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121A - Elevator Cage - Google Patents

Elevator C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121A
KR20210017121A KR1020190095860A KR20190095860A KR20210017121A KR 20210017121 A KR20210017121 A KR 20210017121A KR 1020190095860 A KR1020190095860 A KR 1020190095860A KR 20190095860 A KR20190095860 A KR 20190095860A KR 20210017121 A KR20210017121 A KR 2021001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nel module
cage
bent portion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빈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121A/en
Priority to PCT/KR2019/018372 priority patent/WO2021025240A1/en
Publication of KR2021001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1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age comprising: wall panel modules for forming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age; ceiling panel modules for forming the ceiling of the cage; and platform panel modules for forming the floor surface of the cage, wherein the wall panel module includes: a front panel module for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ge; a rear panel module for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ge; and side panel modules which form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cage and of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side panel modules are respectively formed by coupling and fixing one or more unit panels to each other by means of press-fi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nit panels forming the wall panel modules of the elevator cage ar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means of press-fitting such that the unit panels can be simply coup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ge without requiring bolt-coupling in the outer space of the cage, and thus operating time in a hoistway is minimized such that operator accidents can be minimized, and a cage providing processing time can be remarkably reduc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지{Elevator Cage}Elevator cage {Elevator Cag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이 서로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ag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elevator cage in which unit panels constituting a front panel module, a rear panel module, and a side panel module of the elevator cage are coupled and fixed in a fitting manner.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built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purposes, elevator devices are installed for smooth movement of passengers seeking the corresponding build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counterweight)와,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등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General elevator devices include an elevator cage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a hoistway, a counterweight connected by a wire rope to the elevator cage, and a wire rope on the upper side of the hoistway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frictional contact with the elevator cage. And it is configured in a form having a winding light for driving the lifting and lowering the counterweight.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지 형태로 형성되는데,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 측면을 이루는 측면 패널 모듈 및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로 구성되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중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다.The elevator cage is a structure in which passengers can board, and is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ge. A wall consisting of a front panel module forming the front of the cage, a side panel module forming the side, and a rear panel module forming the re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nel module, a ceiling panel module forming the ceiling of the cage, and a platform panel modul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In addition, among them, the front panel module,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side panel module are each formed by combining one or more unit panels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건물에 승강로가 형성된 이후, 승강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해 케이지를 조립된 형태로 승강로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단위 패널과, 천정 패널 모듈 및 플랫폼 패널 모듈을 각각 분리된 형태로 승강로에 투입한 후 승강로 내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립 작업이 수행된다.Since the elevator cage constructed in this way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after the hoistway is formed in the building, the cage is not installed on the hoistway in an assembled form due to the constraints on the installation space, but each unit panel, ceiling panel module, and platform panel After the modules are put into the hoistway in separate forms, the assembly work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in the hoistway.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각각의 단위 패널과 각각의 패널 모듈을 볼트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볼트 결합 작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외부 공간, 즉, 승강로 상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승강로에는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조립 작업이 승강로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 과정에서 추락 사고와 같은 안전 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며, 작업 공정 시간 또한 증가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In this elevator cage, each unit panel and each panel module are joined with bolts, and the bol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uter space of the elevator cage, that is, on the hoistway. Therefore, in the hoistway, since the assembly work of the elevator cage is performed on the hoistway, there is alway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accident in the working process, and variou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work process time occur.

국내등록특허 제10-1081658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081658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을 이루는 복수개의 단위 패널을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외부 공간에서 단위 패널을 볼트 결합할 필요가 없이 케이지 내부 공간에서 단위 패널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에서의 작업 시간이 최소화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케이지 설치 공정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nd fix a plurality of unit panels constituting the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in a mutually fitting manner, thereby providing a unit panel in the outer space of the cage. Unit panels can be simply joined in the space inside the cage without the need to bolt bolts, thus minimizing the working time on the hoistway, minimizing operator safety accidents,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cage installation process time.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c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 패널 간의 끼워맞춤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가 리벳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조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형태 변형에 의한 규격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age capable of minimizing standard errors due to shape deformation caused by tightening of bolts or nuts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for fitting coupling between unit panels.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패널 모듈과 전면 패널 모듈 또는 측면 패널 모듈과 후면 패널 모듈이 상호 결합할 때, 규격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정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age capable of compensating and combining a side panel module and a front panel module or a side panel module and a rear panel module, even if an error of the standard occurs when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re combined.

