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157B1 -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 Google Patents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157B1
KR102438157B1 KR1020210032073A KR20210032073A KR102438157B1 KR 102438157 B1 KR102438157 B1 KR 102438157B1 KR 1020210032073 A KR1020210032073 A KR 1020210032073A KR 20210032073 A KR20210032073 A KR 20210032073A KR 102438157 B1 KR102438157 B1 KR 102438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le
pieces
piece
longitudin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마
Priority to KR102021003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47B2003/0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having X/Y-crossed legs rotating around a central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47B2003/04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and crossed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테이블의 운반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대형텐트 내부의 정중앙에 지지폴대가 설치되어 있어도 야외용 롤테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평행되게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두 개의 장방향 프레임 중 하나의 중간을 절단하여 기설치된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절단된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장방향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너트고정공을 형성하고, 너트고정공과 대응되는 장방향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지지캡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캡에 너트고정공과 결착되는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두 장방향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다리가 X자 형태로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접이가 가능하게 힌지를 구비한 브라켓을 설치하여 된 접이식 접이다리와: 상기 장방향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질 수 있는 길이의 다수의 조각편들을 촘촘히 맞댄 다음, 이들 조각편의 저면에 장측 벌크로테이프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조각편들이 두루마리처럼 말리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조각편들중 정중간에 위치한 부분에는 중앙에 지지폴대를 관통시킬 수 있게 간극을 두고 두 폴대지지편을 설치하는 한편, 이 두 폴대지지편에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각각 설치하되, 일측의 폴대지지편을 연결하고 있는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잘라 폴대지지편이 다른 조각편들로부터 분리되게하여 기 설치된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의 일단에는 버클고리를 각각 설치하여 타측의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끼워 폴대지지편이 안정되게 조각편과 연결되게 한 롤 상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the folder type roll table for outdoor}
본 발명은 롤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사용과 설치가 용이하도록 테이블 상판이 롤방식으로 말릴 수 있도록 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테이블은 여러 사람이 테이블 주위에 앉아 음식 등을 먹기 위해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는데, 이러한 테이블은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야외활동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테이블을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절첩 가능한 구조로도 실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절첩식 테이블의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0449683호(야외용 접이식 탁자)가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박스형 부재가 결합되어 위아래로 접이 가능한 접이식 본체(100)와; 상기 박스형 부재들의 접촉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서랍(110)과; 상기 본체(100)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회전돌출 및 회전수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리(120)와; 상기 본체(100)의 모서리 중에 상기 본체(100)가 절첩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판(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4인 이상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커져야 하는데 그럴 경우에는 절첩식테이블의 이동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야외에 설치된 대형 텐트내에 설치하고자 할 시에는 대형텐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정 중앙에 설치되는 지지폴대로 인하여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가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롤 테이블의 운반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대형텐트 내부의 정중앙에 지지폴대가 설치되어 있어도 야외용 롤테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행되게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두 개의 장방향 프레임 중 하나의 중간을 절단하여 기설치된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절단된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장방향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너트고정공을 형성하고, 너트고정공과 대응되는 장방향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지지캡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캡에 너트고정공과 결착되는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두 장방향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다리가 X자 형태로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접이가 가능하게 힌지를 구비한 브라켓을 설치하여 된 접이식 접이다리와: 상기 장방향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질 수 있는 길이의 다수의 조각편들을 촘촘히 맞댄 다음, 이들 조각편의 저면에 장측 벌크로테이프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조각편들이 두루마리처럼 말리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조각편들중 정중간에 위치한 부분에는 중앙에 지지폴대를 관통시킬 수 있게 간극을 두고 두 폴대지지편을 설치하는 한편, 이 두 폴대지지편에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각각 설치하되, 일측의 폴대지지편을 연결하고 있는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잘라 폴대지지편이 다른 조각편들로부터 분리되게하여 기 설치된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의 일단에는 버클고리를 각각 설치하여 타측의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끼워 폴대지지편이 안정되게 조각편과 연결되게 한 롤 상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접이다리의 장방향 프레임의 각 단부에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롤 상판부재의 양측 바깥쪽에 위치한 조각편에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고정공을 각각 형성하여 롤 상판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관형태의 지지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캡이 타측 장방향프레임에 일정 깊이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지지캡에 고정핀을 연결 설치한 후 타측 장방향프레임의 고정공에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롤 테이블은 다리부분을 접이식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상판을 두루마리식으로 형성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함은 몰론이고, 접이다리의 장방향 프레임과 상판부재의 조각편 중앙으로 텐트에 기설치된 지지폴대가 삽입되도록 하여 텐트 내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상판부재의 저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장방향프레임에 구성된 지지캡을 발췌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상판부재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상판부재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지지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상판부재의 저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장방향프레임에 구성된 지지캡을 발췌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상판부재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상판부재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롤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은 크게 나누어 바닥에 설치되는 접이다리(100)와, 상기 접이다리(100)위에 설치되어 각종 물품을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롤 상판부재(200)로 구분된다.
