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836A -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 Google Patents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836A
KR20210019836A KR1020190098953A KR20190098953A KR20210019836A KR 20210019836 A KR20210019836 A KR 20210019836A KR 1020190098953 A KR1020190098953 A KR 1020190098953A KR 20190098953 A KR20190098953 A KR 20190098953A KR 20210019836 A KR20210019836 A KR 20210019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horn
switch
coi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860B1 (ko
Inventor
최상규
Original Assignee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8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의 경음기로 경적기능과 부저기능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경적스위치와, 상기 코일과 연결된 스프링 및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스탠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와, 상기 경적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부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주파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부저스위치와, 상기 부저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A horn with buzzer function}
본 발명은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의 경음기로 경적기능과 부저기능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경음기는 챠량 운행 중이나 주차된 상태에서 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주의를 주고자 경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경적(horn)용 경음기와 부저용 경음기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차량에는 위급상황 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적용 경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음기와는 별개로 주차 중 강제로 문열림 발생시 경보음을 울려주는 도난경보용 경음기가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개의 부저음 발생용 부저가 구비되어 있다. 부저는 차량의 문이 닫히고 열리거나, 스마트키를 가지고 있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량에서 멀어질 때 부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음기는 경적용 경음기와 도난경보용 경음기 및 부저음 발생용 부저가 차량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차량에 각각의 경음기와 부저를 별도로 사용하게 됨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의 경음기로 경적기능과 부저기능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는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경적스위치와, 코일과 연결된 스프링 및 전원부와 연결된 스탠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와, 경적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스탠드를 통해 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부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와, 신호발생부 및 스프링 사이에 연결된 부저스위치와, 부저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부저스위치는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달된 전원이 코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는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의 경음기로 경적기능과 부저기능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적기능과 부저기능을 겸용하여 사용함에 따라 부품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해 작업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음기를 경적용으로 이용할 때의 전류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음기를 부저용으로 이용할 때의 전류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100, 이하 경음기)는 경적스위치(110), 코일(120), 접속부(130), 배터리(140), 부저스위치(150) 및 신호발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음기(100)의 코일(120)은 철심(122)에 감겨 있으며, 코일(120)의 일측은 접속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GND)와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130)는 스탠드(132) 및 스프링(134)을 접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34)은 코일(120)과 연결될 수 있고, 스탠드(132)는 경적스위치(110)와 연결될 수 있다.
경적스위치(110)는 전원부(170)와 연결될 수 있고, 운전자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운전 중에 경적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적스위치(110)를 누르는 경우 경적스위치(110)는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경적스위치(110)는 상시 오프(OFF)된 상태일 수 있다.
경적스위치(110)가 온(ON)이 되는 경우, 스탠드(132)에는 전원부(170)의 전원으로 인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스탠드(132)에 인가된 전류는 접속부(130)를 통해 스프링(134)에도 인가되며, 스프링(134)에 인가된 전류는 스프링(134)과 연결된 코일(120)에도 인가될 수 있다. 코일(120)에 인가된 전류로 인해 코일(120)이 감겨있는 철심(122)에는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철심(122)에 발생한 자력으로 인해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때,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34)을 밀게 되고, 이에 스프링(134)은 접속부(13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즉, 스프링(134)과 접속부(130)는 더 이상 접촉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스프링(134)에는 전원부(170)의 전원에 의한 전류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스프링(13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코일(120)에도 더 이상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며, 철심(122)은 자력을 상실하게 된다. 