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701A -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01A
KR20210019701A KR1020190098638A KR20190098638A KR20210019701A KR 20210019701 A KR20210019701 A KR 20210019701A KR 1020190098638 A KR1020190098638 A KR 1020190098638A KR 20190098638 A KR20190098638 A KR 20190098638A KR 20210019701 A KR20210019701 A KR 2021001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cutting board
moving
food
kitche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006B1 (ko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도마가 펼쳐지거나 원위치되도록 하는 한편, 이동싱크대가 구비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조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은,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우측다이(120)에 착탈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싱크대(20)와;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일측에 구비되며, 김치와 같은 액체 함유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사용하는 보조도마(5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위치에서 조리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Kitchen system having movable sink}
본 발명은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싱크대가 보조적으로 구비되어 전자석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싱크대에 착탈되도록 하는 한편, 도마를 싱크대에 내장시켜 자동으로 도마가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도마가 원위치됨과 동시에 음식물이 자동으로 도마로부터 낙하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시스템은 고정식 싱크대가 구비되고, 이러한 고정식 싱크대에 다수의 저장공간과 조리공간이 구비된다.
따라서, 주방 외에서 조리 작업을 하려는 경우에는 이물질의 배출과 도마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방에 설치되어 도마는 요리사가 칼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잘게 썰거나 절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마를 싱크대 주위에 항상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싱크대에 사용시마다 수동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등록번호 10-1696317호와 같이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도 도마를 단순히 내장시킨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도마를 인출하거나 보관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은 물론, 요리된 음식물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집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국물있는 음식물이나 김치와 같이 물기가 많은 음식물을 절개하거나 요리하는 경우에는 음식물의 물기(김치국물 등)가 싱크대 주변으로 흘러내려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631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방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싱크대 외에 별도의 이동 가능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되어 주방 외에서도 조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마를 싱크대에 내장시켜 자동으로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도마 위에서 잘게 썰어진 음식물이 자동으로 트레이에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사가 부대 작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보다 즐겁게 요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싱크대에 김치와 같이 국물있는 음식물을 절개하거나 요리할 때 사용하는 보조도마를 별도로 구비하여 김치국물로 인한 이동싱크대 주변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고 조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은,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우측다이(120)에 착탈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싱크대(20)와;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일측에 구비되며, 김치와 같은 액체 함유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사용하는 보조도마(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테두리에는,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이동싱크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지턱(5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좌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지지대(410)와, 상기 유동도마(20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거트레이(4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각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사각프레임(412)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구비되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판(414)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돌기(416)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며,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기지지대(41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트레이(430)는,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는 사각테두리(432)와; 상기 사각테두리(432)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4)와; 상기 경사지지부(434)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그물(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도마(500)에는,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504)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이동싱크대(20)에는, 상기 안내홈(504)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수집되도록 하는 배출홈(540)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504)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배출홈(540)은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상기 보조도마(500)가 수용되는 도마바스켓(51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상단에는 가이드홈(512)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마(500)의 손잡이(50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폭(M) 크기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길이(L)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측면과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결합공(124)과 결합리브(28)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측면과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금속재질의 금속편(126)과 전기에 의해 자성을 띄는 전자석(24)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싱크대(20)가 상기 우측다이(12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이동싱크대가 별도로 구비되며, 이러한 이동싱크대는 고정싱크대에 전자석에 의해 자동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방 외에서도 조리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이동싱크대를 고정싱크대에 정위치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싱크대에 내장된 도마가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어 싱크대에 펼쳐진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완료된 도마는 스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도마 위의 음식물은 자동으로 트레이에 낙하하여 수집된다. 따라서, 요리가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는 도마 위의 음식물을 낙하시에는 제거부재가 자동으로 작동함은 물론, 음식물이 도마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고 안쪽으로 모이도록 경사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의 수집이 보다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음식물을 수집하는 제거트레이는 트레이지지대(사각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수집된 음식물을 옮기기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저장그물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서는 보조도마가 구비되며, 보조도마 및 싱크대 상면에는 음식물에서 나오는 국물 등의 물기를 안내하는 안내홈이나 방지턱이 구비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국물 등으로 인한 주변 오염이 방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서는 고정싱크대에도 기본적으로 도마가 내장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마의 분실이 방지되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보조도마가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의 좌측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싱크대의 우측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집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와 수집수단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싱크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싱크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싱크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싱크대의 좌측 내부 및 우측 내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집수단과 제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가 우측으로 인출된 상태와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동도마와 수집수단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싱크대와 이동싱크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싱크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은, 크게는 고정싱크대(10)와 이동싱크대(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싱크대(10)는 주방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싱크대이며, 상기 이동싱크대(20)는 상기 고정싱크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퀴가 부착되어 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보조 싱크대이다.
