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92B1 -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92B1
KR101124792B1 KR1020107002063A KR20107002063A KR101124792B1 KR 101124792 B1 KR101124792 B1 KR 101124792B1 KR 1020107002063 A KR1020107002063 A KR 1020107002063A KR 20107002063 A KR20107002063 A KR 20107002063A KR 101124792 B1 KR101124792 B1 KR 10112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housing member
hous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047A (ko
Inventor
오코 린드그렌
미카 페트리 리포넨
토니 자비탈로
사라 란니코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4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Abstract

본원 발명에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가능한 정자 장치는 하우징과, 전자 회로와,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는 하우징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기구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재 사이에 있고, 캠 섹션과 작동기를 포함하고 있다. 캠 섹션은 제 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기는 캠 섹션의 제 1 측부와 접촉하고 있다. 작동기의 제 1 단부는 제 1 하우징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제 2 하우징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는 작동기가 캠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2 하우징 부재는 작동기가 캠 섹션의 제 1 측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ELECTRONIC DEVICE SLIDE-MECHANISM ADAPTED TO SLIDE IN TWO DIRECTIONS}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더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용 슬라이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가 점점 더 정교해짐에 따라, 이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디지탈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네비게이션 시스템, 게임 능력, 인터넷 브라우저 용도와 같은 용도를 포함함으로써 증가하는 양의 기능을 제공한다. 증가된 기능을 가진 이러한 장치 중 대부분은 하나 이상의 구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다중 구성으로 판명된 슬라이드 폰과 같은 슬라이드 가능한 하우징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소비자가 전자 장치에 대해 증가된 기능을 요구함에 따라, 증가된 능력을 가지는 동시에 튼튼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개선된 전자 장치 슬라이드 기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전자 회로와,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는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 사이에 있다. 슬라이드 기구는 캠 섹션과 작동기를 포함하고 있다. 캠 섹션은 제 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동기는 캠 섹션의 제 1 측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동기의 제 1 단부는 제 1 하우징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는 작동기가 캠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는 작동기가 캠 섹션의 제 1 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전자 회로와, 슬라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연결부는 제 2 하우징 부재를 제 1 하우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연결부는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상단부 위로 이동할 때 반자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반대측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하단부 아래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는 하우징과, 전자 회로와, 작동기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는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작동기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단부는 제 1 하우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단부는 제 2 하우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는 작동기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하우징 부재에 대해 제 1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는 작동기가 상이한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하우징 부재에 대해 상이한 제 2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부재가 제공된다. 이 제 1 하우징 부재에 캠 섹션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부재에는 작동기의 제 1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제 2 하우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단부는 캠 섹션의 일 측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회로는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술한 측면 및 다른 특징을 설명하겠다.
도 1은 폐쇄 위치에서의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전방 직립도,
도 3은 제 1 개방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전방 직립도,
도 4는 제 2 개방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전방 직립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드 기구의 리벳 연결부에서 취한 횡단면도,
도 7은 제 1 개방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8은 제 2 개방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11은 제 1 개방 위치에서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12는 제 2 개방 위치에서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13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14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의 전방 직립도.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특징이 통합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많은 다른 변형 실시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태, 종류의 구성요소 또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10)는 멀티 기능의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이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이 예를 들어, 모바일 폰, 게임 장치, 뮤직 플레이어 또는 PDA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소형의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는 카메라, 뮤직 플레이어, 게임 플레이어,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특징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2)과 전자 회로(14)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14)는 예를 들어, 트랜스시버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기와,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2)은 제 1 하우징 부재(16)와 제 2 하우징 부재(18)를 포함하고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2개를 초과하는 하우징 부재가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 2 하우징 부재(18)는 제 1 하우징 부재(16)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2 하우징 부재(1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폐쇄 위치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개방 위치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제 1 하우징 부재(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부재(16)는 제 1 하우징 부재(16)의 제 1 단부(22)의 제 1 사용자 입력 영역(20)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사용자 입력 영역(20)은 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 또는 키매트일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 영역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 1 사용자 입력 영역(20)은 상기 전자 장치(10)가 제 1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시적이고 접근가능하다. 이러한 제 1 개방 위치에서, 제 2 하우징 부재(18)의 제 1 단부(23)가 전자 장치(10)의 상단부(25) 위에 있다.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부재(16)는 제 1 하우징 부재(16)의 제 2 단부(26)에 제 2 사용자 입력 영역(24)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사용자 입력 영역(24)은 예를 들어 제어 버튼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영역이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 2 사용자 입력 영역(24)은 전자 장치(10)가 제 2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시적이고 접근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개방 위치에서, 제 2 하우징 부재(18)의 제 2 단부(27)가 전자 아치(10)의 하부 단부(29) 위에 있다.
