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247A -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247A
KR20210020247A KR1020190099242A KR20190099242A KR20210020247A KR 20210020247 A KR20210020247 A KR 20210020247A KR 1020190099242 A KR1020190099242 A KR 1020190099242A KR 20190099242 A KR20190099242 A KR 20190099242A KR 20210020247 A KR20210020247 A KR 20210020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dust collector
liquid nitrogen
pulverized materi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158B1 (ko
Inventor
박종갑
Original Assignee
박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갑 filed Critical 박종갑
Priority to KR102019009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1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폐 광케이블(광케이블이라 칭함)의 길이방향을 절단기를 통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광케이블(절단광케이블이라 칭함)을 액체질소저장부에 채워진 액체질소를 경유시켜 냉동시킨 다음 분쇄기로 이동시켜 분쇄한 후
그 분쇄된 광케이블(분쇄물이라 칭함)을 진동분리기로 보내 중량(가벼운 재질과 무거운 재질)별로 분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되,
특히,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의 냉기를 진동분리기와 제2집진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저장부에서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진동분리기와 상기 제2집진기까지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system}
본 발명은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폐 광케이블(광케이블이라 칭함)의 길이방향을 절단기를 통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광케이블(절단광케이블이라 칭함)을 액체질소저장부에 채워진 액체질소를 경유시켜 냉동시킨 다음 분쇄기로 이동시켜 분쇄한 후
그 분쇄된 광케이블(분쇄물이라 칭함)을 진동분리기로 보내 중량(가벼운 재질과 무거운 재질)별로 분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되,
특히,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의 냉기를 진동분리기와 제2집진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저장부에서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진동분리기와 제2집진기까지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은 매우 가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광섬유인 코아(core), 상기 코아의 외측으로 케블라(kevlar)섬유로 주성분이 유리섬유의 빛 펄스로서 바깥 전류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으며
상기 코아와 다른 광 특성을 가진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씌워져 있고 섬유충진물와 방수 부직포테이프를 내포하는 클래드(clad), 상기 클래드의 외측으로 내피복재 및 금속피복재를 피복하고 이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피복재의 외측으로 습기, 손상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인 외피복재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기 광케이블은 전송속도가 빠르고, 대용량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많이 설치할 수 있어 광역으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광역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기 광케이블은 지하 관로에 매설되거나, 전주에 가설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설치 사용 중에 노후, 파단, 또는 기타 원인 등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새로운 광케이블로 교체시, 폐 광케이블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 된 폐 광케이블은 산업 폐기물로 분리 처리되어 재생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되면서 자원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상기 폐 광케이블의 폐기로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070458호(폐광케이블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이하 종래기술)에 의하면, 수거된 폐 광케이블을 1차, 2차로 인입 인출하게 되는 제1인입부와 제2인입부로부터 인출된 폐 광케이블의 외피복재를 히팅관으로 가열하여 제3인입부로 인입 인출하여, 상기 제3인입부로부터 인출된 폐 광케이블의 외피복재를 제1절개 진입보강관과 제1절개구로 1차로 절개하고 피복체분리관으로 분리하며, 상기 외피복재가 분리된 폐광케이블을 제4인입부로 인입 인출하여 인출된 폐 광케이블의 내피복재를 제2절개 진입보강관과 제2절개구로 2차 절개하고 피복재 분리관으로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외피복재와 내피복재 만을 수거하여 재활용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기술은 폐 광케이블을 형성하는 각각의 피복재 모두를 분리하여 재활용하도록 한 것이 아닌,폐 광케이블을 형성하는 피복재 중 외피복재와 내피복재만을 분리하고 그 외에 광케이블을 형성하는 피복재들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폐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미쳐 분리되지 않은 피복재의 폐기로 인하여 상기 폐 광케이블의 자원 재활용에 여전히 미흡한 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기술은 원시적인 방법에 의한 분리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산성이 매우 낮아 효율적이지 못하다. 