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847A -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847A
KR20210020847A KR1020200102842A KR20200102842A KR20210020847A KR 20210020847 A KR20210020847 A KR 20210020847A KR 1020200102842 A KR1020200102842 A KR 1020200102842A KR 20200102842 A KR20200102842 A KR 20200102842A KR 20210020847 A KR20210020847 A KR 2021002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eage
worker
work
terminal
employ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925B1 (ko
Inventor
최천욱
Original Assignee
최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천욱 filed Critical 최천욱
Publication of KR2021002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로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으로서,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서버(11)와 고용자단말기(12), 근로자단말기(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이 되며 시스템서버(11)는 고용자, 고용업체의 정보를 담은 고용자DB(21)와 근로자의 정보를 담은 근로자DB(22)를 포함하는데 고용자와 근로자가 맺은 근로계약의 내용은 계약내역DB(23)에 저장이 되며 근로시간체크모듈(25)은 고용자단말기(12)와 근로자단말기(13)에 근무의 시작과 끝을 확인하는 메세지를 보내 확인된 시간을 근무내역DB(24)에 저장을 하며 마일리지 관리모듈(27)은 근무내역DB(24)에 저장된 근무시간과 계약내역DB(23)의 계약을 참조하여 마일리지DB(28)에 마일리지를 적립하도록 하며 근로자단말기(13)의 요청이 있는 경우 환금모듈(28)은 이체서버(14)에 미리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지급하도록 요청한다.

Description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PRE-PAYING SYSTEM}
본 발명은 근로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로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에는 시급제 근로자가 약 150만명 존재하며 이들중 나이어린 사람들도 부모에게 경제적 부담을 지우지 않기 위해 알바라고도 불리는 시급제 근로를 한다. 그러나 이들은 매일 출근을 위해서 교통비나 식사비 등 매일 매일의 돈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대개의 기업은 주급이나 일급이 아닌 월급 제도를 유지해오기 때문에 이들이 월급날 전까지 소액이지만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매일 매일의 일상비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급제로 근로 계약을 체결하고 일을 시작하여도 그 댓가를 받기까지는 약 1개월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으며 사회에 첫발을 내딛으며 정규직의 장기 근로 계약을 하기보다 그들이 가용할 수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시급제 계약직 근로를 하다 보니 신용카드나 정상적인 제1금융권의 대출을 받기는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일한 만큼의 소정의 근로 대가를 월말이 아니라도 하더라도 바로 바로 정산하여 사용할 수 있거나 그것을 경우에 따라서는 현금화 시켜주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지만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현재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05-0116195호 '근로자 가불 대행 시스템'은 대금결제회사가 근로자의 근무 정보 및 근로자 임금정보를 받아서 가불이 적정한지 판단하고 근로자에게 가불금액을 송금하도록 하고 있으나 근로자에게 가불을 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근로자의 근무 정보나 임금 정보에 관한 객관성이 부족하며 가불가능한 금액도 모호한 단점이 있어 실제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간제 근로자가 높은 이율로 돈을 빌리기 보다는 자신이 근무하여 받을 수 있는 급여를 미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시스템서버(11)와 고용자단말기(12), 근로자단말기(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이 되며 시스템서버(11)는 고용자, 고용업체의 정보를 담은 고용자DB(21)와 근로자의 정보를 담은 근로자DB(22)를 포함하는데 고용자와 근로자가 맺은 근로계약의 내용은 계약내역DB(23)에 저장이 되며 근로시간체크모듈(25)은 고용자단말기(12)와 근로자단말기(13)에 근무의 시작과 끝을 확인하는 메세지를 보내 확인된 시간을 근무내역DB(24)에 저장을 하며 마일리지 관리모듈(27)은 근무내역DB(24)에 저장된 근무시간과 계약내역DB(23)의 계약을 참조하여 마일리지DB(28)에 마일리지를 적립하도록 하며 근로자단말기(13)의 요청이 있는 경우 환금모듈(28)은 이체서버(14)에 미리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지급하도록 요청한다.
근로자단말기(13)와 고용자단말기(12)중 어느 일방의 근무 시간의 시작과 끝중 어느 하나의 요청이 있고 타방이 승락하는 경우 근무시간의 시작과 끝중 어느 하나로 인정된다.