제 2 하우징 부재(18)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8) 및 제 3 사용자 입력 영역(30)을 포함하고 있다. 제 3 사용자 입력 영역(30)은 예를 들어, 다기능 키와 제어 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영역이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 2 하우징 부재는 예를 들어, 카메라(32)와, 광센서(34)와, 이어 피스(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부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38)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구(또는 슬라이드 연결부)(38)는 제 1 플레이트(40)와, 제 2 플레이트(42)와, 스프링 작동기(44)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플레이트(40)는 제 1 하우징 부재(16)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플레이트(42)는 제 2 하우징 부재(18)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40, 42)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재(16, 18)에 연결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40, 42)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재(16, 1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슬라이드 기구(38)는 제 1 플레이트(40)와 제 2 플레이트(42) 사이에 있다. 제 2 플레이트(42){그리고, 연결된 제 2 하우징 부재(18)}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또한,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폐쇄 위치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제 1 개방 위치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제 2 개방 위치 사이에 제 1 플레이트(40){그리고, 제 1 하우징 부재(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작동기(44)는 제 1 플레이트(40)와 제 2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작동기는 제 1 스프링 프레임 부재(46)와, 제 2 스프링 프레임 부재(48)와, 스프링 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5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작동기(44)에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부재가 필요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대신에, 작동기(44)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또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작동기(44)는 2개의 스프링 부재 또는 탄성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는, 임의의 개수의 스프링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50)의 대향 단부는 스프링 프레임 부재(46, 48)의 단부(52, 54)를 장착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 1 스프링 프레임 부재(46)와 제 2 스프링 프레임 부재(48)는 스프링 부재(50)의 스프링력이 장착 단부(52, 54) 상에 가해질 수 있도록 서로에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스프링 프레임 부재(46)의 연결 단부(56)가 제 1 플레이트(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단부(56)는 회전 운동을 허용하는 리벳팅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제 1 플레이트 또는 제 1 모듈(40)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 프레임 부재(48)의 연결 단부(58)가 제 2 플레이트(42)의 슬롯(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단부(58)는 회전 운동과, 선형 슬라이딩과, 슬롯(60) 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법 또는 리벳팅{도 6에서의 리벳(62)을 참조하라}에 의해 제 2 플레이트 또는 제 2 모듈(42)에 부착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슬롯(60)이 실질적으로 직선형을 갖고 있고, 전자 장치(10)의 길이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배치를 갖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38)는 제 1 플레이트(40)에 부착되어 있는 캠 섹션(64)을 포함하고 있다. 캠 섹션(64)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 1 플레이트(4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는 제 1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캠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캠 섹션(64)은 제 1 측부 또는 제 1 프로파일(66)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측부(66)는 2개의 정지 영역(68, 70)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체로 경사진 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변형예는 스프링 작동기(44)를 접촉시키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프로파일 형상을 가진 캠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프링 프레임 부재(48)의 연결 단부(58)는 캠 섹션(64)의 제 1 측부(66)를 따라 슬라이딩 또는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단부(58)가 제 1 측부의 정지 영역(68, 70) 사이에서 슬라이딩 또는 롤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롤러(72)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38)는 