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683A -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683A
KR20190009683A KR1020170167085A KR20170167085A KR20190009683A KR 20190009683 A KR20190009683 A KR 20190009683A KR 1020170167085 A KR1020170167085 A KR 1020170167085A KR 20170167085 A KR20170167085 A KR 20170167085A KR 20190009683 A KR20190009683 A KR 2019000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loyee
time
employer
terminal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천욱
Original Assignee
최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천욱 filed Critical 최천욱
Priority to PCT/KR2017/0149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12108A1/ko
Publication of KR2019000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시스템(11)과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피고용자의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약정표식을 피고용자단말기(13)를 통하여 시스템(11)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미리 지정된 약정표식과 동일한 경우 타이머모듈(28)은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카운팅되도록 하며 근무시간에 따른 보수는 고용주를 통하여 미리 결제된 금액 중에서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승인되어 합의된 계약조건이 저장된 근로조건DB(23)를 참조하여 계약이행확인모듈(27)이 카운팅된 근무시간에 따라 지급해야 할 임금을 지급관리모듈(29)에 전송하여 지급관리모듈(29)이 결제시스템(14)을 통해 피고용자의 계좌에 입금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WORKING HOUR COUNTING TIMER}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간제 일용직을 관리하는 경우에 고용주가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기 때문에 시간제 일용직으로 고용된 피고용자의 경우 용역계약의 미체결, 휴게시간의 단축, 근로시간의 변경 등 불공정 사례에 따른 피해를 인정받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었다. 또한 초과근무를 하거나 휴일 근무, 야간 근무의 경우에도 근로기준법 상의 정산기준은 있지만 노조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일용직의 경우에는 일방적인 정산 또는 할증 기준이 무시되어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불공정 사례에 대한 시정을 강제하기 위해서는 공권력의 힘을 빌린다고 하여도 알아야 되는 절차도 많고 소모되는 시간이나 비용도 많기 때문에 받아야 할 급료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그냥 포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고용주의 입장에서도 피고용자가 지각/결근을 하거나 업무 중 딴짓을 하거나 일방적인 퇴사통보를 하거나 퇴사통보없이 연락을 끊어 버리는 것과 같은 일이 발생하여도 그에 대해 책임을 묻지도 못하고 정해진 급료를 주어야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시급제 용역 (아르바이트) 시장은 구인과 구직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에 비하여 구인/구직이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실명이 전제되지 않는 단기성 고용계약 시장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고용 및 계약, 급여정산, 평가 등의 기록이 보존되지 않아 상기의 문제점들이 개선이나 해결 없이 누적, 반복되어 시장 자체가 굉장히 위축되어 있는 바, 이 시장에 대한 구인구직을 장려, 용이하게 하고 이를 공정하게 관리해줄 서비스나 시스템 제공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09027호로 공개된 임금 지급방법 및 임금 지급 시스템이 개시된바 있으나 POS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근태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임금정보 만큼을 카드로 정산하는 것일 뿐 임금을 카드로 지불한다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특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고용자는 안정된 인력을 수급 받으며 근무의 질을 높이는 인력을 고용할 수 있도록 하고, 피고용자는 근무한 시간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공정한 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실명에 따른 성실성이나 능력에 대한 평가 기록이 보존될 수 없는 단기성 시장인 관계로 인하여 발생되고 반복되는 불성실 근무, 직업윤리관 부재 문제 및 관련 분쟁을 방지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이용한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시스템(11)과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피고용자의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약정표식을 피고용자단말기(13)를 통하여 시스템(11)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미리 지정된 약정표식과 동일한 경우 타이머모듈(28)은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카운팅 되도록 하며 근무시간에 따른 보수는 고용주단말기(12)를 통하여 미리 결제된 금액 중에서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승인되어 합의된 계약조건이 저장된 근로조건DB(23)를 참조하여 계약이행확인모듈(27)이 카운팅된 근무시간에 따라 지급해야할 비용을 지급관리모듈(29)에 전송하여 지급관리모듈(29)이 결제시스템(14)을 통해 피고용자의 계좌에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
