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680Y1 - 수저통 - Google Patents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680Y1
KR200258680Y1 KR2020010026470U KR20010026470U KR200258680Y1 KR 200258680 Y1 KR200258680 Y1 KR 200258680Y1 KR 2020010026470 U KR2020010026470 U KR 2020010026470U KR 20010026470 U KR20010026470 U KR 20010026470U KR 200258680 Y1 KR200258680 Y1 KR 200258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main body
storing
spo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래
Original Assignee
이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래 filed Critical 이영래
Priority to KR2020010026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680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업소나 가정에서 수저를 수납, 보관할 시에 사용하는 수저통 본체를 상하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수저가 수납되는 수납부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위생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수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수저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본체(2)와 이의 상부에 복개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수직형 수저통(4)에 있어서, 상기 본체(2)를 몸통부와 바닥부가 분해조립될 수 있도록 상하부 본체(2a,2b)로 구성하고, 이를 끼움회전방식에 의하여 체결 또는 분해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5)을 구성함으로서 수저통(4)의 수납부(1) 내부에 각종 이물 등이 엉겨붙었을 경우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척을 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저통(4)에 보관하는 수저(10)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도 크게 일조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저통{Stand for chopsticks and spoon}
본 고안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업소나 가정에서 수저를 수납, 보관할 시에 사용하는 수저통 본체를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수저가 수납되는 수납부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위생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수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음식물을 먹을 때 사용하는 수저(숟가락 및 젓가락, 포크 등)는 수저통에 넣어서 외부의 이물 등이 세척된 수저 등에 부착되지 않도록 수납,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수저통은 수저를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일명 수직형 수저통과, 수저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는 수평형 수저통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상기한 수저통 중 수직형 수저통의 경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저를 세워서 보관하기 위하여 개략 상부가 개방된 수납부(1)를 갖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부에 외부와의 밀폐를 위하여 복개되는 뚜껑(3)으로 구성되는바,
이는 수저를 수납 및 인출할 시에는 크게 문제가 없으나, 수저통을 구성하는 본체(2)의 수납부(1) 내부공간에는 수저를 세척한 후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저를 수납부(1) 상으로 투입하게 되므로 수납부(1) 내부 공간은 항상 수분이 미세하게나마 존재하게 되고 뚜껑(3) 개방시에 각종 이물 등이 남아 있는 수분과 함께 수납부(1)의 내부에 쉽게 엉겨붙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수납부(1)내부에 적층된 이물은 바로 세척된 수저와 접하게 되어 위생성을 제공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수납부(1)에 이물 등이 엉겨붙어 있을 경우 이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수납부(1)의 공간상으로 세제를 뿌린 세척브러시와 같은 세척수단을 사용하여 세척을 행하여야 하나 수저통(4)의 수납부(1)는 작업자의 손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공간을 갖고 있지 않아 세척을 행하더라도 쉽게 행할 수 없었으며, 특히 본체(2)의 수납부(1) 바닥면 중 모서리부의 세척은 상당히 어려움이 많았으며, 결국 수납부(1)의 내부는 위생청결성을 유지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수직형 수저통의 사용편의성에도 불구하고 그 보급률은 점차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저를 세워서 수납, 보관하는 일명 수직형 수저통의 위생청결성 유지에 어려움이 많은 점을 감안하여 본체를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서 수납부의 세척을 극히 용이하고 청결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적용된 수저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저통을 분해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하부 본체 체결수단 및 작용을 설명키 위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수납부 2:본체
2a:상부 본체 2b:하부 본체
3:뚜껑 4:수저통
5:체결수단 6:끼움돌편
7:걸림홈 8:걸림편
9:내연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저통(4)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분해 사시도, 도 3, 4는 단면도 및 횡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수저통(4)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수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를 갖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부에 투시 가능한 투명, 반투명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뚜껑(3)으로 구성되는 수직형 수저통(4)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본체(2)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체(2)의 수납부(1) 내부 세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본체(2)를 상하 분할형으로 상하부 본체(2a,2b)로 구성한다.
상부 본체(2a)와 하부 본체(2b)의 분할 비율은 상부 본체(2a)가 몸통부의 전부를 차지할 정도로 하고, 하부 본체(2b)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2) 분할 비율은 본체(2)를 분할형으로 구성하는 목적을 감안할 때 본체(2)의 바닥부 세척이 사실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상부 본체(2a)와 하부 본체(2b)는 결국 몸통부와 바닥부로 분할구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상하부 본체(2a,2b)의 분할 비율은 일부 가변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분할구성된 상하부 본체(2a,2b)를 사용시에는 체결상태로 하고, 세척을 위하여 분해시에는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하부 본체(2a,2b)를 끼움후 소정폭 회전시키면 상호 걸림체결될 수 있는 체결수단(5)을 구비한다.
즉, 상기 체결수단(5)은 상부 본체(2a)상에 동일 반경에 해당되는 원호상으로 이루어지는 끼움돌편(6)을 사방으로 형성하여 상기 끼움돌편(6)중 좌우 2개 정도만 상부 외연에 일방이 개방된 걸림홈(7)을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여 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8)을 하부 본체(2b)의 내연부(9) 상에 좌우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본체(2b)의 내연부(9)는 상기한 끼움돌편(6)과 동일 반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끼움돌편(6)이 하부 본체(2b)에 끼움결합되었을 시에 유동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돌편(6)을 하부 본체(2b)의 내연부(9)에 끼움후 소정폭 상하부 본체(2a,2b)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면 걸림편(8)이 일방이 개방된 걸림홈(7)을 통하여 걸림되면서 상하로 임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도면중에서 부호 10은 각종 수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수저통(4)은 각종 수저(10)를 수납, 보관하기 위한 사용방법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직형 수저통과 동일하다.