상기 접이다리(100)는 평행되게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두 개의 장방향 프레임(110) 중 하나의 중간을 절단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치된 지지폴대(300)가 두 개의 장방향 프레임(110) 사이로 들락거릴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도 5의 확대도면과 같이 중간이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110)의 절단부분 중 일측 단부에는 너트고정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고정공(112)과 대응되는 장방향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사각 형태의 지지캡(140)을 나사로서 고정 설치하는데, 상기 지지캡(140)의 내측 공간부분에 너트고정공(112)과 결착되는 고정볼트(미도시)를 설치하여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1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도 9와 같이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 것으로, 상기 지지폴대(300)가 들락거릴 수 있게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 관형태의 지지캡(15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캡(150)이 타측 장방향프레임(110)에 일정 깊이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지지캡(150)의 측방에 출입공(15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캡(150)의 적소에 고정핀(152)을 설치하는데, 상기 고정핀(152)에는 소정길이의 고정줄(154)이 연결되고, 이 고정줄(154)의 단부에는 고정고리(155)가 있어 지지캡(150)에 용접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152)의 상단부에는 지지캡(150)의 출입공(151)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걸림부(153)를 형성하며, 일측 장방향프레임(110)의 단부에는 고정공(115)이 측방으로 형성되어 고정핀(15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두 장방향 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다리(12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지지다리(120)가 X자 형태로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접이가 가능하게 힌지(미도시)를 구비한 브라켓(13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다리(120)의 각 상단부 역시 장방향 프레임(110)의 각 단부와 브라켓(140)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접이다리(100) 상에 얹혀지는 롤 상판부재(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롤 상판부재(200)는 장방향 프레임(11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얹혀질 수 있는 길이의 다수의 조각편(210)들로 이루어지고, 이들 조각편(210)들을 촘촘히 맞댄 다음,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각편(210)의 저면 양측에 장측 벌크로테이프(230)(23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상기 조각편(210)들이 분산되지 않고 두루마리처럼 말리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각편(210)에 장측 벌크로테이프(230)(230;)를 설치하되, 도 7 상기 장측 벌크로테이프(230)(230') 중 하나는 도 7과 같이 그 중간을 잘라 장측 벌크로테이프(230')의 일측 단부에는 버클고리(231)가 설치되어 벌크로테이프(230')의 절단된 단부가 삽입되어 결착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조각편(210)들 중 정중간에 위치한 부분에는 그 중앙에 지지폴대(300)를 관통시켜 세울 수 있게 간극을 두고 두 폴대지지편(270)(280)을 설치하는데, 이 두 폴대지지편(270)(280)에 단측 벌크로테이프(240)(25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장측 벌크로테이프(230')의 버클고리(231)가 있는 위치의 폴대지지편(280)의 단측 벌크로테이프(240)를 잘라 폴대지지편(280)이 도 6과 같이 다른 조각편(210)들로부터 일부가 분리되게하여 기 설치된 지지폴대(300)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단측 벌크로테이프(240)의 일단에는 버클고리(241)를 설치하여 타측의 단측 벌크로테이프(240')를 끼워 폴대지지편(280)이 안정되게 다른 조각편(210)과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접이다리(100)의 장방향 프레임(110)의 각 단부에 끼움돌기(111)를 형성하고, 상기 롤 상판부재(200)의 양측 바깥쪽에 위치한 조각편(210)에 끼움돌기(111)와 대응되는 고정공(211)을 각각 형성하여 롤 상판부재(2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롤 상판부재(200)는 각 조각편(210)의 길이를 달리하여 사각형태뿐만 아니라 육각형태나 원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접이다리(100)를 펼치게 되는데, 상기 접이다리(100)는 장방향 프레임(110)과 지지다리(120)를 연결하고 있는 각 브라켓(130)(140)에 의해 펼쳐지기도 하고 접을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접이다리(100)를 펼칠 때 텐트의 지지폴대(300)가 중앙에 있을 시에는 도 5의 확대도면과 같이 중간이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110)의 절단부분에 설치된 지지캡(140)의 고정볼트를 일방향으로 돌려 이를 장방향 프레임(110)의 너트고정공(112)으로부터 해제하여 장방향 프레임(110)을 분리한 후 지지폴대(300)를 내측에 위치시킨 후 다시 고정볼트를 종전과 다른 방향으로 돌려 이를 장방향 프레임(110)의 너트고정공(112)에 결착시켜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1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9는 다른 실시예로서 장방향 프레임(110)의 중간의 지지캡(150)의 일측에 끼워져 있는 고정핀(152)을 장방향프레임(110)의 고정공(115)과 지지캡(150)의 출입공(151)으로부터 분리하여 도 9의 화살표와 같이 지지캡(150)을 일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장방향프레임(110)을 두개로 분리한 다음, 지지폴대(300)를 내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지지캡(150)을 종전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지지캡(150)을 분리되어 있는 장방향프레임(110)의 단부에 소정 깊이 삽입시킨 다음 고정핀(152)을 장방향프레임(110)의 고정공(115)과 지지캡(150)의 출입공(151)에 삽입시켜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1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이다리(100)가 안정되게 위치하면,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롤 상판부재(2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두루마리처럼 말려있던 롤 상판부재(200)을 접이다리(100) 위에 재치한 다음, 상기 조각편(210) 저면에 위치한 장측 벌크로테이프(230')의 일단을 버클고리(231)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상기 조각편(210)들 정중간의 두 폴대지지편(270)(280) 저면에 위치한 단측 벌크로테이프(240)의 일단을 버클고리(241)로 부터 분리하여 폴대지지편(280)을 도 6과 같이 젖혀 지지폴대(300)를 중앙에 위치시킨 다음, 단측 벌크로테이프(240)의 일단을 버클고리(241)에 결착시키고 장측 벌크로테이프(230')의 일단을 버클고리(231)에 결착시킴과 함께 상기 접이다리(100)의 장방향 프레임(110)의 각 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111)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조각편(210)의 고정공(211)에 끼움 결합하여 롤 상판부재(2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접이다리 110:장방향 프레임
