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738A - 열 전달 판 및 가스켓 - Google Patents

열 전달 판 및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738A
KR20210022738A KR1020217002402A KR20217002402A KR20210022738A KR 20210022738 A KR20210022738 A KR 20210022738A KR 1020217002402 A KR1020217002402 A KR 1020217002402A KR 20217002402 A KR20217002402 A KR 20217002402A KR 20210022738 A KR20210022738 A KR 20210022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gasket
transfer plate
inner ed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036B1 (ko
Inventor
프레드릭 블롬그렌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0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6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having one or more openings therein forming tubular heat-exchan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10Arrangements for sealing the marg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열 전달 판(2) 및 가스켓(5)이 제공된다. 열 전달 판(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 및 대향되는 전방 및 후방 측면(4, 6)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평면(38, 40)이 열 전달 판(2)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의 각각은 열 전달 판(2)의 환형 제1 내부 에지(50)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1 포트 홀(4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50)는 제1 및 제2 섹션(52, 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의 각각은, 상기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및 제2 섹션(52, 54)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을 더 포함한다. 열 전달 판(2)은,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이, 열 전달 판(2)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라서 1개 이상의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를 포함하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의 각각은 제1 평면(38)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단 부분(64)을 포함하고, 그리고 열 전달 판(2)은, 제1 내부 포트 부분(56)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38, 40)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 전달 판 및 가스켓
본 발명은 열 전달 판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열 전달 판은 열 전달 판의 환형 내부 에지에 의해서 형성된 포트 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홀 지역을 포함하고, 열 전달 판의 일 측면 상의 가스켓 홈이 포트 홀의 전체 주위에서 연장되고 열 전달 판의 다른 측면 상의 가스켓 홈은 포트 홀 주위에서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판 열 교환기 내의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가스켓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가스켓은 열 전달 판 내의 2개의 중첩되는 포트 홀들 주위를 밀봉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스켓 부분을 포함한다.
판 열 교환기(PHE)는 전형적으로 2개의 단부 판으로 구성되고, 그러한 단부 판들 사이에는 많은 수의 열 전달 판이 정렬된 방식으로, 즉 적층체(stack) 또는 팩(pack)으로 배열된다. PHE의 열 전달 판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들일 수 있고, 이들은 상이한 방식들로 적층될 수 있다. 일부 PHE에서, 열 전달 판들은, 하나의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이 다른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 및 전방 측면에 각각 대면되게 그리고 모든 다른 열 전달 판이 열 전달 판의 나머지와 관련하여 상하 반전되게, 적층된다. 전형적으로, 이는, 서로에 대해서 "회전된" 열 전달 판들로서 지칭된다. 다른 PHE에서, 열 전달 판들은, 하나의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이 다른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에 각각 대면되게 그리고 모든 다른 열 전달 판이 열 전달 판의 나머지와 관련하여 상하 반전되게, 적층된다. 전형적으로, 이는, 서로에 대해서 "뒤집힌(flipped)" 열 전달 판들로서 지칭된다.
하나의 유형의 잘 알려진 PHE, 소위 가스켓 PHE에서, 가스켓은, 주름형 또는 파동-형상의 내부 및 외부 에지와 같은, 주름부를 포함하는 열 전달 판들 사이에, 그리고 그 열 전달 판들 내의 가스켓 홈 내에 배열된다. 단부 판들, 그리고 그에 따라 열 전달 판들은 소정 종류의 조임 수단(tightening mean)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압착되고, 그에 의해서 열 전달 판의 각각의 주름부들이 인접한 열 전달 판의 주름부와 접경되고, 가스켓들이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밀봉한다. 가스켓은, 열 전달 판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 하나의 채널씩,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평행한 유동 채널들을 형성한다. 하나의 유체로부터 다른 유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서, 초기에 온도들이 상이한 2개의 유체가 모든 제2 채널을 통해서 유동할 수 있다.
유체는 유입구 포트 및 배출구 포트의 각각을 통해서 채널에 진입 및 진출하고, 그러한 포트들은 PHE를 통해서 연장되고 열 전달 판 내의 각각의 정렬된 포트 홀에 의해서 형성되고, 가스켓은 포트 홀의 주위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밀봉한다. 열 전달 판 내의 포트 홀은 열 전달 판의 주름형 내부 에지에 의해서 전형적으로 형성되고, 포트 홀 주위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가스켓 홈은 전형적으로 주름형 내부 에지 바로 외측에 배열된다. 유입구 포트 및 배출구 포트는, PHE에 그리고 그로부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서, PHE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각각 연통된다.
주름형의 외부 에지 및 내부 에지를 갖는 것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PHE 내의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지지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그에 따라 PHE의 누출을 초래할 수 있는 열 전달 판들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켓화된 PHE에서, 각각의 열 전달 판의 주름부는 인접 열 전달 판의 주름부에 접경되는 한편, 가스켓은 열 전달 판들 사이를 밀봉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열 전달 판의 외부 에지 및 내부 에지의 주름부는 인접한 열 전달 판의 외부 에지 및 내부 에지의 주름부와 각각 접경된다. 이는, 예를 들어, 판 팩의 제10 열 전달 판의 외부 에지 및 내부 에지가 교번적으로 제9 및 제11 열 전달 판의 외부 에지 및 내부 에지와 각각 접경되고, 그 사이에는 열 전달 판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빈 간극을 초래할 것이다. 열 전달 판들의 주름형 또는 파동-형상의 내부 에지들 사이의 그렇게 형성된 빈 간극에서, PHE의 유입구 포트 및 배출구 포트를 통해서 유동되는 유체로부터의 섬유 및 입자가 접경되는 열 전달 판들 사이에 포획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청결 또는 위생 관련 적용예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열 전달 판 및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복수의 열 전달 판 및 가스켓을 포함하는 판 팩 내에서 전술한 종류의 빈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열 전달 판 및 가스켓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판 및 가스켓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규정되어 있고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원에서 단지 "판"으로도 지칭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 대향되는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 및 외부 에지 부분을 포함한다. 외부 에지 부분은, 열 전달 판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평면 사이에서 그리고 그 내에서 연장되는 주름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평면은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제1 및 제2 평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다. 열 전달 판의 전방 및 후방 측면은 제1 및 제2 평면에 각각 대면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각각은 열 전달 판의 환형 제1 내부 에지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포트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부 에지는 제1 및 제2 섹션으로 구성되고, 제1 섹션은 제1 내부 에지의 25 내지 65%이다. 열 전달 판은, 상기 제1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 상의 전방 가스켓 홈, 및 상기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 상의 후방 가스켓 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각각은 상기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1 내부 포트 부분, 상기 제1 내부 포트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제1 중간 포트 부분, 및 제1 중간 포트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제1 외부 포트 부분을 더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은 제1 내부 포트 부분, 중간 포트 부분, 및 외부 포트 부분 내에서 연장된다.
열 전달 판은, 제1 내부 포트 부분이,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라서 1개 이상의 수의 제1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각각은 제1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단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열 전달 판은, 제1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된다.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이라는 표현은 단지 열 전달 판의 대향 측면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고, 예를 들어 PHE 내의 배향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임의의 구체적인 특성 또는 요건을, 판 측면에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전방 측면은 후방 측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열 전달 판의 외부 에지 부분의 주름부는, PHE 내에서 인접 열 전달 판의 융기부(ridge) 및 계곡부에 접경되도록 배열된, 교번적으로 배열된 융기부 및 계곡부를 포함한다. 열 전달 판의 외부 에지 부분은 그 연장부의 전부 또는 단지 하나 이상의 부분을 따라서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평면은, 열 전달 판의 "극단점들"이 내부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평면 사이의 중간에 배열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환형"이 "원형"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고, 난형, 삼각형 등과 같은 모든 "폐쇄형" 형태를 포함한다.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모두가 연속적이다.