본 발명은, 케이지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월 패널 모듈은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양측단이 전면 패널 모듈 및 후면 패널 모듈과 결합되는 측면 패널 모듈을 포함하고,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이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cage comprising a wall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cage, a ceiling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cage, and a platform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the wall panel module is a cage It includes a front panel module that forms the front of the cage, a rear panel module that forms the rear of the cage, and a side panel module that form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and has both sides combined with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Each of the panel module and the side panel module is formed by coupling and fixing one or more unit panels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이때, 단위 패널은 케이지 내부 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측면을 이루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양측단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it panel may include a body portion forming the front,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cage inner space, and a bent portion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또한, 단위 패널의 2개의 절곡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단위 패널은 결합 돌출부와 삽입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two bent portions of the unit panel is form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engaged, and adjacent unit panels are coupled. I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또한, 단위 패널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는 별도의 리벳을 절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절곡부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unit panel may be formed in a manner in which a separate rivet passes through the bent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또한, 리벳은 원통 형상의 리벳 몸체와, 리벳 몸체의 상단에 리벳 몸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리벳 헤드와, 리벳 헤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리벳 헤드의 직경보다 작고 리벳 몸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리벳은 절곡부의 일면에 리벳 헤드와 단차부가 돌출 배치되고 타면에 리벳의 코킹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절곡부에 관통 결합되며, 절곡부의 일면에 돌출되는 리벳 헤드와 단차부가 결합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vet has a cylindrical rivet body, a rivet head extend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body at the upper end of the rivet body, and a rivet head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ivet head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head. It includes a step portion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and the rivet is coupled through the bent portion so that the rivet head and the step portion protrude on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caulk portion of the rivet protrudes on the other side, and the rive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The head and the step may form the engaging protrusion.

또한, 리벳의 단차부는 리벳 헤드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리벳 몸체에 삽입되는 별도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of the rivet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ivet head, or may be formed in a separate ring shape inserted into the rivet body.

또한, 결합 돌출부는 절곡부에 형성되는 홀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 부재, 절곡부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 단차 면이 형성되도록 관통 부재의 일측 끝단에 관통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크고 일정한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고, 절곡부의 일면으로부터 기준 거리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기둥 부재, 그리고 기둥 부재의 돌출 끝단에 기둥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헤드 부재를 포함하고, 관통 부재의 타측 끝단에는 절곡부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단차 면이 형성되도록 관통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가압 부재가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는 기둥 부재와 가압 부재에 의해 절곡부의 양면에 밀착 접촉되는 방식으로 절곡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member and extende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so that a penetrating member inser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bent portion and a first step surface pressing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re formed. , A column member disposed so as to protrude a reference distance from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nd a head member extending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member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bent portion is pressed a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A pressing member extending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stepped surface is form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bent portion in a mann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by the column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I can.

또한, 삽입 결합부는 결합 돌출부의 헤드 부재가 관통 삽입할 수 있도록 헤드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 삽입홀과, 확장 삽입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홀을 포함하고,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가 삽입 결합부의 확장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슬라이드 결합홀에 끼워맞춤 결합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has an expansion insertion hole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member so that the head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through it,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and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olumn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It includes a slide coupling hol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and slides while the pillar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and is fitted and fixed to the slide coupling hole.

또한, 측면 패널 모듈과 전면 패널 모듈, 측면 패널 모듈과 전면 패널 모듈은 각각 별도의 결합 프레임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separate coupling frames.

또한, 결합 프레임은, 측면 패널 모듈과 결합하는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전면 패널 모듈 또는 후면 패널 모듈과 결합하는 제2 결합 플레이트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1 결합 플레이트는 측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와 상호 대향하여 결합하고,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전면 패널 모듈 또는 후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와 상호 대향하여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frame is formed such that a first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side panel module and a second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rear panel module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plate forms the side panel module. The unit panel may be coupled to the bent portion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bonding plat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ace the bent portion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rear panel module.

또한, 측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과 제 1 결합 플레이트는 상호 대향되는 면에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 맞물림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전면 패널 모듈 또는 후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과 제 2 결합 플레이트는 상호 대향되는 면에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 맞물림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는 별도의 리벳을 제1 결합 플레이트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 또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t panel and the first coupling plate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on opposite surfaces, and are mutually coupled, and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rear panel module The unit panel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forming a unit panel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on a surfac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comprises a separate rivet as a first coupling plate.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in a manner that penetrates and couples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bonding plate or unit panel.

또한,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는 단위 패널과의 결합 위치가 제1 결합 플레이트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late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unit panel is adjust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또한,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제2 결합 플레이트에는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절곡부는 슬롯홀을 통해 제1 결합 플레이트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late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are formed with slot holes that ar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ent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late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in a position adjustable through the slot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을 이루는 복수개의 단위 패널을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외부 공간에서 단위 패널을 볼트 결합할 필요가 없이 케이지 내부 공간에서 단위 패널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에서의 작업 시간이 최소화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케이지 설치 공정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unit panels constituting the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in a mutually fitting manner, the unit panel in the cage inner space is simplified without the need to bolt the unit panel in the outer space of the cage. It can be combined in a way, and accordingly, the working time in the hoistway is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a worker's safety acciden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age installation process time.

