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90Y1 - 접이식 간이침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간이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90Y1
KR200450890Y1 KR2020070017737U KR20070017737U KR200450890Y1 KR 200450890 Y1 KR200450890 Y1 KR 200450890Y1 KR 2020070017737 U KR2020070017737 U KR 2020070017737U KR 20070017737 U KR20070017737 U KR 20070017737U KR 200450890 Y1 KR200450890 Y1 KR 200450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olding
state
fix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282U (ko
Inventor
황호범
Original Assignee
황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호범 filed Critical 황호범
Priority to KR2020070017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9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82Trunk beds; Travelling-case or lik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8Folding bedsteads only legs being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의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제작 단가 및 제품의 중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침대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는, 중앙의 경첩부를 통해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2침대시트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의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다리부와; 양 끝단이 상기 메인 다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다리부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부가 걸쳐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메인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각 수용홈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서로 엇갈린 상태로 맞물려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다리부와; 상기 제1,2침대시트를 접혀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간이침대{FOLD TYPE PORTABLE BED}
본 고안은 접이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의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제작 단가 및 제품의 중량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침대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간이침대는 공장, 병원, 사무실 등의 휴게실은 물론이고 야외에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펼친 후 누워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간이침대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간이침대는 종래에도 지지체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식이나, 접철된 지지체를 펼친 후 그 위에 섬유재의 시트를 걸어 고정하는 접철식 등 여러 가지 형태가 고안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간이침대의 일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527호에서는 상체 및 하체의 하중을 각각 지지하는 제1,제2프레임이 브라켓트에 결합되어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프레임 내측에 회동가능한 허리지지대가 설치되며, 제2프레임의 외측에 파지부 및 고정구가 설치된 침대 받침 틀의 상부에 전열선이 내장된 매트리스를 다수의 구획단위로 설치한 간이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의 다수의 구획단위 양 측면에 매트리스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연결구를 내삽하고, 매트리스의 모서리에 마모방지편을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각각의 매트리스의 양측면에 내삽된 연결구의 회전각도를 조정하면서 다단으로 구획되어 있는 매트리스의 상부 또는 하부를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하여 허리 또는 다리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식 간이침대의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간이침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과정이나 접철과정이 매우 번거로워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었고, 중량이 너무 무거워서 휴대하고 다니기가 쉽지 않았을 뿐 아니라 제작 단가도 높아서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접철가능한 2개의 침대시트의 저면부에 한 쌍의 메인 다리부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 다리부 사이에 각각의 보조 다리부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 다리의 일측을 각 침대시트의 저면부에 힌지 결합하고 타측을 서로 엇갈린 상태로 힌지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침대시트를 접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보조 다리부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메인 다리부만을 접거나 펼쳐서 침대를 보관 또는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침대의 접거나 펼치는 동작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침대의 내부구조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어서 제작 단가 및 제품의 중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간이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는, 중앙의 경첩부를 통해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2침대시트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의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부 외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다리부와; 양 끝단이 상기 메인 다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다리부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부가 걸쳐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고 정부와; 상기 메인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각 수용홈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서로 엇갈린 상태로 맞물려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다리부와; 상기 제1,2침대시트를 접혀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에는 지지프레임이 고정부의 지지홈에 걸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2침대시트의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편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연결편의 단부와 스프링을 통해 상태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에 착탈되며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의 지지프레임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는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내측에 걸이공이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의 내측에 형성된 