전방 가스켓 홈은 또한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거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전체를 따라서 즉, 제1 포트 홀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그 주위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판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또는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열 전달 판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HE 내의 판의 장착을 위해서 안내 및 운송 막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는, 2개의 대향되는 평행한 긴 변(side) 및 2개의 대향되는 평행한 짧은 변, 그리고 잘린(cropped) 또는 잘리지 않은 모서리를 갖는, 열 전달 판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열 전달 판의 경우에,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포트 홀 및 짧은 변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변 사이에서, 그리고 제1 포트 홀과 긴 변들 중 가장 가까운 변 사이에서 연장된다.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이라는 표현은 여기에서,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을 거리를 두고 관찰할 때 열 전달 판이 보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지지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이 제1 중간 포트 부분 내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제1 외부 포트 부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제1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라 많은 수의 제1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1 지지 돌출부의 제1 상단 부분은 제1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이는, 열 전달 판의 제1 지지 돌출부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PHE 내에 적절히 배열될 때, 해당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에 대면되는 인접한 열 전달 판의 각각의 지지 돌출부에 접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돌출부를 제외한, 열 전달 판의 전체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즉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는, 열 전달 판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PHE 내에 적절히 배열될 때, 전체 제1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에 대면되는 인접 열 전달 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제1 지지 돌출부를 제외하고 전체 제1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에 대면되는 인접 열 전달 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해당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인접한 열 전달 판과의 접촉이 매우 제한될 수 있다. 이는, PHE를 통해서 유동하는 유체로부터의 섬유 및 입자가 열 전달 판과 인접 열 전달 판 사이에 포획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청결 또는 위생 관련 적용예에서, 상당한 장점이다. 또한, 이는,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이 제1 내부 에지 가까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열 전달 판을 보다 지역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열 전달 판은, 제1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외측에서, 제1 내부 에지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제1 내부 에지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게는 제1 지지 돌출부를 제외하고, 열 전달 판의 전체 제1 내부 포트 부분이 제1 내부 에지와 "동일 높이로(flush with)"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부 에지, 그리고 그에 따라 제1 내부 포트 부분 내의 그리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외측의 열 전달 판이, 그 연장부를 따라서 상이한 평면들 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평면들은 중간 평면에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부 포트 부분 및 제1 내부 에지는,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외측에서, 제1 포트 홀의 중심을 통해서 중심 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무한 가상 직선과 정렬될 수 있고, 그러한 중심 축은 중간 평면에 수직이다. 그러한 가상 직선은 중간 평면과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PHE를 통해서 유동하는 유체로부터의 섬유 및 입자가 열 전달 판과 인접 열 전달 판 사이에 포획될 위험을, 심지어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제1 포트 홀의 내측으로부터 관찰될 때 파동-형상의 및/또는 경사진 것과 같은 상이한 설계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열 전달 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본질적으로 평면이고, 제1 내부 에지의 전체 제1 섹션을 따라서 중간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이는, 제1 포트 홀이, 적어도, 제1 포트 홀을 형성하는 제1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평면 판 에지에 의해서 둘러싸일 것임을 의미하고, 이는 위생의 관점에서 최적일 수 있다. 그러한 설계는 또한 기계적으로 단순할 수 있고, 기계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가스켓의 설계가 열 전달 판과 함께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제1 상단 부분의 각각이 제1 내부 에지로부터 연장되도록, 열 전달 판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의 제1 상단 부분의 각각이 제1 내부 에지의 각각의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 그에 따라 제1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설계는 위생의 관점에서 최적일 수 있다. 이는 또한 기계적으로 단순할 수 있고, 기계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가스켓의 설계가 열 전달 판과 함께 이용될 수 있게 한다.
열 전달 판의 제1 중간 포트 부분은,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1 이상의 수의 배치 돌출부 및 1 이상의 수의 배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돌출부는 중간 평면과 제1 평면 사이에 배열된 제4 평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배치 함몰부는 중간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 배열된 제3 평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배치 돌출부 및 배치 함몰부가 교번적으로 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치 돌출부 및 배치 함몰부는 모두가 제1 내부 에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명칭에 의해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배치 돌출부는 가스켓을 전방 가스켓 홈 내에서 정확하게 배치하고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한편, 배치 함몰부는 가스켓을 후방 가스켓 홈 내에서 정확하게 배치하고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열 전달 판의 제1 중간 포트 부분은,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라서 1 이상의 수의 배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함몰부는, 중간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 배열된 제5 평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평면은 제3 평면과 동일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함몰부는 모두가 제1 내부 에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명칭에 의해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배치 함몰부는 가스켓을 후방 가스켓 홈 내에서 정확하게 배치하고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른 제1 지지 돌출부의 수가 1 초과일 수 있고,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제1 지지 돌출부들 중의 2개의 인접한 제1 지지 돌출부들 사이에서, 즉 중간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의 부피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예를 들어, 열 전달 판 강도 증가를 위해서, 중간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곡선화되거나 굽혀질 수 있다. 제1 내부 포트 부분은, 제1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으로부터 제1 지지 돌출부 중의 최외측 제1 지지 돌출부까지, 본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중간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중간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서 즉, 그 사이의 부피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외부 포트 부분이 본질적으로 평면이도록, 그리고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의 전체를 따라서, 중간 평면 내에서 연장되도록, 열 전달 판이 설계될 수 있다. 그러한 설계는 기계적으로 단순할 수 있고, 기계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가스켓의 설계가 열 전달 판과 함께 이용되게 할 수 있다.
열 전달 판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각각은 열 전달 판의 환형 제2 내부 에지에 의해서 형성된 제2 포트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내부 에지는 제1 및 제2 섹션으로 구성되고, 제1 섹션은 제2 내부 에지의 25 내지 65%이다. 전방 가스켓 홈은 상기 제2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연장된다. 후방 가스켓 홈은 상기 제2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각각은 상기 제2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2 내부 포트 부분, 상기 제2 내부 포트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제2 중간 포트 부분, 및 제2 중간 포트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제2 외부 포트 부분을 더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은 제2 내부 포트 부분, 중간 포트 부분, 및 외부 포트 부분 내에서 연장된다. 제2 내부 포트 부분은,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라서 1 이상의 수의 제2 지지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의 각각은 제2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제2 상단 부분을 포함한다. 열 전달 판은,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된다.
열 전달 판의 제2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모두가 연속적이다.
후방 가스켓 홈은 또한 열 전달 판의 제2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거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내부 포트 부분은 열 전달 판의 제2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전체를 따라서 즉, 제2 포트 홀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그 주위에서 연장된다.
전형적으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열 전달 판의 경우에, 열 전달 판의 제2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포트 홀 및 짧은 변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변 사이에서, 그리고 제2 포트 홀과 긴 변들 중 가장 가까운 변 사이에서 연장된다.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이라는 표현은 여기에서,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을 거리를 두고 관찰할 때 열 전달 판이 보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지지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이 제2 중간 포트 부분 내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제2 외부 포트 부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 돌출부의 제2 상단 부분이 제2 평면 내에서 연장되기 때문에, 열 전달 판의 제2 지지 돌출부는, 열 전달 판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PHE 내에 적절히 배열될 때, 해당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에 대면되는 인접 열 전달 판의 각각의 지지 돌출부에 접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돌출부를 제외한 전체 제2 내부 포트 부분이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되기 때문에, 열 전달 판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PHE 내에 적절히 배열될 때, 전체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에 대면되는 인접 열 전달 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2 지지 돌출부를 제외하고 전체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열 전달 판의 후방 측면에 대면되는 인접 열 전달 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해당 열 전달 판의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인접한 열 전달 판과의 접촉이 매우 제한될 수 있다. 이는, PHE를 통해서 유동하는 유체로부터의 섬유 및 입자가 열 전달 판과 인접한 열 전달 판 사이에 포획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이는, 특히 청결 또는 위생 관련 적용예에서, 상당한 장점이다. 또한, 이는,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이 제2 내부 에지 가까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열 전달 판을 보다 지역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전방 가스켓 홈이 하나 이상의 단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가스켓 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열 전달 판은,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의 외측에서, 제2 내부 에지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제2 내부 에지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게는 제2 지지 돌출부를 제외하고, 열 전달 판의 전체 제2 내부 포트 부분이 제2 내부 에지와 "동일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부 에지, 그리고 그에 따라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의 그리고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의 외측의 열 전달 판이, 그 연장부를 따라서 상이한 평면들 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평면들은 중간 평면에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내부 포트 부분 및 제2 내부 에지는,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의 외측에서, 제2 포트 홀의 중심을 통해서 중심 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무한 가상 직선과 정렬될 수 있고, 그러한 중심 축은 중간 평면에 수직이다. 그러한 가상 직선은 중간 평면과 평행하거나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PHE를 통해서 유동하는 유체로부터의 섬유 및 입자가 열 전달 판과 인접 열 전달 판 사이에 포획될 위험을, 심지어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포트 홀 지역은, 제1 포트 홀 지역의 전술한 가능한 특징에 상응하는 다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중간 평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열 전달 판의 길이방향 및 횡방향 중심 축들이 제1, 제2, 제3 및 제4 판 지역을 형성하도록, 열 전달 판이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판 지역은 횡방향 중심 축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열되고, 제1 및 제3 판 지역은 길이방향 중심 축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열된다. 제1 및 제3 판 지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제2 및 제4 판 지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트 홀 지역은 횡방향 및 길이방향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서, 열 전달 판은 판 팩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열 전달 판과 함께 배열될 수 있고, 여기에서 열 전달 판들은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고", 또는 열 전달 판들이 서로에 대해서 "뒤집힌다".
제1 및 제3 판 지역의 제1 포트 홀 지역은 제1항에서 특정된 특징, 그리고 가능하게는 제2항 내지 제8항에서 특정된 특징을 갖는다. 그러한 특징들은 유사하게 또는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제2 및 제4 판 지역의 제2 포트 홀 지역은 제9항에서 특정된 특징, 그리고 가능하게는 제10항에서 특정된 특징을 갖는다. 이들은 유사하게 또는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은, 판 열 교환기 내의,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열 전달 판들 사이의 밀봉을 위해서 배열된다. 가스켓은, 열 전달 판들 중 각각의 열 전달 판에 접경되도록 구성된 대향되는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을 포함한다. 또한, 가스켓은 열 전달 판 내의 2개의 중첩되는 포트 홀들 주위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스켓 부분을 포함한다.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에지는 제1 및 제2 섹션으로 구성되고, 제1 섹션은 내부 에지의 25 내지 65%이다. 환형 가스켓 부분은,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에지를 형성하고, 그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내부 가스켓 부분, 내부 가스켓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중간 가스켓 부분, 및 중간 가스켓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외부 가스켓 부분을 포함한다. 가스켓은, 내부 가스켓 부분이,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라서 1 이상의 수의 위치를 제외하고 전체 내부 에지를 따라서 최대 두께(t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의 각각에서, 내부 가스켓 부분은 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및 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내부 가스켓 부분에 최대 두께(t2)를 제공하고, t2 > t1이다.