상기 고정싱크대(10)에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유동도마(200)가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공간(130)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측에서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제거하는 제거부재(300)와, 상기 제거부재(30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350)와, 상기 세척공간(1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분사노즐(132)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을 살균하는 살균등(134)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싱크볼(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다이(110)와 우측다이(120)보다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싱크볼(100)과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는 싱크지지대(140)에 의해 건물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싱크지지대(14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고, 각종 요리도구나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 또는 음식재료 등의 저장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싱크볼(100)에서는 음식물의 용기 등이 수용되어 수돗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싱크볼(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싱크볼(100) 내부의 물과 이물질을 하측의 배수로(도시되지 않음)로 안내하는 싱크홀(10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좌측다이(110)와 우측다이(120)는 요리사(가정주부 등)가 음식물을 올려놓고 요리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좌측다이(110)는 우측다이(120)보다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측에는 상기 세척공간(130)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동도마(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세척공간(130)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었다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게 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일반적인 도마와 재질 및 그 기본 역할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공간(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 등이 내장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상기 세척공간(130)의 저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로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싱크홀(102)의 하부와 연결되어 세척이 이루어진 세척수 및 오물이 하측으로 모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세척배수로(136)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공간(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가 수용되며, 이러한 유동도마(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거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제거부재(300)는, 좌우로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거부재(300)의 좌측에는 상기 실린더(350)가 구비되며, 이러한 실린더(3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제거부재(30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거부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50)의 로드(352) 우측단에 연결되며, 이러한 실린더(350)는 가스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등 어떠한 형태든 무관하며, 이러한 실린더(350)의 기본 역할과 구조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거부재(300)는 전체적으로는 'ㄷ'자 형상(상면에서 볼 경우)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인 음식물이 전후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우측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거부재(300)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되는 패킹(310)과, 상기 유동도마(200)의 음식물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푸시면(320)과, 상기 푸시면(320)의 전후에 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면(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310)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이 말끔히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면(320)은, 상기 제거부재(300)의 우측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음식물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푸시면(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300)의 좌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가이드면(330)은, 상기 푸시면(320)의 전후에 쌍으로 형성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푸시면(32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각각의 경사가이드면(330) 사이의 거리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거부재(300)가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밀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유동도마(200)에 놓인 음식물이 상기 경사가이드면(330)에 의해 점차 중앙으로 모여 상기 푸시면(320)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척공간(130)의 외부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눌러 동작을 제어하는 도마버튼(150a)과 제거버튼(150b) 및 세척버튼(150c) 등의 조작버튼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세척공간(130)의 내부 천장에는 상기 분사노즐(132)과 살균등(134)이 더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132)은, 상기 세척버튼(150c)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등(134)은 상기 분사노즐(132)에 의해 유동도마(200)의 세척이 완료되면, 소정 시간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공간(130)에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좌우 이동을 지지하는 도마레일홈(200')과, 모터(Motor)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도마레일홈(200')은 상기 세척공간(13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쌍으로 형성되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마레일홈(200')에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단 선단과 후단이 걸어져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는 상기 도마레일홈(200')에 수용되는 도마레일단(200")이 전후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공간(130)의 우측단에 설치되며, 이러한 피니언기어(21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시계?항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도마(200)의 저면에는 랙기어(220)가 일체로 더 구비된다.