근무시간 중에는 휴대폰기능제한모듈(30)에 의하여 피고용자단말기(13)의 기능이 근무에 필요한 기능을 제외하고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11)은 피고용자단말기(13)와 고용주단말기(12)를 통하여 접속한 고용주와 피고용자에게 구인/구직을 위한 게시물을 포스팅하도록 하며 게시물은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는 경우와 구인/구직이 성사된 경우, 허위 광고나 유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스템에 의하여 삭제되도록 하여 최신의 실제 구인/구직을 원하는 구인/구직정보만이 포스팅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11)은 계약보조모듈(26)을 포함하여 근무시간, 근무형태에 관한 합의를 할 때 업종, 시간에 따라 법에 위반되지 않으면서 양측이 합의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해 계약보조모듈(26)을 통해 양측에 제시하고 합의하도록 함으로써 분쟁의 발생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11)은 임금지급을 위한 고용주 명의의 임금지금계좌를 신탁받아 계좌번호와 계좌내역을 예치금DB(24)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임금지급이 필요할 때마다 신탁된 고용주 명의의 계좌를 통하여 지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약정표식은 비밀번호, 도형, 바코드, 입력패턴, 이차원바코드, NFC, 비콘+AR , 지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약정표식은 매장 내에 설치된 표식기와 찍은 사진을 더 포함하며 시스템(11)은 표식기 내의 숫자를 인식하여 타이머모듈(28)이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카운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질적인 구인과 구직의 의지가 있는 실질 구직 포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며 급여에 대한 세세한 부분까지 합의가 가능하도록 하여 공정한 정산과 지급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고용주는 근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인력을 공급받으며 피고용자는 근무시간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고용주, 피고용자 모두 평가 및 관리를 통하여 양질의 일자리와 피고용자를 구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부도덕한 고용주, 무책임한 피고용자를 자연스럽게 퇴출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고용주 또한 자신이 지급한 비용만큼 정당하게 시급을 계산하여 근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1)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고용주단말기(12) 및 피고용자단말기(13)와 연결되어 있으며 별도의 결제시스템(14)과도 연결되어 있다. 고용주단말기(12)는 시스템(11)을 통하여 연결되는데 초기에 고용주는 자신의 업종 및 근로조건에 관하여 시스템(11)에 등록을 하며 고용주의 정보는 고용주DB(21)에 저장된다. 피고용자는 자신의 이력이나 특기 등에 관한 사항을 피고용자DB(22)에 등록을 하는데 피고용자와 고용주의 구직/구인 조건이 일치하는 경우에 시스템(11)은 고용주와 피고용자 양쪽의 의사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근로조건에 대한 동의를 양쪽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으며 구체적인 계약내용은 근로조건DB(23)에 저장이 된다.
시스템(11)은 고용주가 근로의 시작 전에 일정금액을 미리 예치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시스템(11)은 별도의 결제모듈(25)을 가질 수 있으며 고용주별로 예치된 금액을 관리하기 위한 예치금DB(24)를 갖는다. 또한 결제시스템(14)은 피고용자의 근로에 대한 임금을 지불하기 위하여도 사용이 된다.
결제된 금액은 시스템(11)을 통하여 관리될 수 있지만 시스템(11) 운영자의 자의적인 사용을 막기 위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신탁시스템(15)을 통하여 관리될 수 있다.
예치금은 미리 정해진 금액 혹은 피고용자의 일당의 며칠 분에 해당하는 금액 이상이 항상 예치되어 있도록 하며 예치금이 일정금액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고용주와 피고용자의 단말기로 알리도록 하며 고용주에게는 입금을 요구한다.
최초로 로그인할 때에는 고용주, 피고용자 모두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한 후에 로그인하고 간단한 검색 등을 포함하여 시스템(11)을 사용하게 되지만 로그인 후에는 고용주, 피고용자 모두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입력한 후에 구인, 구직 활동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고용주는 근무시간, 근무장소, 근무조건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피고용자는 나이, 원하는 근무 형태, 특기 등 구직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게 된다.
본격적으로 구인/구직을 원하는 경우에는 구인/구직 요청에 관한 게시물을 포스팅하게 된다. 이러한 게시물은 시스템의 서버에서 구인/구직에 따른 형식을 제시한 후에 빈칸을 채워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한번 올린 게시물은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구인/구직 시에 미리 정한 시간 내에 구인/구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구인자나 구직자 둘 중 한쪽의 조건이 일방적으로 한쪽에만 유리하게 되어 있거나 구인/구직 가능성이 없어서 배제된 것으로 보고 게시물을 삭제하게 된다. 그러나 구인자나 구직자는 제한 없이 다시 게시물을 올릴 수 있으며 구인/구직이 성사되는 경우에는 게시물이 삭제되도록 하기 때문에 현재 서버에 포스팅 되는 게시물은 언제나 구인/구직을 원하는 사람들의 최신의 게시물만으로 채워지게 된다.
또한, 구인/구직이 잘 되지 않는 구인/구직자로 하여금 자신이 제시한 조건이 인력시장에서 통용되는 조건으로부터 동떨어져 있지 않은지 스스로 체크하도록 하게 된다.
종래에는 가능한 한 많은 게시물이 보이게 하기 위하여 기간 제한 없이 게시물이 올라와 있도록 하여 몇 년 전에 올린 게시물도 최신의 게시물과 같이 올라와 있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 구인/구직자에게는 쓸모없는 게시물이 많았다.
그러나 항상 현재 구인/구직을 원하는 사람들의 게시물로만 채워놓도록 하여 필요한 정보를 짧은 시간 안에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구인/구직 성공 확률은 높이고 구인/구직에 들어가는 노력과 시간은 줄이게 된다.