'청구범위' 및 '발명의 내용'이 적재되지 않고 변형되지 않은 상태의 가스켓을 설명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2개의 평행한 기준 평면들은 가스켓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즉 가스켓은 이러한 기준 평면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는다. 가스켓의 전방 측면은 기준 평면 중 하나에 대면되는 한편, 가스켓의 후방 측면은 기준 평면 중 다른 하나에 대면된다. 돌출부의 각각의 상단 부분이 기준 평면 중의 각각의 기준 평면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이라는 표현은 단지 가스켓의 대향 측면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고, 예를 들어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의 배향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임의의 구체적인 특성 또는 요건을, 가스켓에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전방 측면은 후방 측면으로도 지칭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지칭될 수 있다.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모두가 연속적이다.
환형 가스켓 부분의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이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내부 가스켓 부분은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에지의 전체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각각의 위치의 돌출부들이 정렬될 수 있고,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이 중간 가스켓 부분 내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외부 가스켓 부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가스켓의 두께는 기준 평면에 그리고 가스켓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수직으로 측정된다. 최대 두께는, 가스켓이 가장 두꺼운 곳에서 가스켓의 두께가 측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형 가스켓 부분이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중 각각의 하나에 접경되도록 배열된 가스켓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쌍으로 배열된 돌출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환형 가스켓 부분은,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인접 열 전달 판들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이는, 위생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가스켓의 설계에 따라서,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및 외부 가스켓 부분 중 하나는 변형되도록 그에 따라 인접 판들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한편, 다른 하나는,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가스켓을 인접 판들 사이에서 적절히 배치하고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스켓은 상이한 횡단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및/또는 외부 가스켓 부분이 평면 후방 측면 및 뾰족해지는(pointed) 전방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및/또는 외부 가스켓 부분이 평면을 가질 수 있고 가능하게는 후방 및 전방 측면에 평행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및/또는 전방 측면은, 가스켓의 연장부의 전체 또는 단지 일부를 따라서, 가스켓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켓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 가스켓 부분은 내부 에지의 제1 섹션 전체를 따라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이는 구조적으로 비교적 덜 복잡한 가스켓, 그리고 또한 가스켓과 함께 사용되는 열 전달 판의 단순하고 덜 복잡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외부 가스켓 부분은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 및 최대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t1, t2 및 t3은 가스켓을 따라서 일정하거나 달라질 수 있다.
환형 가스켓 부분의 중간 가스켓 부분은,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서, t3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그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t3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설계는 인접한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가스켓을 정확하게 배치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을 따른 증가된 최대 두께의 위치의 수가 1 초과일 수 있다. 또한, 내부 가스켓 부분의 최대 두께는, 위치들 중 2개의 인접한 위치들 사이에서,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내부 가스켓 부분의 최대 두께와 관련하여, 국소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가스켓은, 가스켓의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가스켓부분의 내부 표면이 내부 에지의 제2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볼록하도록, 즉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스켓의 그러한 둥글게 처리된 내부 표면은, PHE를 통해서 열 전달 판들 사이의 채널 내로 유동하는 유체의 진입을 촉진할 수 있고, 유체로부터의 섬유 및 입자가 가스켓에서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판 및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가스켓의 환형 가스켓 부분은, 가스켓 전방 측면이 열 전달 판에 접촉되도록, 열 전달 판의 후방 가스켓 홈 내에 배열된다.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가스켓 부분, 중간 가스켓 부분, 및 외부 가스켓 부분은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포트 부분, 제1 중간 포트 부분 및 제1 외부 포트 부분과 각각 결합되고, 그에 의해서 환형 가스켓 부분은 제1 포트 홀을 완전히 둘러싼다. 또한, 환형 가스켓 부분의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은 열 전달 판의 제1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고, 그에 따라 가스켓 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는 제1 지지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된 함몰부들 중의 각각의 함몰부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뿐만 아니라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제, 첨부된 개략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열 전달 판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판 팩의 외측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판 팩 내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의 접경되는 외부 에지들을 도시한다.
도 3a는 도 1의 판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제1 부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c는, 제1 포트 홀의 내측으로부터 본, 도 3b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제1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제2 부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e는 측면으로부터 본 도 3d의 제1 포트 홀 지역의 제2 부분, 및 도 3a의 A-A에서 취한 제1 포트 홀 지역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는 도 1의 판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제1 부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c는, 제2 포트 홀의 내측으로부터 본, 도 4b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제1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제2 부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e는 측면으로부터 본 도 4d의 제2 포트 홀 지역의 제2 부분, 및 도 4a의 B-B에서 취한 제2 포트 홀 지역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가스켓을 구비한 도 1의 열 전달 판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가스켓의, 미적재 상태에서의, 환형 가스켓 부분이다.
도 6b는 도 5의 가스켓의, 미적재 상태에서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이다.
도 6c는, C-C에서 취한 도 6a의 환형 가스켓 부분의, 그리고 D-D에서 취한, 도 6b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의 개략적 횡단면이다.
도 6d는, 선 E-E 및 F-F를 따라서 취한, 도 6a의 환형 가스켓 부분의 개략적 횡단면이다.
도 6e는, H-H에서 취한, 도 6a의 환형 가스켓 부분의 개략적 횡단면이다.
도 6f는, 환형 가스켓 부분에 의해서 둘러싸인 지역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도 6a의 환형 가스켓 부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도 2의 판 팩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b는, 포트 홀의 내측으로부터 볼 때와 같은 도 7a의 판 팩 부분의 하위-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a는 도 2의 판 팩의 다른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b는, 포트 홀의 내측으로부터 볼 때와 같은 도 8a의 판 팩 부분의 하위-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각각 J-J 및 K-K에서 취한 도 7a 및 도 8a의 판 팩 부분의 개략적 횡단면이다.
도 1은 도입부로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가스켓형 판 열 교환기의 열 전달 판(2a)을 도시한다. 전체가 도시되지 않은, 가스켓형 PHE는 열 전달 판(2a)과 유사한 열 전달 판(2)의 팩, 즉 가스켓들에 의해서 분리된, 유사한 열 전달 판들의 팩을 포함하고, 그러한 가스켓들은 또한 유사하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판 팩에서, (도 1에 도시된) 전방 측면(4) 및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에 도시된) 후방 측면(6)을 각각 갖는, 열 전달 판은, 하나의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4)이 이웃하는 열 전달 판의 전방 측면(4)에 대면되도록, 그리고 모든 제2 열 전달 판이 (도 1에 도시된) 기준 배향과 관련하여 상하 반전되도록, 배열된다.
열 전달 판(2a)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진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시트이다. 열 전달 판은 2개의 대향되는 긴 변(8, 10), 및 2개의 대향되는 짧은 변(12, 14)을 포함한다. 열 전달 판은 추가적으로, 긴 변들(8, 10)에 평행하고 그 중간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중심 축(16) 및 짧은 변들(12, 14)에 평행하고 그 중간에서 연장되고 그에 따라 길이방향 중심 축(16)에 수직인 횡방향 중심 축(18)을 갖는다. 길이방향 및 횡방향 중심 축은 열 전달 판(2a)을 4개의 동일한 크기의 제1, 제2, 제3 및 제4 판 지역(20, 22, 24 및 26)으로 각각으로 분할한다. 제1 및 제2 판 지역(20 및 22)은 횡방향 중심 축(18)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열되는 한편, 제1 및 제3 판 지역(20 및 24)은 길이방향 중심 축(16)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열된다.