계약모듈(26)은 고용자와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표준계약서를 고용자단말기와 근로자단말기로 전송하여 필요한 사항을 채운뒤 다시 전송받아 계약내역DB(23)에 저장하도록 한다.
근무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메세지는 미리 지정된 암호를 입력하는것, 바코드, QR코드를 인식시키는것, 미리 지정된 부호를 인식시키는 것, NFC카드를 인식시키는 것, 생체정보를 인식시키는 것중 어느 하나일수 있다.
현금과 마일리지의 환금비율은 고정될 수 있다.
근무시간은 초단위로 산정되어 정산반영 될 수 있다.
마일리지의 정산은 매일매일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에 의하여 시급제 근로자 및 약 500만 명에 달하는 최저임금 영향 근로자가 그들의 일상에서 소액이나마, 일한 만큼의 대가를 월급일 이전이라도 그들이 일한 범위 내에서 가용이 가능하여, 고금리의 제2금융권 론 서비스나, 부당한 사채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정당하게 저금리의 이율로 제1 금융권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회적 약자들의 생활고와 고금리 대출로 인한 폐해, 그리고 그들의 월간 현금수지 적자를 해결해 주는 새로운 금융서비스의 대안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는 약 1조 6,500억원의 임금체불이 발생 하였으며, 서울시에서만도 2018년 약 10만건의 노동분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본 특허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디지털 화의 근로시간 기록/저장/보관의 문제로 다소나마 해결책을 제시하고, 고용주와의 근로시간 착오로 빚어지는 분쟁을 객관적으로도 증빙 할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만약의 경우 그들이 일한 사업장이 도산이나 폐업을 하는 경우 국가가 체불임금 청산을 지원해주는 체당금 제도(소액 체당금 제도 포함)에도 중요한 증빙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투명한 사회와 임금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계보장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근로자가 당월에 일한 만큼 누적된 마일리지를 근거로 마일리지 정산신청을 하면 실시간으로 근로자에게 지급된 선불카드나 계좌에 충전이 되는데 시급제 근로자가 일한 시간은 정해진 시간만큼 미리 정해진 마일리지로 충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근로시간 1시간당 1마일이 적립된다고 하고 1마일이 1만원으로 정산가능하다고 하면 8시간 일을 하면 8마일이 적립되며 적립된 마일리지는 나중에 현금으로 정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현금지급을 바로 하지 않고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지급하는 것은 현금지급을 거의 실시간으로 바로 하려고 하면 은행이나 카드사 등과 현금거래를 위해 주고 받아야 하는 정보가 많아지고 거기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실시간 지급이 어려울 수 있다. 실제 사용자의 계좌에서 근로자의 계좌로 제3자가 현금을 이체 시키는 것은 많은 정보교환과 승인을 필요로 하며 현금을 이체하려고 하면 수수료가 발생하며 현금을 이체했음을 알리는데도 이동통신사의 망을 이용하는 경우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금을 직접 이체하는 것은 비용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현금과 일정비율로 교환이 가능한 마일리지로 지급을 하고 지급된 마일리지의 비용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월단위로 결제하도록 하며 근로자에게는 쌓여있는 마일리지 중 필요한 만큼만 현금으로 바꾸도록 하는 경우 모든 근로자가 마일리지를 즉시 현금으로 바꾸는 것을 원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금액을 즉시 현금으로 바꾸는 것 보다는 마일리지 형태로 적립을 하게 하여 필요할 때 즉시 현금으로 바꾸게 한다면 고용주의 계좌에 직접 액세스 할 권한이 없어도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현금지급의 경우 웹이나 앱으로 현금을 지급하였다는 알림을 보내는 것만으로도 비용이 들지만 시스템서버(11)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알림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고용자는 자신이 매월 지급하던 급여를 근로자에게 직접 지급하는 것을 시스템서버(11)에 매월 지급하는 형태로 바꿀 뿐이다. 또한, 고용주는 자신의 매장에서 마일리지를 현금대신 사용할 수 있다면 시스템서버(11)에 지급하는 비용 또한 현금이 아니라 마일리지로 지급할 수 있게 된다.