하우징 부재(16, 18)의 반자동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를 폰 모드(도 3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음)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폐쇄 위치(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제 1 개방 위치로 전자 장치(10)의 구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Y 방향 화살표(74)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제 2 하우징 부재를 밀어서 "롱 스트로크(long stroke)" 이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 2 플레이트(42)가 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 부재(50)의 힘에 대항하여 스프링 프레임 부재(46, 48)가 이동하게 된다. 연결 단부(56)가 플레이트(40)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연결 단부(58)가 슬롯(60) 내에서 회전하며, 스프린트 작동기(44)가 도 5 및 도 7의 위치 사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여기에서, 연결 단부(58)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에 따라, 이러한 이동이 제공된다. 이러한 이동을 통한 대략 중간에, 장착 단부(52, 54)는 그 최대 이격 거리에 도달하고, 이어서 스프링력의 도움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스프링 프레임 부재(46, 48)의 스프링 보조 상대 이동은 하우징 부재(16, 18) 사이의 반자동 이동을 제공한다. 반자동 이동은 스프링력을 극복하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인 제 1 부분의 이동과, 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인 제 2 부분의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제 1 하우징 부재는 제 2 하우징 부재로부터 길이방향(Y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제 1 입력 영역(20)으로 접근을 허용하게 된다. 초기 수동 이동은 예를 들어 손 또는 트리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오프셋 또는 개방 길이는 예를 들어 30㎜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이 개방 길이 또는 "롱 스트로크"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를 도 1, 도 2 및 도 5의 구성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전술한 이동과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반대방향 이동이 수행된다. 하우징 부재(16, 18)가 도 1, 도 2 및 도 5의 구성으로 복귀함에 따라, 중간 로킹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이동이 정지된다. "정지" 이동은 스프링 부재(50)의 스프링력과, 슬롯(60)의 각도와, 캠 프로파일(66)의 소정의 조합에 의해 조성된다.
전자 장치(10)의 구성을 폐쇄 위치(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됨)로부터 전자 장치가 카메라 또는 영상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제 2 개방 위치(도 4 및 도 8에 도시됨)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Y 방향 화살표(74)와 대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제 2 하우징 부재를 눌러서 "쇼트 스트로크(short stroke)" 이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것은 Y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 2 플레이트(42)를 이동시키고, 스프링 프레임 부재(46, 48)를 스프링 부재(50)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연결 단부(56)가 플레이트(40)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연결 단부(58)가 슬롯(60)의 길이부를 따라 회전하며, 스프린트 작동기(44)가 대체로 도 5와 도 8의 위치 사이에서 반시계방향으로{여기서, 연결 단부(58)는 제 2의 상이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회전함에 따라, 이러한 이동이 제공된다. 이러한 이동의 대략 중간에서, 장착 단부(52, 54)는 그 최대 이격 거리에 도달하고, 그 후 스프링력의 도움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스프링 프레임 부재의 스프링 보조 상대 이동은 하우징 부재(16, 18) 사이에서의 반자동 이동을 제공한다. 반자동 이동은 수동인(사용자가 스프링력을 극복함으로써) 제 1 부분의 이동과, 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적인 제 2 부분의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 초기 수동 이동은 예를 들어 손 또는 트리거(trigger)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쇼트 스트로크" 이동은 연결 단부(58)를 캠 섹션(64)의 제 1 정지 영역(68)으로부터 캠 섹션(64)의 제 2 정지 영역(70)(방향 76)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 1 하우징 부재가 제 2 하우징 부재로부터 종방향{Y 방향 (74)}으로 오프셋되게 되고, 제 2 입력 영역(34)으로 접근가능하게 된다. 오프셋 또는 개방 길이는 예를 들어 12 ㎜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이러한 개방 길이 또는 "쇼트 스트로크"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를 도 1, 도 2 및 도 5의 구성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전술한 이동과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반대방향 이동이 수행된다. 하우징 부재(16, 18)가 도 1, 도 2 및 도 5의 구성으로 복귀함에 따라, 중간 로킹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이동이 정지하게 된다. "정지" 이동은 스프링 부재(50)의 스프링력과, 슬롯(60)의 각도와, 캠 프로파일(66)의 소정의 조합에 의해 조성된다.