112:너트고정공 120:지지다리
130:브라켓 140:지지캡
150:지지캡 151:출입공
152:고정핀 154:고정줄
200:롤 상판부재 210:조각편
230,230':장측 벌크로테이프 231:버클고리
241:버클고리 270,280:폴대지지편

Claims (3)

  1. 평행되게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두 개의 장방향 프레임 중 하나의 중간을 절단하여 기설치된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절단된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장방향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너트고정공을 형성하고, 너트고정공과 대응되는 장방향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지지캡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캡에 너트고정공과 결착되는 고정볼트를 설치하고, 상기 두 장방향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다리가 X자 형태로 상호 교차된 상태에서 접이가 가능하게 힌지를 구비한 브라켓을 설치하여 된 접이식 접이다리와:
    상기 장방향 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질 수 있는 길이의 다수의 조각편들을 촘촘히 맞댄 다음, 이들 조각편의 저면에 장측 벌크로테이프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조각편들이 두루마리처럼 말리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조각편들중 정중간에 위치한 부분에는 중앙에 지지폴대를 관통시킬 수 있게 간극을 두고 두 폴대지지편을 설치하는 한편, 이 두 폴대지지편에 단즉 벌크로테이프를 각각 설치하되, 일측의 폴대지지편을 연결하고 있는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잘라 폴대지지편이 다른 조각편들로부터 분리되게하여 기 설치된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의 일단에는 버클고리를 각각 설치하여 타측의 장측 벌크로테이프와 단측 벌크로테이프를 끼워 폴대지지편이 안정되게 조각편과 연결되게 한 롤 상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다리의 장방향 프레임의 각 단부에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롤 상판부재의 양측 바깥쪽에 위치한 조각편에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고정공을 각각 형성하여 롤 상판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대가 들락거릴 수 있게 절단된 장방향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관 형태의 지지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지지캡이 타측 장방향프레임에 일정 깊이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지지캡에 고정핀을 연결 설치한 후 타측 장방향프레임의 고정공에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KR1020210032073A 2021-03-10 2021-03-10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KR102438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73A KR102438157B1 (ko) 2021-03-10 2021-03-10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73A KR102438157B1 (ko) 2021-03-10 2021-03-10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157B1 true KR102438157B1 (ko) 2022-09-01

Family

ID=8328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073A KR102438157B1 (ko) 2021-03-10 2021-03-10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16Y1 (ko) * 2002-09-02 2002-11-22 박제희 절첩식 간이 테이블
US8667907B2 (en) * 2011-01-04 2014-03-11 Rio Brands, Llc Portable and collapsible table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016Y1 (ko) * 2002-09-02 2002-11-22 박제희 절첩식 간이 테이블
US8667907B2 (en) * 2011-01-04 2014-03-11 Rio Brands, Llc Portable and collapsible table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uri3576/222238147660 (2021.02.12공지)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uw999/22218250207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2373C (en) Frame and roof system for a portable shelter
US9243422B2 (en) Frame and roof system for a portable shelter
US6234089B1 (en) Foldable table top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US7896015B2 (en) Portable shelter structure
US7503266B2 (en) Modular folding table
US7958903B2 (en) Rail skirt system
KR102032188B1 (ko) 휴대용 가림판
US6283045B1 (en) Foldable table
KR102438157B1 (ko)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KR101082697B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JP6535212B2 (ja) カーテンを用いた簡易間仕切り
KR100918356B1 (ko) 절첩식 탁자의 프레임구조
KR20210000012U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200423433Y1 (ko) 천막 구조
US20220349208A1 (en) Pop Up Canopy
KR102040436B1 (ko) 절첩가능한 테이블이 구비된 파라솔
KR102124294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210020737A (ko) 천판 및 이것을 사용한 접이 테이블
GB2360700A (en) Folding picnic table
JPH0628020Y2 (ja) 携帯折り畳みテーブル
JP3122528U (ja) 天幕付き折畳みテーブル
JPH039A (ja) 載置面面積を拡縮可能なテーブル
KR20160090784A (ko) 휴대용 식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