또한, 단위 패널 간의 끼워맞춤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가 리벳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볼트 또는 너트의 조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형태 변형에 의한 규격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a specification error due to shape deformation caused by tightening of bolts or nuts, as the coupling protrusions formed for fitting coupling between unit panels are formed by rivet coupling.

또한, 측면 패널 모듈과 전면 패널 모듈 또는 측면 패널 모듈과 후면 패널 모듈이 상호 결합할 때, 규격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정하여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even if an error of the standard occurs, it is possible to correct and combin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에 대한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에 대한 끼워맞춤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의 결합 부분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의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에 대한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을 통해 규격 오차가 보정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for a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ni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tting and coupling structure for a uni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upling portion of a uni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unit pa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for a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binatio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standard error is corrected through a combined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10)에 대한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110,210,3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assembly structure for the wall panel module 10 of the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케이지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10)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20)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panel module 10 constituting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cage, a ceiling panel module 20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c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atform panel module 3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이때, 월 패널 모듈(10)은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100)과, 케이지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200)과, 케이지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양측단이 상기 전면 패널 모듈(100) 및 후면 패널 모듈(200)과 결합되는 측면 패널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wall panel module 10 comprises a front panel module 100 forming the front of the cage, a rear panel module 200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ge, and both sides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and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module 100 ) And a side panel module 300 coupled to the rear panel module 200.

그리고 전면 패널 모듈(100), 후면 패널 모듈(200) 및 측면 패널 모듈(300)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110,210,310)이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rear panel module 2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are formed by coupling and fixing one or mor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 모듈(100), 후면 패널 모듈(200) 및 측면 패널 모듈(300)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110,210,310,)은 서로 간에 별도의 결합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rear panel module 2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using separate coupling bolts.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fixed by simply fitting each other.

이때, 단위 패널(110,210,310,)만 서로 끼워맞춤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 간의 결합,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 간의 결합 에서도 끼워맞춤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월 패널 모듈(10)과 천정 패널 모듈(20), 월 패널 모듈(10)과 플랫폼 패널 모듈(30) 간에도 각각 서로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끼워맞춤 결합 방식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패널(110,210,310) 간의 끼워맞춤 결합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not only the unit panels 110, 210, 310, are fit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but also fit in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front panel module 100,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A coupling method may be used, and furthermore, the wall panel module 10 and the ceiling panel module 20, and the wall panel module 10 and the platform panel module 30 may b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fitting coupling method. . Since this mutual fit coupl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the fit coupling method between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 모듈(100), 후면 패널 모듈(200) 및 측면 패널 모듈(300)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110,210,310)이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110)과, 후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210), 그리고 측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310)은 서로 간에 배치되는 위치, 규격 등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서로 간의 결합 방식, 겹합을 위한 필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rear panel module 2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are each formed by coupling and fixing one or mor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In this case, the unit panel 110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module, the unit panel 210 constituting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unit panel 310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differ from each other in positions and specifications. It can be seen, but the method of bonding between each other and the essential composition for overlapping are the same.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패널(110,210,310)은 케이지 내부 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측면을 이루는 본체부(111,211,311)와, 본체부(111,211,311)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13,213,3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단위 패널(110,210,310)은 수평 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단위 패널(110,210,310) 간에 서로 결합하여 각 패널 모듈(100,200,300)을 이룰 때, 상호 결합하는 패널 모듈의 각 절곡부(113,213,313)가 결합 면을 형성함으로써 상호 결합하는 패널 모듈의 본체부(111,211,311)가 서로 연속된 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Each unit panel (110, 210, 310)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module,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side panel module is at a right angle from the main body 111, 211, 311 constituting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cage inner space, and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1, 211, 311. It may include bent portions 113, 213, and 313 bent formed. That is, each of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may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 in a'C' shape. This is, when the unit panels 110, 210, 31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each panel module 100, 200, 300, the body parts 111, 211, 311 of the panel modules tha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forming a bonding surface of each bent part 113, 213, 313 of the panel modules tha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t is to make the planes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그리고 측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310)과 전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110) 또는 측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310)과 후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210)이 직접 결합할 때에는 어느 하나의 단위 패널의 결합 면은 절곡부(113, 213, 313)에 형성되지만, 이와 결합하는 다른 하나의 단위 패널의 결합 면은 본체부(111,211,3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 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nit panel 310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unit panel 110 of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unit panel 310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unit panel 210 of the rear panel module are directly coupled, any one unit panel The bonding surface of is formed on the bent portions 113, 213, and 313, but the bonding surface of the other unit panel that is coupled thereto may b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body portions 111, 211, and 31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110,210,310)에 대한 끼워맞춤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110,210,310)의 결합 부분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패널(110,210,310)의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tting and coupling structure for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of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unit, and FIGS. 6A and 6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에서는 상호 결합하는 절곡부 중 어느 하나의 절곡부(113-2,213-2,313-2)에는 결합 돌출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절곡부(113-1,213-1,313-1)에는 결합 돌출부(410)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410)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4 to 6B, in the elevator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of the bent portions 113-2, 213-2, and 313-2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has a coupling protrusion 410 protruding, and the other Insertion coupling portions 43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s 410 may be formed in the bent portions 113-1, 213-1, and 313-1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410 are inserted and engaged.