"쇼트 스트로크" 이동은 스프링 부재(50)와, 캡 프로파일(66)과, 슬롯(60)의 각도의 소정의 조합으로 인하여 또는 쇼트 스트로크가 약 12 ㎜보다 훨씬 더 길기 때문에 반자동 이동이 아닐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의 "쇼트 스트로크" 이동은 수동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하우징 부재(16, 18)를 중간 로킹 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 부분은 수동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10)용의 반자동 듀얼 슬라이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능한 한 가지 용도는 슬라이드 폰을 개방 및 폐쇄하여, 예를 들어 ITU 키매트와 같은 제 1 사용자 입력 영역(20)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 캠 섹션(64)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 작동기(44)의 회전을 이용하여 반자동 이동을 조성한다. 다른 가능한 용도는 슬라이드 폰을 개방 및 폐쇄하여, 제 2 사용자 입력 영역(24)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 캠 프로파일(66)을 따른 스프링 작동기(44)의 회전을 이용하여 반자동 이동을 조성한다. 추가로, 변형예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의 하우징 부재(16, 18)의 복수(2개의 이동보다 많은)의 이동이 개시된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인 구성은 스프링 작동기 일방향 슬라이드의 반자동 기능을 가진 스프링 작동기를 제공한다. 일방향 슬라이드에 있어서, 작동기의 양단부는 리벳 결합되거나, 또는 모든 방향에서 슬레지(sledge) 또는 플레이트에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듀얼 슬라이드는 수평 방향{Y 방향(74)에 수직하는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작동기에 의해 통상적으로 작동된다.
개시된 슬라이드 기구는 수직 방향/종방향{Y 방향(74)}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한다. 그러나, 슬라이드 기구는 임의의 적절한 방향으로 추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개시된 슬라이드 기구는 동일한 스프링 작동기를 사용하면서, 회전 스프링 원리(또는 "롱 스트로크" 이동") 및 캠/스프링 원리(또는 "쇼트 스트로크" 이동)의 2개의 스프링 보조 슬라이딩 원리를 조합하는 신규함 및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캠/스프링 기구에 있어서, 스프링력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약 90°의 각도를 갖고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프링력이 이동의 캠 보조 부분에 있어서 약 30°내지 약 60° 사이에서 회전한다.
전체 슬라이딩 기구는 스프링력이 주로 슬라이딩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 스프링 원리의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오직 2개의 단부 위치만을 갖는다). 그리고, 캠/스프링 원리는 복수의 엔드/레스트(end/rest) 위치를 갖는다(그러나, 스프링력은 캠의 도움으로 약 90° 회전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덜 효율적이고 다소 불편하다).
개시된 슬라이드 기구는 ITU 키매트를 개방 및 폐쇄할 때에 슬라이드 폰을 개방 및 폐쇄하는 우수한 반자동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책에 있어서, 작동기가 슬라이딩에 의해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추종하도록 하향 이동(또는"쇼트 스트로크" 이동)이 수행된다. 추가로, 우수한 반자동 기능의 도움으로 ITU-키매트를 노출 및 은닉하는 것은 큰 장점이다. 이로 인하여 개시된 슬라이드 기구가 모든 적절한 용도에 걸쳐 사용될 수 있게 되고, 모든 모바일 폰 제조자를 비롯한 경쟁자가 이러한 컨셉에 의한 이익을 실현하게 되는 상업적 가치가 있게 된다.