실제로 현재 서비스되는 구인/구직 사이트에 올라오는 게시물은 게시물의 개수가 많은지 여부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 구인/구직을 위하여 연락을 하는 경우 게시물을 올린 뒤 시간이 많이 지난 뒤라서 다른 일을 하고 있거나 구인/구직의 의사가 없어졌거나 구인/구직이 이미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서 구인자/구직자에게 연락을 했을 때 실제로 구인/구직을 하고 있는 경우를 찾아내어 연락을 하기 위해 몇 페이지나 되는 게시물을 검토하여 구인자/구직자에게 연락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실제 구인/구직을 원하는 사람의 게시물만 남아 있기 때문에 구인/구직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시물을 포스팅할 때 포스팅 횟수에는 제한 없지만 포스팅을 할 때 포인트제를 적용하여 게시물을 올릴 때마다 일정 포인트가 차감되도록 할 수 있다. 포인트는 가입할 때 일정 포인트가 주어지도록 하며 기본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에도 포인트가 주어지도록 하고 등록 후에 보다 자세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이트 내에서의 활동에 따라서도 포인트가 주어지도록 할 수 있다.
최초에 기본 교육을 수료하였을 때 포인트가 주어지도록 하는 것은 기본 교육 시에 구인/구직자로서의 기본 교육을 하도록 하여 기본 교육 시에 법률, 접객대응 등을 교육함으로써 구인/구직자의 소양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프라인을 통해 기본 교육을 수료하였을 때는 구인/구직의 의사가 높은 것으로 파악하여 차별화된 식별을 표시하여 구인/구직에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고용자 DB(21)는 구인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인검색 기능이 제공이 되며 지역/업종/매장 또는 회사의 스펙/급여의 형태 등이 저장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당 15시간 미만의 시간제 근무를 주로 다루지만 특히 법률상 주당 15시간 이상의 아르바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주당 15시간 이상의 아르바이트 사용의 경우 노동법에서 준수하여야 할 것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법률준수 여부도 저장이 된다.
피고용자DB(22)는 구직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역시 지역/업종/구직자의 스펙/원하는 급여 형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구인자와 구직자의 연결은 어느 일방이 올려놓은 게시물에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PC/휴대폰 단말기 등을 통하여 접속한 후 상대방에게 구인/구직에 대한 프로포즈를 하는 것으로 시작이 되며 구인/구직이 가능한 프로포즈는 1명의 구인마다 일정 횟수(약3회)로 제한될 수 있으며 구인 대상자의 3배수가 채워지면 더 이상 지원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악의적으로 구인/구직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구인/구직 조건이 좋은 특정인/특정업체에만 구인/구직 프로포즈가 집중되는 것을 막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직자의 경우 조건이 맞지 않으면 다시 프로포즈를 할 수 있으며 어느 한쪽이 올린 게시물은 48시간마다 갱신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프로포즈를 원하는 경우 게시물을 다시 올리거나 일정시간 후에 다시 프로포즈 하면 되기 때문이다.
구인자와 구직자가 근로조건에 동의하여 근로계약이 체결된 경우 근로조건DB(23)에 구인자와 구직자의 근로조건에 관한 내용이 저장이 되며 구인자/구직자가 올린 게시물은 즉시 삭제된다.
계약보조모듈(26)은 구인자와 구직자가 계약 시에 구인자와 구직자의 사이에 정해야할 구체적인 계약내용을 정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근무지역, 근무형태, 급여형태 등의 기본적인 사항 이외에도 휴게시간이나 근무조건 등을 정할 때 어느 한쪽에서 주장하기 어려운 것들에 대해서 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후에 분쟁의 소지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8시간 근무의 경우 1시간의 휴식시간을 주도록 법에서 강제하고 있는데 이러한 휴게시간에 대해서 구직자는 강하게 주장하기 힘들지만 계약 시에 계약보조모듈(26)이 일정시간 근무를 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휴게시간에 대해서도 언제 어떤 식으로 주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계약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을 지급하여야 하는 것이나 급여형태를 어떤 형태로(시급, 일급, 주급,월급 등) 할 것인지 휴무일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 휴일근무나 초과근무 시의 수당 등에 관한 것도 현행 법률에 기초하여 계약할 수 있도록 하여 구인자/구직자 어느 한쪽에서는 잘 모를 수도 있거나 관행적으로 어느 한쪽에게 부담을 지워왔던 사항에 대하여 까지도 계약서에 넣을 수 있도록 한다.
혹은 출퇴근 시의 확인을 어떤 식으로 할 것인지 어느 한쪽에서 양해해주었으면 하는 것들은 특약사항에 넣을 수 있다.
