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00B1 -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00B1
KR101347700B1 KR1020120025407A KR20120025407A KR101347700B1 KR 101347700 B1 KR101347700 B1 KR 101347700B1 KR 1020120025407 A KR1020120025407 A KR 1020120025407A KR 20120025407 A KR20120025407 A KR 20120025407A KR 101347700 B1 KR101347700 B1 KR 10134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tank
inlet
ca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158A (ko
Inventor
전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25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7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improving th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51Sealing means in the closure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탱크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며 오일탱크에 저장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탱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의 오일주입구에 결합되며, 내측 저면 중심에 위치한 입구와 반경방향 외측 내면에 위치한 출구를 연결하며 대기와 연통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캡; 상기 오일주입구를 폐쇄하며 공기가 통하도록 슬릿이 형성된 가스켓; 및 상기 캡과 가스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릿과 상기 입구를 연통하는 모세관부를 갖는 오일누출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탱크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reservoir}
본 발명은 오일탱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탱크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며 오일탱크에 저장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탱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이 충진되어 있는 오일탱크는 마스터 실린더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떼는 동작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왕복이동될 때 유압에 의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오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오일탱크는 그 내부에 오일을 충진하기 위하여 상부에 오일주입구가 형성되며, 마스터 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하도록 마스터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오일탱크는 최근 엔진룸이 협소해짐에 따라 차량 내부의 컴팩트화에 의해 그 형상이 납작해지며, 오일주입구가 소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된다.
한편, 오일탱크의 오일주입구에는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때 오일탱크는 마스터 실린더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하도록 대기와 연통되어야 한다.
이을 위해 오일탱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는 대기와 연통되도록 소정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폐장치가 오일주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개폐장치에 형성된 공기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개폐장치(1)는 오일탱크(10)의 오일주입구(11)에 통상적인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캡(2)과, 캡(2)과 오일주입구(11) 사이에 마련되는 가스켓(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장치(1)를 통해 오일탱크(10)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캡(2)에는 공기유로(3)가 형성되고, 가스켓(4)에는 슬릿(5)이 형성된다. 여기서, 캡(2)에 형성된 공기유로(3)는 캡(2)의 내측 저면 중심에 형성된 입구(3a)와 외측 내면에 형성된 출구(3b)를 연결하도록 일직선 형태로 마련되며, 슬릿(5)은 가스켓(4)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에, 오일탱크(10)의 내부는 가스켓(4)의 슬릿(5)과 캡(2)의 공기유로(3)를 통해 대기와 연통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이 주행중 가감속에 의해 차량이 흔들리게 되면 오일탱크(10) 내의 오일은 진동(출렁거림)에 의해 가스켓(4)에 형성된 슬릿(5)을 타격하게 되며, 이와 함께 엔진룸의 온도 상승에 따라 슬릿(5)의 크기가 확대되어 슬릿(5)을 통해 오일이 가스켓(4) 상부로 누출된다. 이러한 작용이 반복되면 누출된 오일이 입구(3a), 공기유로(3) 및 출구(3b)를 통해 캡(2) 외부로 누유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개폐장치(1)는 가스켓(4)의 슬릿(5)을 통해 누출된 오일이 직접적으로 캡(2)의 공기유로(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누출된 오일의 전량이 외부로 누유되게 된다.
이에, 누유된 오일에 의하여 오일탱크(10)의 외상 주위가 오염됨은 물론, 누유된 오일에 먼지가 접착되어 2차 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지속적인 오일의 누유로 인하여 마스터 실린더(미도시)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중 노면상태에 따라 소정 각도로 차체가 기울어지거나 오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에 출렁거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누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오일탱크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일탱크의 개폐장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의 오일주입구에 결합되며, 내측 저면 중심에 위치한 입구와 반경방향 외측 내면에 위치한 출구를 연결하며 대기와 연통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캡; 상기 오일주입구를 폐쇄하며 공기가 통하도록 슬릿이 형성된 가스켓; 및 상기 캡과 가스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릿과 상기 입구를 연통하는 모세관부를 갖는 오일누출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누출 방지부재는, 상기 캡의 내측 저면과 밀착되는 원판형상의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중심이 함몰되어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중심 하측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모세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의 내측 저면에는 입구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2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제1걸림턱이 제2걸림턱을 넘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누출 방지부재와 상기 가스켓 사이에는 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은 상측으로 상기 모세관부를 통해 캡의 입구와 연통되고 하측으로 상기 가스켓의 슬릿을 통해 오일탱크의 내부와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상태에 따라 소정 각도로 차체가 기울어지거나 오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에 출렁거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누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오일탱크의 외상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일의 누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일탱크의 내부와 대기를 연통시킬 수 있어 마스터 