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260A -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 Google Patents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260A
KR20210020260A KR1020190099277A KR20190099277A KR20210020260A KR 20210020260 A KR20210020260 A KR 20210020260A KR 1020190099277 A KR1020190099277 A KR 1020190099277A KR 20190099277 A KR20190099277 A KR 20190099277A KR 20210020260 A KR20210020260 A KR 2021002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protrusion
end cap
absorber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929B1 (ko
Inventor
문병휘
Original Assignee
문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휘 filed Critical 문병휘
Priority to KR102019009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9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린지 내의 충진물에 미세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원심 분리 공정에서 시린지 내의 미세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하면서도 충진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드캡에 관한 것으로서, 시린지의 개구 상부를 덮는 상판부와 시린지 내주측으로 삽입되고 내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흡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END CAPS FOR SYRINGE HAVING LEAKAGE-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탈포장치 및 시린지의 캡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린지 내의 충진물에 미세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원심을 이용한 혼합공정에서 시린지 내의 미세기포를 완벽하게 제거하면서도 충진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엔드캡에 관한 것이다.
발광장치인 발광다이오드(light emission diode, 이하, LED라 함)는 소형이면서도 효율이 높고 선명하고 다양한 색의 발광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동 특성이 뛰어나 진동 및 온오프 동작의 반복에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LED는 GaAs, AlGaAs, GaN, InGaN 및 AlGaInP 등의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 재료의 변경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는 조명용으로서 고출력과 고휘도 성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LED 패키지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LED 제품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우수한 광효율을 갖는 LED칩 자체는 물론, 광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색순도가 우수하며 제품들간의 특성이 균일한 LED패키지의 제작이 요청된다. 이러한 LED를 통하여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청색 또는 자외선 LED 칩 상에 옐로우 형광체나 그린 형광체 및 레드 형광체가 혼합된 상태의 형광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형광층은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에 형광체를 혼합한 형광액을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칩 상에 도포한 후에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LED패키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펜서에는 수지물을 충전한 시린지가 배치되며 니들을 통하여 적당한 양과 압력으로 충진물을 기판에 투입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과 같은 경우 상기 충진물의 성분이 충분히 혼합되고 탈포된 상태에서 작업될 것이 요구되는데 점도가 높은 수지물과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기포제거를 위한 공정의 난이도가 높다.
미세기포 제거를 위하여 다양한 탈포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400144호는 탈포장치 중의 대표적인 유형의 하나인 원심분리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원심분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1)과, 상기 회전축(111)의 상단에 연결되는 회전체(112)와, 상기 회전체(112)에 형성된 힌지축에 결합되는 장착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장착부(114)에는 복수의 실린지(117)들이 거치되어 있다. 원심력과 회전운동에 의하여 장착부가 상하 및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충진된 내용물이 강한 회전 원심력을 받게 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기포가 빠져나가 탈포공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탈포공정의 진행 과정에서 원심력에 따라 비중이 다른 물질들이 분리되고 기포와 함께 충진물이 누설되는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충진물 누설시 장비의 오염은 물론 심각한 경우 시린지가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게 되나 이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생산공정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시린지 내부에 수용된 충진물의 탈포 공정시 내부 용액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기포의 제거 성능이 우수한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진물의 역류의 방지를 위하여 단순하고 신뢰성 높은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제조공정상의 경제성을 향상하고 소모성 부품의 교환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을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린지의 개구를 덮는 엔드캡으로서, 시린지 개구의 상측을 덮는 상판(1010)과 시린지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1100)와 상기 돌출부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1110)을 구비하는 본체부(1000) 및 상기 돌출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연통홀로 유입된 유체 중 액체를 흡수하고 기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수체(3000)를 포함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체와 액체의 누설을 차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탈기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돌출부는 측벽이 시린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연통홀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상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시린지의 내벽에 밀착되되 돌출부의 측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의 전달이 완화되어 충진물의 누설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흡수체를 고정하며 상부로 기체가 통과되는 복수의 상부홀(2001)을 구비하는 덮개부재(20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재는, 돌출부의 내벽부에 형성된 장착홈(1130)에 대응되어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부(21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위의 일부가 개방되어 흡수체의 최소한 일부가 돌출부의 내벽부에 밀착되어 작동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린지의 엔드캡을 통하여, 간단한 구조의 엔드캡 적용만으로도 탈기 성능을 보장하면서도 액상의 충진물 누설에 따른 외부 오염 및 용량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탈기 공정의 정확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린지 충진물의 기포를 제거하는 원심분리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에서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에서 덮개부재 및 흡수체의 결합관계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시린지의 개구를 덮는 엔드캡으로서, 시린지의 개구 상부를 덮는 상판과 시린지 내주측으로 삽입되고 내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돌출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흡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린지가 배치되는 디스펜서 장치 내지는 탈포장치는 다양한 유형의 장비가 적용될 수 있고 진공탈포 내지는 원심탈포 장치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원심 방식의 혼합기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설명에서는 LED 칩의 제조시 충진되는 수지물과 그 혼합물을 충진물의 일예시로서 설명하나 상기 