열 전달 판(2a)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압착 도구 내에서, 희망 구조가 되도록, 보다 특히 열 전달 판의 상이한 부분들 내에서 상이한 주름 패턴들이 되도록 압착된다. 주름 패턴은 각각의 판 부분의 특정 기능을 위해서 최적화된다. 따라서, 열 전달 판(2a)은 2개의 분배 지역(28)을 포함하고, 각각의 분배 지역은 열 전달 판에 걸친 최적화된 유체 분배를 위해서 구성된 분배 패턴을 구비한다. 또한, 열 전달 판(2a)은, 분배 지역들(28) 사이에 배열되고 열 전달 판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유동하는 2개의 유체들 사이의 최적화된 열 전달을 위해서 구성된 열 전달 패턴을 갖는 열 전달 지역(30)을 포함한다. 또한, 열 전달 판(2a)은 열 전달 판(2a)의 외부 에지(34)를 따라서 연장되는 외부 에지 부분(32)을 포함한다. 외부 에지 부분(32)은, 외부 에지 부분이 더 경직적이 되게 하고, 그에 따라 열 전달 판(2a)이 변형에 대해서 더 큰 내성을 갖게 하는 주름부(36)를 포함한다. 또한, 주름부들(36)은, 주름부들이 PHE의 판 팩 내의 인접 열 전달 판의 주름부에 접경되도록 배열된다는 점에서, 지지 구조물을 형성한다. 분배 및 열 전달 패턴에 관한 설계에 따라서, 열 전달 판(2a)은, 분배 지역(28) 및 열 전달 지역(30)의 각각에서 인접 열 전달 판들에 또한 접경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본원에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열 전달 판(2a)은,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전방 가스켓 홈(27), 및 후방 측면(6)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후방 가스켓 홈(39)(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a 및 도 8a에 표시되어 있다)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은 부분적으로 서로 정렬되고 각각의 가스켓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판 팩의 2개의 인접 열 전달 판(2b 및 2c)과 열 전달 판(2a) 사이의 접촉을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면, 주름부(36)는, 도 1의 도면 평면에 평행한, 제1 평면(38)과 제2 평면(40) 사이에서 그리고 그 내에서 연장된다. 중간 평면(42)이 제1 평면(38)과 제2 평면(40) 사이의 중간에서 연장되고,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27 및 39)의 각각의 하단부가 이러한 중간 평면(42), 즉 소위 절반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제2, 제3 및 제4 판 지역(20, 22, 24 및 26)의 각각은 포트 홀 지역을 포함한다. 포트 홀 지역은 2개의 상이한 구성을 갖고, 제1 포트 홀 지역(44)은 제1 구성을 갖고 제2 포트 홀 지역(46)은 제2 구성을 갖는다. 제1 및 제3 판 지역(20 및 24)의 각각은 제1 포트 홀 지역(44)을 포함하고, 제2 및 제4 판 지역(22 및 26)의 각각은 제2 포트 홀 지역(46)을 포함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제1 판 지역(20)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는 열 전달 판(2a)의 환형 제1 내부 에지(50)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포트 홀(48)을 포함한다. 제1 내부 에지(50)는 "외부" 제1 섹션(52) 및 "내부" 제2 섹션(54)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섹션들 사이의 경계가 도 3a에서 쇄선형의 직선에 의해서 도시된다. 도 3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섹션(52)은 제1 내부 에지(50)의 약 50%를 구성하고, 열 전달 판(2a)의, 긴 변(8) 및 짧은 변(12)의 각각과 제1 포트 홀(48)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제1 포트 홀 지역(44)은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및 제2 섹션(52 및 54)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1 내부 포트 부분(56),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을 둘러싸는 환형 제1 중간 포트 부분(58), 및 제1 중간 포트 부분(58)을 둘러싸는 환형 제1 외부 포트 부분(60)을 포함한다. 제1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56, 58 및 60) 사이의 경계가 도 3a에서 쇄선 원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고,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은 제1 내부 에지(50)로부터 최내측 쇄선 원까지 연장된다.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섹션(52)을 따라서,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은 평면이고 (도 2 및 도 3c에 도시된) 중간 평면(42) 내에서 연장된다.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27 및 39)(도 7a 및 도 8a)은 제1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56, 58 및 60)의 각각 내에서 연장된다.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은, 열 전달 판(2a)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라서 분리되어 배열된, 2개의 제1 지지 돌출부들(62)을 포함한다. 제1 포트 홀(48)의 내부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은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른 제1 포트 홀 지역(44)을 도시하는 도 3c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돌출부(62)의 각각은 제1 평면(38)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단 부분(64)을 포함한다. 도 3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돌출부(62)는 열 전달 판의 바로(very) 제1 내부 에지(50)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제1 상단 부분(64)이 그로부터 연장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의 제1 지지 돌출부(62)만이 판 팩 내의 인접 열 전달 판에 접촉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전체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은, 제1 지지 돌출부(62)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38 및 40)의 각각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된다. 도 3b 및 도 3c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돌출부(62)와 제1 지지 돌출부(62)의 각각의 외측의 위치(X) 사이에서,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이 중간 평면(42)으로부터 벗어나고, 그에 따라 중간 평면과 제2 평면(40) 사이에 배열된 제3 평면(66) 내에서 연장되어, 제1 내부 포트 부분을 강화한다.
제1 중간 포트 부분(58)은, 열 전달 판(2a)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열 전달 판(2a)의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섹션(52)을 따라서, 교번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치 돌출부(68) 및 복수의 배치 함몰부(70)를 포함한다. 도 3a,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돌출부(68)는, 제1 내부 에지(50)를 따르도록 곡선화되고 중간 평면(42)으로부터 중간 평면과 제1 평면(38) 사이에 배열된 제4 평면(72)까지 연장되는 세장형 융기부이다. 유사하게, 배치 함몰부(70)는, 제1 내부 에지(50)를 따르도록 곡선화되고 중간 평면(42)으로부터 중간 평면과 제2 평면(40) 사이에 배열된 제3 평면(66)까지 연장되는 세장형 계곡부이다. 제3 및 제4 평면(66 및 72)은 중간 평면(42)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다.
또한, 제1 중간 포트 부분(58)은, 열 전달 판(2a)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열 전달 판(2a)의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라서 복수의 배치 함몰부(74)를 더 포함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함몰부(74)는 중간 평면(42)으로부터 제3 평면(66)까지 연장되고, 배치 함몰부(74)의 각각의 하단부는, 위치(X)에서, 동일 높이인(flush with) 제1 내부 포트 부분(56) 내로 통과한다.
제1 외부 포트 부분(60)은 평면이고 중간 평면(42) 내에서 연장된다.
전술한 설명은, 해당 제1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이 긴 변(8) 및 짧은 변(14)의 각각과 해당 제1 포트 홀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3 판 지역(24)의 제1 포트 홀 지역(44)에서도 유효하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제2 판 지역(22)의 제2 포트 홀 지역(46)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는 열 전달 판(2a)의 환형 제2 내부 에지(78)에 의해서 형성된 제2 포트 홀(76)을 포함한다. 제2 내부 에지(78)는 "외부" 제1 섹션(80) 및 "내부" 제2 섹션(82)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섹션들 사이의 경계가 도 4a에서 쇄선형의 직선에 의해서 도시된다. 도 4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섹션(80)은 제2 내부 에지(78)의 약 50%를 구성하고, 열 전달 판(2a)의, 긴 변(10) 및 짧은 변(12)의 각각과 제2 포트 홀(76)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제2 포트 홀 지역(46)은 제2 내부 에지(78)의 제1 및 제2 섹션(80 및 82)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2 내부 포트 부분(84),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을 둘러싸는 환형 제2 중간 포트 부분(86), 및 제2 중간 포트 부분(86)을 둘러싸는 환형 제2 외부 포트 부분(88)을 포함한다. 제2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84, 86, 및 88) 사이의 경계가 도 4a에서 쇄선 원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고,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은 제2 내부 에지(78)로부터 최내측 쇄선 원까지 연장된다. 제1 내부 에지(78)의 제1 섹션(80)을 따라서,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은 평면이고 (도 2 및 도 4c에 도시된) 중간 평면(42) 내에서 연장된다.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27 및 39)(도 7a 및 도 8a)은 제1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84, 86 및 88)의 각각 내에서 연장된다.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은, 열 전달 판(2a)의 후방 측면(6)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내부 에지(78)의 제2 섹션(82)을 따라서 분리되어 배열된, 2개의 제2 지지 돌출부들(90)을 포함한다. 제2 포트 홀(76)의 내부로부터 관찰되는 바와 같은 제2 내부 에지(78)의 제2 섹션(82)을 따른 제2 포트 홀 지역(46)을 도시하는 도 4c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돌출부(90)의 각각은 제2 평면(40) 내에서 연장되는 제2 상단 부분(92)을 포함한다. 도 4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돌출부(90)는 열 전달 판의 바로 제2 내부 에지(78)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제2 상단 부분(92)이 그로부터 연장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의 제2 지지 돌출부(90)만이 판 팩 내의 인접 열 전달 판에 접촉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전체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은, 제2 지지 돌출부(90)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38 및 40)의 각각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된다. 도 4b 및 도 4c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돌출부(90)와 제2 지지 돌출부(90)의 각각의 외측의 위치(Y) 사이에서,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이 중간 평면(42)으로부터 벗어나고, 그에 따라 중간 평면과 제1 평면(38) 사이에 배열된 제4 평면(72) 내에서 연장되어, 제2 내부 포트 부분을 강화한다.
제2 중간 포트 부분(86)은, 열 전달 판(2a)의 후방 측면(6)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열 전달 판(2a)의 제2 내부 에지(78)의 제2 섹션(80)을 따라서, 교번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치 돌출부(94) 및 복수의 배치 함몰부(96)를 포함한다. 도 4a,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돌출부(94)는, 제2 내부 에지(78)를 따르도록 곡선화되고 중간 평면(42)으로부터 중간 평면과 제2 평면(40) 사이에 배열된 제3 평면(66)까지 연장되는 세장형 융기부이다. 유사하게, 배치 함몰부(96)는, 제2 내부 에지(78)를 따르도록 곡선화되고 중간 평면(42)으로부터 중간 평면과 제1 평면(38) 사이에 배열된 제4 평면(72)까지 연장되는 세장형 계곡부이다.
또한, 제2 중간 포트 부분(86)은, 열 전달 판(2a)의 후방 측면(6)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열 전달 판(2a)의 제2 내부 에지(78)의 제2 섹션(82)을 따라서 복수의 배치 함몰부(98)를 더 포함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함몰부(98)는 중간 평면(42)으로부터 제4 평면(72)까지 연장되고, 배치 함몰부(98)의 각각의 하단부는, 위치(Y)에서, 동일 높이인 제2 내부 포트 부분(84) 내로 통과한다.
