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737A -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 - Google Patents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37A
KR20210020737A KR1020200013486A KR20200013486A KR20210020737A KR 20210020737 A KR20210020737 A KR 20210020737A KR 1020200013486 A KR1020200013486 A KR 1020200013486A KR 20200013486 A KR20200013486 A KR 20200013486A KR 20210020737 A KR20210020737 A KR 2021002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support shaft
sleeve
main body
slee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2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운반 용이성 및 저비용화의 문제를 해결한 접이 테이블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 접이 테이블(A)은 접이 가능한 다리부(200)와, 다리부(2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한 천판(100)을 구비하고, 천판(100)은 접이 가능한 천판부(110)와, 천판부(110)의 면 상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하중 지지부(120)를 갖는다. 천판부(110)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양측부위에 배치된 지지축부(112)를 갖는다. 하중 지지부(120)는 지지축(121)이며, 본체(111)의 이면에 고착된 절곡 띠형상체인 슬리브 부재(122)를 통과해서 유지된다.

Description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TOP PLATE AND FOLDING T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웃도어용 접이 테이블은 접이 가능한 다리부와, 이 다리부의 상측에 착탈 가능한 천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블은 컴팩트화를 도모하기 위해 다리부에 추가하여 천판에 대해서도 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많다(특허문헌 1 등).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7-4137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예에 의한 경우 지지 강도의 면에서 천판 자체가 무거워지고, 이것에 따라 천판의 운반이 불편하다. 이 때문에 천판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도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이며, 운반 용이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천판은 천판부와, 이 천판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하중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천판부는 접이 가능한 시트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의 양측부위에 배치된 지지축부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천판에 의한 경우 천판부의 면 상에 작용하는 하중이 하중 지지부에서 받아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천판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천판부에 대하여 하중 지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 천판부가 접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천판은 부품 점수가 적어 경량인 점에서 천판의 운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체의 이면에는 슬리브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하중 지지부는 지지축이며, 슬리브 부재에 통과되어 유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형태의 천판에 의한 경우 하중 지지부의 구성이 심플한 것으로부터, 이 점에서 천판의 저비용화를 한층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중 지지부가 천판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방해가 되지 않는 점에서 사용성도 양호해진다.
하중 지지부는 지지축이 지지축부에 대하여 직교 배치 또는 교차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천판에 의한 경우 하중 지지부의 구성이 심플한 것에 추가하여 천판의 지지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경량이 되는 점에서 천판의 운반 용이화가 한층 도모된다.
슬리브 부재는 지지축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해서 일렬로 떨어져서 배치된 제 1 슬리브, 제 2 슬리브, 제 3 슬리브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슬리브는 상기 지지축의 선단면을 받아내는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천판에 의한 경우 하중 지지부의 구성이 심플해서 경량이 되는 점에서 천판의 운반 용이화 및 저비용화를 한층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체의 이면 상에는 폐색부가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슬리브의 개구는 폐색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형태의 접이 테이블은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의 천판과, 접이 가능한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는 상단부가 상기 천판의 지지축부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접이 테이블에 의한 경우 천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추가하여 천판과 다리부 사이의 연결 기구의 구성이 심플해서 부품 수가 적다. 따라서, 이 면에서도 테이블이 경량이 되는 점에서 테이블의 운반 용이화, 조립 용이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접이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테이블에 사용된 천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천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동 천판을 저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상기 천판의 천판부로부터 지지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동 천판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동 천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동 천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동 천판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동 천판의 저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천판부로부터 지지축이 분리되고, 또한 천판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동 접이 테이블의 다리부의 사시도이며, 동 다리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접이 테이블(A)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접이 테이블(A)은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다리부(200)와, 다리부(20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한 천판(100)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A)은 주로 아웃도어용에 사용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판(100)은 천판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천판부(110)는 도 1~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시트형상의 본체(111)를 갖고 있다. 본체(111)는 복수의 수지제의 판형상체와, 커버를 갖고 있다. 판형상체는 본체(111)의 폭 방향(이하, 제 1 방향(X)이라고도 한다)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커버로 덮여 있으며, 또한 이웃하는 판형상체 사이에 크리스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11)는 크리스에서 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111)는 제 1 방향(X)의 양측부위를 갖는다. 양측부위는 본체(111)의 제 1 방향(X)의 일방측의 제 1 측부위와, 본체(111)의 제 1 방향(X)의 타방측의 제 2 측부위를 포함한다. 제 1, 제 2 측부위에는 단측 통형상부(1112), 중앙측 통형상부(1111), 단측 통형상부(1112)가 본체(111)의 길이 방향(이하, 제 2 방향(Y)이라고도 한다)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측부위의 중앙측 통형상부(1111)와 단측 통형상부(1112)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되어 있다.