근로자 또한 현금으로 언제든지 환전이 가능하고 환전하지 않고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마일리지를 받고 현금과 마일리지의 환금비율이 1:1과 같이 고정된 형태라면 현금으로 받으나 마일리지로 받으나 크게 차이가 없으며 현금으로 환금할 필요성 또한 줄어들게 된다.
환금은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하지만 환금액의 최소단위는 천원, 만원등과 같이 정하도록 하여 너무 작은 단위로 환금할 경우 환금수수료가 과다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환금수수료가 커지면 환금수수료를 개인이 부담하거나 시스템이 부담하거나 어느 쪽이라고 하여도 시스템 사용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서버(11)는 고용자단말기(12)및 근로자 단말기(13)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이 되며 고용자 혹은 고용 업체의 정보를 담은 고용자DB(21)와 근로자의 정보를 담은 근로자DB(22)를 포함한다. 근로자DB(22)는 근로자별로 근로자와 업체 간의 계약내역을 담은 계약내역DB(23)와 업체별로 근무자가 실제 근무한 내역을 기록한 근무내역DB(24)를 포함한다. 계약내역과 실제 근무 시간은 근로자가 고용자와 어떤 계약을 맺었으며 실제로 얼마나 일을 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따라서, 근무내역DB(24)는 출근시간이나 퇴근시간이 아닌 급료를 지불하기 위하여 실제로 일하는 시간을 체크한다. 이때 실제로 일하는 시간은 출근시간이나 퇴근시간을 일을 하는 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지만 실제 일을 시작하는 시간과 출퇴근 시간과는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 뿐 아니라 급여 계산을 위해서 실제로 일을 시작하는 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더 체크하여 근무내역DB(24)에 저장한다.
근무를 나눠서 해야 하는 경우나 조기에 종료를 해야 하는 경우 고용자나 근로자 어느 한쪽의 요청에 의해서 다른쪽의 확인을 받고 다시 근무를 시작해야 하는 경우 어느 한쪽의 요청에 의해 다른 쪽의 확인을 받아서 근무내역DB(24)에 저장할 수 있다.
근로시간체크모듈(25)은 근로자단말기(13)와 고용자단말기(12)에 근무시작 및 근무의 끝을 확인하는 메세지를 보내고 근로자단말기(13)와 고용자단말기(12)가 근무시작 및 근무의 끝을 확인하는 메세지를 보내면 근무의 시작 및 끝의 시간을 확정하여 해당 시간을 근무내역DB(24)에 저장한다.
종래에는 출퇴근 여부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체크하는 기기들이 나와 있으나 이러한 기기들이 체크하는 출퇴근 시간은 주로 정규직 직원들의 근태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한시간만큼 비용이 지급되는 시간제 근로자는 출퇴근시간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한다는 별도의 조항이 없는 한은 출퇴근 시간의 체크는 근무시간과 다르기 때문에 실제 일한 시간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근로자단말기(13)와 고용자단말기(12)를 확인하여 실제 근무시간을 확인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다.
실제 근무를 통해서 발생된 마일리지는 마일리지DB(28)에 근로자별로 기록이 되며 마일리지의 적립이나 환전을 통한 감소분에 관해서는 마일리지관리모듈(27)이 별도로 관리를 하게 된다. 근로시간체크모듈(25)과 마일리지 관리모듈(27)은 매일 마일리지의 충전과 환금을 체크하여 매일 매일 일하여 쌓이는 마일리지가 언재든 환금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환금을 위해서는 환금모듈(28)이 이체서버(14)에 요청된 마일리지 만큼의 환금을 요청하여 고용자가 지정한 선불카드 혹은 계좌로 현금으로의 환불을 실행하게 된다.
