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247B1 - Elevator Cage - Google Patents

Elevator C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247B1
KR102086247B1 KR1020180106486A KR20180106486A KR102086247B1 KR 102086247 B1 KR102086247 B1 KR 102086247B1 KR 1020180106486 A KR1020180106486 A KR 1020180106486A KR 20180106486 A KR20180106486 A KR 20180106486A KR 102086247 B1 KR102086247 B1 KR 10208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dule
coupling
cage
coupling protrus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빈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age, which may simply combine panel modules in a cage interior space without the need to bolt the panel modules in an outer space of the cage by combining and fixing the plurality of panel modules constituting an elevator cage in a mutually fitting manner, and accordingly, may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assembly work space on a hoist way, may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and may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ing process tim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지{Elevator Cage}Elevator Cag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이루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을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외부 공간에서 패널 모듈을 볼트 결합할 필요가 없이 케이지 내부 공간에서 패널 모듈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에 별도의 조립 작업 공간이 불필요하여 건물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age. More specifically, by coupl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panel modules constituting the elevator cage in a mutual fit manner, the panel modules can be simply combined in the cage inner space without having to bolt the panel modules in the cage outer space.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ssembly work space in the hoistway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of the worker, and relates to an elevator c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 process time.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kinds of high-rise buildings, which are built for residential use and business use, for smooth movement of the passeng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counterweight)와,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상기 등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A general elevator device includes an elevator cage arranged to be elevated in a hoistway, a counterweight connected by an elevator cage and a wire rope, and an elevator cage by frictional contact with a wire rope on an upper side of the hoistway. And a hoisting machine for elevating and driving the counterweight.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지 형태로 형성되는데, 케이지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or cage is a structure that allows passengers to ride inside, and is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cag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wall panel module forming the front, side, and rear of the cage, the ceiling panel module forming the ceiling of the cage, and the c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atform panel module forming a bottom surfa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건물에 승강로가 형성된 이후, 승강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해 케이지를 조립된 형태로 승강로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월 패널 모듈, 천정 패널 모듈 및 플랫폼 패널 모듈을 각각 분리된 형태로 승강로에 투입한 후 승강로 내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립 작업이 수행된다.Since the elevator cage configured as above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after the hoistway is formed in the building, the wall panel module, the ceiling panel module and the platform panel module are not installed in the hoistway in the form of assembled cag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After each is put into the hoistway in a separate form, the assembly work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in the hoistway.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각각의 패널 모듈을 볼트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볼트 결합 작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외부 공간, 즉, 승강로 상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승강로에는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조립을 위한 작업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므로, 승강로 공간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는 건물 전체에 대한 공간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조립 작업이 승강로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 과정에서 추락 사고와 같은 안전 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며, 작업 공정 시간 또한 증가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The elevator cage is bolted to each panel module, this bolting operation is to be carried out on the outer space of the elevator cage, that is, the hoistway. Therefore, since the hoistway requires an additional working space for assembling the elevator cage,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hoistway space, which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space efficiency of the entire building. 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operation of the elevator cage is performed on the hoistway, there is alway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accident in the working process, and various problems occur such as an increase in the work process time.

아울러,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이루는 각 패널 모듈은 조립을 위해 가장자리 부분을 절곡하여 제작해야 하며, 각종 보강재 등이 필요하므로, 제작에 따른 어려움 또한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each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elevator cage must be manufactured by bending the edge portion for assembly, and various reinforcement materials, etc. are required, so that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also occurs.

국내등록특허 제10-1081658호Domestic Patent No. 10-1081658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이루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을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외부 공간에서 패널 모듈을 볼트 결합할 필요가 없이 케이지 내부 공간에서 패널 모듈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에 별도의 조립 작업 공간이 불필요하여 건물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olt-couple the panel module in the outer space of the cage by coupling the plurality of panel modules constituting the elevator cage in a mutual fit manner. The panel module can be simply combined in the cage interior spac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assembly work spac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of the worker, and the work process.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c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 모듈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써, 권상기를 통한 엘리베이터의 승강 동작 제어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패널 모듈에 대한 작업성이 향상되어 끼워맞춤 결합 작업을 더욱 간편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화 재질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 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통해 강도 보강은 물론 끼워맞춤 결합 구조 또한 더욱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anel modul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hrough the hoist, in particular, the workability for the panel module is improved and the fitting and coupling operation is more simple and It is easy to carry out, and by applying the reinforcement pipe to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stably even though the lightweight material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design a variety of fit reinforcement as well as strength reinforcement work process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cag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 모듈의 상호 끼워맞춤 구조를 작업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모두 달성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결합 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함은 물론 작업의 신속성 효율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age that can achieve both the operation convenienc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interfit structure of the panel module, as well as maintai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olted structure as well as improve both the speed and efficiency of operation. It is.

