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655A -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655A
KR20210019655A KR1020190098524A KR20190098524A KR20210019655A KR 20210019655 A KR20210019655 A KR 20210019655A KR 1020190098524 A KR1020190098524 A KR 1020190098524A KR 20190098524 A KR20190098524 A KR 20190098524A KR 20210019655 A KR20210019655 A KR 2021001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solution
mixing
mixed powder
sugar
n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길
Original Assignee
엄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길 filed Critical 엄영길
Priority to KR102019009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655A/ko
Publication of KR2021001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과의 대표적 아이템인 유과와 강정의 기본 기술을 활용하여 식사대용으로서 안전한 먹거리인 곡물과자를 구현할 수 있는 곡물 과자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곡물과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당용액 및 혼합분말 준비단계와,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곡물 및 견과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의 준비단계는 제1당용액과, 제2당용액과, 혼합분말을 미리 혼합하여 준비하고, 상기 제1당용액은 가수분해분리 단백유청분말(WPIH)을 식물성기름에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당용액은 물엿, 프락토올리고당, 폴리글리시톨시럽, 글리세린의 액상원료를 계량 후 60~80℃를 유지시키며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혼합분말은 설탕에 용해성이 떨어지는 분말원료인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과 이눌린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공통적으로 계피분말, 비타민미네랄믹스, 잔탄검을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원료의 혼합단계는 상기 제2당용액에 상기 혼합분말을 먼저 용해한 후에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을 용해시킨 후에, 여기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를 넣고 골고루 혼합하며, 혼합시의 온도는 60~8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How to make cereal sweets using Han-gwa}
본 발명은 곡물을 이용한 과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과의 대표적 아이템인 유과와 강정의 기본 기술을 활용하여 식사대용으로서 안전한 먹거리인 곡물 과자를 구현할 수 있는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자는 정식 식사 이외에 간식으로 단맛을 위주로 하는 기호식품을 말한다. 과자는 밀가루나 쌀가루에 설탕, 우유 등을 섞어 굽거나 기름에 튀겨서 만든 것으로, 쌀가루 등을 찌거나 삶아 익힌 떡과는 제조 방법이 다르다.
주로 밀가루를 이용해 만드는 과자는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빵이 등장할 무렵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저장식품, 휴대식품의 기능이 있는 과자는 밀을 주식으로 하는 중동과 유럽 지역에서 크게 발전해왔다. 과자에는 생과자인 케이크, 파이, 도넛, 빵과자를 비롯하여 건과자인 비스킷, 초콜릿, 사탕, 껌, 효모로 부풀린 크래커, 특수 형태의 냉동과자인 아이스크림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씨리얼바, 다이어트바 등도 있다.
한편, 한과는 우리 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승계되어 내려오는 과자를 말하며, 외래 과자와 구별하기 위해 "한과"라 부른다. 한과의 주원료는 곡물과 꿀, 잣, 깨, 호두, 밤, 대추 같은 종실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나라의 과자 보다 영양면에서 뛰어나고, 특히 국내산 농산물, 지역특화 농산물을 100% 사용함으로써 지리적 표시품으로 신뢰성이 있는 영양 간식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제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농가의 보조 수익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품목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러한 한과의 역사성, 특/장점에도 불구하고, 서양식 과자에 밀려 간식 및 병과로서의 기능이 위축됨에 따라 일상적인 판매 경쟁 대상제품으로 자리매김하기는 어렵게 되었으며, 단지 명절의 경우 선물세트를 중심으로 매출이 주로발생함에 따라 한과 생산업체의 경영이 불안정하고, 명절과 제사용 위주의 계절상품형태로 굳어져 있다. 특히, 대형유통점의 경우에는 2005년 이후 약 5~7% 가량으로 매출이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복잡하고 급변하는 세태에 따라 생활패턴도 간편화되고 있으며, 특히 조식을 거르는 식습관이 보편화 된 실정에서, 영양공급이 불균형으로 인해 건강과 의욕을 해칠 수 있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양 과자들은 화학첨가물을 사용하여 저장성을 높이거나 향미를 증진시키는 제품을 출하함으로서 웰빙(well-living)적 소비성향에 역행되는 것이며, 안심하고 저칼로리의 영양을 충분하게 보충하면서 싫증 내지 않고 장복할 수 있는 간식 또는 먹거리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상황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한과의 대표적 아이템인 유과와 강정의 기본 기술을 활용하여 명절선물과 제사용품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웰빙건강식품으로 