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881A -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881A
KR20210019881A KR1020190099061A KR20190099061A KR20210019881A KR 20210019881 A KR20210019881 A KR 20210019881A KR 1020190099061 A KR1020190099061 A KR 1020190099061A KR 20190099061 A KR20190099061 A KR 20190099061A KR 20210019881 A KR20210019881 A KR 2021001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ner connector
fixing device
corn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088B1 (ko
Inventor
지원기
윤태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스
Priority to KR102019009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0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3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wo-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모서리 연결구가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틀 프레임 제작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자 직교되는 부분 또는 그 직교되는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에 삽입되는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연결구,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측에 형성되는 끼움 홈, 끼움 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삽입부 외측 테두리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프레임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삽입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 클립,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클립의 단부가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부 및 모서리 연결구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면의 제1면 및 제2면과 접촉되어 모서리 연결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A frame fixing device formed on a corner connector for a frame}
본 발명은 틀 프레임의 제작에 따른 모서리 부분에서 각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모서리 연결구가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 프레임을 제작함에 있어, 프레임이 서로 직교되는 부분인, 즉 모서리 부분에는 외관이 미려(美麗)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각 단부를 대각선 형태로 절단한 후 그 절단면 사이에 모서리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경사진 절단면에 모서리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은 외관이 미려하여 통상적인 장식 패널이나 액자, 장식장 등과 같은 다양한 부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틀 프레임 또는 프로파일(profile) 등의 모서리에 사용되는 모서리 연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89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마감구에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즉 프레임 연결구의 각 측면에 호 형태로 돌출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도어 플임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30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각 장착다리부에 프레임 구조물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는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프로파일 부재의 모서리 연결구와 같은 기술 또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연결구에 형성된 복수의 홈 상에 각각의 탄성결합부를 조립하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짐은 물론 그 연결구로부터 도어 프레임이 외력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 문헌 2는 제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뿐만 아니라, 장착다리부에서 걸림턱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은 물론 특히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걸림턱이 걸림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됨으로써 프로파일 부재가 쉽게 분리되는 단점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8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3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모서리 연결구가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모서리 연결구와 프레임이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틀 프레임 제작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자 직교되는 부분 또는 그 직교되는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에 삽입되는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로서,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측에 형성되는 끼움 홈; 상기 끼움 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삽입부 외측 테두리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 클립;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기 탄성 클립의 단부가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부; 및 상기 모서리 연결구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1면 및 제2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서리 연결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에 의하면,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모서리 연결구가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틀 프레임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모서리 연결구가 프레임 내측에서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제작 효율성은 물론 조립 효율성 또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 고정함에 따라, 모서리 연결구와 프레임이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에 구성된 탄성 고정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모서리 연결구는 비교적 넓은 폭을 갖는 프레임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된 모서리 연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모서리 연결구에 각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각 프레임으로 모서리 연결구를 삽입한 경우, 모서리 연결구가 프레임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되는 것과 모서리 연결구와 프레임이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모서리 연결구(100)는 장식 패널이나 액자, 장식장 등에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각종 창호 등의 다각형의 틀 프레임을 제작 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모서리 연결구(100)는 틀 프레임 제작시 각 프레임(200)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자, 직교 되는 부분 또는 그 직교 되는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210)에 삽입되는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삽입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틀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200)은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는 프레임이 적용된다.
모서리 연결구(100)에 구비되는 프레임 고정장치(1)는 삽입부(110)의 외측 테두리 측에 형성되는 끼움 홈(10), 끼움 홈(10)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삽입부(110) 외측 테두리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삽입되는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 클립(20),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삽입부(110)의 외측 테두리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 클립(20)의 단부가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부(30) 및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프레임(200) 내측면의 제1면(201, 도 5참조) 및 제2면(202, 도 5참조)과 접촉되어 모서리 연결구(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40)를 포함한다.
모서리 연결구(100)는 통상적인 프레스 작업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과 밴딩, 천공 또는 엠보싱 작업 등을 통하여 각 단부에 프레임(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부(110)는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동방지부(40)의 설명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따로 구분한 것일 뿐, 모서리 연결구(1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 홈(10)은 탄성 클립(20)의 일단이 끼워진 후 걸려지거나 지지되어 빠짐이나 이탈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된 절곡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 홈(10)은 삽입부(110)의 일면에 통상적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삽입부(110)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30)는 그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탄성 클립(20)의 단부가 걸려지는 통상적인 홈 형태 또는 턱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탄성 클립(20)은 일단이 상기 끼움 홈(10)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 클립부(22)와 , 지지 클립부(22)의 반대 측에 삽입부(110)의 외측 테두리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30)에 걸려지는 고정 클립부(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클립(20)의 지지 클립부(22)는 끼움 홈(10)에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삽입되거나 압입 고정되고, 지지 클립부(22)의 반대 측의 고정 클립부(24)는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삽입되는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의해 눌려진 후 탄성에 의해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30)에 걸려져 고정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200)은 통상적인 원터치 방식에 의해 한번 삽입된 후에는 다시 분리나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모서리 연결구(100)에 구비되는 간단한 구조의 프레임 고정장치(1)에 의해, 즉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서리 연결구(100)의 끼움 홈(10)에 탄성 클립(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프레임(200)을 삽입부(110) 즉, 모서리 연결구(100)의 각 단부로 삽입함으로써,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의해 고정 클립부(24)는 눌려진 후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탄성에 의해 걸림부(30)로 눌려지기 전으로 복원되면서 걸려져 고정된다. 즉, 프레임(200)을 모서리 연결구(100)의 삽입부(110)로 삽입함에 따라 통상적인 원터치 방식과 같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 클립부(24)는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모서리 연결구(10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모서리 연결구(100)에 형성되는 끼움 홈(10)과, 끼움 홈(10)에 끼움 고정되는 탄성 클립(20)에 의한 간단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작이 간단함은 물론 조립 또한 우수한 조건을 가진다.