천판부(110)는 본체(111)의 제 1, 제 2 측부위에 배치된 다리부 연결용의 제 1, 제 2 지지축부(112)를 더 갖고 있다. 제 1, 제 2 지지축부(112)는 금속각형 중공 샤프트이다. 제 1, 제 2 지지축부(112)가 제 1, 제 2 측부위의 단측 통형상부(1112), 중앙측 통형상부(1111), 단측 통형상부(1112) 내에 통과되어 제 1, 제 2 측부위에 유지되어 있다. 제 1, 제 2 측부위의 중앙측 통형상부(1111)와 단측 통형상부(1112) 사이에는 간극으로부터 제 1, 제 2 지지축부(112)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 제 1, 제 2 지지축부(112)의 노출부에 다리부(200)의 상단부가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천판(100)은 하중 지지부(12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하중 지지부(120)는 천판부(110)의 면 상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하중 지지부(120)에 의해 천판부(110)의 중앙 부분이 휘지 않도록 이면측으로부터 보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천판부(110)는 전개된 상태로 그 표면 상에 캠프용품 등이 놓였다 해도 그 하중에 의해 천판부(110)의 중앙 부분이 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중 지지부(120)는 도 3,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지지축(121)이다. 지지축(121)은 제 1, 제 2 지지축부(112)와 동일한 금속각형 샤프트가 사용되어 있다. 본체(111)의 면 상의 지지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 지지축(121)은 제 1, 제 2 지지축부(112)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배치 또는 교차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21)은 본체(111)의 크리스에 대해서도 대략 직교 배치 또는 교차 배치되어 있다.
본체(111)의 이면에는 슬리브 부재(122)가 고착되어 있다. 이 슬리브 부재(122) 내에 지지축(121)이 통과되어 유지되어 있다. 슬리브 부재(122)는 지지축(1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기 위해서 일렬로 떨어져서 배치된 제 1 슬리브(1223), 제 2 슬리브(1222), 및 제 3 슬리브(1221)를 갖고 있다.
제 1 슬리브(1223), 제 2 슬리브(1222), 제 3 슬리브(1221)가 본체(11)의 이면측 중앙에 크리스에 대하여 대략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이하,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일렬로 나란히 떨어져서 고착되어 있다. 제 1 슬리브(1223)는 제 1 측부위의 중앙측 통형상부(111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슬리브(1221)는 제 2 측부위의 중앙측 통형상부(111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슬리브(1222)는 본체(11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직교 또는 교차 방향 중 직교 방향은 제 1 방향(X)에 상당한다.
제 1 슬리브(1223), 제 2 슬리브(1222), 및 제 3 슬리브(1221)는 도 3,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단면 Ω형상 또는 단면 O자상의 띠형상체이다. 제 1 슬리브(1223) 및 제 2 슬리브(1222)는 직교 또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하고 있다. 한편, 제 3 슬리브(1221)는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일방으로 개구하고 있지만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타방측이 폐색되고, 또한 지지축(121)의 선단면을 받아내기 위해서 바닥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슬리브(1223)의 개방단 부근에는 동 슬리브부(1223)의 개구를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기 위한 띠형상의 폐색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부(125)의 선단부는 자유단부인 한편, 폐색부(125)의 기단부는 중앙측 통형상부(1111)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슬리브(1223)의 외측면 및 폐색부(125)의 내측면은 면 파스너로 되어 있다.