활용도를 증폭시켜 농가의 보조 소득원으로 자리매김하여 활용화 됨과 동시에, 식사대용으로 활용화하기 위한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곡물과자의 제조방법은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당용액 및 혼합분말 준비단계와, 이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곡물 및 견과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이 혼합단계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의 준비단계는 제1당용액과, 제2당용액과, 혼합분말을 미리 혼합하여 준비하고, 상기 제1당용액은 가수분해분리단백유청분말(WPIH)을 식물성기름(카놀라유)에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당용액은 물엿, 프락토올리고당, 폴리글리시톨시럽, 글리세린의 액상원료를 계량 후 60~80℃를 유지시키며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혼합분말은 설탕에 용해성이 떨어지는 분말원료인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과 이눌린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공통적으로 계피분말, 비타민미네랄믹스, 잔탄검을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원료의 혼합단계는 상기 제2당용액에 상기 혼합분말을 먼저 용해한 후에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을 용해시킨 후에, 여기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를 넣고 골고루 혼합하며, 혼합 시의 온도는 60~8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과자의 배합비는 30~38중량%의 곡물과, 20~30중량%의 견과와, 32~42중량%의 당용액과, 15~4중량%의 첨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원료의 혼합단계에서 제2당용액에 혼합분말을 용해 후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을 용해시킨 후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를 혼합하고 건조블루베리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고, 상기 건조블루베리는 생 블루베리를 설탕에 24시간 동안 절인 후에 당액을 분리하고, 5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블루베리를 건포도와 같은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 준비단계와, 이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곡물 및 견과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성형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곡물과자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곡물 과자는, 당용액과 혼합분말의 적절한 배합 및 혼합을 통해 결착력을 높일 수 있고, 전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명절선물과 제사용품에서 방향전환에 의하여 웰빙식품으로 활용도와 판매고 증진으로 농가의 평균 보조 소득원으로 활용되며, 저칼로리의 웰빙 건강식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식사대용으로 활용하는데 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설탕함량에 따른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블루베리함량에 따른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곡물과자의 제조방법은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당용액 및 혼합분말의 준비단계(S1)와, 이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곡물 및 견과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혼합하는 혼합단계(S2)와, 이 혼합물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3)와, 이 성형물을 냉각한 후에 소정크기로 절단하여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포장단계(S4)를 포함한다.
당용액 및 혼합분말의 준비단계(S1)는 제1당용액과, 제2당용액과, 혼합분말을 미리 혼합하여 준비하는 공정이다.
(제1당용액의 준비)
가수분해분리단백유청분말(WPIH)을 식물성기름에 혼합하여 제1당용액을 미리 준비해둔다. 이때, 식물성기름의 온도는 32℃ 이상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제2당용액의 준비)
물엿, 프락토올리고당, 폴리글리시톨시럽, 글리세린 등의 액상원료를 계량 후 60~80℃를 유지시키며 혼합함으로써 제2당용액을 미리 준비해둔다.
(혼합분말의 준비)
설탕에 용해성이 떨어지는 분말원료인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실시예1)과 이눌린(실시예2)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공통적으로 계피분말, 비타민미네랄믹스, 잔탄검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미리 준비해둔다.
주원료의 혼합단계(S2)는 제2당용액에 미리 준비해둔 혼합분말을 먼저 용해한 후에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
을 용해시킨 후에, 여기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을 넣고 골고루 혼합한다. 여기서, 혼합 시의 온도는 60~80℃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과자의 배합비는 30~38중량%의 곡물과, 20~30중량%의 견과와, 32~42중량%의 당용액과, 15~4중량%의 첨가재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 과자의 배합비는 3240중량%의 곡물과, 2532중량%의 견과와, 3949중량%의 당용액과, 279중량%의 첨가재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곡물 과자의 배합비는 3683중량%의 곡물과, 2327중량%의 견과와, 3634중량%의 당용액과, 315중량%의 첨가재로 이루어진다.