상기 랙기어(220)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선단이나 후단에 설치되거나, 전면 중앙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랙기어(220)는 상기 피니언기어(210)과 좌우로는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서로 나사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의 구조에 의해 좌우로 유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 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림턱(202)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은 수직면을 이루고, 우측단은 라운드진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판(414)의 상단 좌측면도 상기 걸림턱(202)의 우측면과 대응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턱(202)과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판(414)의 상단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도마(200)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걸림턱(202)이 차폐판(414)의 상단을 슬라이딩하여 통과하고,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걸림턱(202)가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집수단(400)이 수용되는 트레이공간(4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는,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수집수단(400)은 상기 트레이공간(450)에 내장된다.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좌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지지대(410)와,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에 분리 가능하게 놓여지며 상기 유동도마(20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거트레이(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사각프레임(412)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구비되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판(414)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돌기(416)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는 돌기지지대(41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판(4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차폐판(414)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414)은 상기 사각프레임(412)이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로 수용될때 상기 싱크볼(100)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차폐판(414)은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레일돌기(416)는,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기지지대(418)는,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레일돌기(416)는 상기 돌기지지대(418)의 우측단으로부터 전후로 돌출되로록 형성되며,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트레이(430)는,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는 사각테두리(432)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4)와, 상기 경사지지부(434)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그물(4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테두리(432)는,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경사지지부(4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테두리(432)와 상기 저장그물(436)을 연결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빗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거트레이(43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홀(438)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다수의 경사지지부(434) 중 적어도 3개 이상에 상기 손잡이홀(438)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장그물(436)은 물은 통과하고 음식물은 걸러지도록 구성된 그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나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 하단에는,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수용되는 차폐단턱(452)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좌측 하단은 하측으로 더 함몰되어 '』' 형상의 차폐단턱(4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폐단턱(452)에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폐단턱(452)에 상기 차폐판(414)의 하단이 걸려 수용되면,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우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공간(450)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돌기(416)가 수용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트레이레일(45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좌측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산부(122)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볼록산부(122)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돌기(416)가 수용되는 돌기홈(122')이 상측으로 함몰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집수단(40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의 레일돌기(416)가 상기 돌기홈(122')에 수용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좌우로 관통된 결합공(124)이 형성되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싱크대(20)의 결합리브(28)가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우측다이(120)의 우측면은 일부가 절개되어 사각형상의 결합공(124)을 형성하며, 이러한 결합공(124)의 테두리에는 결합단(124')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단(124')은 상기 결합공(124)의 테두리로부터 좌측(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싱크대(20)의 결합리브(28)가 상기 결합공(124)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배출관(550)이 좌우로 형성되며, 이러한 배출관(550)의 우측단은 상기 결합공(124)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리브(28)에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이동싱크대(20)가 상기 고정싱크대(10)의 우측다이(120)에 결합될 때, 상기 배출관(550)의 우측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싱크대(20)의 결합리브(28)에 끼워져 결합리브(28)의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배수가 배출관(550)을 통해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다이(120)의 우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금속편(126)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금속편(126)은 자석에 결합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편(126)은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싱크대(20)의 전자석(2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전자석(24)이 자성을 가질 때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이동싱크대(20)는 상기 우측다이(120)의 우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하단에는 각 모서리마다 회전바퀴(21)가 구비되어 이동싱크대(20)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내부에는 배터리(22)와 전자석(24) 및 스위치(26)가 구비되며, 이러한 배터리(22)와 전자석(24) 및 스위치(26)는 서로 전선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26)는,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전면 상단부에는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스위치(26)을 온(on)/오프(off)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석(24)은 통상적인 전자석(電磁石)의 형태와 동일하게 철심에 코일이 감져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2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좌측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자석(24)의 위치는, 상기 이동싱크대(20)가 상기 우측다이(120)에 접촉할 때 상기 우측다이(120)의 금속편(126) 위치와 일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다이(120)의 측면과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금속재질의 금속편(126)과 전기에 의해 자성을 띄는 전자석(24)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이동싱크대(20)가 상기 우측다이(12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에는 보조도마(50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우측면에는 상방이 개구된 도마바스켓(510)이 형성되며, 이러한 도마바스켓(510)에 보조도마(500)가 수용된다.
상기 보조도마(500)는, 김치와 같은 액체 함유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마바스켓(5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도마공간(514)을 가지는 사각통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우측면에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도마바스켓(510)은 내부에 수용되는 보조도마(500)가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방이 개구되며, 상단에는 가이드홈(5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우측면 상단이 '∪'자 형태로 절개된 것으로 이러한 절개된 가이드홈(512)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도마(500)의 손잡이(502)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폭(M) 크기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길이(L)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조도마(500)는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에 놓여져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도마(500)의 상하(도 2에서) 길이(L)는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좌우 폭(M)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도마(500)가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에 놓여져 사용될 때, 상기 보조도마(500)에서 흘러내리는 김치국물과 같은 액체가 상기 이동싱크대(2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내부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52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마(500)가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내부 하면에 접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52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보조도마(500)를 사용한 다음,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보조도마(500)를 놓아도 상기 보조도마(500)는 상기 탄성부재(520)에 의해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내부 저면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싱크대(20)와 보조도마(500)에는 김치와 같은 음식물에서 나오는 액체가 싱크대 외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갖추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테두리에는,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이동싱크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지턱(53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 선단과 후단 및 우측단에는 방지턱(530)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방지턱(530)은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좌우 길이 및 전후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에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 놓이더라도, 김치로부터 흘러나오는 국물(액체)이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전후좌우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 좌측단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배출홈(54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홈(540)은,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에 고인 액체(김치국물 등)가 모이도록 하는 곳으로, 이러한 배출홈(540)은 상기 싱크볼(10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 내부에는 배출관(550)이 좌우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540)과 싱크볼(1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550)은 소정 크기의 관(pipe)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우측단은 상기 배출홈(540)에 연결되고 좌측단은 상기 싱크볼(1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출관(550)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540)으로 모이는 액체가 상기 싱크볼(100)로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안내한다.