상기 종래기술은 다른 대안이 없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상기의 방법을 해결할 양으로 종래 등록번호 10-1587384호의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이 아래와 같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기술은,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은 폐통신선을 절단기로 폐통신선을 절단하여 폐통신선 조각으로 만든 후 상기 폐통신선 조각을 액체질소로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젤리분진으로 만든 후 선별기를 이용하여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분진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별번호 [0010]에서, 구리와 피복재 분리장치(1)는 액체질소(LN)가 채워져 있고 절단기(10)에서 길이 10~60mm로 절단된 후 이송되어 온 폐통신선 조각(20)을 상기 액체질소(LN)에 침전시켜 내부까지 냉동시키는 냉각저장부(100);
관(管) 또는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이송수단(2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수단(210)을 이용하여 냉각저장부(100)에서 냉동된 폐통신선 조각(20)을 분쇄기(300)로 이송하는 이송부(200); 내부에 분쇄수단(3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쇄수단(340)을 이용하여 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통신선 조각(20)을 부피 0.5~3㎣로 분쇄하여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젤리 분진(이하, 분진)이라 함)으로 분쇄하는 분쇄기(300); 및 상기 분쇄기(300)에서 분쇄된 후 이송되어 온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분진을 진동분리기(420)를 이용하여 종류별로 선별하는 선별기(4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1개소의 절단기에서 절단한 분쇄물을 1개소의 진동분리기에서 분리함으로 진동분리기가 대용량 처리기라 하더라도 처리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없어 폐기물(폐통신선)처리에 있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더 나아가 얼키고 설킨 폐통신선이 불규칙적으로 절단되는 과정에 간혹 많은 양이 한꺼번에 절단될 수 있는데 이때는 하나의 진동분리기에서 원할하게 분리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그렇다고 해서 대용량처리를 위해 대용량 진동분리기를 설치하는 경우 분리하는 분리판의 가로세로의 많은 넓이를 요구하는데 이 면적 전체에 분쇄물이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등 여러가지로 복잡해 진다.
다음 식별번호 [0019]에서, 분쇄물 이송관(360)은 일측은 막혀 있고 그 막혀있는 위치에는 송풍기I(361)이 설치되어 있으며, 타 측은 오픈(open)되어 있어 분쇄물 배출구(362)가 되어 있고, 상기 분쇄물 배출구(362)에는 분쇄물을 선별기(400)로 이송하는 분쇄물 이송관(37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분쇄기(300)에서 분쇄된 분쇄물 즉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분진을 선별기(400)로 이송할 때 상기 송풍기I(361)을 가동하여 바람을 강하게 보내면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분진은 서로 뒤섞인 채로 순식간에 즉, 1~5초 사이에 분쇄물 이송관(370)을 타고 이송되어 혼합물 유입구(411)를 통해 선별기(400) 내부로 유입되어 진동판(421)위로 투하되게 된다. 따라서 진동판(421)에 의해 분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I(361)을 가동하여 바람을 강하게 보내면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분진은 이송관을 타고 선별기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이므로 분쇄물과 질소가스가 함께 이송관과 분진배출관으로 이동하지 않아 여름철에 분쇄물이 냉동상태가 상실되어 이동관로(이송관 등)에 분쇄물에 포함된 젤이 녹아 벽에 달라붙게되어 이동에 지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의견, 만약 관로에 액체질소를 주입하게 되면 그 설치에 따른 비용과 액체질소가 손실이 발생하여 비경제적이다.
상기 액체질소(LN)가 관로를 따라 절단기를 경유하여 외부로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본 발명에서 밝혀진다.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별번호 [0020]에서, 분쇄기(300) 일측에 액체질소(LN)가 유입되는 액체질소 유입구(33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액체질소 유입구(330)에는 분무수단(331)을 형성한 후 분쇄기(300)로 공급된-196℃의 액체질소(LN)를 연무상태로 폐통신선 조각(20)에 분무하면 폐통신선 조각(20)을 분쇄하는 와중에 발생할 수도 있는 열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분쇄기 내측에 별도로 액체질소를 분사하는 구조이므로 시설낭비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참고로, 상기 분무수단(331)을 시설하기 위해서는 분쇄기 내측에 온도감지센서, 액체질소 유입구(330)에 개폐밸브, 액체질소 유입구(330)가 냉동에 의해 막혔을 때 해빙수단, 컨트롤 수단을 설치해야 함으로 후술에 수록되는 본 발명과 비교할 경우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참고로, 상기 종래기술의 청구항 1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는 액체질소(LN)를 유입시키는 액체질소 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액체질소 유입구(110)를 통해 액체질소(LN)가 채워져 있고, 타측에는 절단기(10)에서 길이 10~60mm로 절단된 페통신선 조각(20)이 유입되는 폐통신선조각 유입구(1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송되어 온 폐통신선 조각(20)을 상기 액체질소(LN)에 침전시켜 내부까지 냉각시키는 냉각저장부(100);