곡물 중 쌀에는 당뇨를 예방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각종 성분이 있고, 유색미의 색소가 자체적으로 내재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인공색소를 넣지 않아도 된다. 곡물은‘볶음 쌀, 볶음 현미, 현미플레이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고춧가루를 푼 조청에 유과를 버무리고 튀밥을 묻힘으로써 매콤한 고추 한과를 제조할 수도 있다.
고추에는 캅사이신(capsaicin)이라고 하는 물질에 의하여 매운맛이 나게함으로서 과자의 단맛과 느끼함을 줄일 수 있으며, 소화관의 운동과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와 식욕을 촉진할 수 있고, 비타민과 같은 영양을 보강할 수 있어 대용식으로 아주 적합하다. 상기 캅사이신(capsaicin)이라고 하는 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에 매운맛이 나고, 피가 잘 통하여 신경통이나 근육통의 치료에도 효과적 이어서 웰빙 건강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백미플레이크, 통밀플레이크, 보리플레이크, 두대단백 너겟 등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대두단백 너겟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을 국산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원료의 혼합단계에서 제2당용액에 혼합분말을 용해 후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을 용해시킨 후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를 혼합하고 건조블루베리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고, 수입산 건크렌베리, 그리고 해바라기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베리는 신맛과 단맛으로 대별되며 다른 과수류에 비하여 시비나 농약의 살포 등 재배에 큰 어려움이 없어 재배 농가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블루베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타임지에서 선정된 10대 건강식품 중 하나로서 유럽에서는 식품보다 전통적인 민간 치료제로서 사용되었다. 독일에서는 당뇨치료를 위한 차로서 사용되었고, 당뇨, 소화기계 병, 통풍, 피부병, 출혈, 혈액순환미약, 심장질환, 혈액을 맑게 하는 것, 관절염 및 대사촉진 등을 치료하기 위해 열매보다 주로 잎을 건조시켜 차로 끓여 마셨다. 그 당시는 잎을 주로 전통 치료약으로 사용하였고, 열매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었다. 미국에서도 오래전부터 잎이 전통적으로 수렵, 강장, 항염 및 항균제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블루베리가 의약으로 인정되어 사용된 것은 중세 12세기부터였다. 이는 중세 독일의 수도원장인 세인트 힐드가아드(Saint Hildgard of Bingen 1098-1179)라는 여성이 이 열매를 여성생리와 관련된 약초로서 추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6세기 독일의 약초전문가들이 블루베리 열매를 독일 흑맥주와 같이 방광 결석이나 간 질환 치료에 사용하였으며, 감기나 폐질환에 시럽으로 사용하였다.
18세기에 들어서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블루베리 열매가 약초전문가나 의사들 사이에 넓게 퍼지게 되었다. 소화기병에서와 마찬가지로 장티푸스, 구강, 피부, 요로 감염 및 류마티스 등에 열매 제조법이 사용되었다.
블루베리에 대한 많은 관심은 세계 2차 대전 후에 우연한 기회에 영국 공군의 비행기 조종사가 블루베리 잼을 늘 먹은 후에 야간 시력이 좋아져 정확하게 포탄공격을 할 수 있었다는 경험을 보고하면서 부터 비롯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 이들 관찰을 참고하여 처음으로 실험실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으며, 블루베리 추출물이 눈과 심장계통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 연구가 나오면서부터 더욱 활발해져 오늘날까지 해를 더해가면서 많은 유용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블루베리 열매가 식품으로 사용된 내용을 보면 1800년대 중반에 영국의 존슨은 “영국의 유용한 식물”이라는 잡지에서 “블루베리 열매는 달콤하면서 약간 신맛이 있는 식품으로 다른 열매보다 가공하여 먹기에 가장 좋은 식품이다”라고 기술한 바 있다. 영국의 시장에서는 오래 전부터 블루베리를 팔고 있었고, 스코틀랜드에서는 우유와 함께 블루베리 열매를 먹었고, 파이, 시럽, 포도주, 젤리 및 과일파이 등에도 사용되었다.