실린더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으며, 제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개폐장치가 오일주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개폐장치에 형성된 공기유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가 오일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가 오일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오일탱크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100)는 마스터 실린더(20)로 작동유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마스터 실린더(20)와 연결된 오일탱크(10)의 내부가 대기와 연통되도록 하며, 그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장치(100)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100)를 설명하기 앞서서, 마스터 실린더(20)와 오일탱크(10)의 결합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터 실린더(20)는 배력장치(미도시)에서 진공과 대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전달받아 유압으로 변화, 휠실린더(미도시)로 전달하여 제동력을 방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20)는 그 내부에 제1피스톤(21) 및 제2피스톤(22)이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들(21)(22)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력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즉,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밟으면 그 힘이 배력장치로 전달되어 진공과 대기의 기압차에 의해 배가된 힘으로 마스터 실린더(20)에 전달된다. 그리고 마스터 실린더(20)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제1 및 제2피스톤(21)(22)이 전진하게 되어 오일탱크(10)로부터 전달받은 오일이 차량의 휠실린더(미도시)로 전달됨으로써, 휠실린더에 전달된 오일압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마스터 실린더(20)의 상부에는 오일을 공급받도록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10)가 마련되며, 오일탱크(10)의 상부에는 오일을 주입하기 위한 오일주입구(11)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일탱크(10)의 내부에는 오일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고자 다수의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오일주입구(11)에는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일탱크(10)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오일탱크(10)와 마스터 실린더(20)의 조립체에 있어서, 오일탱크(10)는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20)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대기와 연통되어야 한다. 이에, 오일주입구(11)에 설치된 개폐장치(100)는 오일탱크(10)와 대기가 연통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오일탱크의 개폐장치(100)는, 오일주입구(11)에 결합되어 대기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캡(110)과, 상기 오일주입구(11)를 폐쇄하며 공기가 통하도록 슬릿(121)이 형성된 가스켓(120) 및, 캡(110)과 가스켓(120) 사이에 마련되는 오일누출 방지부재(130)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110)은 오일탱크(11)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오일주입구(11)와 결합된다. 여기서, 캡(110)과 오일주입구(11)의 결합방법은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캡(110)에는 내측 저면 중심에 위치한 입구(111)와 반경방향 외측 내면에 위치한 출구(112)를 연결하며 대기와 연통하는 공기유로(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유로(113)는 캡(110)의 내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나, 캡(110)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캡(110)의 내측 저면 중심에는 입구(111)의 반경방향으로 삽입부(114)가 형성된다. 삽입부(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반경방향을 따라 환형 형상을 가지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114)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1걸림돌기(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돌기(115)는 후술할 오일누출 방지부재(130)와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가스켓(120)은 오일탱크(10)의 오일주입구(11)를 폐쇄하는 역할과 함께, 오일탱크(10)의 내부와 대기가 연통되도록 하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20)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가스켓(120)은 오일주입구(11)를 폐쇄시키며 그 중앙에 공기가 통하도록 절개된 형태의 슬릿(slit)(121)이 형성된다.
또한, 가스켓(120)의 중앙 부근 즉, 슬릿(121)이 형성된 부위가 하부로 내곡되어 중앙에 완충공간(123)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공간(123)은 개폐부재(100)를 오일주입구(11)에 체결시 오일누출 방지부재(130)와 가스켓(12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완충공간(123)은 가스켓(120)의 슬릿(121)으로부터 누출된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누출 방지부재(130)는 캡(110)과 가스켓(120) 사이에 마련되어 슬릿(121)과 캡(110)의 입구(111)를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누출 방지부재(130)는 캡(110)의 내측 저면과 밀착되는 원판형상의 밀착부(131)와, 밀착부(131)의 중심이 함몰되어 소정의 수용공간(134)을 형성하는 수용부(132) 및, 수용부(132)의 중심 하측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모세관부(136)를 구비한다.
이러한 오일누출 방지부재(130)는 그 형상이 캡(110)의 내측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캡(110)의 삽입부(114)가 수용부(132)의 수용공간(134)으로 삽입되며, 밀착부(131)는 캡(110)의 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캡(1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31)에 의하여 캡(110)의 내면에 오목하게 파인 형상을 갖는 공기유로(113)가 입구(111)와 출구(112)를 통해서만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세관부(136)는 수용부(132)의 하측으로 돌출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됨에 따라 슬릿(121)과 입구(111)를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모세관부(136)를 관통한 홀(137)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홀(137)은 대략 0.8mm 내지 2mm의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mm의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가스켓(120)을 통해 누출된 오일이 모세관부(136)의 홀(137)을 통하여 누출되는 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용부(132)와 모세관부(136)는 전술된 완충공간(123)에 위치되는데, 모세관부(136)의 하측 끝단은 가스켓(120)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는 슬릿(121)을 통하여 누출된 오일이 완충공간(123)에 일시 저장되기 때문이다. 