관(管) 또는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이송수단(2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냉각저장부(100)에서 냉각된 폐통신선 조각(20)을 상기 이송수단(210)을 이용하여 분쇄기(300)로 이송하는 이송부(200);상부에는 폐통신선 조각(20)이 투입되는 투입구(3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이송부(200)와 투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폐통신선 조각(20)을 분쇄하여 구리조각과 피복재조각 및 분진으로 만드는 분쇄수단(340)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부피 0.5~3mm로 분쇄된 분쇄물만을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망(350)이 형성되어 있는 분쇄기(300); 및 상기 분쇄기(300)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형상의 관으로서 내부에는 물(721)이 흐르고 있고 배출망(350) 하부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분쇄물이 유입되는 분쇄물 유입구(710)가 형성되어 있고 분쇄물
유입구(710) 밑면에는 구리조각 이송수단(722)이 내장되어 있으며, 구리조각 이송수단(722)의 전면 100~500mm의 관 밑면에는 구리조각이 배출되는 구리조각 배출구(7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리조각 배출구(730)로부터 500~1000mm 전면에는 피복재조각 배출구(740)가 형성되어 있는 분쇄물 분리관(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상기 종래의 문제점(상기 식별번호 [0020] 해당)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폐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절단기를 통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광케이블을 액체질소 저장부에 채워진 액체질소를 경유시켜 냉동시킨 다음 분쇄기로 이동시켜 분쇄한 후 그 분쇄된 광케이블을 진동분리기로 보내 중량별로 분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의 냉기를 진동분리기와 제2집진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저장부에서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진동분리기와 상기 제2집진기까지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이상의 과제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구성,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절단(절단길이 대략 100㎜~1000㎜)하는 절단기(10)와:
상기 절단기(10)로부터 절단되어 낙하하는 절단광케이블을 분쇄기(30)의 투입구로 이송시키면서 액체질소 저장부(22)에 채워진 액체질소(LN)에 침전시켜 냉동시키는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갖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경유한 냉동된 절단광케이블(냉동광케이블이라 함)을 유입받아 파쇄(약 좁쌀크기)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분쇄되어 상기 분쇄기(30) 아래로 낙하하는 분쇄물이
제1집진기(40)로 이동되도록 일측은 상기 분쇄기(30)의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1집진기(40)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덕트(a)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송풍기(3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덕트(a)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집진기(40)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집진기(40)의 일측에 제2덕트(b)를 연결하고 타측은 송풍기(300)를 설치하며,
상기 제1집집기(중력식 집진기에 해당) 하단은 분쇄물을 분리하는 진동분리기(50)를 연결시켜 상기 제1집진기(40)로부터 분쇄물을 유입받아 분리하는 상기 진동분리기(5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송풍기(300,310)의 흡입력이 이송컨베이어(20)의 내부를 시작으로 분쇄기(30), 제1덕트(a), 제1집진기(40), 분배기(60), 진동분리기(50)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3) 내부를 경유하여 진동분리기(50)와 제2집진기(400)까지 이르도록 서로 연통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21)의 냉기가 상기 진동분리기(50)와 상기 제2집진기(400)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에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상기 진동분리기(50)와 상기 제2집진기(400)까지 유입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설명은 생략한 700은 분쇄기와 이송컨베이어이다, 이처럼 분쇄기와 이송컨베이어를 추가하여 도시한 이유는, 복수의 분쇄기와 복수의 이송컨베이어를 더 추가하여 더 잘게 분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의 냉기를 진동분리기와 제2집진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저장부에서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진동분리기와 상기 제2집진기까지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광케이블에 충전된 젤리 성분이 녹아내리지 않아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의 일부를 생략한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을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기와 이송컨베이어와 분쇄기를 단면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배기와 제1집진기와 진동분리기를 단면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배기와 제1집진기와 진동분리기를 투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케베이어의 사시도로서,
가)는 전체사시도, 나)는 일부 분해사시도,
다), 라)는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사)는 측 단면도이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기 바란다.