블루베리 유효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농축,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 생리 기능적 특성이 다양하여 시력의 회복 및 증진, 노화방지, 면역성증가, 항산화작용, 호르몬작용증진, 항균, 항바이러스, 항암작용, 혈소판응고의 억제, 결합조직의 강화, 망막의 변성과 백내장의 방지, 요로감염의 치료, 발암억제 및 치매예방 등을 다스리는데 쓰이고 있다.
여기서, 건조블루베리는 국내산 생 블루베리를 당 절임하여 건조시킨 것으로서, 설탕에 24시간 동안 절인 후에 당액을 분리하고, 5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블루베리를 건포도와 같은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가공한다.
당용액은 물엿, 프락토올리고당, 폴리글리시톨시럽, 글리세린, 가수분해분리단백유청분말, 식물성기름, 잔탄검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루베리를 세척한 후 20∼30℃에서 예열 및 착즙하는 과정을 거쳐 당용액에 블루베리 착즙액을 혼합할 수 있다.
첨가재는 블루베리향, 계피분말, 비타민, 미네랄믹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눌린(치커리뿌리추출물) 및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가르시니아캄보지아(Garcinia cambogia)는 주로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자생하는 Guttiferae과의 열대성과일나무로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의 과피를 물로 추출후 가공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의 주성분은 (-)-히드록시시트릭에시드((-)-Hydroxycitric
acid;HCA; 1,2-dihydroxy propane 1,2,3-tricarboxylic acid)로 일반적으로 원료 제조과정에서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처리하여 칼슘염,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의 단일 또는 이들의 복합염 형태로 존재하며, 일부는 염형태가 아닌 (-)-히드록시시트릭에시드 락톤((-)-Hydroxycitric acid lactone;HCA Lactone; (2S,3S)-tetra-3-hydroxy-5-oxo-2,3-furandicarboxylic acid) 형태로 존재한다.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의 유효성분인 (-)-히드록시시트릭 에시드는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시트레이트리아제(Adenosine thiphosphate-citrate lyase ; ATP citrate lyase)의 경쟁적인 저해제로 체내 지방합성 경로를 차단하고 글리코겐(Glycogen)합성으로 전환시켜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체중감량(다이어트)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히드록시시트릭에시드의 효소 저해 효과는 락톤형태(Lactone form) 보다 금속염과 결합되어 있는 프리형태(Free form)가 우수하다. 그래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 제품은 (-)-히드록시시트릭에시드 락톤의 함량이 적은 제품이 효과적이며, 원료의 품질 지표가 된다.
이러한 근거는 PDR(for nutritional supplements, first edition)의 Hydroxy citric acid 부분과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46 (2008), 577-582(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for separation and analysis of hydroxycitric acid and hydroxycitric acid lactone)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음료 형태의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 제품은 물 없이도 섭취가 가능하고, 맛과 향을 즐길 수 있으며, 고형제품 섭취시 나타나는 위에 대한 부담감이 없기 때문에 최근에 각광을 받는 형태이다.
성형단계(S3)는 주원료의 혼합단계(S2)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평평한 사각형의 성형틀에 담고 롤러를 통과시켜 성형한다. 성형틀에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형상을 납작하게 만들 수도 있다.
포장단계(S4)는 성형단계(S3)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30분간 냉각한 후에, 가로 9 cm, 세로 3 cm 크기로 절단하며, 이렇게 절단된 개별 과자를 낱개 단위로 포장한다.