만약, 측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310)과 전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110) 또는 측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310)과 후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210)이 직접 결합할 때에는 결합 돌출부(410) 또는 삽입 결합부(430)가 본체부(111,211,3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If the unit panel 310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unit panel 110 of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unit panel 310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unit panel 210 of the rear panel module are directly coupled, the coupling protrusion 410 ) Or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43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s of the body portions 111, 211, and 311.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모듈의 단위 패널(310) 간에 서로 결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결합 돌출부(410)와 삽입 결합부(430)를 설명하면, 우선, 결합 돌출부(410)는 별도의 리벳(r)을 절곡부(313-2)를 관통하는 형태로 절곡부(313-2)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벳(r)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410 and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430 by taking the case of coupling each other between the unit panels 310 of the side panel module as shown in FIGS. 4 to 5, first, the coupling protrusion 410 is A separate rivet (r) may be formed in a manner that penetrates the bent portion 313-2 and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313-2. 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ivet (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결합 돌출부(410)는 절곡부(313-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 배치되는 관통 부재(411)와, 절곡부(313-2)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 단차 면(413a)이 형성되도록 관통 부재(411)의 일측 끝단에 상기 관통 부재의 직경(l1)보다 더 크고 일정한 직경(l2)으로 확장 형성되고 절곡부(313-2)의 일면으로부터 기준 거리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기둥 부재(413), 그리고 기둥 부재(413)의 돌출 끝단에 상기 기둥 부재의 직경(l2)보다 더 큰 직경(l3)으로 확장 형성되는 헤드 부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통 부재(411)의 타측 끝단에는 절곡부(313-2)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단차 면(417a)이 형성되도록 관통 부재(411)의 타측 끝단에 관통 부재의 직경(l1)보다 더 큰 직경(l4)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가압 부재(417)가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410)는 기둥 부재(413)와 가압 부재(317)에 의해 절곡부(313-2)의 양면에 밀착 접촉되는 방식으로 절곡부(313-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410 penetrates to form a penetrating member 411 disposed through the bent portion 313-2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first step surface 413a that presses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13-2. At one end of the member 411, a column member 413 tha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l1) of the penetrating member and is formed to expand to a constant diameter (l2) and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13-2 by a reference distance, In addition, a head member 415 may be provided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illar member 413 to have a larger diameter l3 than the diameter l2 of the pillar member. At this time, a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411, a second stepped surface 417a that presses the oth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1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411 than the diameter l1 of the penetrat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417 is formed to be expanded to a larger diameter (l4),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1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313-2 by the column member 413 and the pressing member 317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ent portion 313-2 in a contact manner.

또한, 이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430)는 결합 돌출부의 헤드 부재(415)가 관통 삽입할 수 있도록 헤드 부재의 직경(l3)보다 더 큰 직경(l5)을 갖도록 절곡부(313-1)에 형성되는 확장 삽입홀(431)과, 확장 삽입홀(4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의 직경(l2)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l6)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홀(4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insertion coupling portion 430 is positioned on the bent portion 313-1 to have a larger diameter l5 than the diameter l3 of the head member so that the head member 415 of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through it.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431 is formed, and the slide coupling hole 43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431 and formed to have a width (l6)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l2) of the column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이러한 구조에 따라 결합 돌출부(410)의 기둥 부재(413)가 삽입 결합부의 확장 삽입홀(431)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 삽입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슬라이드 결합홀(433)에 끼워맞춤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출부(410)의 기둥 부재(413)와 슬라이드 결합홀(433)은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ile the column member 413 of the coupling protrusion 410 is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431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t sl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ed direction and fits into the slide coupling hole 433 Custom fit can be fix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umn member 413 of the coupling protrusion 410 and the slide coupling hole 433 are formed to be coupled and fixed in a force-fitting manner.