장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침대시트의 측면에 복수의 바퀴를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에 따르면, 보조 다리부의 별도 조작 없이 제1,2침대시트의 각 메인 다리부를 펼친 후 지지프레임을 고정부에 고정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침대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침대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좌우 한 쌍의 보조 다리부가 메인 다리부 사이에서 엇갈린 상태로 힌지 결합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종래처럼 침대에 4개의 다리가 구비된 경우 상기 4개의 다리를 일일이 펼치거나 접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보조 다리부가 설치된 침대의 중앙부 부분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다리부가 설치된 침대의 저면부 구조가 간단해지고 견고해져서 제품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무게를 절감시켜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2침대시트의 저면부에 형성된 수용홈부 내에 지지프레임을 고정부에 강제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더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실수나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지지프레임이 고정부의 지지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침대가 갑작스럽게 접혀지게 되는 폐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를 브래킷, 링크, 제1,2연결편, 스프링 및 후크 등의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후크를 고정부에 걸친 다음 링크에 형성된 누름부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젖히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지지프레임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프레임의 고정을 위한 기구적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품이 복잡해지지 않고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의 브래킷 일측에 수직하도록 걸이공이 형성된 걸이부를 절곡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에 걸이부가 삽입될 수 있는 장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기 걸이부가 상기 누름부의 장공에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걸이공에 걸이부와 수직한 소정의 고정도구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유사시 걸이부가 장공으로부터 이탈되어 누름부가 위로 열림으로써 고정장치의 고정이 해제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 일측에 손잡이부를 설치함으로써, 침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부가 측면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침대의 아래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소잡이 설치부분의 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침대시트의 측면에 복수의 바퀴를 설치함으로써 침대를 접은 상태에서 바닥면에 끌고 다니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이식 간이침대의 다리부가 접혀진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접이식 간이침대의 펼쳐진 상태의 저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이 고정부에 고정된 후 고정장치를 통해 2차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1,2침대시트(100a)(100b)가 중앙의 경첩부(105)를 중심으로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저면부에는 메인 다리부(110a)(110b) 및 보조 다리부(120a)(120b)가 접혀져 수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홈부(102a)(10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침대시트(100b)의 중앙 끝 부분에는 사용자가 침대에 엎어져 누운 상태에서 얼굴을 내밀어 호흡이 가능하도록 타원 형태의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수용홈부(102a)(102b) 일측 테두리 안쪽 부분에는 제1,2침대시트(100a)(100b)를 반으로 접어 가방처럼 들고 휴대할 수 있도록 침대시트의 제질과 동일한 유연한 가죽재질로 된 손잡이부(104)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4)는 유연 재질로 구성되어 수용홈부(102a)(102b) 안쪽 테두리 부분에 부착 고정되는바, 침대를 펼친 상태에서도 손잡이부(104)가 침대시트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침대시트의 측면부로 손잡이부가 돌출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사용자가 이동 중에 손잡이부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제1,2침대시트(100a)(100b)는 접혀진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로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양 끝단에 한 쌍의 벨크로(belcro)(106a)(106b)를 부착 고정하여 침대시트를 펼치거나 접는 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밖에,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부(104)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측면에 복수의 이동용 바퀴를 더 설치하게 되면 침대를 접은 상태에서 바퀴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끌고 다니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각 수용홈부(102a)(102b) 최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는 상기 수용홈부(102a)(102b)의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외측으로 수직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메인 다리부(110a)(110b)가 고정클립(11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다리부(110a)(110b)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V'자 형태의 보강용 프레임(11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용 프레임(112)의 중앙부는 메인 다리부(110a)(110b)의 내측 중앙에 고정되고, 양 끝단은 상기 메인 다리부(110a)(110b)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보강용 프레임(112)의 양 끝단이 고정되는 상기 메인 다리부(110a)(110b)의 내측면에는 상기 메인 다리부(110a)(110b)가 제1,2침대시트(100a)(100b)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V'자 형태의 지지프레임(1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각 수용홈부(102a)(102b) 내에는 메인 다리부(110a)(110b)가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22) 중앙부가 걸쳐진 상태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13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3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의 상면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22)의 직선형 중앙부가 끼워지는 원형 단면으로 파여진 지지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다리부(110a)(110b)를 제1,2침대시트(100a)(100b)로부터 수직하게 펼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22)을 회전시켜 직선형 중앙부를 고정부(130)의 지지홈(131)에 끼워 고정하게 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메인 다리부(110a)(110b)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메인 