이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13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138)는 슬라이드 기구(38)와 유사하다. 슬라이드 기구(138)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 작동기(144)와, 제 1 플레이트(140)와, 제 2 플레이트(142)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138)와 슬라이드 기구(38) 사이의 하나의 차이점은 캠 섹션(164)의 형상 및 위치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 섹션(164)은 제 1 플레이트(140)의 측부에 인접하여 있다. 캠 섹션(164)의 프로파일(166)은 비선형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추가로, 슬롯(160)은 각진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138)의 "롱 스트로크" 및 "쇼트 스트로크" 이동은 제 1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슬라이드 기구(138)와 슬라이드 기구(38) 사이의 다른 차이점은 스프링 작동기(144)의 구성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작동기(144)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150)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15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변형 실시예는 임의의 적절한 스프링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작동기(144)에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부재가 필요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대신, 작동기(144)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또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작동기(144)는 하나의 스프링 부재 또는 탄성 부재(1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임의의 개수의 스프링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폐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의 구성을 폐쇄 위치(도 1, 도 2,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제 1 개방 위치(도 3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음)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Y 방향 화살표(174)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직 방향으로 제 2 하우징 부재를 눌러서 "롱 스트로크" 이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것은 제 2 플레이트(142)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 프레임 부재(146, 148)를 스프링 부재(150)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전자 장치의 구성을 폐쇄 위치(도 1, 도 2,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제 2 개방 위치(도 4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음)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Y 방향 화살표(174)와 반대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제 2 하우징 부재를 눌러서 "쇼트 스트로크" 이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것은 제 2 플레이트(142)를 Y 방향 화살표(174)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 프레임 부재(146, 148)를 스프링 부재(150)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23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238)는 슬라이드 기구(38)와 유사하다. 슬라이드 기구(238)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240)와, 제 2 플레이트(242)와, 스프링 작동기(244)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238)와 슬라이드 기구(38) 사이의 하나의 차이점은 스프링 구성이다. 도 13에 도시되어 잇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250)는 일반적인 곡선 구성인 제 2 플레이트(242)와 제 1 플레이트(240)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 부재(250)의 제 1 단부(278)는 제 1 플레이트(2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50)의 제 2 단부(280)는 제 2 플레이트(242)의 슬롯(2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부재가 굽혀짐에 따라(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연장/압축의 결과로 인한 작용력에 대항하여) 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된다. 스프링 부재(250)는 예를 들어 밴드 스프링(band spring) 또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일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스프링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작동기(244)에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부재가 필요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대신, 작동기(244)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또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작동기(244)는 3개의 스프링 부재 또는 탄성 부재(2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임의의 개수의 스프링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드 기구(238)의 롱 스트로크" 및 "쇼트 스트로크" 이동은 제 1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13에는 폐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치를 폐쇄 위치(도 1, 도 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제 1 개방 위치(도 3에 도시되어 있음)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Y 방향 화살표(274)로 도시되어 있는 수직 방향으로 제 2 하우징 부재를 눌러서 "롱 스트로크" 이동을 개시하게 한다. 이것은 제 2 플레이트(242)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 부재(250)의 힘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반자동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전자 장치의 구성을 폐쇄 위치(도 1, 도 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제 2 개방 위치(도 4에 도시되어 있음)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Y 방향 화살표(274)에 반대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제 2 하우징 부재를 눌러서 "쇼트 스트로크" 이동을 개시하게 된다. 이것은 제 2 플레이트(242)를 Y 방향 화살표(274)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 부재(250)의 힘은 제 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캠 프로파일(266)을 따르는 반자동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이제,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33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기구(338)는 슬라이드 기구(238)와 유사하다. 슬라이드 기구(338)는 제 3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플레이트(340)와, 제 2 플레이트(342)와, 스프링 작동기(344)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드 기구(338)와 슬라이드 기구(238) 사이의 하나의 차이점은 슬롯(360) 및 캠 섹션(364)의 배향이다. 슬롯(360) 및 캠 섹션(364)은 일반적으로 캠 섹션(264) 및 슬롯(260)의 배향과 비교되는 경사진 배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배향으로 인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일반적인 "롱 스트로크" 및 "쇼트 스트로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350)는 일반적인 곡선 구성의 제 1 플레이트(340)와 제 2 플레이트(342)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 부재(350)의 제 1 단부(378)는 제 1 플레이트(3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50)의 제 2 단부(380)는 제 2 플레이트(342)의 슬롯(3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는 스프링 부재가 제 3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굽혀지고 작동됨에 따라 스프링력을 행사한다.
