌즈를 사이에 두고 케이싱 상에 마련되며, 한 쌍의 안내면을 나란하게 구비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안내면에 면하는 피안내면을 구비하고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의 이동 경로에 상응하게 상기 케이싱 상에 설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케이싱 상에 면해 있고 그 양단부 사이의 가압부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된 채 상기 보호커버의 배면에 면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면을 향해 편향 가압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커버의 피안내면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면은 서로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요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맞물림은 보호커버의 보다 신뢰성 있는 정지 조작을 가능케 해준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 각각은 일단이 케이싱 상에 면한 채 고정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케이싱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판스프링의 바람직한 탄성변형을 도와 판스프링의 영구변형을 막고 또한 보호커버의 조작감을 향상시켜주는데 기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T)는 통상의 폴더형 구조를 가지며, 폴더를 이루는 케이싱(2) 하부 측에 카메라 렌즈(L)의 보호 및 사용을 위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를 구비한다.
이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는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호커버(20)가 케이싱(2) 상에서 좌, 우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케이싱(2)에 노출된 카메라 렌즈(L)에 선택적으로 광경로를 제공하며 또한 그 카메라 렌즈(L)를 외부의 이물질 또는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의 확대도에는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의 일부가 절개되어 그 내부 구성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는 보호커버(20)와 그 보호커버(20)를 좌우로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한 가이드 프레임(10)은, 케이싱(2),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싱(2) 상에 안착 고정 또는 일체로 형성 되어진다. 특히,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은 카메라 렌즈(L)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가로부(12)를 구비하며, 그 가로부(12) 각각에는 아래쪽의 보호커버(20)를 안내하는 요철형의 안내면(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은, 상기 가로부(12)와 함께 가이드 프레임 (10)을 액자 형태로 형상화하고 보호커버(20)를 정해진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세로부(14)를 또한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세로부(14)는 일측 하단 부근이 안쪽으로 함몰되어 하나의 함몰단차(18)를 형성하는데, 이 함몰단차(18)는 이하 기술되는 판스프링(30)의 슬라이딩부(34b)가 바람직하게 끼워져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10)의 안쪽에는 전술한 보호커버(2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보호커버(20)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1)를 양 측면에 구비하는데, 이 가이드 돌기(21)의 상면은 전술한 가이드 프레임(10)의 안내면(122)에 면하는 피안내면(22)을 이룬다. 이 때, 상기 피안내면(22)은 전술한 가이드 프레임(10)의 안내면(122)에 연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물결형의 요철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프레임(10)의 안내면(122)과 보호커버(20)의 피안내면(22)은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30)에 의해 접촉상태를 유지하되, 사용자에 의한 보호커버(20)의 정지 조작시에는 상응하는 요철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보호커버(20)의 신뢰성 있는 정지를 돕고, 보호커버의 이동 조작시에는 그 요철의 연속적인 맞물림에 의해 보호커버(20)가 스텝식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한 쌍의 판스프링(30)은 보호커버(20)의 이동경로를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된 채 보호커버(20)를 가이드 프레임(10)을 향해 편향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20)의 정지력을 증가시 키고, 또한, 보호커버(20)의 바람직한 슬라이딩 이동을 돕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스프링(30)은 전술한 가이드 프레임(10)의 안쪽에 위치된 채 케이싱(2) 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고정 설치는 판스프링(30) 일단에서 절곡 형성된 고정부(34a)가 체결구(35)에 의해 케이싱(2)에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30)은 상기 고정부(34a) 반대편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채 케이싱(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하는 슬라이딩부(34b)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부(34b)는 판스프링(3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자체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판스프링(30)의 변위를 확대시켜주며, 또한, 이 변위에 대해 판스프링(30)의 영구 변형을 막아준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부(34b)는 전술한 가이드 프레임(10)의 함몰단차(18)에 의해 바람직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30)은 전술한 고정부(34a)와 슬라이딩부(34b) 사이에 가압부(32)를 구비하는데, 이 가압부(32)는 케이싱(2)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상기 보호커버(20)의 배면에 면하여 상기 보호커버(20)를 가이드 프레임(10)을 향해 편향 가압해준다. 이 때, 상기 가압부(32)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이 평면 구조를 이루어 보호커버(20)에 대한 이동 레일의 기능 또한 수행한다.
더 나아가, 전술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는 보호커버(20)와 가이드 프레임(10)의 변경 없이 판스프링(30)의 교체 또는 휨량 조절을 통해 쉽게 보호커버(20)의 조작감 및 정지력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품 제조시 보호커버(20)의 조작감 및 정지력이 확정되는 기존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의 문제점을 개 선해준다.