구성,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절단(절단길이 대략 100㎜~1000㎜)하는 절단기(10)와:
상기 절단기(10)로부터 절단되어 낙하하는 절단광케이블을 분쇄기(30)의 투입구로 이송시키면서 액체질소 저장부(22)에 채워진 액체질소(LN)에 침전시켜 냉동시키는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갖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경유한 냉동된 절단광케이블(냉동광케이블이라 함)을 유입받아 파쇄(약 좁쌀크기)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분쇄되어 상기 분쇄기(30) 아래로 낙하하는 분쇄물이
제1집진기(40)로 이동되도록 일측은 상기 분쇄기(30)의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1집진기(40)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덕트(a)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송풍기(3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덕트(a)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집진기(40)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집진기(40)의 일측에 제2덕트(b)를 연결하고 타측은 송풍기(310)를 설치하며,
상기 제1집진기(중력식 집진기에 해당) 하단은 분쇄물을 분리하는 진동분리기(50)를 연결시켜 상기 제1집진기(40)로부터 분쇄물을 유입받아 분리하는 상기 진동분리기(5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단기(10)의 광케이블투입호퍼(11)에 수용된 광케이블은 자중에 의해 상기광케이블투입호퍼(11) 아래로 내려와 상기 광케이블투입호퍼(11) 아래에 설치되어 모터(600)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날(14)에 절단(대략 100㎜~1000㎜)된다.
그 절단된 절단광케이블은 커터(14)날 아래로 낙하하는데 그 낙하하는 절단광케이블은 분쇄기(30)로 이동하기 위해 이송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벨트(21) 일측에 낙하하여 컨베이어벨트(21)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한 후 분쇄기(30)의
호퍼에 투입된다
이송과정에 컨베이어벨트(21) 중 상측컨베이어벨트(21a) 중앙부분이 아래로 향하여 액체질소가 채워진 액체질소 저장부(22)에 침전되므로 절단광케이블 또한 침전되어 이송하는 과정에 냉동된다.
이와 같이 냉동된 냉동광케이블은 분쇄기(30)의 호퍼(31)로 투입되어
자중에 의해 호퍼(31) 아래로 내려와 상기 호퍼(31) 아래에 설치되어 모터
(600)에 의해 회전하는 분쇄날(32)에 의해 좁쌀크기로 분쇄된다.
이처럼 분쇄된 분쇄물은 분쇄날(32) 아래로 낙하하여 제1집진기(40)로 이동한다.
그 이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집진기(40)와 제3집진기(410) 사이에 상기 제1집진기(40)와 제3집진기(410)가 서로 연통되도록 제2덕트(b)를 연결하고, 상기 제2덕트에 송풍기(310)를 설치하였다.
그러므로 송풍기(310)를 가동하면 송풍기(310)의 흡입력에 의해 분쇄기(30) 아래로 낙하한 분쇄물이 상기 제1덕트(a)를 지나 제1집진기(40)로 유입되면서 중량이 무거운 분쇄물은 상기 제1집진기(40) 아래를 지나 진동분리기(50)로
이동하여 진동분리기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나 중량이 가벼운 분쇄물을 송풍기(310)에 지속적으로 흡입되어 제2덕트(b)를 지나 제3집진기(410)로 이동한다.
다음은 제1집진기에서 낙하하는 분쇄물을 진동분리기로 이동하는 분배관을 살펴본다.
구성, 제1집진기(40) 하단에 상기 제1집진기(40) 하단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분쇄물이 복수의 방향으로 분배되어 복수의 방향의 진동분리기(50,50a)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집진기(40) 하단에 분배기(60a,60b)의 일측(60',60")을 연결하고 상기 분배기(60a,60b)의 타측(60'",60"")은 복수방향으로 향하여 각각 복수의 진동분리기(50,50a)와 연결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분배관(60a,60b) 일측(60',60")은 제1집진기(40)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분배관(60a,60b) 타측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위치시켜 상기 복수의 분배관 끝단에 각각 복수의 진동분리기(50,50a)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하나의 제1집진기(40)의 하단으로 낙하하는 분쇄물은 복수의 분배관(60a,60b)을 지나 복수의 진동분리기(50,50a)로 분산된다.
그 후 복수의 진동분리기(50,50a)가 가동하면 분쇄물 중 가벼운 분쇄물과 중량이 무거운 분쇄물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분배관(60a,60b) 일측(60',60")은 상측으로 향하여 제1집진기(40) 하단과 연결하고 상기 분배기(60a,60b) 타측(60'",60"")은 하측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진동분리기와 연결하면 분쇄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진동분리기(50,50a)로 이동한다.