슬라이드 기구의 개시된 실시예는 하우징 부재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신규한 구성요소 및 특징부를 제공한다. 특히, 개시된 슬라이드 기구는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스프링 작동기(이것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와, 하우징 부재 중 하나에 연결된 캠 섹션(이것은 다양한 캠 프로파일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과, 슬라이드 기구의 플레이트(슬라이더 플레이트) 중 하나의 내부의 슬롯을 제공한다. 개시된 구성요소는 통상적인 슬라이드 폰 및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비해 신규하고 개선된 슬라이드 기구 구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형, 수정 및 변경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10 : 전자 장치 12 : 하우징
14 : 전자 회로 16 : 제 1 하우징
18 : 제 2 하우징 20 : 제 1 사용자 입력 영역
24 : 제 2 사용자 입력 영역 28 : 디스플레이 스크린
30 : 제 3 사용자 입력 영역 32 : 카메라
34 : 광센서 38 : 슬라이드 기구
40 : 제 1 플레이트 42 : 제 2 플레이트
44 : 스프링 작동기 46 : 제 1 스프링 프레임 부재
48 : 제 2 스프링 프레임 부재 50 : 스프링 부재
64 : 캠 섹션 68, 70 : 정지 영역

Claims (37)

  1.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슬롯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자 회로와,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 사이의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캠 섹션과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캠 섹션은 제 1 하우징 부재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는 상기 캠 섹션의 제 1 측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기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가 상기 슬롯에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상기 작동기가 캠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상기 작동기가 상기 캠 섹션의 제 1 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슬롯의 단부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3개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3개의 위치 사이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3개의 위치 사이에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를 중간 로킹 위치에서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제 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를 중간 로킹 위치에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를 반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를 반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30㎜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제 2 방향으로 12㎜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의 스프링력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4.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자 회로와,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를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캠 섹션과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상단부 위로 이동할 때 반자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대향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하단부 아래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캠 섹션은 상기 하우징 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단부 위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기에 근접하며, 상기 캠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대향 단부가 하단부 아래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기로부터 이격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먼저 이동할 때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스프링력이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상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 자동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손 또는 트리거에 의해 수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향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먼저 이동할 때에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손 또는 트리거에 의해 수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대향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하단부 아래로 이동할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대향 단부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하단부 아래로 수동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사이에 제 1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사이에 제 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를 중간 로킹 위치에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4.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입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상단부 위에 있을 때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입력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의 대향 단부가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하단부 아래에 있을 때 접근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연결부는 2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7.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부재와 제 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슬롯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자 회로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슬롯에서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상기 작동기가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대해 제 1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상기 작동기가 상이한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대해 상이한 제 2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들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슬롯의 단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제 1 회전방향으로 90°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제 2 회전방향으로 30° 내지 60°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의 스프링력의 방향은 상기 제 1 종방향에 대해 예각인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밴드 스프링인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상기 하우징 부재들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슬롯의 단부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제 1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슬롯의 단부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가 상이한 제 2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슬롯의 길이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37.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캠 섹션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작동기의 제 1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기의 제 2 단부를 제 2 하우징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단부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캠 섹션의 측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단부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캠 섹션의 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연결 단계와,