따라서, 계약보조모듈(26)은 구인/구직자가 근로에 대한 합의를 할 때 기본적인 사항부터 근무형태에 따라 정하는 것이 좋은 사항과 특약사항까지 양측에서 합의하고 근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계약이 성립되는 경우 근무 개시일부터 근무가 개시되는데 피고용자의 근무시간은 시스템(11)을 통하여 관리되며 임금지급과 휴게시간 등이 적절하게 제공되고 지켜지는지를 근무이행확인모듈(27)을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근무이행확인모듈(27)은 타이머 모듈(28)이 고용주와 피고용자가 합의한 형태로 출퇴근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타이머를 제공하고 타이머의 작동과 멈춤에 관한 정보를 계약이행확인모듈(27)로 보내 계약이 적절하게 이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피고용자가 근무를 시작하게 되면 고용주는 시스템(11)에 미리 등록시켜 놓은 약정표식을 등록시켜 놓으며 피고용자단말기(13)가 근무의 시작이나 끝/휴게시간의 시작이나 끝을 확인하기를 바라는 요청을 시스템(11)에 보내면 시스템(11)은 피고용자단말기(13)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약정표식을 시스템(11)에 전송하도록 한다. 고용주의 요청이 있는 경우 시스템(11)에서 정해준 약정표식을 고용주단말기(12)로 전송할 수 있으며 피고용자는 이 약정표식을 피고용자단말기(13)에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고용주단말기(12)는 시스템(11)으로부터 받은 약정표식을 피고용자단말기(13)로 전송하고 전달받은 약정표식이 다시 시스템(11)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약정표식은 숫자, 문자로 이루어진 비밀번호의 형태일 수 있으며 바코드, QR코드, 지문, 도안이나 패턴입력, 비콘을 통한 실내 위치 추적 등 식별가능한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피고용자 단말기로의 전송은 눈으로 보고 입력하는 것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 고용주단말기(12)에 표시된 것을 피고용자단말기(13)에서 찍거나 스캔하는 것을 포함한다.
약정표식이 피고용자단말기(13)에 입력되면 시스템(11)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은 약정표식을 확인한 후 피고용자의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의 시작/끝을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에 알리게 된다.
근무시간과 휴게시간의 시작/끝을 확인하는 것은 급여를 확정하기 위한 자료가 되기 때문에 양쪽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근무가 시작하거나 끝나는 시간, 휴식이 시작하거나 끝나는 시간에 피고용자단말기(13)에 시스템(11)으로부터 전송이 되어 피고용자가 확인하며 피고용자단말기(13)에서 고용주단말기(12)로 전송이 되고 고용자가 확인하면 다시 시스템(11)으로 전송되어 근무시간이 확정되도록 한다.
고용주와 피고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직접 입력이 아닌 전송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용주는 원격지에서 피고용자가 근무에 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진, 영상과 같은 자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피고용자단말기(13)는 확인에 필요한 자료를 고용주단말기(12)로 전송한다. GPS를 이용하여 피고용자단말기(13)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타이머모듈(28)은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에서 근무의 시작/끝을 알리는 타이머의 작동을 관리하게 된다.
또한, 타이머의 작동은 고용주나 피고용자에 양측에 의한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서로가 합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고용주나 피고용자의 합의에 의한 계약이 지켜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근거가 된다.
근무 중간에 쉬는 경우나 근무를 마치게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피고용자의 단말기와 고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휴게시간과 종료시간을 확인하여 근무의 중지와 근무의 종료를 알리게 된다.
근무시간의 시작과 종료 등을 확인할 때 고용주와 피고용자가 마주 보는 상태에서 인증을 할 수 있으며 일방이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는 피고용자가 매장에서 실시간 사진을 촬영 후 전송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시간의 조작을 막기 위하여 시스템(11)은 매장 내에 시간이나 숫자를 확인 하는 것만 가능하고 시간을 조절하지 못하는 표식기를 설치하고 표식기와 함께 찍은 사진을 고용주단말기(12)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종의 OTP나 시간조절이 불가능한 시계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시간이나 숫자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장에 표시된 표식기의 숫자를 인식하여 시스템(11)에 전달함으로써 근무의 시작과 종료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표식기에 표시되는 숫자는 시스템(11)에서 언제든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되는데 OTP와 같이 시간의 입력값을 이용하여 숫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나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가 통신할 때의 정보를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11)에서도 언제든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근무의 시작 시 표식기와 함께 찍은 자신의 사진을 피고용자단말기(13)에서 고용주단말기(12)로 전송하고 고용주단말기(12)에서 고용주의 확인 메시지가 시스템(11)으로 전송이 되면 시스템(11)은 사진 내의 숫자를 인식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얼굴을 인식하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표식기는 고용주단말기(12)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만 시간/숫자를 표시하도록 하여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되는 숫자만을 피고용자단말기(13)에서 고용주단말기(12)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고용주단말기(12)에 출근인증에 대한 요청이 오면 고용주단말기(12)가 매장 내의 표식기에 숫자표시를 요청하고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전송된 숫자를 시스템(11)으로 다시 전송하는데 표식기에 표시되는 숫자는 시간의 함수를 이용한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전송요청의 시간만 확인하면 시스템(11)에서는 표식기에 표시되는 숫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간편하게 확인될 수 있다.