상기 배출홈(540)은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출홈(540)은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바닥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540)으로 모인 액체는 중앙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상기 배출홈(54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출홀(542)이 더 형성되며, 이러한 배출홀(542)의 상단에는 그물망(미도시)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그물망(미도시)은 원형의 메쉬(mesh)망으로 이루어져, 액체와 함께 흘러내리는 건더기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배출홀(542)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관(pipe)으로 이러한 배출홀(542)의 하단은 상기 배출관(550)의 우측단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도마(500)에는,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504)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504)은 상기 보조도마(50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좌우(도 2에서는 상하)로 형성되며, 하측(도 2에서)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홈(504)의 우측(도 2에서는 하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안내홈(504)을 따라 음식물의 액체가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안내홈(504)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상기 배출홈(540)으로 수집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보조도마(500)를 상기 도마바스켓(510)으로부터 꺼내어 상기 이동싱크대(20)에 놓게 되면, 상기 안내홈(504)은 우측 또는 좌측이 개구된 상태가 되며, 김치와 같은 음식물의 액체는 상기 안내홈(504)을 따라 좌측이나 우측으로 흘로내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에 낙하된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으로 모인 액체는 다시 상기 배출홈(540)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배출홈(540)으로 유입된 액체는 중앙부로 모여 상기 배출홀(542)과 배출관(550)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싱크볼(100)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도마(500)의 상단(도 2에서)에는 손잡이(502)가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502)는 상기 도마바스켓(510)에 수용된 보조도마(500)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결합리브(28)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8)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리브(28)에는 상기 배출홀(542)의 하단이 연결된다.
상기 결합리브(28)는 상기 우측다이(120)에 형성되는 결합공(12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리브(28)의 외주면 크기는 상기 결합공(124)의 내주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리브(28)의 상하 길이(A)는 상기 결합공(124)의 상하 크기(B)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리브(28)의 좌우 폭은 상기 결합공(124)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리브(28)의 내부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배출관(550)의 우측단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리브(28)의 내면은 상기 배출관(550)의 우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좌측 하방을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이동싱크대(20)의 이동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싱크대(10)와 이동싱크대(20)는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상기 유동도마(200)가 상기 좌측다이(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세척공간(130)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마버튼(150a)을 누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여 상기 피니언기어(210)를 시계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랙기어(220)와 결합된 유동도마(200)가 우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공간(130)에 수용되어 있던 유동도마(2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점차 상기 싱크볼(100) 상측을 통과한다.
상기 유동도마(200)가 계속 우측으로 이동하면, 드디어 유동도마(200)의 우측단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상면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는 도 7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의 걸림턱(202)이 상기 차폐판(414)의 상단에 걸어진다. 물론, 이때 상기 걸림턱(202)과 차폐판(414)의 상단 형상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턱(202)이 상기 차폐판(414)의 우측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걸림턱(202)이 차폐판(414)의 우측에 위치되면, 근접센서(도시되지 않음)의 신호 또는 이미 설정된 피니언기어(210)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 이동은 정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유동도마(200)는 상기 싱크볼(100)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요리사는 유동도마(200) 위에서 칼을 사용하여 음식물(F)을 썰거나 절단하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 다음, 요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거버튼(150b)을 누른다.
상기 제거버튼(150b)이 눌러지면, 이번에는 상기 피니언기어(210)는 반시계방향(도 7에서)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턱(202)에 차폐판(414)의 상단이 걸려 있으므로 상기 유동도마(200)의 좌측이동에 따라 상기 수집수단(400)이 상기 트레이공간(450)으로부터 좌측으로 끌려 나온다.