충진물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이 장착되는 시린지는 말단의 노즐과 충진물의 투입을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라면 형태와 크기를 불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시린지가 직립한 상태를 기준으로 개구측을 상부로 정의하도록 하며, 사용상태의 방향성에 따라 본 발명에 설명되는 방향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시린지의 개구에 장착되는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본체부(1000)와 상기 본체부(1000)의 내부에 결합되어 기체의 유통로 상에서 역류되는 충진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3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00)는 제조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고려하면 전체적으로 상판(1010)과 돌출부(1100)가 일체의 사출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상판(1010)는 시린지의 개구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대략 중심측에 소정의 개방구(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구로는 돌출부(1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흡수체(3000)를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으며, 흡수체(3000)의 고정을 위하여 덮개부재(2000)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되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상판(1010)의 하방으로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후크(1011)가 형성되어 시린지의 상단측의 단턱 내지는 걸림홈 등과 걸림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체결을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판(10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시린지의 개구 내주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200)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후크(1011)와 추가적 또는 교환적으로 형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시린지의 나사홈에 나삽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부(1200)는 상판(1010)의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120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시린지의 개구 내주측으로 밀착되어 내부의 충진물 등이 역류하지 않도록 실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삽입부(1200)의 외주측이 시린지의 개구측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예가 나타난다.
돌출부(1100)는 삽입부(1200)의 내주측으로 배치되며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00)는 시린지의 내측에 삽입되되 내외부 공간을 연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1110)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1100)의 형태는 내부에 흡수체(3000)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라면 선택적이나 시린지의 입구 형태가 원형임을 감안하면 도시된 예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돌출부(1100)에 형성되는 연통홀(1110)의 위치와 크기 및 형상도 선택적일 것이며, 다만, 원심력이 상방으로 제공되어 미세 기포들이 빠져나가는 경우를 고려할 때, 돌출부(1100)의 저부에 연통홀(1110)이 배치된다면 유체의 흐름도 바로 힘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어 누설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통홀(1110)을 돌출부(1100)의 측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통홀(1110)이 배치되는 높이는 삽입부(1200)의 하단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통홀(1110)은 단순한 개구의 형태가 아닌 메시망으로 덮인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체의 점성에 의하여 투과성이 더욱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통홀(1110)은 메시망이 배치되고 돌출부(1100)의 저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100)에 흡수체(3000)가 구비되고 돌출부(1100)의 측벽에 연통홀(1110)이 형성되는 경우 비교적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한 미세기포는 연통홀(1110)로 유입되어 비교적 원활하게 흡수체(3000)를 통과하여 덮개부재(2000)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며, 충진물은 비중과 점도가 높기 때문에 측벽에 배치되는 연통홀(1110)로 유출될 가능성이 비교적 낮으나 일부 연통홀(1110)을 통하여 누설되는 경우에도 흡수체(3000)에 의하여 흡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덮개부재(2000)는 본체부(1000)의 개방구를 덮어 흡수체(3000)를 수용공간의 내부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홀(2001)들이 형성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통과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능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돌출부(1100)의 측벽은 시린지의 개구측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통홀(1110)로 기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00)의 내주측으로부터 돌출부(1100)의 측벽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 소정의 와류 형성공간이 형성되고 원심력에 의한 유체의 흐름성을 어느 정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버퍼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예와 같이 삽입부(1200)의 하단보다 돌출부(1100)가 하방으로 더 돌출되되 삽입부(1200)의 내벽과 돌출부(1100)의 외벽 사이에는 링 형태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연통홀(1110)은 상기 이격공간을 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사시도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체부(1000)는 상부에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형상은 선택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후크(1011)가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후크(1011)가 배치되는 위치로 반경이 커지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00)의 수용공간은 상판(101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돌출부(110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00)의 외주측으로 이격되어 삽입부(1200)가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는 흡수체(3000)가 배치되어 측면의 연통홀(11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는 관통시켜 덮개부재(2000)의 상방으로 배출시키고, 누설되는 액체인 충진물은 흡수시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흡수체(3000)는 교환이나 탈착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의 내부로 삽입되어 흡수체(3000)를 고정하는 덮개부재(2000)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흡수체(3000)와 덮개부재(2000)는 상호 접착이나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재(2000)는 상부에 복수의 상부홀(2001)을 구비하는 평판부위와, 하부로 연장되어 흡수체(3000)를 내측으로 감싸면서 외주측으로는 돌출부(1100)의 내벽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지지부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2000)에서 지지부위의 형태는 선택적이나, 연통홀(1110)로 유입된 유체가 흡수체(30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소한 흡수체(3000)의 일부분은 돌출부(1100)의 내벽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되어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에서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체부(1000)는 상기와 같이 상판(1010)의 대략 중심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수용공간(110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101)에 흡수체(30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덮개부재(2000)가 상면 및 측면에서 지지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러한 수용공간(1101)은 저부가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벽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인 연통홀(1110)이 배치되어 내외부 공간을 유통시킨다.