도 3 및 도 4는 전술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의 작용을 순서도로 보여주며,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가 카메라 렌즈(L)를 개폐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의 (a) 및 도 4의 (a)는 보호커버(20)가 판스프링(30)의 편향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0) 상에 정지된 채 카메라 렌즈(L)의 노출을 허용하는 렌즈 개방 위치를 보여준다. 이 위치에서는 카메라,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T; 도 1 참조)에 구비된 카메라가 외부 피사체에 대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가 보호커버(20)를 가볍게 눌러 좌측으로 힘을 가하면, 도 3의 (b) 및 도 4의 (b)와 같이, 보호커버(20)의 배면에 있는 판스프링(30)이 상기 보호커버(20)의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한 판스프링(30)에는 미세한 휨 탄성변형이 생기며, 이 휨 탄성변형이 상기 보호커버(20)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3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보호커버(20)의 이동과정에서, 가이드 프레임(10)과 보호커버(20)는 자체 안내면(122)과 피안내면(22)의 요철이 연속적으로 맞물리게 되며, 이 연속적인 맞물림은 보호커버(20)의 스텝식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의 (c) 및 도 4의 (c)는 보호커버(20)가 카메라 렌즈(L)를 덮어 그 카메라 렌즈(L)를 보호해주는 위치를 보여준다. 이 위치에서는, 보호커버(20)에 가해진 외력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며, 이에 의해, 판스프링(30)은 보호커버(20)를 가이 드 프레임(10)을 향해 편향 가압해준다. 이 편향 가압은 상기 보호커버(20)가 흔들림 없이 가이드 프레임(10) 상에서 바람직하게 정지되어 있도록 해준다. 게다가. 전술한 안내면(122)과 피안내면(22)이 요철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보호커버(20)의 정지력은 한층 더 배가되진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가 작동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1)는 가이드 프레임(10)의 안내면(122)과 보호커버(20)의 피안내면(22)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채 서로 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커버(20)는 도 5의 (a) 위치와 도 5의 (c) 위치 사이에서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며 일반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보호커버(2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스프링(3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0)을 향해 편향 가압되며, 그 편향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10) 상에서 바람직하게 정지되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가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명을 위해 폴더형 휴대폰이 일예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판스프링의 편향 가압력에 의해 보호커버의 신뢰성 있는 정지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그 보호커버의 이동 및 정지 조작에 따른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보호커버와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이 서로 요철면으로 맞물리는 구조를 이룰 경우, 더욱 더 신뢰성 있는 보호커버의 정지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보호커버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기존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에서 없었던 클릭감이 생기게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는 판스프링에 의해 보호커버의 정지력 및 조작감이 좌우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판스프링의 교체 또는 판스프링의 휨향 조절을 통해 쉽게 보호커버 정지력 및 조작감을 조절할 수 있다는 추가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케이싱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 상에 마련되며, 한 쌍의 안내면을 나란하게 구비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안내면에 면하는 피안내면을 구비하고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의 이동 경로에 상응하게 상기 케이싱 상에 설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케이싱 상에 면해 있고 그 양단부 사이의 가압부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된 채 상기 보호커버의 배면에 면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면을 향해 편향 가압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피안내면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안내면은 서로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요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 각각은 일단이 케이싱 상에 면한 채 고정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단이 상기 케이싱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면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9820A 2005-03-09 2005-03-09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820A KR100671696B1 (ko) 2005-03-09 2005-03-09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CNB2006100013825A CN100430820C (zh) 2005-03-09 2006-01-19 相机镜头保护装置及装有该装置的相机多用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820A KR100671696B1 (ko) 2005-03-09 2005-03-09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75A KR20060097475A (ko) 2006-09-14
KR100671696B1 true KR100671696B1 (ko) 2007-01-19

Family

ID=3699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820A KR100671696B1 (ko) 2005-03-09 2005-03-09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1696B1 (ko)
CN (1) CN1004308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21B1 (ko) * 2005-08-0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1539706B (zh) * 2008-03-18 2011-06-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
DE102018112763B3 (de) * 2018-05-29 2019-06-19 Yusuf Güzel Nachrüst-Ausspähschutz
CN109218474A (zh) * 2018-09-07 2019-01-15 安顺云首创科技开发有限公司 直板式可拍照手机的镜头防尘机构
CN110113465A (zh) * 2019-04-18 2019-08-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158A (ko) * 1999-11-03 2001-06-05 김영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전화기
JP2001309003A (ja) 2000-04-24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KR20040037693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04003802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040097659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75669B (ko) * 1994-09-21 1996-05-11 Haking Ind Mechanics & Optiks
JP2000029094A (ja) * 1998-07-09 2000-01-28 Minolta Co Ltd カメラ
JP2003241262A (ja) * 2002-02-18 2003-08-27 Advanex Inc レンズカバー
JP4119764B2 (ja) * 2003-02-13 2008-07-16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
CN2677968Y (zh) * 2004-01-18 2005-02-09 赛龙通信技术(深圳)有限公司 短行程镜头盖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158A (ko) * 1999-11-03 2001-06-05 김영수 동영상메세지를 선별하여 송신할 수 있는 화상전화기
JP2001309003A (ja) 2000-04-24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KR20040037693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04003802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20040097659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0820C (zh) 2008-11-05
KR20060097475A (ko) 2006-09-14
CN1831629A (zh)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696B1 (ko)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및 이를 갖는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3012B1 (ko) 슬라이드 기구, 전자 기기 및 휴대 장치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950859B2 (en) Lens cov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640321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124792B1 (ko)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1793568A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EP1783983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49110B1 (ko) 반자동 슬라이드 힌지.
KR101428737B1 (ko) 슬라이드 기기
KR100751942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100710319B1 (ko)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폰
KR20060130359A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33418B1 (ko) 슬라이딩 장치
KR100963167B1 (ko) 유선완충쿠션부가 구비된 도어용 손보호구
KR100660940B1 (ko) 레일을 따라 가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374453Y1 (ko) 슬라이딩 장치
KR100699527B1 (ko) 슬라이드 힌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690858B1 (ko) 셔터 어셈블리와 그 셔터 어셈블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36329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0927966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3164371U (ja) 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