즉, 폐색부(125)의 선단부를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일방으로 빼면 제 1 슬리브(1223)의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가 노출되어 개방 상태가 된다. 여기로부터 지지축(121)이 제 1 슬리브(1223), 제 2 슬리브(1222), 및 제 3 슬리브(1221) 내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지지축(121)의 선단면이 제 3 슬리브(1221)의 바닥에 접촉할 때까지 지지축(121)이 제 1 슬리브(1223), 제 2 슬리브(1222), 및 제 3 슬리브(1221) 내에 넣어지면 지지축(121)의 타단이 제 1 슬리브(1223)의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로 폐색부(125)의 선단부를 제 1 슬리브(1223)의 외면에 접촉시키면 제 1 슬리브(1223)의 직교 또는 교차 방향의 일방측의 개구가 폐쇄 상태가 되며, 이 상태가 면 파스너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천판부(110)의 폐색부(125)의 가까이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천판부(110)의 본체(111)를 접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장척형상의 면 파스너가 부착된 끈(130)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끈(130)은 생략 가능하다.
다리부(200)는 도 1에 나타내어진 개방 상태로부터 도 10에 나타내어진 폐쇄 상태(접이 상태)에 걸쳐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리부(200)는 합계 4개의 X형상 링크부(210)와, 합계 4개 하측 연결 블록(230)과, 합계 4개 상측 연결 블록을 갖는다. X형상 링크부(210)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사각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X형상 링크부(210)는 X형상으로 교차된 1쌍의 프레임을 갖고, 이 프레임이 그 교차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측 연결 블록(230)은 이웃하는 X형상 링크부(210)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상측 연결 블록은 이웃하는 X형상 링크부(210)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상측 연결 블록은 제 1 방향(X)의 일방측의 2개의 상측 연결 블록(220a)과, 제 1 방향(X)의 타방측의 2개의 상측 연결 블록(220b)을 포함한다.
상측 연결 블록(220a, 220b)의 상단부는 제 1, 제 2 지지축부(112)의 노출부에 대하여 그 하방으로부터 결합 가능한 단면으로부터 볼 때 U자상의 형상(결합 구멍(221))으로 되어 있다. 하측 연결 블록(230)의 하단면은 지면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연결 블록(220a)과 상측 연결 블록(220b)에는 링크(240)가 걸쳐 놓여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측 연결 블록(220a)은 링크(240)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한편, 상측 연결 블록(220b)은 링크(240)의 선단부를 받아낼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측 연결 블록(220a, 220b)의 상단부는 결합 구멍(221)의 저부에 링크(240)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A)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다. 우선, 도면 외의 전용 케이스로부터 접이 상태의 천판(100) 및 다리부(200)를 인출하고, 다리부(200)를 펼쳐서 지면에 둔다. 한편, 천판(100)의 천판부(110)를 펼치고, 이 상태로 천판부(110)의 이면측에 지지축(121)을 삽입해서 부착한다. 지지축(121)이 천판부(110)의 면 상에 세팅되면 천판부(110)가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천판(100)을 조립한 후 다리부(200)의 상측에 올린다. 그러면 천판부(110)의 제 1, 제 2 지지축부(112)가 다리부(200)의 결합 구멍(221)에 그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져서 결합되고, 그 결과 천판(100)과 다리부(200)가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테이블(A)이 전개된다.