타이머모듈(28)이 확인하는 것은 피고용자의 출근이나 퇴근이 아닌 피고용자의 근무의 시작과 끝, 휴게시간의 시작과 끝이다. 즉, 고용주의 입장에서도 피고용자의 입장에서도 실제 근무한 시간만큼 급료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출퇴근 시간과 근무의 시작과 끝은 다른 경우가 많으며 출퇴근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피고용자가 너무 일찍 출근하여 시간 계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다만, 근무의 시작과 끝을 위하여 준비시간이 필요한 경우 계약보조모듈(26)은 이러한 시간까지 근무의 시작과 끝을 위한 시간으로 간주하도록 계약 시에 요청할 수 있다.
종래에는 시간제로 계약하는 경우 10분 내지 20분을 더 일한 경우 그에 대한 급료를 더 주지 않는 경우도 많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시작과 끝 시간을 파악하여 정산하기 때문에 일한만큼 받는 것이 가능하다. 피고용자가 늦게 출근하는 경우 시간단위로 정산되는 종래의 경우에는 실제 늦은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한 시간에서 제외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고용주의 입장에서도 업무의 특성상 10분 정도 일찍 끝낸 경우라고 해도 그만큼을 제외하고 줄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계산에 의한 정확한 지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출근 도장만 찍고 일은 나중에 시작하거나 출퇴근 확인만 하고 일은 안하는 것과 같은 상황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고용주도 피고용자가 근무 시작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근무 시작을 위한 준비를 요청할 수 있으며 고용주가 피고용자의 확인 요청 메세지를 늦게 확인한다고 하여도 피고용자가 확인을 요청한 시간을 기준으로 근무의 시작과 끝/ 휴게시간의 시작과 끝으로 정산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시간 계산이 가능하며 그에 따른 임금지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된 피고용자의 근무시간은 계약이행확인모듈(27)에 의하여 확인되고 고용자의 피고용자DB(22)에 저장이 되며 미리 정해진 형태별로 근무가 종료가 되었을 때 피고용자에게 송금을 하게 된다. 지급관리모듈(29)은 이러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피고용자DB(22)와 근로조건 DB(23)를 확인하여 결제하여야 할 금액을 정하고 시급, 월급, 주급, 일급 등의 미리 정한 형태로 결제가 이루어지게 되며 시급제나 일급제인 경우 근로시간의 종료를 인증하면 인증이 끝나자마자 바로 송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송금은 시스템(11)이 별도의 결제시스템(14)이나 신탁시스템(15)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법에 정해지지 않았지만 관습적으로 지켜오던 것 또한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시간의 계산에 있어서 근무형태에 따라서 적용되는 요율을 달리할 수 있는데 예정하지 않았던 추가근무나 야간근무에 대해서는 적용되는 요율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4시간 근무를 약정을 하고 근무를 했는데 1시간을 더 하게 되는 경우 1시간 추가 근무에 대해서는 1.5배의 요율을 적용하여 시급을 지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알바꺾기라고 하여 정해진 근무시간을 예고 없이 단축하거나 야간이나 휴일에 근무를 시키거나 초과근무를 시키고도 법에 따른 비용을 지급하지 않고 평일 정시 근무 시의 비용만 지급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타이머모듈(28)에 의하여 확인된 근무시간을 계약이행확인모듈(27)이 확인하여 지급관리모듈(29)에 전송하여 지급이 되도록 하기 때문에 피고용자가 겪었던 불공정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정해진 시간보다 10분, 20분 정도의 초과근무에 대해서도 초과근무 수당으로 할증된 급여를 지급하거나 근무 형태의 특별성으로 인해 기준시간에서 10분, 20분 먼저 끝낸 뒤 그만큼의 비용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는 사회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범주이기 때문에 근무의 종료 시간을 기준으로 앞뒤 약 10%정도의 여유를 두어 그 시간 범위 내에서는 기준 요율로 가감 정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부분은 고용자와 피고용자가 직접 협상하여야 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시스템(11)이 미리 약정된 형태로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주기 때문에 고용주와 피고용자는 근무시간만 정확하게 체크하면 되며 비용지급에 대해서는 서로 언쟁하게 될 가능성을 줄이며 비용지급에 대해 이의가 있다고 하여도 시스템(11)에게 하기 때문에 비용문제 때문에 고용주와 피고용자가 대립하게 될 일은 매우 줄어들게 된다.