제2 외부 포트 부분(88)은 평면이고 중간 평면(42) 내에서 연장된다.
전술한 설명은, 해당 제2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이 긴 변(10) 및 짧은 변(14)의 각각과 해당 제2 포트 홀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4 판 지역(26)의 제2 포트 홀 지역(46)에서도 유효하다.
도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4 포트 홀(48 및 76)은 열 전달 판(2a)의 4개의 모서리 중 각각의 모서리에 배열되고, 제1 및 제2 포트 홀 지역(44 및 46)은 횡방향 및 길이방향 중심 축(18 및 16)의 각각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제1 판 지역(20)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은 제3 판 지역(24)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의, 횡방향 중심 축(18)에서의, 거울 대칭(mirroring), 및 제2 판 지역(22)의 제2 포트 홀 지역(46)의, 길이방향 중심 축(16)에서의, "반전"이다. 상응 방식으로, 제2 및 제4 판 지역(22 및 26)의 포트 홀 지역들(46)은 서로 거울 이미지이고, 제4 판 지역(26)의 포트 홀 지역(46) 및 제3 판 지역(24)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이 서로 "반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종류의 열 전달 판은, 각각의 2개의 인접 열 전달 판들 사이의 하나의 가스켓(5)과 정렬되어 판 팩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도 5는 전술한 열 전달 판(2a)의 전방 가스켓 홈(27)(도 1) 내에 제공된 가스켓(5a)을 도시한다. 가스켓(5a)은 도 6a 내지 도 6f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전방 측면(7), 대향되는 후방 측면(9), 및 2개의 환형 가스켓 부분들(11)(도 5)을 포함한다.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열 전달 판(2a)의 제2 및 제4 판 지역(22 및 26)의 각각 내에서 포트 홀들 중의 각각의 포트 홀을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가스켓(5a)은, 포트 홀들 중의 각각의 포트 홀을 단지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보다 특히 열 전달 판(2a)의, 제1 및 제3 판 지역(20 및 24)의 각각의 내에서, 그 제1 내부 에지(50)(도 3a)의 제1 섹션(52)만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열된 2개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13)(도 5)을 더 포함한다.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11, 13)은 도 6a 및 도 6b의 각각에서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환형 가스켓 부분들(11)은 유사하다. 이하에서, 환형 가스켓 부분 중 하나를 도 6a 및 도 6c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환형 가스켓 부분은 "외부" 제1 섹션(17) 및 "내부" 제2 섹션(19)으로 구성된 내부 에지(15)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섹션들 사이의 경계가 도 6a에서 쇄선형의 직선에 의해서 도시된다. 도 6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섹션(17)은 내부 에지(15)의 약 50%를 구성한다. 또한,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다시 내부 에지(15)를 포함하는 환형 내부 가스켓 부분(21), 내부 가스켓 부분(21)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중간 가스켓 부분(23), 및 중간 가스켓 부분(23)을 둘러싸는 외부 가스켓 부분(25)을 포함한다.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23 및 25)은, 도 6a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불연속적이다. 내부,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들(21, 23 및 25) 사이의 경계가 도 6a에서 쇄선 원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고,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내부 에지(15)로부터 최내측 쇄선 원까지 연장되고, 도 6c 내지 도 6e에서 수직 쇄선형 직선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다.
내부 에지(15)의 제1 섹션(17)을 따른 그리고 중간 가스켓 부분(23)을 따른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횡단면은 본질적으로 일정하고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내부 에지(15)의 제1 섹션(17)을 따라, 내부 가스켓 부분(21) 및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최대 두께(tα)를 갖고 중간 가스켓 부분(23)은 최대 두께(tβ)를 가지며, 외부 가스켓 부분(25)은 최대 두께(tγ)를 가지며, tα > tγ > tβ이다.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른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횡단면이 변경되고, 도 6d는 도 6a의 E-E 및 F-F에서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도 6e는 도 6a의 H-H에서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6e의 좌측, 즉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횡단면은 도 6a의 I-I 및 G-G에서의 횡단면을 또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d, 그리고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른 환형 가스켓 부분을 도시하는 도 6f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른 2개의 분리된 위치(L)의 각각에서,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가스켓(5a)의 대향되는 전방 및 후방 측면들(7 및 9)의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정렬된 돌출부(29, 31)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국소적으로 증가된 두께(> tα)를 내부 가스켓 부분(21)에 부여한다. 돌출부들(29, 31) 사이에서, 그리고 돌출부들(29, 31)의 각각의 외측의 위치(Z)에서,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최대 두께가 국소적으로 감소되고, 그에 따라 tα 미만이 된다. 도 6d 및 도 6f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돌출부(29, 31) 내에서,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최대 두께는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라서 변경되고, 그에 따라 돌출부의 중심에서 가장 크고(tμ), 돌출부의 바로 경계에서 가장 작고(tπ), tπ는 tα보다 단지 약간 더 크다. 따라서, 돌출부(29, 31)의 경계는 tα를 초과하는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최대 두께에 의해서 형성된다. 중간 가스켓 부분(23)은 최대 두께(tβ)를 갖고, 외부 가스켓 부분(25)은 최대 두께(tγ)를 가지며, tμ > tπ > tα > tγ > tβ이다. 도 6e 및 도 6f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내부 가스켓 부분(21)이 가장 얇은, 도 6a의 G-G, H-H 및 I-I에서, 내부 가스켓 부분(21) 및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최대 두께(tΩ)를 갖는다. 또한 도 6a의 H-H에서, 중간 가스켓 부분(23)은 최대 두께(tβ)를 갖고, 외부 가스켓 부분(25)은 최대 두께(tγ)를 가지며, tα > tγ > tΩ > tβ이다.
따라서,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돌출부(29, 31)를 제외하고, 전체 내부 에지(15)를 따라서 최대 두께(t1)를 갖고, t1은 tΩ와 tα 사이에서 변경된다. 또한,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돌출부(29, 31) 내에서 최대 두께(t2)를 갖고, t2는 tπ와 tμ 사이에서 변경되고, t2 > t1이다. 외부 가스켓 부분(25)은, 본질적으로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서, 일정 횡단면을 갖고, 그에 따라 일정한 최대 두께(t3 = tγ)를 갖는다. 유사하게, 중간 가스켓 부분(23)은, 본질적으로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서, 일정 횡단면을 갖고, 그에 따라 일정한 최대 두께(tβ < t3)를 갖는다.
도 6a,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5a)의 전방 측면(7)과 후방 측면(9)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내부 표면(33)은,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볼록하거나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다.
가스켓(5a)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들(13)이 유사하다. 이하에서, 반-환형 가스켓 부분 중 하나를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은 반-환형 내부 가스켓 부분(35), 반-환형 중간 가스켓 부분(37), 및 반-환형 외부 가스켓 부분(41)을 포함하고, 그러한 가스켓 부분들은 중간에 배열된 중간 가스켓 부분과 함께 서로를 따라서 연장된다. 내부,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들(35, 37 및 41) 사이의 경계가 도 6b에서 쇄선형의 반-원에 의해서 도시된다.
중간 가스켓 부분(41)을 따른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의 횡단면은 본질적으로 일정하고, 중간 가스켓 부분(23)을 따른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횡단면과 유사하다. 이는 그에 따라 도 6c에 도시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11, 13) 외측의 가스켓(5a)의 횡단면은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의 내부 가스켓 부분(35)의 횡단면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의 맥락에서,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열 전달 판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열 전달 판의 함몰부 및 돌출부의 각각이라는 것, 그리고 그 반대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열 전달 판"은 또한 단지 "판"으로 지칭된다.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판 팩에서, 가스켓(5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2a) 상에 배열되고, 가스켓(5a)의 후방 측면(9)은 판(2a)의 전방 가스켓 홈(27)의 하단부와 접촉된다. (가스켓(5a)은, 도 5에서 아직 판 에지 주위에 적절히 배열되지 않은, 외향 돌출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 가스켓(5a)의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도 4a 및 도 6a)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내부 에지(15)의 제1 섹션(17)이 판(2a)의 제2 내부 에지(78)의 제1 섹션(80)을 따라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판(2a)의 제2 포트 홀들(76) 중 각각의 하나 주위에 배열된다. 유사하게,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은 판(2a)의 제2 내부 에지(78)의 제2 섹션(82)을 따라서 연장된다. 이어서, 판(2a) 및 가스켓(5a)의 설계 및 치수가 서로에 대해서 적응되기 때문에, 판(2a)의 제2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84, 86 및 88)은 가스켓(5a)의 내부,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21, 23 및 25)과 각각 정렬될 것이다. 또한, 그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판(2a)의 돌출부 및 함물부는, 그 후방 측면(9)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가스켓(5a)의 함몰부 및 돌출부와 각각 결합될 것이다. 예를 들어,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라 제2 내부 판 에지(78)의 제2 섹션(82) 및 환형 가스켓 부분(11) 중 하나를 도시하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돌출부(31)는 판(2a)의 제2 지지 돌출부(90)에 의해서 형성된 함몰부들 중 각각의 하나에 수용될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2a)의 배치 함몰부(96)에 의해서 형성된 돌출부는, 중간 가스켓 부분(23)의 비교적 작은 두께에 의해서 내부 및 외부 가스켓 부분들(21 및 25) 사이에서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후방 측면(9) 내에 형성된 홈 내에 수용될 것이다.