또한, 상기와 반대를 행한다. 즉, 천판(100), 지지축(121), 다리부(200)를 서로 분리하고, 천판(100) 및 다리부(200)를 접는다. 이에 따라 테이블(A)이 분해된다. 접힌 천판(100) 및 다리부(200)를 지지축(121)과 함께 도면 외의 전용 케이스에 넣는다. 이러한 부품이 접힌 상태로 테이블(A)은 도면 외의 전용 케이스에 넣어져서 운반 가능해진다.
테이블(A)의 천판(100)의 표면 상에 무거운 캠프용품 등을 놓았을 때이어도 그 하중이 하중 지지부(120)에서 받아내어지는 점에서 천판부(110)의 면 상이 휘기 어려워 캠프용품 등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일은 없다.
이렇게 천판(100)의 면 상에 작용하는 하중이 하중 지지부(120)에서 받아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천판부(110)에 관하여 재질/구조의 면에서 고비용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며, 천판(100)의 강도 저하 및 저비용화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테이블(A)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천판(100)과 다리부(200)가 분리 가능하며, 천판(100)은 상기와 같이 접이 가능하고, 또한 다리부(200)는 상기와 같이 접이 가능하다. 또한, 천판부(110) 및 다리부(200)의 구성이 심플하며, 천판부(110) 및 다리부(200)의 연결 기구도 심플한 점에서 테이블(A)의 부품 점수가 적어 테이블(A) 전체가 경량이 된다. 따라서, 테이블(A)의 저비용화, 운반 용이화, 및 조립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천판은 접이 테이블의 천판으로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접이 의자의 좌면부나 접이 베드의 바닥판 등으로서도 테이블의 천판과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천판부는 접이 가능한 시트형상의 것인 한 어떠한 형태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천판부는 우드나 우레탄 등의 복수의 판형상체를 평면형상으로 서로 연결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판형상체는 힌지 등으로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천판의 다리부에 대한 연결 기구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설계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중 지지부는 천판부의 면 상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형태이면 좋다. 예를 들면, 슬리브 부재는 지지축을 통과해서 유지하는 한 그 형상이나 슬리브부의 개수는 임의로 설계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2 슬리브 등을 복수로 나누어도 좋고, 반대로 슬리브 부재는 복수의 슬리브를 갖는 것은 아니고, 전체를 일직선형상으로 연장된 구성이어도 좋다. 슬리브 부재가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을 경우 슬리브 부재는 천판의 본체의 크리스에 대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슬리브 부재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의 슬리브를 적어도 2개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적어도 2개의 슬리브는 천판의 본체의 크리스에 대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브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U자상 또는 대략 O자상의 금속 파츠 또는 수지 파츠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하중 지지부는 지지축을 천판부의 표면 상에 배치하는 형태, 천판부의 측면으로부터 천판부의 내부에 삽입하는 형태, 지지축 대신에 골조 구조체 등을 사용한 형태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폐색부는 띠형상일 필요는 없고, 제 1 슬리브를 천판의 일단측으로부터 개폐 가능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접이 테이블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테이블의 다리부는 접이 가능한 구성인 한, 형상이나 기구가 문제될 일은 없다. 또한, 이 테이블은 소사이즈일 때는 접이 의자 등에도 적용 가능한 한편, 대사이즈일 때는 접이 베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방향은 천판의 본체의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인 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교차하고 있는 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A: 접이 테이블 100: 천판
110: 천판부 111: 본체
112: 제 1, 제 2 지지축부 120: 하중 지지부
121: 지지축 122: 슬리브 부재
1221: 제 3 슬리브 1222: 제 2 슬리브
1223: 제 1 슬리브 125: 폐색부
200: 다리부 210: X형상 링크부
220a, 220b: 상측 연결 블록 221: 결합 구멍
230: 하측 연결 블록

Claims (10)

  1. 천판부와,
    상기 천판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하중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판부는 접이 가능한 시트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부위에 배치된 지지축부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는 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는 슬리브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중 지지부는 지지축이며, 상기 슬리브 부재에 통과되고, 또한 유지되어 있는 천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부에 대하여 직교 배치 또는 교차 배치되어 있는 천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지지축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기 위해 일렬로 떨어져서 배치된 제 1 슬리브, 제 2 슬리브, 및 제 3 슬리브를 갖고, 상기 제 3 슬리브가 상기 지지축의 선단면을 받아내는 바닥이 있는 형상인 