실제 일한 시간을 확인해서 지급되는 마일리지는 성실히 근무하는 시간제 근로자의 입장에서 월급제라고 하면 한달 후에 당연히 받을 수 있는 돈이기 때문에 만약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월급날이 되기 전이라도 충전된 마일리지를 돈으로 환금하여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불이라는 제도를 이용하지 않으면 미리 받을 방법이 없으며 가불은 정해진 규정도 없고 작은 규모의 업체일수록 꺼리기 때문에 한달이 되기 전에 돈을 받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 경우 시간제 근로자는 고금리 대출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고금리대출의 경우 처음에는 작은 돈을 빌려도 나중에는 감당하지 못할 정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제근로자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마일리지는 이미 일한 것에 대해 매일 쌓이는 것으로 언제든 환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금리 대출을 받을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월급이 입금되기 전에 환금을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약간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지만 한달이내에 반드시 지급되는 돈을 담보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대한 이자만 내면 되며 이러한 수수료도 근로자가 부담할 수도 있지만 정책적인 지원이 있따면 근로자가 부담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제로 근무지에 근로자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근로자단말기(13)에 내장되는 GPS를 이용하여 실제 근무지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NFC카드 인식모듈을 근무지에 설치하여 태그하도록 할 수도 있다. GPS를 이용하는 경우 근무지를 기준으로 일정 범 위내에서만 근무의 시작과 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근무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인증과 승인이 가능하다. 이 경우 QR코드나 바코드, 비밀번호, 지문과 같은 생채정보가 사용이 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에나 근무의 시작과 끝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가 사용이 된다.
또한, 시스템서버(11)의 계약모듈(26)은 시간제 근로자를 사용하면서도 고용계약서와 같은 것을 준비하기 어려운 영세업체를 위하여 표준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고용자단말기(12)에 전송할 수 있다. 미리 만들어져 있는 양식에 필요한 몇 가지 사항만을 채워 넣으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며 고용주는 근로계약서의 미작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과태료 및 형사처벌을 예방하며 시간제근로자는 체불임금이나 임금관련 분쟁 시에 대응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시스템 서버(11) 또한 일하는 시간에 따른 급여 계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근무의 시작과 끝에 대하여 고용자와 시간제 근로자 양쪽의 확인을 받고 실제 근무시간을 계산하는 것은 정확한 시간의 계산을 통하여 미리 약정된 비용을 정확하게 지급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근무시간의 계산은 초단위로 정산이 될 수 있게 하여주며 나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방지한다.
실제 시간제근로자의 마일리지는 별도의 마일리지DB(28)에 충전되고 저장이 되며 환전을 위해서는 미리 지정한 계좌나 선불카드로 충전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출금의 편리와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선불카드를 사용하였는데 계좌로 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한 것으로서 근로자는 당월 근무한 내역 중 10마일을 근로자의 선불 카드에 선불충전을 요청하며 시스템 서버(11)는 근로자가 신청한 마일리지만큼의 현금을 충전하도록 요청한다. 실제로 현금을 충전하는 곳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일 수 있으며 혹은 자금이체를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이거나 별도의 금융협약사일 수 있다. 금융사나 별도의 금융협약사의 이체서버(14)는 근로자의 선불카드/선불계좌에 마일리지 만큼의 현금을 지급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이다. 도2는 스마트 폰 상에서 App을 활용하여 고용주와 근로자가 근로조건을 확인하고 서명하는 전자 근로 계약서를 도시하는데 근로자가 고용주와 협의된 근로조건을 입력하고 서명 전송하면, 고용주는 근로조건에 맞는지 확인하고 서명하여 스마트 폰의 APP 을 통해 전자 근로 게약서가 완성되는 발명 예시를 통해서 근로자가 어디에서 근무를 하지는지 와 어떤 요일 어떤 시간에 얼마의 시급을 받기로 하고 언제부터 근로를 개시하여 언제 까지 근무를 하는지가 증명될 수 있다.
도3은 GPS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출근과 퇴근을 입력하는 경우, 계약서에 명시된 사업장의 주소지에서 신청하였는지를 위치기반의 데이터로 확인하고 출퇴근시간을 초단위 근로시간까지 입력/기록/저장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4는 스마트 폰에 일한만큼 근로시간이 마일리지로 저장되는 것을 도시하는데 근로자가 매일매일 일한시간이 마일리지로 변환되어 금로자의 스마트 폰 화면에 총마일리지와 해당월의 마일리지,사용마일리지, 잔여마일리지로 표시됨.즉, 일한 만큼의 근로시간을 마일리지로 누적되는 시스템
도5는 시급제 근로자의 급여를 월급일 이전에 유동화 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근로자가 당월에 일한 만큼 누적된 마일리지를 근거로 마일리지 정산 신청을 하면, 실시간으로 근로자에게 지급된 선불카드가 바로 충전된다.