또한, 가스켓(5a)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은 판(2a)의 제1 포트 홀들(48) 중 각각의 하나의 주위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판(2a)의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섹션(52)을 따라서 연장된다(도 3a 및 6b). 이어서, 판(2a)의 제1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56, 58 및 60)은 가스켓(5a)의 내부,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35, 37 및 41)과 각각 정렬될 것이다. 판(2a)의 배치 돌출부(68)는, 중간 가스켓 부분(37)의 비교적 얇은 두께에 의해서 내부 및 외부 가스켓 부분(35 및 41) 사이에서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의 후방 측면(9) 내에 형성된 홈 내에 수용될 것이다.
가스켓(5a)의 전방 측면(7)이 열 전달 판(2b)의 전방 가스켓 홈(27)의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그 전방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판(2b)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그 전방 측면(7)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가스켓(5a)의 함몰부 및 돌출부의 각각과 결합되도록, 판(2b)은, 열 전달 판(2a)과 관련하여 "뒤집혀", 가스켓(5a)의 상단부 상에 배열된다.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른 제2 내부 판 에지(50)의 제2 섹션(54) 및 환형 가스켓 부분(11) 중 하나를 도시하는 도 7b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판(2a)의 제1 지지 돌출부(62)는 판(2b)의 제1 지지 돌출부(62) 중 각각의 하나에 접경된다.
다른 가스켓(5b)이 판(2a)의 후방 측면(6)에 대면되고, 가스켓(5b)의 전방 측면(7)은 판(2a)의 후방 가스켓 홈(39)의 하단부와 접촉된다. 또한, 가스켓(5b)의 환형 가스켓 부분(11)이 판(2a)의 제1 포트 홀(48)의 각각의 하나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그리고 가스켓(5b)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이 판(2a)의 제1 포트 홀(76)의 각각의 하나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가스켓(5b)이 배열된다. 또한, 그 전방 후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판(2a)의 돌출부 및 함물부는, 그 전방 측면(7)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가스켓(5b)의 함몰부 및 돌출부와 각각 결합된다.
가스켓(5b)의 후방 측면(9)이 열 전달 판(2c)의 후방 가스켓 홈(39)의 하단부와 접촉되도록, 그리고 그 전후 측면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판(2c)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그 후방 측면(9)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은 가스켓(5b)의 함몰부 및 돌출부의 각각과 결합되도록, 판(2c)은 가스켓(5b)과 대면되고 판(2a)과 관련하여 "뒤집힌다". 도 8b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판(2a)의 제2 지지 돌출부(90)는 판(2c)의 제2 지지 돌출부(90)의 각각의 하나에 접경된다.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는 PHE의 단부 판들 사이에서 조여진 판 팩을 도시하고, 그에 의해서 가스켓은 판들 사이의 밀봉을 위해서 적절히 변형된다. 판 팩에 관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판(2a)은, 그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56, 84) 내에서, 제1 및 제2 지지 돌출부(62, 90)를 제외하고, 판(2b 및 2c)으로부터 분리된다. 가스켓(5a, 5b)의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56, 84)의 지역 내에서 판들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운다. 가스켓(5a, 5b)의 반-환형 가스켓 부분(13)은,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50, 78)의 제1 섹션(52, 80)을 따라서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56, 84)의 지역 내에서 판들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운다. 그에 의해서, PHE 내에서 처리되는 유체의 섬유 및 입자는, PHE를 통해서 유동할 때, 용이하게 고착되지 않는다. PHE를 통해서 유동할 때 섬유 및 입자가 고착될 위험을 보다 더 줄이기 위해서, 환형 가스켓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다. 또한, 판의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 내의 제1 및 제2 지지 돌출부(62, 90)는 판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판 지지부를 생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설명된 실시예가 많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판 팩 내의 판들 및 가스켓들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판 및 가스켓은, 독립항에 따른 특징을 구비하기만 한다면, 동일하지 않은 판들 및 가스켓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판 팩 내의 판들이 서로에 대해서 교번적으로 "뒤집힐" 필요가 없고, 그 대신 서로에 대해서 교번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가스켓 부분은 가변적인 횡단면을 갖는 반면,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은 본질적으로 균일한 횡단면을 갖는다.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가 또한 가변적인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가스켓 부분은 가변적인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내부 및 외부 가스켓 부분 사이에서 연속적인 홈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 열 전달 판의 배치 돌출부 및 함몰부와 매칭되는 복수의 분리된 홈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이한 횡단면들의 가스켓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가스켓은, 가스켓의 밀봉 능력 개선을 위해서, 그 연장부의 일부를 따라서, 그 전방 측면 상의 비드 및 그 후방 측면 상의 비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비드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부분적으로/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환형 가스켓 부분은 가스켓의 나머지와 함께 하나의 단편 내에 배열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형 가스켓 부분은 가스켓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 포트 가스켓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11, 13)이 열 전달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까지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이 열 전달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돌출부 그리고 배치 돌출부 및 함몰부의 수는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을 필요가 없고,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또한, 지지 돌출부 그리고 배치 돌출부 및 함몰부의 설계가 제한 없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출부가 판 내부 에지까지 전체적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배치 돌출부 및 함몰부는 열 전달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로부터 더 먼 또는 더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고, 가스켓이 그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가스켓은, 2개의 인접 열 전달 판들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된 내부 가스켓 부분을 갖는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 및 가스켓을 판들 사이에 정확하게 배치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열된 외부 가스켓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은,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의 지역 내에서 판들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우도록 배열된 내부 가스켓 부분을 갖는다. 그러한 내부 가스켓 부분은 전술한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의 외부 가스켓 부분과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은 판들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 변형되도록 배열된 외부 가스켓 부분을 갖는다. 그러한 외부 가스켓 부분은 전술한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가스켓 부분과 마찬가지로 설계될 수 있다. 당연하게, 그러한 대안적인 가스켓에서, 가스켓과 함께 사용되는 열 전달 판은 적절히 재설계되어야 한다.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그리고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은, 반-환형 가스켓 부분의 설계에 의해서, 보다 특히 반-환형 가스켓 부분이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포트 홀이 얼마나 많은지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 섹션의 연장부를 결정하는, 반-환형 가스켓 부분이 판 내부 에지를 빠져 나가는 곳을 표시하는 도 5의 직선형 쇄선에 의해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 및 환형 가스켓 부분의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의 상이한 연장부들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그리고 가스켓 부분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서 균일한 폭을 가질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열 전달 판의 제1 및 제2 지지 돌출부는 또한, 열 전달 판의 주름 패턴의 융기부 및 계곡부에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중간 포트 부분을 통해서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 포트 부분을 통해서 연장된다. 또한, 열 전달 판은 배치 돌출부 및 배치 함몰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열 전달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제1 및 제2 중간 포트 부분이,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 포트 부분과 동일 높이로, 즉 동일한 평면 내에서 연장된다. 또한, 열 전달 판의 제1 및 제2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라서, 제1 및 제2 내부 포트 부분, 제1 및 제2 중간 포트 부분,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 포트 부분은 평면이 아니고, 그 대신, 여전히 제1 및 제2 평면 내에서, 그리고 그러한 평면 내측으로가 아니라 또는 넘어서지 않고, 포트 홀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주름지거나 달리 파상화된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열 전달 판에 맞춰 구성된 설계를 갖는다. 따라서, 가스켓의 전방 및 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환형 가스켓 부분의 돌출부는 또한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을 통해서 연장된다. 또한, 임의의 비드 외측에서, 내부, 중간 및 외부 가스켓 부분이 본질적으로 유사한 최대 두께를 가지며, 그에 따라 중간 가스켓 부분은 내부 및 외부 가스켓 부분과 본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중간 가스켓 부분은 내부 및 외부 가스켓 부분들 사이에서 홈을 형성하지 않는다. 가스켓의 정확한 배치 및 안전한 유지를 위해서, 가스켓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부가적인 가스켓 체결 수단 및/또는 다른 종류의 가스켓 체결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그러한 가스켓 체결 수단은 환형 및 반-환형 가스켓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일 수 있고, 그러한 돌출부는 돌출부의 위치에서 2개의 인접 열 전달 판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인접 열 전달 판들의 대향되는 주름부에 접경되도록, 그에 따라 가스켓이 포트 홀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반-환형 가스켓 부분, 그리고 각각의 내부 에지의 제1 섹션을 따른 환형 가스켓 부분을 따라서, 가스켓의 전방 및 후방 측면이 파상화되어, 가스켓이 2개의 인접 열 전달 판들 사이에서 적절히 밀봉하게 한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속성은 단지 본원에서 동일한 종류의 종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고, 종들 사이의 어떠한 종류의 상호간의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님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상세한 부분에 관한 설명이 생략되었다는 것, 도면이 단지 개략적인 것이고 실제 축척에 따라 도시된 것이 아님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가 다른 도면보다 더 단순화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하나의 도면에 도시되나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2, 2a, 2b, 2c. 열 전달 판