즉, 본체(2)의 상부에 끼움안치식으로 복개된 뚜껑(3)을 개방하여 본체(2)의 수납부(1)에 수저(10)를 수납하여 상부 뚜껑(3)을 다시 본체(2) 상부에 복개하면 수납, 보관상태가 되며, 수저(10)를 사용을 위해 인출할 시는 역시 뚜껑(3)을 개방하여 상부로 인출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수저를 수직형으로 세워서 수납, 보관하는 일반적인 수저통(4)에 있어서, 수납부(1)의 내부 및 바닥면 등에 각종 이물 등이 묻어 있는 경우 세척을 극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본체(2)를 제공하게 되는 바, 상기 본체(2)는 상하부 본체(2a,2b)로 분할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세척을 행하고자할 경우는 상하부 본체(2a,2b)를 사용자가 각각 잡고서 걸림홈(7)의 일측 개방방향(도 4의 횡단면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하부 본체(2b)의 내연부(9)에 돌출형성된 걸림편(8)이 상부 본체(2a)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편(6)에 형성된 원호형의 걸림홈(7)으로부터 이탈되어 이웃하는 끼움돌편(6) 상간에 형성되는 공간상에 위치하게되어 상부 본체(2a)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하부 본체(2b)와 상호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하부 본체(2a,2b)가 분리가 되면 본체(2)를 구성하는 몸통부와 바닥부가 각각 분리되는 결과가 되어 작업자가 본체(2)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하부 본체(2b)의 중앙부는 물론 원형의 모서리부에 엉겨붙어 있는 이물 등도 극히 용이하게 세척을 행할 수 있고, 몸통부를 구성하는 상부 본체(2a)도 상하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신속용이하고 청결하게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상하부 본체(2a,2b)를 전기와는 역순으로 조립하면 되는바, 즉 상부 본체(2a)의 끼움돌편(6)을 하부 본체(2b)의 내연부(9)에 접하도록 끼움시킨 후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하부 본체(2b)를 회전시키면 하부 본체(2b)의 걸림편(8)이 끼움돌편(6)상에 형성된 걸림홈(7)으로 진입하게 되어 상하부 본체(2a,2b)는 간단히 임의 분리 불가능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저통(4)은 수저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본체(2)와 이의 상부에 복개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지는통상의 수직형 수저통(4)에 있어서, 상기 본체(2)를 몸통부와 바닥부로 분해조립될 수 있도록 상하부 본체(2a,2b)로 구성하고, 이를 끼움회전방식에 의하여 체결 또는 분해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5)을 구성함으로서 수저통(4)의 수납부(1) 내부에 각종 이물 등이 엉겨붙었을 경우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척을 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저통(4)에 보관하는 수저(10)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도 크게 일조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각종 수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를 갖는 본체(2)와, 상기 본체(2) 상부에 복개되는 뚜껑(3)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수저통(4)에 있어서;
    상기 본체(2)를 몸통부와 바닥부로 분해조립될 수 있도록 상하부 본체(2a,2b)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 본체(2a,2b)의 조립연결부에는 체결수단(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5)은 상부 본체(2a)의 하부에 일방이 개방된 걸림홈(7)을 외연부에 갖는 원호형의 끼움돌편(6)을 2개 이상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7)에 대응하여 끼움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8)을 하부 본체(2b)의 내연부(9)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KR2020010026470U 2001-08-30 2001-08-30 수저통 KR200258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70U KR200258680Y1 (ko) 2001-08-30 2001-08-30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70U KR200258680Y1 (ko) 2001-08-30 2001-08-30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680Y1 true KR200258680Y1 (ko) 2001-12-28

Family

ID=7310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70U KR200258680Y1 (ko) 2001-08-30 2001-08-30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6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5864A (en) Dishwasher
FR2607382A1 (fr) Casier inserable de lave-vaisselle pour le nettoyage et le sechage de pieces de couverts de table et de petite vaisselle
KR200258680Y1 (ko) 수저통
KR20190002139U (ko) 주방용품 수납대가 구비된 싱크볼
US4972955A (e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box for cutlery
US5579914A (en) Camper kitchen caddy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CN212995057U (zh) 一种餐盒
CN211270611U (zh) 置物架和具有其的清洗机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JP2507535Y2 (ja) カウンタ―式収納庫
KR200191085Y1 (ko) 보조 취수함을 갖는 싱크대 취수부
KR870003739Y1 (ko) 살균장치를 가진 수저통
KR200245648Y1 (ko) 소쿠리
JPH08270029A (ja) 流し台
KR100234112B1 (ko) 식기세척기
JP3226985U (ja) 除菌スプレー容器のケース
CN210185433U (zh) 一种餐具箱中盘架的安装结构
KR200354736Y1 (ko) 직립형 위생 수저통
KR101761659B1 (ko) 수저통
KR200167398Y1 (ko) 위생세척물통
KR200348426Y1 (ko) 수저통
KR200251143Y1 (ko) 세척이 용이한 반찬용기
JPH09299259A (ja) 水切り食器収納器
KR20210019701A (ko)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