다음은 분배관으로 유입된 분쇄물을 이송스크류로 이송하여 진동분배기에 이르게하는 구성을 살펴본다.
구성, 상기 분배관(60)의 중앙부분에 관통공(61)을 형성하여 제1집진기(40)의 하단과 연결하고,
상기 분배관(60) 양끝은 각각 진동분리기(50,50a)와 연결되며,
상기 분배관(60)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스크류(62)는 상기 관통공(61)으로 낙하하는 분쇄물이 분배관(60)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스크류(62)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길이방향 양방향으로 이송스크류(62)의 나사선(62a)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배관(60)은 수평으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분배관(60)의 길이방향 중앙이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관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집진기(40) 하단으로 낙하하는 분쇄물이 관통공(61)으로 유입되면 미도시한 모터(이송스크류의 회전축과 연결됨)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2)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분배관(60)의 양방향에 형성한 토출구(63)를 경유하여
진동분리기(50,50a)로 배출된다.
다음은 이송컨베이어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컨베이어벨트(21)와 액체질소 저장부(22)와 케이스에 해당하는 배관(2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상기 컨베이어벨트(21) 하단에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길이방향의 어느 지점은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에 채워진 액체질소에 침전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21) 위에서 이송중인 절단광케이블이 액체질소에 침전되어 냉동되도록 하고,
상기 배관(23)은 상기 배관(23)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기(10) 하단과 분쇄기(30)의 투입구(31)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절단기(10) 하단과 상기 분쇄기(30)의 투입구(31)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배관(23) 내부 길이방향에 상기 켄베이어벨트(21)와 액체질소 저장부(22)를 수용시킨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체질소저장부(22)는 충전배관(22a)을 통해 액체질소를 채운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21) 중 상측컨베이어벨트(21a)의 중앙부분이 아래로 향하여 액체질소가 채워진 액체질소 저장부(22)에 침전되도록 컨베이어벨트(21)를 제작한다. 그러므로 상기 컨베이어벨트(21)를 통해 이송중인 절단광케이블이 이송하는 과정에 침전되어 냉동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1)는 구동모터(25)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은 진동분리기를 살펴본다.
진동분리기(50,50a) 하단에 모터(미도시)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재(51)가 연결되고,
상기 진동부재(51)의 상단부분에 가로 세로 넓이가 있는 진동판(52)을 연결하며,
진동판(52)은 상기 진동판(52) 상단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3)를 설치하되 상기 커버부재(53)는 일측에 송풍기(300)의 흡입구(300a)와 연결되고 상단은 분배기(60)의 토출구(63)와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배기(60)에 수용된 이송스크류(62)의 회전력으로 상기 토출구(63)를 통해 분쇄물을 진동판으로 분사하듯이 토출하면 분쇄물이 비산되고 그 과정에 분쇄물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분쇄물이 송풍기(31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제3덕트(c)를 따라 제2집진기(400)로 이동한다.
상기 제1집진기(40)는 상측에 송풍기(310)가 설치된 제2덕트(b)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제2덕트(b) 타측은 제3집진기(41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집진기(40)로 유입되는 분쇄물 중에서 비중이 낮은 분쇄물을 송풍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덕트(b)를 경유시켜 제3집진기(410)로 배출시킨다.
상기 절단기(10)의 광케이블투입호퍼(11) 상단에 에어커튼(12)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커튼(12) 하단에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공(13)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공(13)에 송풍기가 설치된 에어덕트(d) 일측 끝단을 연결하고 상기 에어덕트(d) 타측은 제3집진기(410)와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커튼(12)의 강한 바람에 의해 광케이블투입호퍼(11) 상부로 상승하는 먼지(광케이블 투입과정에 광케이블에 흡착된 협착물)를 위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가로막고,
상기 흡입공(13)을 통해 광케이블투입호퍼(11) 내에 있는 먼지를 송풍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에어덕트(13a)를 경유시켜 제3집진기(410)로 배출시킨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는, 광케이블투입호퍼(11) 내부로 얼키고 설킨 광케이블을 투입하면 투입과정에 분진이 발생하여 광케이블투입호퍼(11) 상부로 상승하는데 이때 에어커튼(12)의 강한 토출바람이 가로막으면(광케이블투입호퍼의 수평 방향) 상승하지 않는다.