철심(122)이 자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아마추어(180)는 진동판(182)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진동판(182)에 진동이 발생하며, 진동판(182)의 진동으로 인해 경적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아마추어(180)가 원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아마추어(180)가 밀고 있던 스프링(134)을 더 이상 밀지 않게 됨에 따라 스프링(134)은 다시 접속부(130)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경적스위치(110)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경적스위치(110)는 오프(OFF)가 되고, 접속부(130), 스탠드(132), 스프링(134) 및 코일(120)에는 전류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부저스위치(150)는 배터리(140) 및 코일(12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부저스위치(150)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고, FET의 드레인(Drain)단에는 배터리(140)가 연결되고, 소스(Source)단에는 코일(1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FET의 게이트(Gate)단은 신호발생부(160)와 연결될 수 있고, 게이트단에는 신호발생부(160)로부터 부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발생부(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 목적에 맞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부저스위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신호발생부(160)는 경음기(100) 외부의 구성으로, 부저스위치(150)에는 외부의 신호발생부(160)에서 발생한 주파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발생부(160)는 각 목적에 맞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데, 예컨대, 신호발생부(160)는 차량의 문을 열거나 닫음,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짐 등 각각의 목적에 맞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각 목적에 따라 차량 외부로 출력되는 부저음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이며, 부저음의 크기를 상이하게 출력하기 위해 신호발생부(160)는 각 목적에 맞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신호는 펄스 신호로, 하이(High) 레벨 및 로우(Low) 레벨이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신호발생부(160)에서 발생한 주파수 신호가 부저스위치(150)의 게이트단으로 입력되면, 부저스위치(150)에는 배터리(15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이에 소스단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코일(120)에 인가될 수 있다. 코일(120)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코일(120)이 감겨있는 철심(122)에는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철심(122)에 발생한 자력으로 인해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때, 아마추어(180)는 펄스신호의 하이(High) 레벨 및 로우(Low) 레벨의 상태에 따라서 철심(122) 측으로 이동과 원위치로 이동을 반복할 수 있다. 즉, 펄스신호의 하이 레벨이 부저스위치(150)로 입력되는 경우, 철심(122)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어 아마추어(180)를 철심(122) 측으로 당기게 되고, 펄스신호의 로우 레벨이 부저스위치(150)로 입력되는 경우, 철심(122)이 자력을 상실하게 되어 아마추어(180)는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진동판(182)에 진동이 발생하며, 진동판(182)의 진동으로 인해 부저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부저스위치(150)에 주파수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배터리(150)로부터 부저스위치(15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됨에 따라 부저스위치(150)는 전류를 전달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코일(120)에는 더 이상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부(130)는 전원부(170) 및 코일(12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30)는 스탠드(132) 및 스프링(134) 사이에 연결되어 스탠드(132) 및 스프링(13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탠드(132)는 전원부(170) 및 접속부(130)와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134)은 코일(120) 및 접속부(1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140) 및 신호발생부(160)는 부저스위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부저스위치(150)는 FET일 수 있고, 배터리(140)는 FET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신호발생부(160)는 FET의 게이트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FET의 소스단은 코일(120) 및 스프링(134)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40) 및 부저스위치(150)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다이오드는 배터리(140)에서 부저스위치(150)로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코일(120)의 일측에는 스프링(134) 및 부저스위치(150)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는 접지(GND)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음기를 경적용으로 이용할 때의 전류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운전 중에 경적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적스위치(110)를 누르는 경우 경적스위치(110)는 온(ON)될 수 있다. 경적스위치(110)가 온이 되면 접속부(130)는 전원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70)로부터 공금되는 전원에 의한 전류는 스탠드(132)를 거쳐 접속부(130)에 인가될 수 있다. 접속부(130)에 인가된 전류는 스프링(134)을 통해 코일(120)에도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1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코일(120)이 감겨 있는 철심(122)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철심(122)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34)을 밀게 되면 스프링(134)과 접속부(132)의 접촉은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전원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더 이상 코일(120)에 전달되지 않아 철심(122)은 자력을 상실하게 되고, 아마추어(180)는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아마추어(180)가 밀고 있던 스프링(134) 또한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어 접속부(130)와 다시 접촉할 수 있다. 아마추어(180)가 원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이 반복되며 진동판(182)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적음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음기를 부저용으로 이용할 때의 전류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닫힐 때, 스마트키를 가지고 있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부저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부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신호발생부(160)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발생부(160)는 부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에 따라 각각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신호발생부(160)는 84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를 가진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신호발생부(160)는 1,68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160)에서 발생된 주파수 신호는 부저스위치(150)의 게이트단으로 입력될 수 있다. 부저스위치(150)에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의해 부저스위치(150)에는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부저스위치(150)에 인가된 주파수 신호의 하이(High) 레벨 및 로우(Low) 레벨의 상태에 따라서 코일(120)을 거쳐 접지(GND)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12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코일(120)이 감겨 있는 철심(122)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철심(122)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당겨짐과 원위치로의 이동이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진동판(182)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부저음이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하나의 경음기로 경적기능과 부저기능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경적스위치 120: 코일