한편, 덮개부재(2000)의 장착시 정확한 삽입을 가이드하고 원주방향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내벽부(1120)의 일부에 외주방향으로 함몰된 장착홈(1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130)에는 덮개부재의 돌출 부위가 삽입되면서 삽입과 인출이 가이드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된 덮개부재(2000)의 실시예는 후술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장착홈(1130)이 덮개부재(2000)에 형성되고 내벽부(1120)에 내주방향으로 돌출된 부위가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1110)의 내벽부(1120)에의 배치 내지는 저부에의 배치 위치는 선택적이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장착홈(1130)에 형성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장착홈(1130)의 내측 입구는 직접 흡수체(3000)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에서 덮개부재 및 흡수체의 결합관계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덮개부재(2000)는 대략 돌출부(1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를 덮는 평판 부위와 내주측에 흡수체(3000)를 지지하는 지지부위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수체(3000)가 수용공간(1101)의 내부에 대응되고 덮개부재(2000)는 이를 상부에서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경우 상기 덮개부재(2000)의 측벽 지지부위에서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부(2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브부(2130)는 본체부(1000)의 내벽부(1120)에 형성되는 장착홈(113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세로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덮개부재(2000)의 삽입 또는 인출을 가이드하며, 흡수체(3000)의 흡수부위와 연통홀(1110)이 상호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흡수체(30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홀(111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와 유체에 접촉되며, 기체를 통과시키고 유체를 점성에 의하여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폰지와 같이 다수의 공극을 가지는 재질과 형상이 고려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시망이나 흡수가 가능한 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물, 소정의 유통경로가 형성되는 사출물 등이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흡수체(3000)의 접촉성을 높이기 위하여 덮개부재(2000)의 측면의 지지지부위에서 흡수체(3000)가 노출되는 개방슬릿(2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체(3000)는 개방슬릿(2110)의 형태에 맞게 성형되거나 삽입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흡수체(3000)의 개방슬릿(2110)에 대응되는 부위는 돌기부(3110)로 정의하도록 한다.
사기 돌기부(3110)는 덮개부재(2000)와 흡수체(3000)의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며, 흡수체(3000)로 직접 연통홀(1110)로부터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연통홀(1110)의 배치부위는 상기 개방슬릿(2110)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된 실시예들에 따라, 돌출부(1100)의 장착홈(1130)과, 덮개부재(2000)의 리브부(2130)와, 덮개부재(2000)의 개방슬릿(2110)과, 흡수체(3000)의 돌기부(3110)는 연통홀(1110)과 흡수체(3000)의 정확한 원주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연통홀(1110)과 흡수체(3000)의 돌기부(3110)가 돌출부(1100)의 중심축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배치되는 개수는 선택적이며,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시린지(1001) 내부에는 충진물(1002)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며, 현재 상측으로 원심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시린지(1001)의 개구 외주측으로는 후크(1011)에 걸림될 수 있는 단턱이 구비되어 상판(1010)가 시린지 개구측에 밀착되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삽입부(1200)측이 시린지(1001) 입구에 나삽되거나 압입될 수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배치상태에서 돌출부(1100)는 시린지(1001)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측벽에는 연통홀(1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100)의 측벽은 시린지(1001)의 내벽 및 삽입부(1200)의 내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물(1002) 내부의 기포(t)들이 기체로서 제1유동(a)을 형성하여 연통홀(1110)로 유입된다. 이렇게 연통홀(1110)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흡수체(3000)로 이동하는 제2유동(b)이 형성되며, 상기 흡수체(3000)는 유체 중에 남아있는 액상의 충진물(1002)을 공극 사이에 저장한 상태로서 기체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렇게 흡수체(3000) 내부를 통하여 덮개부재(2000)의 상부홀(2001)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되는 유동을 제3유동(c)으로 설명한다.