다리부(110a)(110b)의 사이에는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다리부(120a)(120b)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다리부(120a)(120b)는 사각 관 형태의 금속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상단부는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각 수용홈부(102a)(102b)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 브래킷(123)에 힌지(12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서로 엇갈린 상태로 힌지(12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2개의 보조 다리부(120a)(120b) 중에서 안쪽에 배치되는 보조 다리부(120b) 내측면에는 보조 다리부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2개의 보강용 프레 임(126)이 'X' 자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보조 다리부(120a)(120b)는 상기 메인 다리부(110a)(110b)처럼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수용홈부(102a)(102b)에 개별적으로 접혀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2침대시트(100a)(100b)가 접히거나 펼치는 것과 관계없이 항상 서로 엇갈린 'X'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침대시트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저면부에 형성된 수용홈부(102a)(102b) 내에는 유사시 고정부(130)의 지지홈(131)에 끼워진 지지프레임(12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22)을 고정부(130)에 강제로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장치(1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140)는 브래킷(141)과, 링크(142)와, 제1,2연결편(143)(144)과, 스프링(145) 및 후크(1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래킷(141)은 고정부(130)와 소정거리 이격된 수용홈부(102a)(102b) 바닥면에 볼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41)의 일측 끝단에는 연결 부재인 링크(142)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141)에 힌지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크(142)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눌러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곡면 형태를 이루는 누름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141)의 반대편에 있는 링크(142)의 타측 단부에는 고정 부(130)에 탈착되는 후크(146)가 제1,2연결편(143)(144)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제1,2연결편(143)(144)은 각 단부가 링크(142)와 고정부(130)에 각가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프링(145)을 통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45)을 통해 결합된 각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145)의 양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부의 폭이 확장된 부분인 지지턱(143a)(14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연결편(143)(144)이 서로 반대편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인장될 경우 상기 제1,2연결편(143)(144)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턱(143a)(144a)에 의해 스프링(145)이 탄성 압축되면서 상대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부(130)의 돌출단 일측에는 쐐기형태의 걸림턱(132)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146)의 끝단에는 걸림턱(1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부(146a)에 착탈되는 걸림부(146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22)이 지지홈(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146)의 걸림부(146a)를 걸림턱(132)에 걸친 다음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름부(142a)를 잡아당기면서 힘을 주어 누르게 되면, 제1,2연결편(143)(144)이 스프링(145)의 탄성 압축력을 받으며 서로 반대편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는데, 누름부(142a)가 눌려져 링크(142)가 브래킷(141)의 상면에 완전하게 맞닿게 되는 경우 후크(146)가 고정부(130)에 걸린 채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후크(146)의 저면부는 고정부(130)의 돌출단 상면에 거의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후크(146)로 인해 지지프레임(122)이 지지홈(1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의 고정장치(140)에는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누름부(142a)가 상부로 젖혀져 후크(146)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2차적인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브래킷(141) 일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고정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걸이공(141b)이 형성된 걸이부(141a)가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링크(142)의 누름부(142a)에는 상기 걸이부(141a)가 삽입될 수 있는 긴 슬롯 형태의 장공(14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부(142a)가 브래킷(141)의 상면에 맞닿아 고정된 상태에서는 걸이부(141a)가 장공(142b)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 되고, 이 노출된 걸이부(141a)의 걸이공(141b)에 고정핀(128) 등의 소정의 고정도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부주의에 의해 걸이부(141a)가 장공(142b)으로부터 분리되어 누름부(142a)가 위로 젖혀져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는 접혀진 상태의 침대를 펼쳐 사용하는 경우, 먼저, 벨크로(106a)(106b)를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제1,2침대시트(100a)(100b)를 좌우로 완전히 펼친 후, 메인 다리부(110a)(110b)를 침대시트에 수직하게 세운 다음에 지지프레임(122)을 회전시켜 그 중앙부를 고정부(130)의 지지홈(131) 내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크(146)의 걸림부(146a)를 고정부(130) 의 걸림턱(132)에 걸고 손가락으로 링크(142)의 누름부(142a)를 잡아당기면서 힘을 주어 눌러 고정시킴으로써 침대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 후, 상기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침대를 다시 접고자 할 경우에는 누름부(142a)를 위로 젖혀 고정부(130)에 걸린 후크(146)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이어서 지지프레임(122)을 메인 다리부(110a)(110b)와 평행하도록 포갠 후 제1,2침대시트(100a)(100b)의 수용홈부(102a)(102b)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1,2침대시트(100a)(100b)를 서로 포개지도록 접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침대가 반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침대시트(100a)(100b)가 서로 포개져 접히는 과정에서 침대 중앙의 보조 다리부(120a)(120b)는 각각 양쪽 수용홈부(102a)(102b) 내측으로 자발적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보조 다리부(120a)(120b)를 접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는 침대 중앙의 