즉, 완충공간(123)은 슬릿(121)을 통하여 오일이 차체의 기울어짐이나 출렁거림 현상에 의하여 오버플로우(over flow)된 경우에, 이 오버플로우된 오일을 1차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에, 완충공간(123)은 오버플로우된 오일을 1차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다시 상부의 모세관부(136)를 통하여 오일이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지연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주행 중 차체의 기울어짐 현상에 의한 오일의 오버플로우 현상이나, 오일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출렁거림 현상에 의한 오일의 오버플로우 현상은 대부분 짧은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기 완충공간(123)에 1차적으로 수용된 오일은 완충공간(123)에 의하여 오버플로우되는 것이 지연되므로, 다시 슬릿(121)을 통하여 오일탱크(1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된다. 더욱이, 완충공간(123)에 위치한 모세관부(136)에 의하여 완충공간에 저장된 오일이 수용공간(134)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억제됨에 따라 공기유로(113)를 통하여 외부로 누유되는 오일의 양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모세관부(136)를 통해 오버플로우된 오일은 다시 수용부(132)와 삽입부(114)가 결합된 사이의 공간 즉, 수용공간(134)에서 2차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상부의 입구(111)를 통해 출구(112)로 흐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버플로우된 오일은 모세관부(136)의 홀(137)을 따라 자연적으로 완충공간(123)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캡(110)에 오일누출 방지부재(130)를 설치시 상기 수용부(134)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제2걸림돌기(135)가 형성됨에 따라 캡(110)과 안정된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전술된 캡(110)의 삽입부(114) 외주면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15)가 수용부(132)에 삽입시 제2걸림돌기(135)를 넘어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제1걸림돌기(115)와 제2걸림돌기(135)에 의하여 오일누출 방지부재(130)가 캡(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오일탱크 11 : 오일주입구
100 : 오일탱크 개폐장치 110 : 캡
113 : 공기유로 114 : 삽입부
120 : 가스켓 121 : 슬릿
123 : 완충공간 130 : 오일누출 방지부재
131 : 밀착부 132 : 수용부
136 : 모세관부 137 : 홀

Claims (5)

  1.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의 오일주입구에 결합되며, 내측 저면 중심에 위치한 입구와 반경방향 외측 내면에 위치한 출구를 연결하며 대기와 연통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캡;
    상기 오일주입구를 폐쇄하며 공기가 통하도록 슬릿이 형성된 가스켓; 및
    상기 캡과 가스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릿과 상기 입구를 연통하는 모세관부를 갖는 오일누출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누출 방지부재는,
    상기 캡의 내측 저면과 밀착되는 원판형상의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중심이 함몰되어 소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중심 하측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모세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캡의 내측 저면에는 입구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제1걸림돌기가 제2걸림돌기를 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누출 방지부재와 상기 가스켓 사이에는 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공간은 상측으로 상기 모세관부를 통해 캡의 입구와 연통되고 하측으로 상기 가스켓의 슬릿을 통해 오일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KR1020120025407A 2012-03-13 2012-03-13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KR10134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07A KR101347700B1 (ko) 2012-03-13 2012-03-13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407A KR101347700B1 (ko) 2012-03-13 2012-03-13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58A KR20130104158A (ko) 2013-09-25
KR101347700B1 true KR101347700B1 (ko) 2014-01-16

Family

ID=4945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407A KR101347700B1 (ko) 2012-03-13 2012-03-13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1673B (zh) * 2014-04-11 2017-03-15 重庆隆鑫机车有限公司 发动机油箱盖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635U (ko) * 1978-11-08 1980-05-19
JPH0384765U (ko) * 1989-12-20 1991-08-28
JPH11268548A (ja) * 1998-03-23 1999-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タンクの燃料漏洩防止装置
KR20060068039A (ko) * 2004-12-15 200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압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리저버 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635U (ko) * 1978-11-08 1980-05-19
JPH0384765U (ko) * 1989-12-20 1991-08-28
JPH11268548A (ja) * 1998-03-23 1999-10-05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タンクの燃料漏洩防止装置
KR20060068039A (ko) * 2004-12-15 200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압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 리저버 밸브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15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0257B2 (en) Operating fluid reservoir having an integrated venting and/or air admission valve
US5558244A (en) Oil reservoir having a cap with cylindrical baffles defining labyrinth passage
KR102476400B1 (ko) 체크밸브
KR20120103423A (ko) 차량 탑재용 공기압축기 장치
US9010738B2 (en) Fluid 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6488855A (zh) 在机动车中用于含水尿素溶液的储存容器
KR101347704B1 (ko)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JPH0320101A (ja) 特に自動車のブレーキ装置用の圧力媒体蓄圧器
KR101347700B1 (ko)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KR20110016965A (ko) 소형 엔진 연료 시스템
JP2017136975A (ja) 吸気装置、タイヤ、車両
US10464698B2 (en) Filling head for filling a tank with a liquid
KR20180128630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리저버 조립체
KR20130037845A (ko) 오일탱크의 개폐장치
JP4824626B2 (ja) 作動油タンクの給油口構造
EP3398800B1 (en) Container for a fluid in a vehicle
KR20090007102A (ko) 차량용 오일 리저버
JP5264601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KR20050114786A (ko) 오일저장탱크를 갖춘 차량용 브레이크의 마스터실린더
JPH1143034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110136420A (ko)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의 리저버 탱크
JPS6118316Y2 (ko)
KR20080034675A (ko) 리저버탱크의 개폐장치
KR101547840B1 (ko) 마스터 실린더
JP5286167B2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