122: 철심 130: 접속부
132: 스탠드 134: 스프링
140: 배터리 150: 부저스위치
160: 신호발생부 170: 전원부
180: 아마추어 182: 진동판

Claims (8)

  1.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경적스위치;
    상기 코일과 연결된 스프링 및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스탠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상기 경적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스탠드를 통해 상기 코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부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신호발생부 및 상기 스프링 사이에 연결된 부저스위치;
    상기 부저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부저스위치는 상기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된 전원이 상기 코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겸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스위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고,
    상기 부저스위치의 드레인단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상시 입력되고,
    상기 부저스위치의 게이트단에는 상기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부저스위치의 소스단에서는 상기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된 전원에 대응하는 전류가 출력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감겨있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는 철심;
    상기 철심의 발생한 자력에 의해 상기 철심측으로 당겨지는 아마추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아마추어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속부와 접촉이 분리되고, 상기 스탠드와 상기 접속부의 접촉이 분리됨에 따라 상기 아마추어가 원위치로 되돌아가면서 경적음이 발생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스위치는 온오프되며, 경적스위치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코일에 상기 전원부에 의한 전원이 공급되어 경적음이 발생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저스위치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코일에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원이 공급되어 부저음이 발생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목적에 따라 각각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신호는 펄스 신호인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부저스위치 사이에는 다이오드가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는 전류가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부저스위치로 흐르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KR1020190098953A 2019-08-13 2019-08-13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KR10224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53A KR102240860B1 (ko) 2019-08-13 2019-08-13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53A KR102240860B1 (ko) 2019-08-13 2019-08-13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36A true KR20210019836A (ko) 2021-02-23
KR102240860B1 KR102240860B1 (ko) 2021-04-16

Family

ID=7468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53A KR102240860B1 (ko) 2019-08-13 2019-08-13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8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410A (en) * 1971-02-17 1972-10-03 William C Wetzel Horn with buzzer
KR100513528B1 (ko) * 2003-06-17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변형 경음 제어장치
KR20090062387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경음기 제어 장치
JP2010152329A (ja) * 2008-12-25 2010-07-08 Sung Il Industrial Co Ltd 電子式平型警音器とフォトインタラプタを利用した警音器
KR101931208B1 (ko) * 2017-03-13 2018-12-21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경보음 겸용 경음기 및 그것의 경보음 겸용 경적음 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410A (en) * 1971-02-17 1972-10-03 William C Wetzel Horn with buzzer
KR100513528B1 (ko) * 2003-06-17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변형 경음 제어장치
KR20090062387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경음기 제어 장치
JP2010152329A (ja) * 2008-12-25 2010-07-08 Sung Il Industrial Co Ltd 電子式平型警音器とフォトインタラプタを利用した警音器
KR101931208B1 (ko) * 2017-03-13 2018-12-21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경보음 겸용 경음기 및 그것의 경보음 겸용 경적음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860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8997B2 (en) Vehicular annunciation device and method for notifying proximity of a vehicle having an ultrasonic speaker
DE102011077219B4 (de) Fahrzeuganwesenheitsunterrichtungsvorrichtung
JP5029703B2 (ja) 車両存在報知装置
CN103085715A (zh) 车辆出现通知设备
DE102012212335A1 (de) Fahrzeugpräsenz-Mitteilungsvorrichtung
US4565991A (en) Chime generator circuit for connection with existing automobile radio speaker
KR102240860B1 (ko) 부저기능이 겸용된 경음기
US20130106599A1 (en) Vehicle presence notification apparatus
CN101537822A (zh) 基于安全带的汽车行驶危险预警装置
CN203611859U (zh) 一种汽车警示系统及汽车
JP2021513479A (ja) 乗り物用の搭載型の警報音装置及び機器
US20120194329A1 (en) Sound wave generator
JP2015116852A (ja) ホーン制御装置
JP2013091369A (ja) 車輌の存在報知システム
KR101931208B1 (ko) 경보음 겸용 경음기 및 그것의 경보음 겸용 경적음 출력 방법
JP2012101608A (ja) 車両接近通報音発生装置
CN210852375U (zh) 车辆防盗报警装置、车辆防盗装置及车辆
JP6147317B2 (ja) 給電制御装置
CN109311421B (zh) 一种利用总线控制多用途喇叭的方法和电路
CN104332156A (zh) 一种汽车电喇叭
US2305953A (en) Audible signal system for vehicles
KR101394002B1 (ko) 릴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589071A (en) Electric signaling system
KR101620300B1 (ko) 전자 경음기 및 그를 위한 경적음 구현 방법
EP3797879A1 (en) Multifunction acoustic war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