예를 들어 측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310) 간의 결합 과정을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의 헤드 부재(415)를 삽입 결합부(430)의 확장 삽입홀(431)에 관통 삽입 시킨다. 이때, 상호 결합하는 삽입 결합부가 배치되는 절곡부(313-1)와 결합 돌출부가 배치되는 절곡부(313-2)는 그 가장자리 끝단 높이가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단차지게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가 배치되는 절곡부(313-2)를 하향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413)가 삽입 결합부의 슬라이드 결합홀(433) 내주면에 밀착 접촉하여 끼워맞춤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 결합부가 배치되는 절곡부(313-1)와 결합 돌출부가 배치되는 절곡부(313-2)는 그 가장자리 끝단 높이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looking at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unit panels 310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the head member 415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431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430 as shown in FIG. 6A. Insert through. 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313-1 in which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bent portion 313-2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disposed may be stepped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s of the edge ends do not match.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bent portion 313-2 o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disposed is moved downward, the column member 413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 coupling hole 433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t is fitted and combined. In this state, the bent portion 313-1 in which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and the bent portion 313-2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portion is disposed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edge ends thereof coincide.

그리고 여기서 단위 패널(310-1,310-2) 간의 결합 시 발생되는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삽입 결합부가 배치되는 절곡부(313-1)의 두께는 기둥 부재(41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소폭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gap generated when the unit panels 310-1 and 310-2 are coupled, the thickness of the bent portion 313-1 in which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column member 413. Can be.

도 7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돌출부(410)가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the coupling protrusion 4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410)는 별도의 리벳(r)을 절곡부(313)를 관통하는 형태로 절곡부(313)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벳(r)은 측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313) 뿐 아니라 전면 및 후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113,213) 또는 각 단위 패널(110,210,310)의 절곡부 외의 다른 부분에도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측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313)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 410 may be formed in a manner in which a separate rivet r passes through the bent portion 313 and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313. At this time, the rivet r is not only the bent part 313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but also the bent parts 113 and 213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panel modules, or the bent parts of each unit panel 110, 210, 310. Although it may be formed by being combined with other parts, it will be described below as being coupled to the bent portion 313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7a, b를 참조하면 리벳(r)은 원통 형상의 리벳 몸체(rb)와, 상기 리벳 몸체(r b)의 상단에 상기 리벳 몸체(rb)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리벳 헤드(rh)와, 상기 리벳 헤드(rh) 하부에 배치되며 리벳 헤드(rh)의 직경보다 작고 리벳 몸체(rb)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차부(rs)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7a and b, the rivet (r) is a rivet body (rb)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rivet head extend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body (rb) at the upper end of the rivet body (rb) (rh) and a step portion (rs) disposed under the rivet head (rh) and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head (rh)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body (rb).

리벳(r)이 절곡부(313)에 결합하여 결합 돌출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313)의 일면에 리벳 헤드(rh)와 단차부(rs)가 돌출 배치되도록 리벳(r)이 절곡부(313)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리벳(r)이 절곡부(313)에 관통 배치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313)의 타면으로 돌출된 리벳 몸체(rb)의 끝단부에 충격을 가해 코킹부(rc)가 형성되도록 형태 변형을 이룸으로써 리벳의 코킹부(rc)가 절곡부(313)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과정을 통해 리벳은 절곡부(313)에 결합 고정되는데, 단차부(rs)와 코킹부(rc)에 의해 절곡부(313)의 양면에 밀착 접촉하는 방식으로 절곡부(313)에 결합 고정된다. 이 경우, 리벳(r)은 블라인드 리벳 형태로 마련되고 리벳 건을 이용하여 절곡부(313)의 타면으로 돌출된 리벳 몸체(rb)의 끝단부가 코킹부(rc)로 형태 변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Looking at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upling protrusion by coupling the rivet (r) to the bent portion 313, as shown in Figure 7a, the rivet head (rh) and the step portion (rs) on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13 A rivet r may be disposed through the bent portion 313 so as to protrude. In a state in which the rivet (r) is disposed through the bent portion 313, as shown in FIG. 7B, an impact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rivet body rb protruding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13 to cause a caulking portion (rc ) Is formed so that the caulking portion rc of the rivet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13. Through this working process, the rivet is coupled and fixed to the bent portion 313, and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313 in a manner in which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31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rs and the caulking portion rc. It is fixed. In this case, the rivet (r)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lind rivet, and the end of the rivet body (rb) protruding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ent part 313 using a rivet gun can be transformed into a caulking part (rc). .

여기서 리벳의 단차부(rs)는 리벳 헤드(rh)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리벳 몸체(rb)에 삽입되는 별도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tep rs of the rivet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ivet head rh, or may be formed in a separate ring shape inserted into the rivet body rb.