보조 다리부(120a)(120b)를 접거나 펼치거나 하는 동작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제1,2침대시트(100a)(100b)로부터 메인 다리부(110a)(110b)를 펼친 후 지지프레임(122)을 고정장치(140)를 통해 고정부(130)에 원터치로 고정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침대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침대를 접거나 펼쳐 설치하게 되는 일련의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침대 중앙에 위치한 한 쌍의 보조 다리부(120a)(120b)가 엇갈린 상태로 힌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본 고안의 침대를 펼치거나 접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 다리부(120a)(120b)가 제1,2침대시트(100a)(100b)에 자발적으로 수납되 거나 펼쳐지기 때문에 상기 보조 다리부(120a)(120b)를 일일이 접거나 펼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보조 다리부(120a)(120b)가 설치된 침대의 중앙부 부분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이식 간이침대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아주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제작 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의 다리부가 접혀진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간이침대의 펼쳐진 상태의 저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이 고정부에 고정된 후 고정장치를 통해 2차적으로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b : 제1,2침대시트 102a,102b : 수용홈부
110a,110b : 메인 다리부 120a,120b : 보조 다리부
122 : 지지프레임 130 : 고정부
131 : 지지홈 132 : 걸림턱
140 : 고정장치 141 : 브래킷
142 : 링크 143,144 : 제1,2연결편
145 : 스프링 146 : 후크

Claims (5)

  1. 삭제
  2. 중앙의 경첩부를 통해 서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부가 형성된 제1,2침대시트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의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부 외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다리부와;
    양 끝단이 상기 메인 다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수용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다리부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부가 걸쳐져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고정부의 지지홈에 걸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와;
    상기 메인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서로 엇갈린 상태로 맞물려 힌지 결합되어 'X'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보조 다리부와;
    상기 제1,2침대시트를 접혀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2침대시트의 각 수용홈부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2침대시트의 수용홈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누름부가 형성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편과;
    일측 단부가 상기 제1연결편의 단부와 스프링을 통해 상태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에 착탈되며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의 지지프레임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내측에 걸이공이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의 내측에 형성된 형성된 장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1,2침대시트의 측면에는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간이침대.
KR2020070017737U 2007-11-02 2007-11-02 접이식 간이침대 KR200450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37U KR200450890Y1 (ko) 2007-11-02 2007-11-02 접이식 간이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37U KR200450890Y1 (ko) 2007-11-02 2007-11-02 접이식 간이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82U KR20090004282U (ko) 2009-05-08
KR200450890Y1 true KR200450890Y1 (ko) 2010-11-08

Family

ID=4129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737U KR200450890Y1 (ko) 2007-11-02 2007-11-02 접이식 간이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01B1 (ko) 2011-03-03 2013-05-20 박보근 다용도 야외용 의자
US8806675B2 (en) 2012-11-01 2014-08-19 Jeh-kun Lah C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776A (zh) * 2016-10-24 2018-05-01 朱得源 行李箱床
CN109875232B (zh) * 2017-12-06 2024-01-30 上海昆杰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折叠吊床及其吊床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695Y1 (ko) * 2004-11-26 2005-03-10 배인묵 접이식 휴대용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695Y1 (ko) * 2004-11-26 2005-03-10 배인묵 접이식 휴대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01B1 (ko) 2011-03-03 2013-05-20 박보근 다용도 야외용 의자
US8806675B2 (en) 2012-11-01 2014-08-19 Jeh-kun Lah C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82U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7330A (en) Folding bed
US6634038B2 (en) Collapsible playpen with detachable cot
US8499380B2 (en) Portable and collapsible cot structure
US7676860B2 (en) Security fastening structure of a base of a baby bed for babies to play in
KR200450890Y1 (ko) 접이식 간이침대
US20140047639A1 (en) One-hand control crib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5611B1 (ko) 절첩식 휴대용 테이블
US3699594A (en) Folding bed
KR200400446Y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프레임 구조
WO1997013430A1 (en) Portable work station
KR101437785B1 (ko) 야전침대
CN209733813U (zh) 便携式马桶
KR200294270Y1 (ko) 휴대용 지게
JPH0265803A (ja) 組合わせ簡易ベッド・バックパック構造体
KR200328004Y1 (ko) 접이식 침대
KR100475215B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KR100746243B1 (ko) 휴대용 절첩식 의자
US20100026056A1 (en) Foldable chair
US6079064A (en) Foldable bed assembly
JP3079139U (ja) 4つ折りベッド
JP2945665B1 (ja) 折り畳み式椅子兼用小型テーブル
JP3055260U (ja) 折り畳みベッド
JP3043545U (ja) 折畳式ベッド
JP2021029296A (ja) 天板及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テーブル
GB208621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lding b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08

Effective date: 2010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