    상기 하우징 부재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전자 회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1020107002063A 2007-06-29 2008-06-25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4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771207P 2007-06-29 2007-06-29
US60/937,712 2007-06-29
US11/904,505 US20090005135A1 (en) 2007-06-29 2007-09-26 Electronic device slide mechanism
US11/904,505 2007-09-26
PCT/IB2008/052553 WO2009004536A2 (en) 2007-06-29 2008-06-25 Electronic device slide- mechanism adapted to slide in two dir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047A KR20100049047A (ko) 2010-05-11
KR101124792B1 true KR101124792B1 (ko) 2012-03-23

Family

ID=4016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063A KR101124792B1 (ko) 2007-06-29 2008-06-25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05135A1 (ko)
EP (1) EP2168362B1 (ko)
KR (1) KR101124792B1 (ko)
CN (1) CN101720549A (ko)
BR (1) BRPI0812898A2 (ko)
WO (1) WO20090045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0652A1 (en) * 2006-01-25 2007-08-09 Makoto Miyamoto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853301B2 (en) * 2006-09-19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460033A (zh) * 2007-12-11 2009-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US8064973B2 (en) * 2007-12-20 2011-11-22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slide
US8391935B2 (en) * 2009-03-23 2013-03-05 T-Mobile Usa, Inc.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US8023975B2 (en) * 2009-03-23 2011-09-20 T-Mobile Usa, Inc. Secondary status display for mobile device
US8224407B2 (en) * 2009-03-23 2012-07-17 T-Mobile Usa, Inc.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displa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0288248A (ja) * 2009-05-15 2010-12-24 Fujitsu Ltd 携帯機器
KR101354217B1 (ko) * 2009-08-07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기기
JP4781473B1 (ja) * 2010-03-11 2011-09-28 三菱製鋼株式会社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US8427829B2 (en) * 2011-05-06 2013-04-23 Shin Zu Shing Co., Ltd. Dual directional sliding hinge and portable device
CN102858117A (zh) * 2011-06-30 2013-01-0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机构
US8657497B2 (en) * 2011-07-29 2014-02-25 First Dome Corporation Slide-rail stabilizing structure of relative sliding device
CN103152447B (zh) * 2011-12-07 2016-03-30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电子装置
KR20150051773A (ko) * 2013-11-05 2015-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1614817B (zh) * 2020-05-27 2021-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65A (ko) * 2004-03-17 2005-09-23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세미오토식의 슬라이드장치
KR20070008363A (ko) * 2005-07-13 2007-01-17 추종철 다단 슬라이딩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044B2 (en) * 2004-06-02 2007-10-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ext disambiguation
KR200361808Y1 (ko) * 2004-06-04 2004-09-16 조용수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의 슬라이딩장치
WO2006098590A1 (en) 2005-03-16 2006-09-21 Jong Chul Choo Slid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it
KR100909474B1 (ko) * 2005-08-10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결함지수를 사용하여 국부성 불량 모드를 갖는결함성 반도체 웨이퍼의 검출 방법들 및 이에 사용되는장비들
US20070060220A1 (en) * 2005-09-14 2007-03-15 An-Szu Hsu Gliding structure for glide-open type mobile phone
KR100843584B1 (ko) * 2007-04-10 2008-07-03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665A (ko) * 2004-03-17 2005-09-23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세미오토식의 슬라이드장치
KR20070008363A (ko) * 2005-07-13 2007-01-17 추종철 다단 슬라이딩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4536A3 (en) 2009-02-19
EP2168362A2 (en) 2010-03-31
WO2009004536A2 (en) 2009-01-08
EP2168362B1 (en) 2014-08-13
CN101720549A (zh) 2010-06-02
KR20100049047A (ko) 2010-05-11
BRPI0812898A2 (pt) 2014-12-09
US20090005135A1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92B1 (ko)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060166B2 (en) Slide mechanism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equipment
KR200600192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134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20120056520A1 (en) Front panel assembly having a sliding door mechanism
US8634184B2 (en) Portable apparatus and sliding device thereof
EP1830542A2 (en) Spring loaded sliding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285074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rising mechanism
KR10067819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756147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TWI395452B (zh) 行動電話的滑移式開啟及關閉機構
KR20070018349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1006046B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립체
KR101235940B1 (ko)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JP4810454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2010103998A (ja) キーパッド内蔵型携帯電話機用スライドヒンジモジュール
KR20040299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20070055863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3625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JP4783766B2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KR100833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80501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