원심분리에 의한 탈기 및/또는 혼련 공정이 완료된 경우 엔드캡은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충진물(1002)을 흡수하여 오염된 흡수체(3000)만을 교체하거나 탈거 및 세척후 재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은 간단한 구조의 엔드캡 적용만으로도 탈기 성능을 보장하면서도 액상의 충진물 누설에 따른 외부 오염 및 용량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 탈기 공정의 정확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체만을 교환하거나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본체부 1010...상판
1011...후크 1100...돌출부
1101...수용공간 1110...연통홀
1120...내벽부 1130...장착홈
1200...삽입부 2000...덮개부재
2001...상부홀 2110...개방슬릿
2130...리브부 3000...흡수체
3110...돌기부

Claims (6)

  1. 시린지의 개구를 덮는 엔드캡으로서,
    시린지 개구의 상측을 덮는 상판(1010)과 시린지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1100)와 상기 돌출부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1110)을 구비하는 본체부(1000); 및
    상기 돌출부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연통홀로 유입된 유체 중 액체를 흡수하고 기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수체(3000);를 포함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측벽이 시린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연통홀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시린지의 내벽에 밀착되되 돌출부의 측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흡수체를 고정하며 상부로 기체가 통과되는 복수의 상부홀(2001)을 구비하는 덮개부재(2000);를 더 포함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돌출부의 내벽부에 형성된 장착홈(1130)에 대응되어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부(2130)를 구비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위의 일부가 개방되어 흡수체의 최소한 일부가 돌출부의 내벽부에 밀착되는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KR1020190099277A 2019-08-14 2019-08-14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KR10225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77A KR102251929B1 (ko) 2019-08-14 2019-08-14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77A KR102251929B1 (ko) 2019-08-14 2019-08-14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60A true KR20210020260A (ko) 2021-02-24
KR102251929B1 KR102251929B1 (ko) 2021-05-13

Family

ID=7468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77A KR102251929B1 (ko) 2019-08-14 2019-08-14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9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764A (ja) * 1996-05-31 1997-12-16 Toppan Printing Co Ltd 酸素吸収性キャップ
KR200231017Y1 (ko) * 1998-08-27 2001-10-25 오행준 약액누출방지용마개.
JP5296027B2 (ja) * 2010-05-14 2013-09-25 リプメン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 瓶の栓
KR101428500B1 (ko) * 2006-06-13 2014-08-11 노드슨 코포레이션 액체 투여 주사기
JP2018162101A (ja) * 2017-03-27 2018-10-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貯留容器用蓋および液体材料貯留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764A (ja) * 1996-05-31 1997-12-16 Toppan Printing Co Ltd 酸素吸収性キャップ
KR200231017Y1 (ko) * 1998-08-27 2001-10-25 오행준 약액누출방지용마개.
KR101428500B1 (ko) * 2006-06-13 2014-08-11 노드슨 코포레이션 액체 투여 주사기
JP5296027B2 (ja) * 2010-05-14 2013-09-25 リプメン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 瓶の栓
JP2018162101A (ja) * 2017-03-27 2018-10-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貯留容器用蓋および液体材料貯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929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126B1 (ko) 분사통
US20040089626A1 (en)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JP5506060B2 (ja) 攪拌機能を有する吐出装置
KR102251929B1 (ko)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KR20150143551A (ko) 밀봉 및 소포 장치
US8791497B2 (en) Mold for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KR20220039287A (ko) 누설방지 시스템
KR101482220B1 (ko) 액체 용기의 공기 접촉 차단 장치
CN115365078B (zh) 用于高粘度胶水的供胶机构
CN102574614A (zh) 瓶盖装配体
KR200466945Y1 (ko) 흡습제 용기 부착 병마개
KR101595171B1 (ko) 수지도포장치의 공냉식 수지용기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KR101862288B1 (ko) 반도체/led 패키지 제조용 액상 주입 장치
KR20100073071A (ko) 진공척 및 이를 구비한 스핀코터
CN215611660U (zh) 一种试剂容器
TW201633430A (zh) 基板收納容器
KR20200129349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 몰딩 방법
KR101783701B1 (ko) 이지컷 용기
TW200528294A (en) Ink cartridge
KR101209526B1 (ko) 전자 부품 몰딩 장치 및 전자 부품 몰딩 방법
KR101593653B1 (ko) 발광 모듈 및 발광 모듈 제조방법
KR20070062380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JP2000153859A (ja) 密閉スパウ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1316B1 (ko)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KR102019591B1 (ko) 시린지의 코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린지의 재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