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880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880B1
KR100998880B1 KR1020090005511A KR20090005511A KR100998880B1 KR 100998880 B1 KR100998880 B1 KR 100998880B1 KR 1020090005511 A KR1020090005511 A KR 1020090005511A KR 20090005511 A KR20090005511 A KR 20090005511A KR 100998880 B1 KR100998880 B1 KR 100998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liding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ten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244A (ko
Inventor
이건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9000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8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 동작시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상에서 슬라이딩동작되는 제2슬라이더; 일측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동작 말기에 상기 제2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인장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개폐. 탄성장치. 충격. 소음. 인장스프링. 압축스프링.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SLIDING APPARATUS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 동작시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장치,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개폐방식에 따라 바타입(bar type), 플립타입(flip type), 플립업타입(flip-up type), 폴더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타입(slide type), 가로 보기 타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휴대폰의 경우, 최근에는 단순한 통화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길수 있도록 대형 표시창이 요구되고 있는바, 이러한 추세에 따라 슬라이드 타입이 각광받고 있다. 슬라이드 타입은 키버튼부가 형성된 제1부재와, 표시창이 형성된 제2부재가 상하로 배치되고, 제2부재가 제1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폐하는 구조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는 제1부재에 연결된 제1슬라이더(110)와, 제2부재에 연결된 제2슬라이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슬라이더(110)와 제2슬라이더(120)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장치(20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장치(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2슬라이더(120)를 탄성변형점까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개폐하면 그 이후부터 최종위치까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탄성장치(200)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에 각각 출몰가능하게 내장되는 한 쌍의 푸시로드(220)와, 상기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상기 푸시로드(220)를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푸시로드(220)에는 제1슬라이더(110) 또는 제2슬라이더(120)에 연결되는 연결부(2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개폐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2슬라이더(1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도 1 참조), 상기 푸시로드(220)가 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부재(230)가 압축된다(도 3 참조). 이러한 상태로 일정한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압축된 탄성부재(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푸시로드(220)가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제2슬라이더(120)를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제2슬라이더(120)의 하강(또는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일반적인 슬라이딩 개폐장치(100)는 슬라이딩 개폐 동작시 제2슬라이더(120)가 스토퍼에 충돌하면서 충격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충격은 소음을 발생시키고, 또한 전자기기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충격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 동작시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상에서 슬라이딩동작되는 제2슬라이더; 일측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동작 말기에 상기 제2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인장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을 인장하는 이동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내부로 진입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측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측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내경축소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동작 말기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압축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은 일체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 동작시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특히,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300)는 제1슬라이더(310)와, 제1슬라이더(310)상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는 제2슬라이더(320)와, 탄성력에 의해 제2슬라이더(320)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탄성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300)는 제2슬라이더(320)의 슬라이딩동작 말기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3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수단(330)은 이동부 재(331)와, 스프링(333)과, 상기 스프링(333)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32)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재(331)는 일측에 선형의 가압부(331a)가 형성되며, 제2슬라이더(320)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동작 말기에 제2슬라이더(320)와 연동되어 전진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33)은 소직경부(333a)와 대직경부(333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소직경부(333a)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작용을 하고, 대직경부(333b)는 압축스프링으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직경부(333a)의 단부는 상기 가압부(331a)가 관통할 수 없는 내경을 갖고 있다. 이와 달리 소직경부(333a)의 단부와 상기 가압부(331a)가 다양한 방법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32)은 일측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소직경부(333a)는 관통가능하지만, 대직경부(333b)는 관통할 수 없는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a는 제2슬라이더(320)가 제1슬라이더(310)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되는 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좀 더 슬라이딩동작을 하게 되면, 제2슬라이더(320)가 이동부재(331)를 밀게 되며, 이 때, 이동부재(331)와 고정수단(332) 사이에서 스프링(333)의 대직경부(333b)는 압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333)의 대직경 부(333b)가 압축스프링의 역할을 하면서 충격을 완화하여 제2슬라이더(320)를 감속시킨다(도 7b 참조)
다음으로, 제2슬라이더(320)가 감속되면서 계속하여 슬라이딩되면, 상기 이동부재(331)를 더욱 밀게되며, 이에 의해 이동부재(331)에 형성된 선형의 가압부(331a)는 스프링의 소직경부(333a)를 인장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의 소직경부(333a)가 인장스프링의 역할을 하면서 충격을 완화하여 제2슬라이더(320)를 더욱 감속시키는 것이다(도 7c 참조).
이로 인해 제2슬라이더(320)는 2단계의 완충작용으로 큰 충격없이 매우 부드럽게 최종위치까지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일반적인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슬라이딩 개폐장치 310: 제1슬라이더
320: 제2슬라이더 330: 완충수단
331: 이동부재 331a: 가압부
332: 고정수단 333: 스프링
333a: 인장스프링 333b: 압축스프링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상에서 슬라이딩동작되는 제2슬라이더;
    일측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동작 말기에 상기 제2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인장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을 인장하는 이동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내부로 진입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측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측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부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내경축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전단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슬라이딩동작 말기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압축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은 일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20090005511A 2009-01-22 2009-01-22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99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11A KR100998880B1 (ko) 2009-01-22 2009-01-22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11A KR100998880B1 (ko) 2009-01-22 2009-01-22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44A KR20100086244A (ko) 2010-07-30
KR100998880B1 true KR100998880B1 (ko) 2010-12-08

Family

ID=4264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11A KR100998880B1 (ko) 2009-01-22 2009-01-22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8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031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충격방지장치
KR20060088652A (ko) *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톱퍼 구조
KR20060102222A (ko) * 2005-03-23 2006-09-27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KR20060130359A (ko) * 2005-06-14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133276A (ko) *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9007184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031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식 개폐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충격방지장치
KR20060088652A (ko) * 2005-02-02 2006-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톱퍼 구조
KR20060102222A (ko) * 2005-03-23 2006-09-27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KR20060130359A (ko) * 2005-06-14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133276A (ko) *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9007184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44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CN1964372B (zh) 用于便携式终端的滑动模块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9888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102181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6724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10587B1 (ko)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KR100677364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469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1419692B1 (ko) 롱 스트로크 힌지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1144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1572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모듈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KR20100007958U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783625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KR100668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100086243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개폐용 탄성장치
KR100762617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83627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플런저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전자기기용 개폐장치
KR10089819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딩 개폐장치
US20060120713A1 (en) Semiautomatic cover-sliding structure
KR100802554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프리스탑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