4. 판 전방 측면
5, 5a, 5b, 5c. 가스켓
6. 판 후방 측면
7. 전방 가스켓 측면
8. 긴 변
9. 후방 가스켓 측면
10. 긴 변
11. 환형 가스켓 부분
12. 짧은 변
13. 반-환형 가스켓 부분
14. 짧은 변
15. 내부 에지
16. 길이방향 중심 축
17. 제1 섹션
18. 횡방향 중심 축
19. 제2 섹션
20. 제1 판 지역
21. 내부 가스켓 부분
22. 제2 판 지역
23. 중간 가스켓 부분
24. 제3 판 지역
25. 외부 가스켓 부분
26. 제4 판 지역
27. 전방 가스켓 홈
28. 분배 지역
29. 돌출부
30. 열 전달 지역
31. 돌출부
32. 외부 에지 부분
33. 내부 표면
34. 외부 판 에지
35. 내부 가스켓 부분
36. 주름부
37. 중간 가스켓 부분
38. 제1 평면
39. 후방 가스켓 홈
40. 제2 평면
41. 외부 가스켓 부분
42. 중간 평면
44. 제1 포트 홀 지역
46. 제2 포트 홀 지역
48. 제1 포트 홀
50. 제1 내부 에지
52. 제1 섹션
54. 제2 섹션
56. 제1 내부 포트 부분
58. 제1 중간 부분
60. 제1 외부 부분
62. 제1 지지 돌출부
64. 제1 상단 부분
66. 제3 평면
68. 배치 돌출부
70. 배치 함몰부
72. 제4 평면
74. 배치 함몰부
76. 제2 포트 홀
78. 제2 내부 에지
80. 제1 섹션
82. 제2 섹션
84. 제2 내부 포트 부분
86. 제2 중간 포트 부분
88. 제2 외부 포트 부분
90. 제2 지지 돌출부
92. 제2 상단 부분
94. 배치 돌출부
96. 배치 함몰부
98. 배치 함몰부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 대향되는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4, 6), 및 외부 에지 부분(32)을 포함하는 열 전달 판(2)이며, 외부 에지 부분은, 열 전달 판(2)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평면(38, 40) 사이에서 그리고 그 내에서 연장되는 주름부(36)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평면(38, 40)은 서로에 대해서 그리고 제1 및 제2 평면(38, 40)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평면(42)에 대해서 평행하고, 열 전달 판(2)의 전방 및 후방 측면(4, 6)은 제1 및 제2 평면(38, 40)에 각각 대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의 각각은 열 전달 판(2)의 환형 제1 내부 에지(50)에 의해서 형성된 제1 포트 홀(48)로서 상기 제1 내부 에지(50)는 제1 및 제2 섹션(52, 54)으로 구성되고, 제1 섹션(52)은 제1 내부 에지(50)의 25 내지 65%인, 제1 포트 홀, 상기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섹션(52)을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의 전방 측면(4) 상의 전방 가스켓 홈(27), 및 상기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및 제2 섹션(52, 54)을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의 후방 측면(6) 상의 후방 가스켓 홈(39)으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의 각각은 상기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및 제2 섹션(52, 54)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1 내부 포트 부분(56),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을 둘러싸는 제1 중간 포트 부분(58), 및 제1 중간 포트 부분(58)을 둘러싸는 제1 외부 포트 부분(60)을 더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27, 39)은 제1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56, 58, 60) 내에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에 있어서,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이, 열 전달 판(2)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라서 1개 이상의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를 포함하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의 각각은 제1 평면(38) 내에서 연장되는 제1 상단 부분(64)을 포함하고, 그리고
    열 전달 판(2)은, 제1 내부 포트 부분(56)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38, 40)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판(2).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내부 포트 부분(56)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의 외측에서, 제1 내부 에지(50)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제1 내부 에지(50)를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은 본질적으로 평면이고, 제1 내부 에지(50)의 전체 제1 섹션(52)을 따라서, 중간 평면(42) 내에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의 제1 지지 돌출부(62)의 제1 상단 부분(64)의 각각이 제1 내부 에지(50)로부터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중간 포트 부분(58)은, 열 전달 판(2)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50)의 제1 섹션(52)을 따라서 1 이상의 수의 배치 돌출부(68) 및 1 이상의 수의 배치 함몰부(70)를 포함하는, 열 전달 판(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중간 포트 부분(58)은, 열 전달 판(2)의 전방 측면(4)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라서 1 이상의 수의 배치 함몰부(74)를 포함하는, 열 전달 판(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내부 에지(50)의 제2 섹션(54)을 따른 제1 지지 돌출부(62)의 수가 1 초과이고, 제1 지지 돌출부들(62) 중의 2개의 인접한 제1 지지 돌출부들 사이의, 제1 내부 포트 부분(56)은 중간 평면(42)과 제2 평면(40) 사이에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외부 포트 부분(60)은 본질적으로 평면이고, 제1 내부 에지(50)의 전체 제1 및 제2 섹션(52, 54)을 따라서, 중간 평면(42) 내에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46)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46)의 각각은 열 전달 판(2)의 환형 제2 내부 에지(78)에 의해서 형성된 제2 포트 홀(76)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에지(78)는 제1 및 제2 섹션(80, 82)으로 구성되고, 제1 섹션(80)은 제2 내부 에지(78)의 25 내지 65%이고, 전방 가스켓 홈(27)은 상기 제2 내부 에지(78)의 제1 및 제2 섹션(80, 82)을 따라서 연장되고, 후방 가스켓 홈(39)은 상기 제2 내부 에지(78)의 제1 섹션(80)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46)의 각각은 상기 제2 내부 에지(78)의 제1 및 제2 섹션(80, 82)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제2 내부 포트 부분(84),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을 둘러싸는 제2 중간 포트 부분(86), 및 제2 중간 포트 부분(86)을 둘러싸는 제2 외부 포트 부분(88)을 더 포함하고, 전방 및 후방 가스켓 홈(27, 39)은 제2 내부, 중간, 및 외부 포트 부분(84, 86, 88) 내에서 연장되며,
    제2 내부 포트 부분(84)은, 열 전달 판(2)의 후방 측면(6)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내부 에지(78)의 제2 섹션(82)을 따라서 1개 이상의 수의 제2 지지 돌출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90)의 각각은 제2 평면(40) 내에서 연장되는 제2 상단 부분(92)을 포함하고, 그리고
    열 전달 판(2)은, 제2 내부 포트 부분(84)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90)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 평면(38, 40)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내부 포트 부분(84) 내에서 그리고 상기 수의 제2 지지 돌출부(90)의 외측에서, 제2 내부 에지(78)와 동일한 평면 내에서, 제2 내부 에지(78)를 따라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중간 평면(42)에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열 전달 판(2)의 길이방향 및 횡방향 중심 축(16, 18)이 제1, 제2, 제3, 및 제4 판 지역(20, 22, 24, 26)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판 지역(20, 22)은 횡방향 중심 축(18)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열되고 제1 및 제3 판 지역(20, 24)은 길이방향 중심 축(16)의 동일한 측면 상에 배열되고, 제1 및 제3 판 지역(20, 24)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트 홀 지역(44) 중 하나를 포함하고 제2 및 제4 판 지역(22, 26)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트 홀 지역(46) 중 하나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포트 홀 지역(44, 46)은 횡방향 및 길이방향 중심 축(18, 16)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열 전달 판(2).
  12. 판 열 교환기 내의 2개의 인접한 열 전달 판들(2)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가스켓(5)이며, 열 전달 판들(2)의 각각의 하나에 접경되도록 구성된 대향되는 전방 및 후방 측면(7, 9) 및 열 전달 판(2) 내의 2개의 중첩되는 포트 홀들(48, 76) 주위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환형 가스켓 부분(11)을 포함하고,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내부 에지(15)는 제1 및 제2 섹션(17, 19)으로 구성되고, 제1 섹션(17)은 내부 에지(15)의 25 내지 65%이고, 환형 가스켓 부분(11)은 환형 가스켓 부분(11)의 내부 에지(15)를 형성하며, 내부 에지의 제1 및 제2 섹션(17, 19)을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내부 가스켓 부분(21), 내부 가스켓 부분(21)을 둘러싸는 중간 가스켓 부분(23), 및 중간 가스켓 부분(23)을 둘러싸는 외부 가스켓 부분(25)을 포함하는, 가스켓(5)에 있어서,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른 1 이상의 수의 위치(L)를 제외하고, 전체 내부 에지를 따라 최대 두께(t1)를 갖고,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상기 위치(L)의 각각에서, 전방 측면(7)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9) 및 후방 측면(9)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1)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최대 두께(t2)를 내부 가스켓 부분(21)에 제공하고, t2 > 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5).
  13. 제12항에 있어서,
    내부 가스켓 부분(21)은 내부 에지(15)의 전체 제1 섹션(17)을 따라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 가스켓(5).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외부 가스켓 부분(25)은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 및 최대 두께(t3)를 갖는, 가스켓(5).
  15. 제14항에 있어서,
    중간 가스켓 부분(23)은,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서, t3 이하의 두께를 갖고, 그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t3 미만의 두께를 갖는, 가스켓(5).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을 따른 위치(L)의 상기 수가 1 초과이고,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최대 두께가, 상기 위치(L) 중의 2개의 인접한 위치들 사이에서, 내부 에지(15)의 제1 섹션(17)을 따라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최대 두께와 관련하여, 국소적으로 감소되는, 가스켓(5).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켓(5)의 전방 측면(7)과 후방 측면(9)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가스켓 부분(21)의 내부 표면(33)이 내부 에지(15)의 제2 섹션(19)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볼록한, 가스켓(5).