현재 대부분의 시간제 근무형태에 있어서 고용주의 사정으로 인해 근무시간이 단축되는 경우에도 정해진 시간동안 근무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피고용자는 약정된 모든 행위를 하고 근무준비를 하였음에도 자신이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근무하지 않은 시간에 대해서는 고용주가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이러한 경우에도 노동법에서 정한 정당한 대가를 피고용자에게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피고용자도 이러한 부분을 하나하나 따지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근무형태, 근무시간과 그에 따른 비용에 대해서는 시스템(11)이 관리하기 때문에 피고용자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근무시간이나 휴게시간에 따른 시급에 관해서는 계약보조모듈(26)이 계약 시에 자세한 부분까지 합의하도록 한 상태이며 정해진 근무시간에 근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시스템(11)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관리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비용지급에 대해서 이견이 거의 없게 되며 고용과 임금지급에 관한 분쟁을 줄이게 된다.
또한, 근무시간의 시작과 끝은 휴대폰에 의하여 양당사자가 확인하도록 하면서 근무시간 중에는 휴대폰기능제한 모듈(30)에 의해서 휴대폰의 기능이 일부 제한 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근무자 중에는 근무를 제대로 하지 않고 휴대폰만 가지고 노는 경우도 있는데 근무의 특성상 휴대폰을 사용하면 안 되는 업종인 경우에는 아예 휴대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휴대폰기능제한 모듈(30)은 근무 업종에 따라서 근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작업이 가능한 형태로 휴대폰의 기능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통화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용주에게도 피고용자가 근무에 집중하도록 하여 근무의 질적 향상을 가져 올 수 있게 된다.
입금 및 지급에 관하여 고용주는 시스템(11)에서 마련한 별도의 결제계좌에 예치금을 입금하게 되는데 미리 입금된 예치금은 근무시간에 대한 임금 정산에 사용하게 된다. 특히 시급이나 일급으로 계약이 된 경우 정해진 근무 시간이 끝나게 되면 즉시 정산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치금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피고용자의 한 달 치 급여 정도의 잔고를 유지할 수 있을 경우 고용주는 별도의 보증금 예치통장 개설 없이 본인의 주거래 계좌를 피고용자 급여이체계좌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예치금이 없다고 하더라도 일정기간의 평균잔액이 미리 정한 한도를 넘어서는 등의 확인이 있는 경우 지불능력이 있다고 보고 시간제 근무 급여이체 계좌로 사용할 수 있다.
보증금 유지가 어려운 고용주의 경우 정부관계 부처 및 은행과의 협약을 통하여 한 달 치 시간제 근무 인건비 정도의 한도가 부여되는 마이너스 통장이나 피고용자 전용 카드를 신규 발급하는 방식으로 지급을 보증할 수 있으며 이는 임금체불을 방지하고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급여이체계좌는 한 달에 한 번 정산이 되며 선지급 후정산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신탁시스템(15)과 결제시스템(14)은 급여이체계좌가 확정되면 온라인상으로 고용주의 동의와 계좌정보를 받아 지급요청이 있을 때마다 지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용주는 구인을 위한 게시물을 포스팅한 후 고용형태와 고용기간에 따른 예상발생비용을 시스템(11)으로부터 전송받아 그에 따른 예치금을 예치하며 예치금의 내역은 예치금DB(24)에 저장이 된다. 일당을 지급하는 경우 7일 정도의 예상비용을 예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정해진 고용형태에 따라 시스템(11)은 고용에 따른 비용정산금액을 결제비용을 결제시스템(14)에 전송하고 해당 비용이 피고용자의 계좌에 입금될 수 있도록 한다.
피고용자의 입장에서는 정해진 근무형태에 따라 정해진 근무시간 동안 근무하면 임금체불의 우려 없이 바로 바로 입금이 되며 고용조건도 시스템(11)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으며 고용주의 입장에서도 고용에 따른 법률적인 문제를 점검받으면서 고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분야에 필요한 시간만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된다.
또한, 결제시스템(14)이 사용하는 결제계좌는 오로지 입금의 지급만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시스템(11)의 사용에 따른 비용 등은 별도의 계좌/카드를 통하여 지급하도록 하고 결제시스템이 사용하는 계좌는 피고용자의 임금지급에만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여기에 사용된 비용은 고용주가 임금지급에 따른 비용으로 세무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시스템(11)에 비용을 입금하고 그 비용에서 피고용자에게 임금을 대신 지급하게 하고 일부는 시스템(11)사용에 따른 비용으로 처리하는 경우 고용주에서 시스템(11)으로 입금될 때 부가가치세가 가산되어 적용되어야 하며 이 경우 부가세가 붙으면서 결제해야 하는 합계금액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피고용자의 임금지급에 관한 계좌를 시스템(11)이 신탁받아 결제시스템(14)을 이용하여 결제하도록 함으로써 고용주의 계좌에서 직접 비용이 지급되도록 한다. 신탁시스템(15)은 계좌를 시스템(11)에 신탁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며 신탁된 계좌의 정보를 시스템(11)에 보내어 예치금DB(24)를 통하여 관리가 이루어지게 하며 결제시스템(14)은 신탁시스템(15)과 함께 시스템(11)이 보내온 송금정보에 따라 고용주의 계좌에 송금을 하게 된다.
