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359A -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359A
KR20060130359A KR1020050050990A KR20050050990A KR20060130359A KR 20060130359 A KR20060130359 A KR 20060130359A KR 1020050050990 A KR1020050050990 A KR 1020050050990A KR 20050050990 A KR20050050990 A KR 20050050990A KR 20060130359 A KR20060130359 A KR 2006013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rear surface
portable terminal
guid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8199B1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99B1/ko
Priority to US11/375,059 priority patent/US7580267B2/en
Priority to CNA2006100879669A priority patent/CN1881988A/zh
Priority to EP06012135A priority patent/EP1734725B1/en
Publication of KR2006013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시키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봉들;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두께를 줄여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슬라이딩, 슬림화, 가이드 봉, 결합 부재

Description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을 길이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모드로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어 가는 추세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 디자인이 다양화되면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슬라 이딩형 단말기가 점차 상용화되는 추세이다.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하나의 하우징 일면에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하우징 일면에 가이드 돌기를 돌출시킨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가 있다. 그러나,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간 전체에 걸쳐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다소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폴더형 단말기의 힌지 장치와 같이 일정 구간에서는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나머지 구간에서는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국내 특허 제484,732호(2005년 4월 13일;미국 공개특허 제2004/85739A1 2004년 5월 6일)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딩 가이드, 스프링 모듈 등이 하우징들 사이에 적층된 구성으로서,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이 편리한 반면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스프링 모듈을 조립하여 단말기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복잡하여 조립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구간에서 는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나머지 구간에서는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시키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봉들;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100)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1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제1 하우징(201)과,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202)으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에는 키패드(211)와 송화부(2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202)의 일면에는 기능성 키패드(219), 디스플레이 장치(215) 및 수화부(2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키패드(211)와 송화부(213)가 개폐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모듈(100)은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01)와,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봉(121)들을 구비한다.
도 1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 상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는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양 측단에는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oxymethylene) 재질로 제작된 가이드 리브(111)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11)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관통홀 (11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는 견고성, 신뢰성 등을 고려하여 금속성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에는 상기 제1 하우징(201)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스크류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 스크류 홀들은 상기 제1 하우징(201)과 가이드 플레이트(101)의 체결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 리브(111)의 체결도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봉(121)들은 각각 그의 양단이 상기 제2 하우징(202) 상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111)의 관통홀(113)을 통해 상기 가이드 리브(1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가이드 봉(121)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폴리옥시메틸렌 재질의 상기 가이드 리브(111)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봉(121)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에는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 홈(2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221)들은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봉(121)들이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홈(221) 상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브 봉(121)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02)에는 결합 부재(103)가 조립된다. 상기 가이드 홈(221)들의 일단 내벽은 각각 폐쇄된 상태이며, 타단 내벽에는 결합홀(223)이 형성되어 개방된 상태이다. 즉, 상기 가이드 홈(221)들은 상기 결합홀(223)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202)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 부재(103)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홀(223)을 폐쇄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결합 부재(103)는 상기 결합홀(223)을 통해 일부분이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 봉(121)들이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으로 노출된 결합 부재(103)에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 부재(103)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결합 리브(131)와, 상기 결합 리브(131)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233)을 폐쇄시키는 결합 돌기(133)들과, 상기 결합 돌기(133)들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121)들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홀(135)들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홀(135) 내에서 상기 가이드 봉(121)들의 단부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홀(135) 내에는 탄성을 갖는 댐퍼(123a)가 더 수용된다.
상기 가이드 홈(221)의 일단에는 또 다른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221)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홀(223)은 상기 가이드 봉(121)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홈(221) 일단의 결합홀(223)에는 또 다른 댐퍼(123b)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봉(121)의 타단이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댐퍼(123a, 123b)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221) 상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가 상기 제2 하우징(20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홈(221)들의 단부 벽에 부딪혀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 봉(121)들의 양단이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리브(111)들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201) 상에 고정된 가이드 플레이트(1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202)은 상기 슬라이딩 모듈(100)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2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모듈(100)은 일정 구간 내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을 완전히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10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04)은 탄성력을 축적시킬 수 있는 코일(141)과, 상기 코일(141)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단(143)들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단(143)들 중 하나는 그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02)의 후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 상에 형성된 스프링 홀(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 하우징(201) 상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션 스프링(104)의 고정단(143)들은 점차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하는 위치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간 내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의 구간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104)은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 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타측의 구간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104)은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2 하우징(202)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은 상기 키패드(211)와 송화부(213)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간으로 한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에 장착된 가이드 플레이트(101)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폐쇄된 상태임에 유의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개폐동작과, 상기 슬라이딩 모듈(100), 구체적으로 상기 토션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한 구동력이 작용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을 완전히 폐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01)는 상기 가이드 홈(221)들의 상단에 위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한 위치 일측의 구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을 완전히 폐쇄시킨 때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멀어지게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202)을 점차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고정단(143)들이 점차 근접하면서 상기 코일(141)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한 위치를 지날 때까지 상기 코일(141)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1 하우징(201)을 다시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202)을 더 이동시켜 상기 고정단(143)들이 서로 근접하는 위치를 지나면 상기 코일(141)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 즉 상기 키패드(211)와 송화부(213)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지날 때까지만 상기 제2 하우징(2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이 개방된다.
도 5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일면을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한 위치 타측의 구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의 키패드(211)와 송화부(213)를 완전히 개방시킨 때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멀어지게 위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201)을 다시 폐쇄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을 다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201)을 개방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단(143)들이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지날 때까지만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2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202)은 상기 제1 하우징(201)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이드 봉들을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직접 설치하고, 제2 하우징의 후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제1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가이드 리브를 수용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봉들은 상기 가이드 리브를 관통하게 결합되므로, 슬라이딩 모듈 및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일정 구간에서는 제1 하우징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나머지 구간에서는 제1 하우징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반자동 개폐동작을 구현시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봉들을 제2 하우징에 직접 설치하면서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시키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상기 제2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봉들;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장착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으로 노출되는 결합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으로 노출된 결합 부재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의 내벽이 개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가이드 홈들의 개방된 내벽을 폐쇄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의 일단은 각각 상기 가이드 홈들의 타단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홈들 일단 내벽을 폐쇄시킨 결합 부재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된 가이드 리브들;
    상기 가이드 리브들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봉들이 각각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홀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 들은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oxymethylene)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금속성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가이드 봉들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는 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은 각각 그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 홈의 양단부 내벽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고정단들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단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단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범위 이내에서 상기 고정단들의 단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가 존재하고,
    상기 고정단들의 단부가 서로 가장 근접한 위치의 일측에 위치된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고,
    상기 고정단들의 단부가 서로 가장 근접한 위치의 타측에 위치된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2 하우징의 후면 사이에 한 쌍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 측단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가이드 리브들; 및
    상기 가이드 리브들 각각에 형성되는 관통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은 각각 그의 양 단부가 상기 가이드 홈들의 양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50990A 2005-06-14 2005-06-14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7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90A KR100678199B1 (ko) 2005-06-14 2005-06-14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375,059 US7580267B2 (en) 2005-06-14 2006-03-15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CNA2006100879669A CN1881988A (zh) 2005-06-14 2006-06-08 具有滑动模块的便携式终端
EP06012135A EP1734725B1 (en) 2005-06-14 2006-06-13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990A KR100678199B1 (ko) 2005-06-14 2005-06-14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359A true KR20060130359A (ko) 2006-12-19
KR100678199B1 KR100678199B1 (ko) 2007-02-02