KR1020217002402A 2018-06-28 2019-06-17 열 전달 판 및 가스켓 KR102432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0285.1 2018-06-28
EP18180285.1A EP3587984B1 (en) 2018-06-28 2018-06-28 Heat transfer plate and gasket
PCT/EP2019/065885 WO2020002027A1 (en) 2018-06-28 2019-06-17 Heat transfer plate and gas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738A true KR20210022738A (ko) 2021-03-03
KR102432036B1 KR102432036B1 (ko) 2022-08-12

Family

ID=6281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402A KR102432036B1 (ko) 2018-06-28 2019-06-17 열 전달 판 및 가스켓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156405B2 (ko)
EP (1) EP3587984B1 (ko)
JP (1) JP7108056B2 (ko)
KR (1) KR102432036B1 (ko)
CN (1) CN112313466B (ko)
BR (1) BR112020024192B1 (ko)
DK (1) DK3587984T3 (ko)
ES (1) ES2842329T3 (ko)
PL (1) PL3587984T3 (ko)
RU (1) RU2752221C1 (ko)
WO (1) WO2020002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0492B1 (en) * 2019-11-04 2021-05-27 Danfoss As Plate-type heat exchanger
CN111895848A (zh) * 2020-06-11 2020-11-06 扬州派斯特换热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板式换热器的耐油防腐高分子密封垫片
EP4001816A1 (en) * 2020-11-23 2022-05-25 Alfa Laval Corporate AB Gasket arrangement, heat transfer plate, kit and assembly
DK4015961T3 (da) * 2020-12-15 2023-08-07 Alfa Laval Corp Ab Varmevekslerplade
EP4015960B1 (en) 2020-12-15 2023-05-10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transfer plate
US20230028911A1 (en) * 2021-07-20 2023-01-26 WCR Inc. Plate Heat Exchanger Gask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115A (en) * 1991-07-08 1995-08-22 Apv Baker A/S Plate heat exchanger
JP2006343055A (ja) * 2005-06-10 2006-12-21 Hisaka Works Ltd 溶接型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リングガスケット
JP2009540256A (ja) * 2006-06-05 2009-11-19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伝熱板およびプレート熱交換器
EP3001131A1 (en) * 2014-09-26 2016-03-30 Alfa Laval Corporate AB A porthole gasket for a plate heat exchanger, a plate package and a plate heat exchanger with such a porthole gasket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9405A (en) 1966-03-21 1968-10-02 Apv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t transfer plates
US3760873A (en) 1972-02-24 1973-09-25 Apv Co Ltd Plate heat exchangers
GB1460422A (en) 1973-08-16 1977-01-06 Apv Co Ltd Heat exchanger plates
GB1458929A (en) 1974-12-20 1976-12-15 Apv Co Ltd Plate heat exchangers
GB2028996B (en) 1978-08-30 1982-12-22 Apv Co Ltd Plate-type heat transfer apparatus
GB2071303B (en) 1980-03-10 1983-12-21 Apv Co Ltd Heat transfer apparatus
SU1343233A1 (ru) 1985-07-10 1987-10-07 Одес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Холоди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Насадка контактного теплообменного аппарата
JPH06300475A (ja) 1993-04-20 1994-10-28 Hisaka Works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ガスケット
SE502984C2 (sv) * 1993-06-17 1996-03-04 Alfa Laval Thermal Ab Plattvärmeväxlare med speciellt utformade portpartier
IT1276990B1 (it) * 1995-10-24 1997-11-0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cambiatore di calore a piastre
JPH11210885A (ja) 1998-01-20 1999-08-03 Marusan:Kk 積層構造ガスケット
JP2001041676A (ja) * 1999-08-02 2001-02-16 Hitachi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
DE10035776C1 (de) * 2000-07-22 2001-12-13 Gea Ecoflex Gmbh Plattenwärmetauscher
SE519570C2 (sv) 2001-07-09 2003-03-11 Alfa Laval Corp Ab Värmeöverföringsplatta med flödesavgränsare; plattpaket och plattvärmeväxlare
SE524783C2 (sv) * 2003-02-11 2004-10-05 Alfa Laval Corp Ab Plattpaket, plattvärmeväxlare och plattmodul
JP4416076B2 (ja) 2003-09-30 2010-02-17 株式会社日阪製作所 接合型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0344180Y1 (ko) 2003-12-24 2004-03-10 임혁 판형 열교환기에서의 전열판과 가스켓의 결합구조
SE528847C2 (sv) * 2005-01-28 2007-02-27 Alfa Laval Corp Ab Packningsaggregat för plattvärmeväxlare
KR100581843B1 (ko) 2005-05-09 2006-05-22 대원열판(주) 판형열교환기의 전열판과 가스켓의 결합구조
SE531472C2 (sv) 2005-12-22 2009-04-14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e med värmeöverföringsplatta med jämn lastfördelning på kontaktpunkter vid portområden
CN100449251C (zh) * 2006-12-04 2009-01-07 江苏唯益换热器有限公司 换热板和板式换热器
FR2910607B1 (fr) * 2006-12-21 2009-02-06 Alfa Laval Vicard Soc Par Acti Echangeur thermique a plaques
SE532344C2 (sv) 2007-12-21 2009-12-22 Alfa Laval Corp Ab Packningsstöd i värmeväxlare och värmeväxlare innefattande packningsstöd
WO2009123517A1 (en) * 2008-04-04 2009-10-08 Alfa Laval Corporate Ab A plate heat exchanger
SE533310C2 (sv) * 2008-11-12 2010-08-24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platta och värmeväxlare innefattande värmeväxlarplattor
SE533359C2 (sv) * 2008-12-16 2010-09-07 Alfa Laval Corp Ab Platta och packning till en plattvärmeväxlare
ITVR20090014A1 (it) * 2009-02-16 2010-08-17 Luca Cipriani Struttura di piastra per scambiatore di calore a piastre
CN103217049B (zh) * 2012-01-18 2016-05-0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板式换热器及其板片
CN104296586A (zh) * 2013-07-15 2015-01-21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换热器板片、换热器换热单元以及换热器
CN204359189U (zh) * 2014-12-24 2015-05-27 许金针 一种可提高抗折强度和密封性能的换热板片
CN204438867U (zh) * 2014-12-30 2015-07-01 浙江峰煌热交换器有限公司 一种对角双分配器型板式换热器
EP3182048A1 (en) * 2015-12-16 2017-06-21 Alfa Laval Corporate AB Porthole gasket, assembly for a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115A (en) * 1991-07-08 1995-08-22 Apv Baker A/S Plate heat exchanger
JP2006343055A (ja) * 2005-06-10 2006-12-21 Hisaka Works Ltd 溶接型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リングガスケット
JP2009540256A (ja) * 2006-06-05 2009-11-19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伝熱板およびプレート熱交換器
EP3001131A1 (en) * 2014-09-26 2016-03-30 Alfa Laval Corporate AB A porthole gasket for a plate heat exchanger, a plate package and a plate heat exchanger with such a porthole gas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13466B (zh) 2022-07-05
EP3587984B1 (en) 2020-11-11
RU2752221C1 (ru) 2021-07-23
DK3587984T3 (da) 2021-02-08
BR112020024192A2 (pt) 2021-03-02
US11156405B2 (en) 2021-10-26
CN112313466A (zh) 2021-02-02
KR102432036B1 (ko) 2022-08-12
WO2020002027A1 (en) 2020-01-02
ES2842329T3 (es) 2021-07-13
BR112020024192B1 (pt) 2022-10-04
PL3587984T3 (pl) 2021-04-06
EP3587984A1 (en) 2020-01-01
JP2021528625A (ja) 2021-10-21
JP7108056B2 (ja) 2022-07-27
US20210247144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2738A (ko) 열 전달 판 및 가스켓
KR101483837B1 (ko)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US5327958A (en) Stacked-plate heat exchanger
US8646517B2 (en) Plate and gasket for plate heat exchanger
US6823934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pack for use in a plate heat exchanger
JP6987074B2 (ja) 伝熱プレートおよび複数のかかる伝熱プレートを備えるプレート熱交換器
RU2722078C1 (ru) Теплопередающая пластина и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одержащий множество таких теплопередающих пластин
US11333449B2 (en) Heat exchanger plate with strengthened diagonal area
JP620497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200055119A (ko) 열전달 플레이트 및 이러한 열전달 플레이트를 복수개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팩
US20140251586A1 (en) Dimple pattern gasketed heat exchanger
RU2757084C1 (ru) Теплопередающая пластина
JP7278489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のためのガスケットおよび組立体
TWI752723B (zh) 傳熱板
JP4340952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CN117255926B (zh) 传热板和垫片
JP7152609B2 (ja) プレート熱交換器用の伝熱プレートとカセット
TWI836407B (zh) 熱傳板及墊片
EP3835702A1 (en) Gasket and assembly for a plate heat exchanger
CN109813159B (zh) 用于板式热交换器的传热板和具有传热板的板式热交换器
JP2024516446A (ja) 取り付け手段および伝熱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