이처럼 상기 유동도마(2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트레이지지대(410) 및 제거트레이(430)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싱크볼(100)의 상측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실린더(350)도 함께 작동하여 상기 제거부재(300)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도마(200)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거부재(300)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거부재에 의해 유동도마(200) 위의 음식물(F)이 우측으로 낙하한다.(도 8 참조)
이때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에는 상기 제거트레이(430)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도 8과 같이 유동도마(200) 위의 절개된 음식물(F)은 제거트레이(430) 내부로 낙하하여 수집된다.
그러다가, 상기 유동도마(200)가 점차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도 좌측으로 이동하면, 도 9과 같이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에 형성된 레일돌기(416)가 상기 볼록산부(122)의 돌기홈(122')에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이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트레이지지대(410)는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좌측단이 아래로 기울게 된다.(도 9 참조)
상기 트레이지지대(410)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과 같이 되면,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과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의 좌측단은 자연스럽게 서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도마(200)는 계속하여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세척공간(130) 내부로 복귀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이동 때와 같이 근접센서나 상기 피니언기어(210)의 역방향 회전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동도마(200)는 최초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 1 및 도 3와 같이 정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이때 상기 제거부재(300)은 상기 유동도마(200)의 우측단에 도달하면, 최초 설정이나 근접센서 등에 의해 우측이동을 그만두고, 좌측이동을 시작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음식물(F)이 상기 제거트레이(430)에 모이고 나면, 사용자는 상기 제거트레이(430)를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로부터 위로 들어올려 분리한 다음, 다른 용기에 옮길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손잡이홀(438)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분리 가능하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다시 상기 제거트레이(430)를 상기 트레이지지대(410)에 결합한 다음 상기 차폐판(414)을 들어올려 우측을 밀어넣게 되면, 상기 수집수단(400)은 원위치되어 도 4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조리 작업을 타 위치에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스위치(26)을 오프(off) 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전자석(24)이 자력을 잃게 되므로, 상기 전자석(24)가 금속편(126) 사이에는 자성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동싱크대(20)를 필요한 위치로 끌고 가 위치시킨 다음, 상기 보조도마(500)를 꺼내 요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와 같은 액체를 함유한 음식물을 잘게 썰거나 조리할 때에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손잡이(502)를 잡은 상태에서 위로 들어올려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상면에 놓고 작업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보조도마(500)의 상면에 놓이 음식물에서 나오는 액체는 상기 안내홈(504)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흘로내려 상기 보조도마(500)의 상면에 낙하된다.
상기 보조도마(500)의 상면으로 모인 액체는 상기 방지턱(530)에 의해 전후로는 흘러내리지 못하고, 좌측의 상기 배출홈(540)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배출홈(540)으로 유입된 액체는 중앙부로 모여 상기 배출홀(542)과 배출관(550)을 따라 상기 싱크볼(10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이동싱크대(20)를 이용한 조리 작업이 완료되고 난 후, 다시 상기 이동싱크대(20)를 고정싱크대(10)에 결합하려 하는 때에는 상기 스위치(26)를 온(on)시키고 상기 이동싱크대(20)를 고정싱크대(10)의 우측다이(120)에 근접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전자석(24)이 자성을 띄게 되어, 상기 고정싱크대(10)의 금속편(126)을 끌어당기게 되므로 상기 이동싱크대(20)는 자동으로 상기 우측다이(120)의 우측면에 접하게 되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싱크볼 110. 좌측다이
120. 우측다이 122. 볼록단부
122'. 돌기홈 130. 세척공간
200. 유동도마 210. 피니언기어
220. 랙기어 300. 제거부재
310. 패킹 320. 푸시면
330. 경사가이드면 350. 실린더
400. 수집수단 410. 트레이지지대
412. 사각프레임 414. 차폐판
416. 레일돌기 418. 돌기지지대
430. 제거트레이 432. 사각테두리
434. 경사지지부 436. 저장그물
450. 트레이공간 452. 차폐단턱
500. 보조도마 502. 손잡이
504. 안내홈 510. 도마바스켓
512. 가이드홈 520. 탄성부재
530. 방지턱 540. 배출홈
542. 배출홀 544. 그물망
550. 배출관

Claims (11)

  1.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싱크볼(100)과;
    상기 싱크볼(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좌측다이(110) 및 우측다이(120)와;
    상기 싱크볼(100)의 상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유동하며, 음식물의 재료 절단시 지지하는 유동도마(200)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도마(200)의 상면에서 낙하하는 음식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400)과;
    상기 우측다이(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우측다이(120)에 착탈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싱크대(20)와;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일측에 구비되며, 김치와 같은 액체 함유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사용하는 보조도마(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테두리에는,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이동싱크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지턱(5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집수단(400)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좌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지지대(410)와, 상기 유동도마(200)로부터 낙하하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제거트레이(4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각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지지대(410)는,