천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이면 상에는 상기 제 1 슬리브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폐색부가 고정되어 있는 천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크리스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중 지지부는 지지축이며, 상기 크리스에 대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고 있는 천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는 상기 크리스에 대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리브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중 지지부는 상기 슬리브 부재에 통과되고, 또한 유지되어 있는 천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는 슬리브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크리스에 대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떨어져서 배치된 복수의 슬리브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중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슬리브에 통과되고, 또한 유지되어 있는 천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리브 중 1개의 슬리브가 상기 본체의 양측부위의 일방의 측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1개의 슬리브 내에 삽입 유지되고, 또한 상기 일방의 측부위에 배치된 상기 지지축부에 대하여 직교 또는 교차하고 있는 천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천판과,
    접이 가능한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다리부는 그 상단부가 상기 천판의 상기 지지축부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는 접이 테이블.
KR1020200013486A 2019-08-16 2020-02-05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 KR20210020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9423 2019-08-16
JP2019149423A JP2021029296A (ja) 2019-08-16 2019-08-16 天板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テーブ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37A true KR20210020737A (ko) 2021-02-24

Family

ID=7467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86A KR20210020737A (ko) 2019-08-16 2020-02-05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029296A (ko)
KR (1) KR20210020737A (ko)
TW (1) TW2021080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375A (ja) 1993-07-30 1995-02-10 Chichibu Onoda Cement Corp ディップ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のディップコーティング装置を用いたセラミックス薄膜の製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3177A (en) * 1929-07-15 1931-11-24 Leon J Baker Adjustable nursery and camp table
JP2000135120A (ja) * 1998-11-02 2000-05-16 North Pole Japan:Kk 野外テーブル
KR200457904Y1 (ko) * 2010-06-11 2012-01-12 박정식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101272118B1 (ko) * 2012-11-27 2013-06-07 오성듀랄루민(주) 레저용 절첩식 테이블
CN204157916U (zh) * 2014-08-22 2015-02-18 安逸派(厦门)工贸有限公司 一种改进的便携式折叠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375A (ja) 1993-07-30 1995-02-10 Chichibu Onoda Cement Corp ディップ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のディップコーティング装置を用いたセラミックス薄膜の製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8041A (zh) 2021-03-01
JP2021029296A (ja)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525E1 (en) Foldable playard
US7360783B2 (en) Barbecue device having foldable cart
US8162396B2 (en) Modular, multiple-seat chair
US20070138040A1 (en) Collapsible golf bag set
US8166991B2 (en) Rail skirt system
KR20210020737A (ko)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
KR101670632B1 (ko) 휴대용 변기
KR200450890Y1 (ko) 접이식 간이침대
US5957061A (en) Banquet table
JP4008755B2 (ja) ベッド装置
JP4146474B2 (ja) トランポリン
US6585314B2 (en) Tablet arm attachment for folding chair having ganging feature
KR102438157B1 (ko)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KR20210000012U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331216Y1 (ko) 조립식 평상
JP2945665B1 (ja) 折り畳み式椅子兼用小型テーブル
KR200380067Y1 (ko) 의자
JP4566933B2 (ja) 机用脚
KR100463913B1 (ko) 절첩식 의자
KR20180045137A (ko) 휴대용 변기
JP2990201B2 (ja) 折り畳み式多目的野外用具のフレーム構造
KR200286964Y1 (ko) 절첩식 의자
KR920005148Y1 (ko) 휴대형 절첩식 침대
KR20210131559A (ko) 조립식 평상
JP2005073902A (ja) 紙製椅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