이처럼 가로막은 상태에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제3집진기에서 분진을 처리하면 작업장이 쾌적한 환경이 된다.
상기 에어커튼에 대한 기술은 등록번호10-0508298호, 등록번호 20-0437897호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다음 구성을 살펴본다.
송풍기(300,310)의 흡입력이 이송컨베이어(20)의 내부를 시작으로 분쇄기(30), 제1덕트(a), 제1집진기(40), 분배기(60), 진동분리기(5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3) 내부를 경유하여 진동분리기(50)와 제2집진기(400)까지 이르도록 서로 연통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21)의 냉기가 상기 진동분리기(50)와 상기 제2집진기(400)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에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상기 진동분리기(50)와 상기 제2집진기(400)까지 유입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실시예, 이송컨베이어(20)에 구성된 배관(23)의 길이방향 양단을 절단기(10) 하단과 분쇄기(30)의 투입구(31)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절단기(10) 하단과 상기
분쇄기(30)의 투입구(31)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였다
그러므로 제2,3덕트에 설치된 송풍기(300,310)를 가동하면 상기
송풍기(300,310)의 흡입력이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21)의 냉기가 배관(23), 분쇄기(30), 제1덕트(a), 제1집진기(40), 분배기(60), 진동분리기(50)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3) 내부를 경유하여 제2,3덕트(b,c)를
지나 제2집진기(400)까지 이동한다.
이처럼, 분쇄물이 진동분리기(50)와 제2집진기(400)까지 냉동상태가 유지되는 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광케이블에 충전된 젤리 성분이 녹아내리지 않아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액체질소저장부(21)에 채워진 액체질소의 냉기가 분쇄기(30) 내부로 유입되므로 분쇄기(30) 내부에 별도의 액체질소 분사구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제1집진기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과 비중이 무거운 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즉 가벼운 물질은 송풍기를 통해 제2집진기로 이동한다.
상기 진동 분리기에 대한 기술은 등록번호 10-1587384호의 식변번호 [0045]에 상세하게 설명되어있어 본 발명의 진동분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더 나가 진동분리기에 대한 기술은 등록번호 20-0342471호, 공개번호 실1985-0000286호 참고 바란다.
10 : 절단기 11 : 광케이블투입호퍼
12 : 에어커튼 13 : 흡입공
13a: 에어덕트 20 : 이송컨베이어
21 : 컨베이어벨트 22 : 액체질소 저장부
21a: 상측컨베이어벨트 23 : 배관
30 : 분쇄기 31 : 호퍼
32 : 분쇄날 40 : 제1집진기
50 : 진동분리기 60 : 분배관
61 : 관통공 62 : 이송스크류
62a: 나사선 310: 송풍기
63 : 토출구 410: 제3집진기
600: 모터 a : 제1덕트
b : 제2덕트 c : 제3덕트

Claims (3)

  1. 광케이블의 길이방향을 절단(절단길이 대략 100㎜~1000㎜)하는 절단기(10)와:
    상기 절단기(10)로부터 절단되어 낙하하는 절단광케이블을 분쇄기(30)의 투입구로 이송시키면서 액체질소 저장부(22)에 채워진 액체질소(LN)에 침전시켜 냉동시키는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갖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액체질소 저장부(22)를 경유한 냉동된 절단광케이블(냉동광케이블이라 함)을 유입받아 파쇄(약 좁쌀크기)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분쇄되어 상기 분쇄기(30) 아래로 낙하하는 분쇄물이
    제1집진기(40)로 이동되도록 일측은 상기 분쇄기(30)의 하단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1집진기(40)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덕트(a)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분쇄된 분쇄물이 송풍기(3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덕트(a)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집진기(40)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집진기(40)의 일측에 제2덕트(b)를 연결하고 타측은 송풍기(300)를 설치하며,

    상기 제1집집기(중력식 집진기에 해당) 하단은 분쇄물을 분리하는 진동분리기(50)를 연결시켜 상기 제1집진기(40)로부터 분쇄물을 유입받아 분리하는 상기 진동분리기(50)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송풍기(300,310)의 흡입력이 이송컨베이어(20)의 내부를 시작으로 분쇄기(30), 제1덕트(a), 제1집진기(40), 분배기(60), 진동분리기(50) 상측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3) 내부를 경유하여 진동분리기(50)와 제2집진기(400)까지 이르도록 서로 연통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된 액체질소저장부(21)의 냉기가 상기 진동분리기(50)와 상기 제2집진기(400)까지 이동하도록 하여 액체질소에 냉동된 분쇄물이 냉동 상태로 상기 진동분리기(50)와 상기 제2집진기(400)까지 유입하도록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진동분리기(50,50a) 하단에 모터(미도시)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재(51)가 연결되고,