한편,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는 유동방지부(40)가 적어도 하나 이상형성된다. 유동방지부(40)는 모서리 연결구(100)가 프레임(200)에 삽입된 경우,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동방지부(40)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에 구성된 탄성 고정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는 삽입부(110)가 프레임(200)의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수축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삽입부(110)의 표면 또는 이면보다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고정편(120), 프레임(200)의 내측면 중 탄성 고정편(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탄성 고정편(120)이 걸려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30) 및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프레임(200) 내측면의 제1면(201, 도 5참조) 및 제2면(202, 도 5참조)과 접촉되어 모서리 연결구(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40)를 포함한다. 걸림부(30)는 탄성 고정편(120)이 걸려지는 통상적인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탄성 고정편(120)은 삽입부(110)에서 모서리 연결구(100)가 금속재질일 경우, 통상적인 프레스 작업에 의해 3개 면이 절개되어 그 절개된 부분이 표면 또는 이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서리 연결구(100)가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공지된 성형 방식에 의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고정편(120)의 돌출 형성되는 끝단은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모서리 연결구(100)의 삽입부(110)를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삽입하거나 프레임(200)을 모서리 연결구(100)의 삽입부(110)에 삽입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삽입부(110)에 형성된 탄성 고정편(120)이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의해 수축되었다가, 프레임(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 형태의 걸림부(30)에 위치하게 되면, 그 수축되었던 탄성 고정편(120)이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면서 돌출된 끝단이 걸림부(30)에 걸려져 고정된다.
더욱이, 탄성 고정편(120)의 돌출 형성되는 끝단을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프레임(200)이 삽입된 후 고정된 상태에서는 다시 삽입되는 방향으로 분리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고, 고정된 후에는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신속하게 편리하면서 긴밀하게 조립 고정할 수 있어, 높은 제작 효율성은 물론 조립 효율성 또한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한편, 탄성 고정편(120)은 삽입부(110) 상에 한 쌍으로 형성된 경우, 동일 위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고정편(120)을 한 쌍으로 형성시 삽입부(110)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해도 무방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삽입부(110)의 길이에 비례하여 더 큰 고정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즉, 모서리 연결구(100)의 삽입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내측 변의 길이는 짧고 외측 변의 길이는 길게 형성됨으로써, 탄성 고정편(12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였을 때는 길이 방향의 하나의 지점만이 고정되는 것과 같으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삽입부(110)의 길이 방향 두 지점을 고정하는 것이므로 동일선상에 위치한 것에 비하여 더 높은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고정편(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 상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 형태의 모서리 연결구(100)의 삽입부(110)와 삽입부(110)가 직교 되는 위치의 표면 또는 이면에 삽입되는 각 프레임(200)의 단부가 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 위치 셋팅돌기(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정 위치 셋팅돌기(50)는 모서리 연결구(100)의 삽입부(110)에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각 프레임(200)의 각 단부가 항시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조립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편,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는 유동방지부(40)가 적어도 하나 이상형성된다. 유동방지부(40)는 모서리 연결구(100)가 프레임(200)에 삽입된 경우,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유동방지부(40)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는 유동방지부(4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플레이트 형태의 모서리 연결구(100)는 비교적 넓은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긴밀하고 높은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모서리 연결구(100)가 프레임(200) 내측에 삽입된 경우, 유동성을 가질 수 있는 관계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 유동방지부(40)를 형성하였다.