Claims (4)

  1.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미리 준비하는 당용액 및 혼합분말 준비단계와,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곡물 및 견과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형성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의해 소정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의 준비단계는 제1당용액과, 제2당용액과, 혼합분말을 미리 혼합하여 준비하고, 상기 제1당용액은 가수분해분리단백유청분말(WPIH)을 식물성기름에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당용액은 물엿, 프락토올리고당, 폴리글리시톨시럽, 글리세린의 액상원료를 계량 후 60~80℃를 유지시키며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혼합분말은 설탕에 용해성이 떨어지는 분말원료인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과 이눌린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공통적으로 계피분말, 비타민미네랄믹스, 잔탄검을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원료의 혼합단계는 상기 제2당용액에 상기 혼합분말을 먼저 용해한 후에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을 용해시킨 후에, 여기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를 넣고 골고루 혼합하며, 혼합 시의 온도는 60~8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물 과자의 배합비는 30~38중량%의 곡물과, 20~30중량%의 견과와, 32~42중량%의 당용액과, 15~4중량%의 첨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의 혼합단계에서 제2당용액에 혼합분말을 용해 후 블루베리 향료와 제1당용액을 용해시킨 후에 계량된 곡물과 견과를 혼합하고 건조블루베리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고, 상기 건조블루베리는 생 블루베리를 설탕에 24시간 동안 절인 후에 당액을 분리하고, 5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블루베리를 건포도 형태로 유지하도록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과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하여, 당용액 및 혼합분말 준비단계와, 상기 당용액 및 혼합분말을 곡물 및 견과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성형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곡물과자.
KR1020190098524A 2019-08-13 2019-08-13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KR20210019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24A KR20210019655A (ko) 2019-08-13 2019-08-13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24A KR20210019655A (ko) 2019-08-13 2019-08-13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55A true KR20210019655A (ko) 2021-02-23

Family

ID=7468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24A KR20210019655A (ko) 2019-08-13 2019-08-13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6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functional superfood for today’s world: A Review
Vishwakarma et al. Investigation of natural food fortificants for improving various properties of fortified foods: A review
CN102742793B (zh) 一种奶油南瓜紫薯包的制作方法
KR101415143B1 (ko) 곡물 과자 및 그 제조방법
CN104206496A (zh) 一种羊肚菌小麦胚芽韧性饼干及其制备方法
CN101164426A (zh) 一种玉米冰淇淋粉及其制备方法
CN113951440A (zh) 一种即食脆藜麦的加工工艺
Chauhan et al. Beetroot-A review paper
KR20120088533A (ko) 남성과 여성 에너지를 균형 잡고 생명 에너지를 회복하기 위한 식품 복합체
Mohamed et al.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papaya functional beverages based on sweet cheese whey
KR20170105715A (ko) 소보로 분말이 토핑된 영양찰떡의 제조방법
KR101568059B1 (ko) 천연 색동 비타민 약과 및 이의 제조방법
Boone Powerful Plant-Based Superfoods: The Best Way to Eat for Maximum Health, Energy, and Weight Loss
KR20210019655A (ko) 한과를 이용한 곡물 과자 제조방법
CN107094846A (zh) 一种刺梨泡芙及其制备方法
KR100537891B1 (ko) 순무 파우더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과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425902B1 (ko) 반려동물용 라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0026B1 (ko) 새싹보리인삼 굼벵이 쿠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싹보리인삼 굼벵이 쿠키
RU2713687C1 (ru) Композиция безглютенового пирожного
Sari et al. Analysis Of Nutritional Content And Organoleptic Test Of Sangkurma Snack Cup (Bananas, Dates, And Honey) As Functional Food High In Iron And Vitamin C
Ahmed PREPARATION OF PINEAPPLE CAKE AND EVALUATION OF ITS PROXIMATE AND BIOACTIVE COMPOUNDS
AQUILA JABEEN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EVALUATION OF CAKE FORTIFIED WITH Moringa oleifera LEAF POWDER
Ahlawat A review on jackfruit and its by-products
Chhimal PREPARATIONAND QUALITYEVALUTATION OFDATE POWDER SUBSITUTED MUFFIN
Sajith et al. Development of carambola pomace based cookies and its consumer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