    상기 진동부재(51)의 상단부분에 가로 세로 넓이가 있는 진동판(52)을 연결하며,
    진동판(52)은 상기 진동판(52) 상단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3)를 설치하되 상기 커버부재(53)는 일측에 송풍기(300)의 흡입구(300a)와 연결되고 상단은 분배기(60)의 토출구(63)와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배기(60)에 수용된 이송스크류(62)의 회전력으로 상기 토출구(63)를 통해 분쇄물을 진동판으로 분사하듯이 토출하면 분쇄물이 비산되고 그 과정에 분쇄물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분쇄물이 송풍기(31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제3덕트(c)를 따라 제2집진기(400)로 이동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KR1020190099242A 2019-08-14 2019-08-14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KR10223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42A KR102234158B1 (ko) 2019-08-14 2019-08-14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42A KR102234158B1 (ko) 2019-08-14 2019-08-14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47A true KR20210020247A (ko) 2021-02-24
KR102234158B1 KR102234158B1 (ko) 2021-03-31

Family

ID=7468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42A KR102234158B1 (ko) 2019-08-14 2019-08-14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54776A (zh) * 2024-02-22 2024-03-26 辽宁龙源新能源发展有限公司 废风电叶片的粉碎装置和回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685A (ko) * 1995-03-08 1996-10-22 김경두 폐케이블의 냉동분쇄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0311A (ko) * 1999-10-12 2000-01-15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KR100582847B1 (ko) * 2005-11-15 2006-05-23 (주)금광 이 엔 지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20130134094A (ko) * 2012-05-30 2013-12-10 김용호 폐전선 선별장치
KR20150066418A (ko) * 2013-12-06 2015-06-16 박일찬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685A (ko) * 1995-03-08 1996-10-22 김경두 폐케이블의 냉동분쇄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0311A (ko) * 1999-10-12 2000-01-15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KR100582847B1 (ko) * 2005-11-15 2006-05-23 (주)금광 이 엔 지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20130134094A (ko) * 2012-05-30 2013-12-10 김용호 폐전선 선별장치
KR20150066418A (ko) * 2013-12-06 2015-06-16 박일찬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54776A (zh) * 2024-02-22 2024-03-26 辽宁龙源新能源发展有限公司 废风电叶片的粉碎装置和回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158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382B1 (ko) 혼합 폐기물의 처리 방법, 처리 설비 및 그 처리 설비용완충 사일로
CA2053789C (en) Apparatus for reducing rubber to particles
KR20170106872A (ko) 폐 전선 재활용 장치
KR102234158B1 (ko)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CZ198097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 recycling mixtures of plastics
KR101587384B1 (ko)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890937A (zh) 一种废旧锂电池回收撕碎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CN110523638B (zh) 一种从废旧沥青混合料骨料表面剥离细集料的方法
KR20210033638A (ko) 폐태양광 판넬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KR20210020362A (ko)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의 분쇄물 분배기
CN202824076U (zh) 一种新型铜铝废旧品破碎生产线
CN201652397U (zh) 一种可收尘输煤长廊系统
CN104923354A (zh) 一种新型铁矿石的破碎装置
CN104907145A (zh) 一种铁矿石的破碎装置
CN113119344B (zh) Pet废塑料瓶破碎清洗回收方法
CN205463532U (zh) 一种色选机用除尘接料装置
CN202062313U (zh) 用于锯条表面处理的喷砂机
KR100704553B1 (ko) 젤리충전 통신선 차핑방법 및 차핑기
GB939331A (en) Abrasive blasting apparatus
CN104924184A (zh) 一种自动除砂的纤维粉尘输送机以及除砂方法
FI70877B (fi) Metod och anordning foer uppsamling av mineralfibrer
CN214605345U (zh) 一种铜米机生产线
CN208263241U (zh) 一种多层管的分离回收装置
CN109110177B (zh) 具有去枝功能的荔枝装箱机
JP7157436B2 (ja) 透明カバー層分離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