임금지급을 위한 계좌의 결제는 임금지급을 위한 결제에만 신용카드를 고용주에게 사용하게 함으로써 임금지급을 위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계좌는 임금지급만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그동안 카운팅이 되지 않았던 비정규직의 근로소득에 대한 과세를 가능하게 하여 투명한 과세가 가능하게 하며 고용주도 비용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용주는 인건비를 신용카드로 결제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세무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자문시스템을 통하여 현재 맺어진 고용계약형태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 사고에 대한 자문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보험이나 법률, 회계, 세무, 노무 등에 대하여 자문받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실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사업자번호, 직원의 이름, 출근시간, 퇴근시간, 근무시간 등을 통하여 지급보수가 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11)은 계약이행확인모듈(27)을 더 포함하여 고용주와 피고용자는 계약된 내용대로 근무를 하고 임금을 지급하고 피고용자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피고용자의 근무시간과 계약된 근무시간, 계약된 임금과 실제 지급되고 있는 임금, 계약서, 휴게시간의 패턴 등을 파악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고용주와 피고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며 이러한 근무/고용 상태는 다음의 구인/구직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용주와 피고용자의 계약이행이력은 계약이행이력DB(31)에 따로 저장이 되도록 하여 고용주와 피고용자의 평가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용주와 피고용자는 계약된 고용관계가 종료된 이후에 서로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여 다른 고용계약에 있어서 반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단순하게 피고용자가 고용주에게 꽃과 같은 기호를 하나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피고용자는 꽃과 같은 기호를 받은 고용주를 더 선호하게 될 수 있으며 시스템(11)의 평가까지 반영하게 되면 다른 고용계약에서 피고용자의 선택시 충분한 참고사항이 될 수 있다.
성실함을 입증하는 표식은 피고용자에게는 시급을 높여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고용주의 선택을 유도하여 구직의 폭이 넓어지는 기회가 되도록 하며 고용주에게는 구인의 질을 높이는 순기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사가 제공하는 단계별 교육을 이수하는 피고용자는 포인트를 부여 받는 것 이외에도 직업 능력이 업그레이드되고 근로의지가 강한 직원이라는 인증을 받을 수 있고 구직에 우선순위를 상징하는 표식을 부여받을 수 있다.
반대로 낮은 평가나 분쟁, 사고의 이력이 있는 고용주는 경고/비추천의 표식이 붙게 되며 표식이 붙은 고용주는 본사의 재교육을 받아야만 표식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일정 개수 이상의 표식이 누적되는 경우 퇴출될 수 있도록 한다.
피고용자가 무단결근이나 지각을 자주 하는 경우, 이러한 이력은 시스템(11)에 자동으로 기록이 되고 파악되기 때문에 근무자의 성실성에 대해서 시스템(11)이 판단을 하여 게시할 수 있으며 고용주의 평가도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며칠 일하고 시급을 받은 뒤 무단결근하여 계약을 이행하지 않거나 기타 여하한 방법으로 계약이행을 불성실하게 하는 것은 계약이행이력DB(31)에 남아 본인의 게시물이나 프로필에 남게 되며 불성실을 표시하는 표식을 지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시간을 이수하여야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정해진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퇴출 될 수 있다.
도3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은 매장 내에 비콘을 설치하여 피고용자가 출근을 하였을 때 매장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데 피고용자단말기(13)는 매장 내의 비콘과 근거리 통신을 함으로써 출근, 퇴근, 휴식의 시작과 끝을 계시하기 요청할 때 매장 내에 있음을 확인하며 출근 등을 확인할 때 사진을 촬영하여 서버에 보내고 서버에서 얼굴을 인식하여 피고용자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용주단말기(12)로 보내 피고용자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GPS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매장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11)은 자체적으로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출근 등의 시간 확인정보를 따로 저장하게 된다.
도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본인확인을 위하여 사진을 찍을 때 단말기는 시스템(11)에서 보내지는 가변적인 AR도형에 관한 정보를 받아 사진에 함께 찍히도록 하여 본인여부를 확인할 때 지정된 AR도형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시간에 달라지는 도형에 대해서는 시스템(11)으로부터 랜덤하게 보내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시간 확인수단이 될 수 있다.