    상기 제거트레이(4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사각프레임(412)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좌측단에 구비되며, 사각프레임(412)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판(414)과;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에 형성되며, 트레이지지대(410)가 상기 우측다이(12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레일돌기(416)와;
    상기 사각프레임(412)의 우측단과 상기 레일돌기(416)를 연결하며,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기지지대(41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트레이(430)는,
    상기 사각프레임(4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각프레임(412)의 상면에 놓여지는 사각테두리(432)와;
    상기 사각테두리(432)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4)와;
    상기 경사지지부(434)의 하단에 결합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그물(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마(500)에는,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504)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이동싱크대(20)에는, 상기 안내홈(504)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가 수집되도록 하는 배출홈(540)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504)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배출홈(540)은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상기 보조도마(500)가 수용되는 도마바스켓(51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상단에는 가이드홈(512)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도마(500)의 손잡이(50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싱크대(20)의 폭(M) 크기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길이(L)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바스켓(51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도마(500)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다이(120)의 측면과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결합공(124)과 결합리브(28)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다이(120)의 측면과 상기 이동싱크대(20)의 측면에는, 금속재질의 금속편(126)과 전기에 의해 자성을 띄는 전자석(24)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싱크대(20)가 상기 우측다이(12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KR1020190098638A 2019-08-13 2019-08-13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KR102306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38A KR102306006B1 (ko) 2019-08-13 2019-08-13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38A KR102306006B1 (ko) 2019-08-13 2019-08-13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01A true KR20210019701A (ko) 2021-02-23
KR102306006B1 KR102306006B1 (ko) 2021-09-30

Family

ID=7468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38A KR102306006B1 (ko) 2019-08-13 2019-08-13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866A (ja) * 1993-01-13 1994-08-02 Natl House Ind Co Ltd 厨房装置
KR200167588Y1 (ko) * 1997-09-25 2000-02-01 김종대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KR200408436Y1 (ko) * 2005-11-07 2006-02-09 최미리 수납식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JP2009082368A (ja) * 2007-09-28 2009-04-23 Cleanup Corp キッチン
KR101696317B1 (ko) 2015-04-20 2017-01-20 주식회사 나린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
CN206119684U (zh) * 2016-01-19 2017-04-26 江苏师范大学 一种l形的通用厨房
KR101750101B1 (ko) * 2017-01-13 2017-06-22 성동연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866A (ja) * 1993-01-13 1994-08-02 Natl House Ind Co Ltd 厨房装置
KR200167588Y1 (ko) * 1997-09-25 2000-02-01 김종대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KR200408436Y1 (ko) * 2005-11-07 2006-02-09 최미리 수납식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JP2009082368A (ja) * 2007-09-28 2009-04-23 Cleanup Corp キッチン
KR101696317B1 (ko) 2015-04-20 2017-01-20 주식회사 나린 도마가 내장된 싱크대
CN206119684U (zh) * 2016-01-19 2017-04-26 江苏师范大学 一种l形的通用厨房
KR101750101B1 (ko) * 2017-01-13 2017-06-22 성동연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06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1294A (en) Modular flatware basket assembly
US9414717B2 (en) Sink container assembly
KR102042558B1 (ko) 자동으로 유동되는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CA2454024C (en) Dishwasher basket
KR101322408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US20080308661A1 (en) Linear food processor
KR102306006B1 (ko)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KR102042561B1 (ko) 다수의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CA2633242A1 (en) Linear food processor
US6715406B2 (en) Coffee maker
CN208988794U (zh) 一种新型洗碗机下碗篮
CN214549322U (zh) 刀叉托盘以及洗碗机
CN209789799U (zh) 搁架及洗碗机
JP4545718B2 (ja) プレート部材
KR101183222B1 (ko) 후라이팬 수납 장치
JP3169870B2 (ja) 流し台のシンク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EP1205141A2 (en) Electric suction and collection household appliance
CN220631967U (zh) 一种马桶刷套装清洁工具
CN217659754U (zh) 承载篮和家用电器
CN211593792U (zh) 一种茶渣垃圾桶
KR20130006278U (ko)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KR200258680Y1 (ko) 수저통
CN111248834B (zh) 一种筷笼及洗碗机
CN210643964U (zh) 一种新型洗碗机筷子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