이와 같은 리벳 결합을 통해 결합 돌출부(41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리벳의 리벳 몸체(rb) 중 코킹부(rc)로 형태 변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결합 돌출부의 관통 부재(411)를 형성하고, 리벳의 단차부(rs)는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413)를 형성하며, 리벳의 리벳 헤드(rh)는 결합 돌출부의 헤드 부재(4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벳의 코킹부(rc)는 가압 부재(417)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410 may be formed through such rivet coupling. For exampl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ivet body rb that is not deformed into the caulking part rc is the through member 4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The stepped portion rs of the rivet may form the column member 413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rivet head rh of the rivet may form the head member 415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aulking portion (rc) of the rivet may form a pressing member (417).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10)에 대한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프레임(500)을 통해 규격 오차가 보정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for the wall panel module 10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coupling fram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in which a standard error is corrected through a combination fram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10)은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 또는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상술한 전면 패널 모듈(100), 후면 패널 모듈(200) 및 측면 패널 모듈(300) 외에도 4개의 결합 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8 to 10, the wall panel module 10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panel module 300 and a front panel module 100, or a side panel module 300 and a rear side. In order to couple the panel modules 200 to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rear panel module 2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described above, four coupling frames 500 may be further included.

결합 프레임(500)은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 또는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이 각각 상호 결합하도록, 측면 패널 모듈(300)과 결합하는 제1 결합 플레이트(510)와, 전면 패널 모듈(100) 또는 후면 패널 모듈(200)과 결합하는 제2 결합 플레이트(530)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mbination frame 500 is a second combination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so that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front panel module 100, or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coupled to the front panel module 100 or the rear panel module 200 may be formed to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이때, 제1 결합 플레이트(510)는 측면 패널 모듈(300)을 이루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313)와 상호 대향하여 결합하고, 제2 결합 플레이트(530)는 전면 패널 모듈(100) 또는 상기 후면 패널 모듈(200)을 이루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113,213)와 상호 대향하여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is coupl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ent portion 313 of the unit panel forming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is the front panel module 100 or the rear surface. The bent portions 113 and 213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panel module 200 may be combined to face each other.

결합 프레임(500)과 단위 패널(110,210,310) 간의 결합 방식을 살펴보면 단위 패널 간의 상호 결합 방식과 마찬가지로,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및 이와 결합하는 절곡부(313)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410)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410)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430)가 형성되고, 제2 결합 플레이트(530) 및 이와 결합하는 절곡부(113,213)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410)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는 상술 한 바와 같이 리벳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coupling frame 500 and the unit panels 110, 210, 310, as in the mutual coupling method between the unit panels, the coupling protrusion 410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and the bent portion 313 coupling thereto.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43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 410 so that the coupling projection 410 is inserted and engaged,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nd the bending coupling thereto One of the portions 113 and 213 may have an engaging protrusion 410 protruding, and an engaging protrusion 410 may be inserted in the other to be engaged with an insertion engaging portion 430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this time may be formed by rivet coupling as described above.

반면,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및 제2 결합 플레이트(530)에는 슬롯홀(h1)이 형성되고,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530)와 결합하는 절곡부(113,213,313)에는 결합홀(h2)이 형성되어,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530)와 절곡부(113,213,313)는 슬롯홀(h1) 및 결합홀(h2)이 연통된 상태에서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lot hole (h1)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nd bent portions 113, 213, and 313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 coupling hole (h2)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nd the bent portions 113, 213, 313 are bolts / in the state in which the slot hole (h1) and the coupling hole (h2) are in communication. It can be joined by a nut.

이때, 슬롯홀(h1)은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530)와 결합하는 단위 패널(110,210,310)의 결합 위치가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530)의 폭 방향을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제1 결합 플레이트(510)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530)의 폭 방향을 따라 기준 거리만큼의 길이(l7)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slot hole h1,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nd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re coupled to the unit panels 110, 210, and 310. )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l7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so as to be adjust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