11: 시스템 12: 고용주단말기
13: 피고용자단말기 14: 결제시스템
15: 신탁시스템 21: 고용주DB
22: 피고용자DB 23: 근로조건DB
24: 예치금DB 25: 결제모듈
26: 계약보조모듈 27: 근무이행확인모듈
28: 타이머모듈 29: 지급관리모듈

Claims (8)

  1.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으로서,
    시스템(11)과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의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피고용자의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약정표식을 피고용자단말기(13)를 통하여 시스템(11)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미리 지정된 약정표식과 동일한 경우 타이머모듈(28)은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카운팅되도록 하며
    근무시간에 따른 보수는 고용주단말기(12)를 통하여 미리 결제된 금액 중에서 고용주단말기(12)와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승인되어 합의된 계약조건이 저장된 근로조건DB(23)를 참조하여 계약이행확인모듈(27)이 카운팅된 근무시간에 따라 지급해야할 비용을 지급관리모듈(29)에 전송하여 지급관리모듈(29)이 결제시스템(14)을 통해 피고용자의 계좌에 입금되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근무시간 중에는 휴대폰기능제한모듈(30)에 의하여 피고용자단말기(13)의 기능이 근무에 필요한 기능을 제외하고 제한되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시스템(11)은 피고용자단말기(13)와 고용주단말기(12)를 통하여 접속한 고용주와 피고용자에게 구인/구직을 위한 게시물을 포스팅하도록 하며 게시물은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나는 경우와 구인/구직이 성사된 경우 시스템에 의하여 삭제되도록 하여 최신의 구인/구직정보만이 포스팅되어 있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시스템(11)은 계약보조모듈(26)을 포함하여 근무시간, 근무형태에 관한 합의를 할 때 업종, 시간에 따라 법에 위반되지 않으면서 양측이 합의하여야 하는 사항에 대해 계약보조모듈(26) 양측에 제시하고 합의하도록 함으로써 분쟁의 발생을 줄이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시스템(11)은 임금지급을 위한 고용주 명의의 임금지금계좌를 신탁받아 계좌번호와 계좌내역을 예치금DB(24)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임금지급이 필요할 때마다 신탁된 고용주 명의의 계좌를 통하여 지급이 되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약정표식은 비밀번호, 도형, 바코드, 입력패턴, 이차원바코드, NFC, 비컨, 지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약정표식은 매장 내에 설치된 표식기와 찍은 사진을 더 포함하며 시스템(11)은 표식기 내의 숫자를 인식하여 타이머모듈(28)이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카운팅하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피고용자단말기(13)는 매장 내에 설치된 비컨과 단거리통신을 통해 피고용자가 매장 내에 있음을 확인하고 시스템(11)은 피고용자단말기(13)로부터 보내온 사진에서 사진의 전송시간을 파악하고 사진 내에서 피고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본인에 의하여 찍힌 사진인지를 확인하여 타이머모듈(28)이 근무와 휴식의 시작과 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카운팅하도록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0170167085A 2017-07-19 2017-12-06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20190009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4901 WO2019112108A1 (ko) 2017-12-06 2017-12-16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1780 2017-07-19
KR1020170091780 2017-07-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280A Division KR20190067080A (ko) 2018-08-31 2018-08-31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0180103281A Division KR20190067081A (ko) 2018-08-31 2018-08-31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83A true KR20190009683A (ko) 2019-01-29

Family

ID=6532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085A KR20190009683A (ko) 2017-07-19 2017-12-06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6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141653A1 (ko) * 2019-01-05 2020-07-09 최천욱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20210020847A (ko) * 2019-08-14 2021-02-24 최천욱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KR20210051738A (ko) * 2019-10-31 2021-05-10 양지석 프리랜서 용역비 지급 중개 방법
CN114693258A (zh) * 2022-03-23 2022-07-01 北京神州邦邦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互联网泛it服务管理平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653A1 (ko) * 2019-01-05 2020-07-09 최천욱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035832B1 (ko) *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20847A (ko) * 2019-08-14 2021-02-24 최천욱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KR20210051738A (ko) * 2019-10-31 2021-05-10 양지석 프리랜서 용역비 지급 중개 방법
CN114693258A (zh) * 2022-03-23 2022-07-01 北京神州邦邦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互联网泛it服务管理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683A (ko)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452239B1 (ko)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329226B1 (ko)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2161894B1 (ko)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CN106796673B (zh) 用于计费的改进的系统和方法
KR102350171B1 (ko) 근로자를 위한 노무관리 시스템
AU2021201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llections of debts for businesses
KR101693302B1 (ko) 프로젝트 단위의 전문인력 구축방법
KR101635573B1 (ko)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30117564A1 (en) Job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de scanning
US2018033081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care management computing platform
KR102528645B1 (ko) 구인구직 인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07694A (zh) 一种人才共享系统
KR20190067080A (ko)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20190067081A (ko)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WO2019112108A1 (ko)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KR101807762B1 (ko) 고용인 및 피고용인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2452257B1 (ko) 분산데이터방식 저장을 통한 단말기를 이용한 시급제 용역의 시간제 근무 계약 관리시스템
US20200097882A1 (en) Monitoring system for employment postings and applications and other transactions
US20170061383A1 (en) Human resource management method
KR102424925B1 (ko) 근로 마일리지를 활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US20190266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ring persons to perform services on a temporary basis
KR101805133B1 (ko) 기업체 업무용승용차의 비용관리방법
KR20200125001A (ko) 차량 정기 방문관리 서비스 방법
KR20210023116A (ko) 선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0

Effective date: 202003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1003300;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