상기 유동방지부(40)는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프레임(200) 내측면의 제1면(201) 및 제2면(202)과 접촉되어 모서리 연결구(100)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면(201)은 도 5를 기준으로 프레임(200)의 내측면 상부 밑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제2면(202)은 도 5를 기준으로 프레임(200)의 내측면 하부 바닥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방지부(40)는 통상적인 프레스 작업에 의해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는 모서리 연결구(100)의 테두리에 4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례일 뿐, 모서리 연결구(100)가 프레임(200)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면 몇개가 형성되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동방지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다시 만곡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유동방지부(40)는 프레임(200) 내측면의 제1면(201)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42)와, 프레임(200) 내측면의 제2면(202)과 접촉되는 제2 접촉부(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접촉부(42)와 제2 접촉부(44)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200) 내측면의 상부 밑면과 하부 바닥면을 지지함에 따라, 프레임(200) 내측면에서 모서리 연결구(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유동방지부(40)는 프레임(200)의 내측면 상부 밑면(제1면, 201)과 하부 바닥면(제2면, 202)을 지지하도록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만곡되어 하방으로 다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연결구(100)와 프레임(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모서리 연결구(100)와 프레임(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성을 방지함에 따라, 높은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프레임 고정장치 10: 끼움 홈
12: 절곡부 20: 탄성 클립
22: 지지 클립부 24: 고정 클립부
30: 걸림부 40: 유동방지부
50: 정 위치 셋팅돌기 100: 모서리 연결구
110: 삽입부 120: 탄성 고정편
200: 프레임 201: 제1면
202: 제2면 210: 절단면

Claims (7)

  1. 틀 프레임 제작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자 직교되는 부분 또는 그 직교되는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에 삽입되는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로서,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측에 형성되는 끼움 홈;
    상기 끼움 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삽입부 외측 테두리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 클립;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기 탄성 클립의 단부가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부; 및
    상기 모서리 연결구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1면 및 제2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서리 연결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홈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은
    일단이 상기 끼움 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 클립부; 및
    상기 지지 클립부의 반대 측에 상기 삽입부의 외측 테두리 상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지는 고정 클립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프레스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1면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2면과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4. 틀 프레임 제작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자 직교되는 부분 또는 그 직교되는 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절단면에 삽입되는 한글 자음의 기억("ㄱ") 자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모서리 연결구로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수축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표면 또는 이면보다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고정편;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중 상기 탄성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고정편이 걸려져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 및
    상기 모서리 연결구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1면 및 제2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서리 연결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편은
    상기 삽입부에서 3개 면이 절개되어 그 절개된 부분이 표면 또는 이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편은
    상기 삽입부 상에 동일 위치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프레스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1면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프레임 내측면의 제2면과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20190099061A 2019-08-13 2019-08-13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225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61A KR102256088B1 (ko) 2019-08-13 2019-08-13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61A KR102256088B1 (ko) 2019-08-13 2019-08-13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81A true KR20210019881A (ko) 2021-02-23
KR102256088B1 KR102256088B1 (ko) 2021-05-26

Family

ID=7468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61A KR102256088B1 (ko) 2019-08-13 2019-08-13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0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03A (ja) * 1998-12-28 2000-07-11 Sofuken:Kk 枠 体
KR100989505B1 (ko) * 2008-11-25 2010-10-22 남궁홍균 도어 프레임
KR200462898Y1 (ko) 2010-03-22 2012-10-10 주식회사 비앤비 가구용 도어 프레임 연결구
KR101215077B1 (ko) * 2011-09-28 2012-12-24 영광금속 주식회사 금속 조각의 걸림구조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 구조물
KR101545308B1 (ko) 2015-01-08 2015-08-21 주식회사 세계로 프로파일부재의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KR20190063351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휴먼스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03A (ja) * 1998-12-28 2000-07-11 Sofuken:Kk 枠 体
KR100989505B1 (ko) * 2008-11-25 2010-10-22 남궁홍균 도어 프레임
KR200462898Y1 (ko) 2010-03-22 2012-10-10 주식회사 비앤비 가구용 도어 프레임 연결구
KR101215077B1 (ko) * 2011-09-28 2012-12-24 영광금속 주식회사 금속 조각의 걸림구조를 이용한 프레임 연결 구조물
KR101545308B1 (ko) 2015-01-08 2015-08-21 주식회사 세계로 프로파일부재의 모서리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KR20190063351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휴먼스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088B1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090B2 (en) Eyeglass frame assembly
KR20190063351A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2256088B1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JP2015059393A (ja) 枠組みパネルの補強装置
JP4450325B2 (ja) 建具
KR102101471B1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JP6008918B2 (ja) パネル取付構造体及び構造物組立方法
JP2007297831A (ja) ふかし枠、及び、建具
CN103452232B (zh) 一种墙板块
JP2019083976A (ja) 枠付き鏡およびその鏡の組立て方法
JP4863198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ITMI20120620A1 (it) Dispositivo di giunzione a scomparsa per pannelli di un mobile o simile
JP3962620B2 (ja) 化粧材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取付構造
JP6244095B2 (ja) ドア枠の連結構造
JP5441048B2 (ja) 隙間閉塞部材の取付構造
KR200465884Y1 (ko) 내측 장식테용 모서리캡
JP7330743B2 (ja) 棚板受け構造及び無溶接方式の棚板受け具
CN217082896U (zh) 装饰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217772018U (zh) 一种用于装饰窗帘上轨的围板
JP5804929B2 (ja) 吊り棚
JP3837045B2 (ja) 袖キャビネット付き机
TWM556774U (zh) 門框結構改良
JP4741985B2 (ja) 見切縁
JP2017085939A (ja) ジョイント
KR200483281Y1 (ko) 인테리어 벽체 몰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