즉,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슬롯홀(h1)과 절곡부에 형성되는 결합홀(h2)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볼트/너트 채결에 의해 단위 결합 프레임(500)과 단위 패널(110,210,310)이 상호 결합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홀(h1)은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510, 530)의 폭 방향을 따라 기준 거리(l7)만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결합 홀(h1) 상의 볼트 채결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lot hole h1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and the coupling hole h2 formed in the bent portion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unit coupling frame 500 and the unit panel ( 110, 210, and 3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ut as shown in FIG. 8, the slot hole h1 is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l7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510 and 530, The bolting position on the coupling hole h1 may be adjustable.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313)가 제1 결합 플레이트(510)와 결합할 때, 제1 결합홈(h1)을 따라 제2 결합 플레이트(530)로부터 먼 위치에서 결합할수록 전면 또는 후면 패널 모듈(100,200)의 좌우 방향 폭이 규격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보상할 수 있고, 제1 결합 홈(h1)을 따라 제2 결합 플레이트(530)와 가까운 위치에서 결합할수록 전면 또는 후면 패널 모듈(100,200)의 좌우 방향 폭이 규격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전면 또는 후면 패널 모듈(100,200)의 좌우 방향 폭이 규격과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측면 패널 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313)가 제1 결합 플레이트의 제2 결합홈(511)의 중심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bent portion 313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is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510, the second coupling plate along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at the width of the front or rear panel modules 100 and 2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shorter than the standard as it is coupl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530, and is closer to the second coupling plate 530 along the first coupling groove h1.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hat the width of the front or rear panel modules 100 and 2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longer than the standard as they are combined at the position. At this time, when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ront or rear panel modules 100 and 20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standard, the bent portion 313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is formed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511 of the first coupling plate. Can be combined in a central posi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월 패널 모듈
20: 천정 패널 모듈 30: 플랫폼 패널 모듈
100: 전면 패널 모듈 110: 단위 패널
111: 본체부 113: 절곡부
200: 후면 패널 모듈 210: 단위 패널
211: 본체부 213: 절곡부
300: 측면 패널 모듈 310: 단위 패널
311: 본체부 313: 절곡부
410: 결합 돌출부 411: 관통 부재
413: 기둥 부재 415: 헤드 부재
417: 가압 부재 430: 삽입 결합부
431: 확장 삽입홀 433: 슬라이드 결합홀
500: 결합 프레임 510: 제1 결합 플레이트
530: 제2 결합 플레이트
r: 리벳 rb: 리벳 몸체
rh: 리벳 헤드 rs: 단차부
rc: 코킹부 h1: 슬롯홀
h2: 결합홀
10: wall panel module
20: ceiling panel module 30: platform panel module
100: front panel module 110: unit panel
111: main body 113: bend
200: rear panel module 210: unit panel
211: main body 213: bent portion
300: side panel module 310: unit panel
311: main body 313: bent portion
410: coupling protrusion 411: through member
413: column member 415: head member
417: pressing member 430: insertion coupling portion
431: expansion insertion hole 433: slide coupling hole
500: coupling frame 510: first coupling plate
530: second coupling plate
r: rivet rb: rivet body
rh: rivet head rs: step
rc: caulking h1: slot hole
h2: coupling hole

Claims (13)