Claims (6)

  1.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서버(11)와 고용자단말기(12), 근로자단말기(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이 되며
    시스템서버(11)는 고용자, 고용업체의 정보를 담은 고용자DB(21)와 근로자의 정보를 담은 근로자DB(22)를 포함하는데
    고용자와 근로자가 맺은 근로계약의 내용은 계약내역DB(23)에 저장이 되며 근로시간체크모듈(25)은 고용자단말기(12)와 근로자단말기(13)에 근무의 시작과 끝을 확인하는 메세지를 보내 확인된 시간을 근무내역DB(24)에 저장을 하며
    마일리지 관리모듈(27)은 근무내역DB(24)에 저장된 근무시간과 계약내역DB(23)의 계약을 참조하여 마일리지DB(28)에 마일리지를 적립하도록 하며
    근로자단말기(13)의 요청이 있는 경우 환금모듈(28)은 이체서버(14)에 미리 지정된 계좌로 현금을 지급하도록 요청하는,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근로자단말기(13)와 고용자단말기(12)중 어느 일방의 근무 시간의 시작과 끝중 어느 하나의 요청이 있고 타방이 승락하는 경우 근무시간의 시작과 끝중 어느 하나로 인정되는,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계약모듈(26)은 고용자와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표준계약서를 고용자단말기와 근로자단말기로 전송하여 필요한 사항을 채운뒤 다시 전송받아 계약내역DB(23)에 저장하도록 하는,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근무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메세지는 미리 지정된 암호를 입력하는것, 바코드, QR코드를 인식시키는것, 미리 지정된 부호를 인식시키는 것, NFC카드를 인식시키는 것, 생체정보를 인식시키는 것중 어느 하나인,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현금과 마일리지의 환금비율은 고정되어 있는,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근무시간은 초단위로 산정되어 정산반영되는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KR1020200102842A 2019-08-14 2020-08-14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KR102424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562 2019-08-14
KR20190099562 2019-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847A true KR20210020847A (ko) 2021-02-24
KR102424925B1 KR102424925B1 (ko) 2022-07-26

Family

ID=746888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843A KR20210020848A (ko) 2019-08-14 2020-08-14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KR1020200102842A KR102424925B1 (ko) 2019-08-14 2020-08-14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843A KR20210020848A (ko) 2019-08-14 2020-08-14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08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808A (ja) * 2007-06-22 2009-01-08 Satoshi Watanabe ポイント利用システム及び同方法
KR20190009683A (ko) * 2017-07-19 2019-01-29 최천욱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808A (ja) * 2007-06-22 2009-01-08 Satoshi Watanabe ポイント利用システム及び同方法
KR20190009683A (ko) * 2017-07-19 2019-01-29 최천욱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848A (ko) 2021-02-24
KR102424925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US8744961B2 (en) Method of providing secure payment and transaction reconciliation
JP6431568B1 (ja) 給与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70372276A1 (en) Virtual Currency Convers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90094156A1 (en) Automated Budget Management, Multiple Payment, and Payment Authority Management
KR20090104906A (ko) 지연된 운송 요금 할당
CN113159873B (zh) 基于报销码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140156473A1 (en) Surcharge compliance registry
RU2744698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ополнения и возмещения предоплатных карт, используемых в транспортных приложениях
KR102329226B1 (ko)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JP7324015B2 (ja) 給与プリペイドシステム
KR102452239B1 (ko)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1409993B1 (ko) 채권자와 채무자의 대부 계약을 중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중개 시스템
US20150106271A1 (en) Surcharge violation registry
US20160148174A1 (en) Electronic Fund Transfer Reconciliation and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2452257B1 (ko)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424925B1 (ko)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US20200051164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A Fund Disbursement Transaction
KR20210023116A (ko) 선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852857A (zh) 车费报销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348348B1 (ko) 제세 공과금 대납/대출납 방법
US20240087045A1 (en) Fault Tolerant Per Diem System
KR102490835B1 (ko) 업무 관리 시스템
JP202404030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KR20120075449A (ko) 결제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