Family

ID=3695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990A KR100678199B1 (ko) 2005-06-14 2005-06-14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80267B2 (ko)
EP (1) EP1734725B1 (ko)
KR (1) KR100678199B1 (ko)
CN (1) CN18819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80B1 (ko) * 2009-01-22 2010-12-08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84151U (en) * 2005-09-08 2005-12-21 Jarllytec Co Ltd Sliding component
DE102007059463B4 (de) 2007-12-11 2012-11-08 Lumberg Connect Gmbh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DE202007017249U1 (de) 2007-12-11 2008-08-14 Lumberg Connect Gmbh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801A (en) 1998-05-28 2000-09-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Hinge mechanism
JP4270787B2 (ja) * 1999-10-29 2009-06-0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4578727B2 (ja) * 2001-06-19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動機能付きカメラ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KR100484732B1 (ko) * 2002-11-19 200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98347B1 (ko) 2003-04-01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mr 코덱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CN2681471Y (zh) 2003-06-09 2005-02-23 海美(天津)电子有限公司 便携式无线终端的滑动装置
KR100536939B1 (ko) * 2003-07-11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94258B1 (ko) *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JP2007503752A (ja) * 2003-08-25 2007-02-22 エムツゥ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ライド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KR100617690B1 (ko)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53644B1 (ko) 2004-04-09 2004-10-21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CN100586131C (zh) * 2004-03-05 2010-01-27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终端用底座装置
KR100663542B1 (ko) *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689498B1 (ko) * 2004-11-2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80B1 (ko) * 2009-01-22 2010-12-08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4725B1 (en) 2011-05-18
KR100678199B1 (ko) 2007-02-02
EP1734725A3 (en) 2010-01-27
EP1734725A2 (en) 2006-12-20
US7580267B2 (en) 2009-08-25
CN1881988A (zh) 2006-12-20
US20060278428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8473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871078B1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3019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134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6350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78071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1662754B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7819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1332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0006977A (ko) 힌지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89106A (ko) 스프링 댐퍼 장치
KR10054778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1675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40446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006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271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8000672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78061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138068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54620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47119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80027038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5004570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