케이지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모듈은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양측단이 상기 전면 패널 모듈 및 후면 패널 모듈과 결합되는 측면 패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은 각각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이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In an elevator cage comprising a wall panel module forming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cage, a ceiling panel module forming the ceiling of the cage, and a platform panel modul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The wall panel module includes a front panel module forming the front side of the cage, a rear panel module forming the rear side of the cage, and a side panel module form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side panel module are elevator cages, wherein one or more unit panels are each formed by coupling and fixing in a fitting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은
상기 케이지 내부 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측면을 이루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it panel
A main body forming a front, rear, or side surface of the cage inner space; And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nt portion bent formed at each side of the body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의 2개의 절곡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단위 패널은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삽입 결합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2,
One of the two bent portions of the unit panel is formed with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trus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Th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panel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는 별도의 리벳을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절곡부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3,
An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unit panel is formed by coupling a separate rivet to the bent portion through the bent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은
원통 형상의 리벳 몸체와, 상기 리벳 몸체의 상단에 상기 리벳 몸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는 리벳 헤드와, 상기 리벳 헤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리벳 헤드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리벳 몸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벳은 상기 절곡부의 일면에 상기 리벳 헤드와 단차부가 돌출 배치되고 타면에 상기 리벳의 코킹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상기 절곡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절곡부의 일면에 돌출되는 상기 리벳 헤드와 단차부가 상기 결합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4,
The rivet is
A rivet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rivet head extending at an upper end of the rivet body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body, and disposed under the rivet head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ivet head. It includes a step portion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The rivet is coupled through the bent portion so that the rivet head and the step portion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caulk portion of the rivet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and the rivet head and the step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re combined.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rotrus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의 단차부는 상기 리벳 헤드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리벳 몸체에 삽입되는 별도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ortion of the rivet is integrally form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rivet head or formed in a separate ring shape inserted into the rivet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절곡부에 형성되는 홀에 관통 삽입되는 관통 부재;
상기 절곡부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 단차 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 부재의 일측 끝단에 상기 관통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크고 일정한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일면으로부터 기준 거리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돌출 끝단에 상기 기둥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부재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절곡부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단차 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가압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기둥 부재와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절곡부의 양면에 밀착 접촉되는 방식으로 상기 절곡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A penetrat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bent portion;
A pillar member extending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member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so that a first step surface pressing the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is formed, and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bent portion by a reference distance; And
Including a head member extending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member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illar member,
A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a pressing member extending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netrating member is formed so that a second step surface for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is form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pillar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fixedly coupled to the bent portion in a mann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결합부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헤드 부재가 관통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 삽입홀과, 상기 확장 삽입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 부재가 상기 삽입 결합부의 확장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결합홀에 끼워맞춤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An expansion insertion hol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member so that the head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through it, and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and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It includes a slide coupling hole formed to have a small width,
An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t memb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slides while being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and is fitted and fixed to the slide coupl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전면 패널 모듈,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전면 패널 모듈은 각각 별도의 결합 프레임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are each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separate coupling frame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결합하는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패널 모듈 또는 후면 패널 모듈과 결합하는 제2 결합 플레이트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와 상호 대향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전면 패널 모듈 또는 상기 후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의 절곡부와 상호 대향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frame is formed such that a first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side panel module and a second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rear panel module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plate is coupled to face a bent portion of a unit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faces a bent portion of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rear panel modul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o combi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과 상기 제 1 결합 플레이트는 상호 대향되는 면에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 맞물림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전면 패널 모듈 또는 상기 후면 패널 모듈을 이루는 단위 패널과 상기 제 2 결합 플레이트는 상호 대향되는 면에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 맞물림 결합되는 삽입 결합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는 별도의 리벳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 또는 상기 단위 패널의 절곡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10,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irst coupling plat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on a surface opposite to each other,
The front panel module or the unit panel constituting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on a surface opposite to each other,
Th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manner that connects a separate rivet through the first coupling plate, the second coupling plate, or a bent portion of the unit pane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단위 패널과의 결합 위치가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upling plate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An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unit panel is formed to be adjust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제2 결합 플레이트에는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 패널의 절곡부는 상기 슬롯홀을 통해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 또는 제2 결합 플레이트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coupling plate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are formed with slot holes that ar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of the unit panel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late or the second coupling plate in a position adjustable through the slot hole.
KR1020190095860A 2019-08-07 2019-08-07 Elevator Cage KR2021001712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60A KR20210017121A (en) 2019-08-07 2019-08-07 Elevator Cage
PCT/KR2019/018372 WO2021025240A1 (en) 2019-08-07 2019-12-24 Elevator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60A KR20210017121A (en) 2019-08-07 2019-08-07 Elevator C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21A true KR20210017121A (en) 2021-02-17

Family

ID=7450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60A KR20210017121A (en) 2019-08-07 2019-08-07 Elevator C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17121A (en)
WO (1) WO202102524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58B1 (en) 2006-07-11 2011-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tructure for joining panels of elevator ca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044B2 (en) * 1995-01-12 2003-03-04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ab
US5842545A (en) * 1996-03-29 1998-12-01 Columbia Elevator Products Co., Inc. Elevator cab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0211855A (en) * 1999-01-25 2000-08-02 Hitachi Ltd Elevator car
JP2008280118A (en) * 2007-05-09 2008-11-2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ar
JP6223571B2 (en) * 2014-07-09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b and its assembly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658B1 (en) 2006-07-11 2011-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tructure for joining panels of elevat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240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5776A (en) Cable tray
JPWO2009050807A1 (en) Elevator ca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210017121A (en) Elevator Cage
KR102086247B1 (en) Elevator Cage
CN110023228B (en) Car corner bracket for connecting two side wall elements of elevator car
JP2014012562A (en) Passenger conveyor
JP2007161487A (en) Elevator car and method for assembling car wall panel
US7905331B2 (en) Car wall arrangement for an elevator car
US11554935B2 (en) Elevator car
JP2008280118A (en) Elevator car
JP6944348B2 (en) Mounting structure of vibration control device
JP5177858B2 (en) Elevator car
WO2016006062A1 (en) Panel connector for elevator car
JP6821087B2 (en) Elevator car ceiling device
JP7149835B2 (en) car and elevator
KR101878877B1 (en) Structure of assembling wall panels of an elevator cage
JP5951813B1 (en) Fescher plate
CN113200432B (en) Door pocket fixing member, door pocket mounting structure and door pocket mounting method of elevator
JP5911552B1 (en) Fesher plat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7301878B2 (en) elevator
JP2021085300A (en) fence
WO2019239595A1 (en) Elevator cag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6898129B2 (en) Railings and buildings in the outer corridor
JP7049785B2 (en) Panel frame
KR200266699Y1 (en) The flame interception structure which is cross shape of a fabricated p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