본 발명은, 케이지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모듈은,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양측단이 상기 전면 패널 모듈 및 후면 패널 모듈과 결합되는 측면 패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전면 패널 모듈,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후면 패널 모듈은 각각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cage comprising a wall panel module that forms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a cage, a ceiling panel module that forms the ceiling of the cage, and a platform panel module that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A front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cage, a rear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rear of the cage, and side panel modules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and coupled to both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Th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each provide an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fix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은 각각,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보강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panel module,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side panel module may each include a panel body and a reinforcement pipe coupled along an edge circumference of the panel body.

또한, 상기 패널 본체는, 중심부에 배치된 일정 두께의 흡음 부재와, 상기 흡음 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박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el main body may include a sound absorb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and a thin plate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또한,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전면 패널 모듈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전면 패널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후면 패널 모듈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후면 패널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inforcing pipe of any one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at the mutual coupling portion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other reinforcing pipe.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engaged,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pipe of any one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t the mutual coupling portion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form the other one of the reinforcing pipes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engaged.

또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보강 파이프로부터 일정한 직경으로 돌출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돌출 끝단에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pilla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inforcing pipe to a constant diameter, and a head portion extending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illar portion.

또한, 상기 삽입 결합부는, 상기 보강 파이프의 일면에 상기 결합 돌출부의 헤드부가 관통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 삽입홀과, 상기 확장 삽입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부가 상기 삽입 결합부의 확장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결합홀에 끼워맞춤 결합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reinforcing pipe can be inserted through the reinforcement pipe,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And a slide coupling hole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lide protrusion moves in the state where the pilla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to the slide coupling hole. The fitting can be fixed.

또한, 상기 삽입 결합부의 슬라이드 결합홀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부와의 마찰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ct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slide coupling hole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so as to increase a frictional contact area with the pilla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보강 파이프의 일면에 나사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보강 파이프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나사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인서트 너트가 부착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and screwed into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pe, and an insert nut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ing pip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in a screwing manner.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이루는 복수개의 패널 모듈을 상호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의 외부 공간에서 패널 모듈을 볼트 결합할 필요가 없이 케이지 내부 공간에서 패널 모듈을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로에 별도의 조립 작업 공간이 불필요하여 건물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panel modules constituting the elevator cage in a mutually fitting manner, it is possible to simply combine the panel modules in the cage inner space without having to bolt the panel modules in the cage outer space.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ssembly work space in the hoistway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oper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 process time.

또한, 패널 모듈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써, 권상기를 통한 엘리베이터의 승강 동작 제어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패널 모듈에 대한 작업성이 향상되어 끼워맞춤 결합 작업을 더욱 간편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화 재질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강 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통해 강도 보강은 물론 끼워맞춤 결합 구조 또한 더욱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panel modul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hrough the hoist, in particular, the workability for the panel module is improved, and the fitting and joi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imply and easily. In addition, despite the application of lightweight materials, by applying the reinforcement pipe to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stabl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sign more diverse not only strength reinforcement, but also fit coupling structure,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work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또한, 패널 모듈의 상호 끼워맞춤 구조를 작업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모두 달성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결합 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함은 물론 작업의 신속성 효율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both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olt coupling structure as well as to improve both the speed and efficiency of work by making the interfit structure of the panel module to achieve both the convenience and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에 대한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에 대한 끼워맞춤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패널 모듈의 결합 부분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패널 모듈의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for a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tting coupling structure for a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wall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wall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signat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에 대한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에 대한 끼워맞춤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패널 모듈의 결합 부분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 패널 모듈의 결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for the wall panel module of the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tting coupling structure to a wall panel module of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upling portion of the wall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FIG. 5, and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a wall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10)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20)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panel module 10 forming a front, a rear side, and a side of a cage, a ceiling panel module 20 forming a ceiling of a cage, and a cage. It comprises a platform panel module 3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때, 월 패널 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100)과, 케이지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200)과, 케이지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양측단이 전면 패널 모듈(100) 및 후면 패널 모듈(200)과 결합되는 측면 패널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wall panel module 10, as shown in Figure 2, the front panel module 100 forming the front of the cage, the rear panel module 200 forming the rear of the cag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both sides The stage includes a side panel module 300 coupled to the front panel module 1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이러한 월 패널 모듈(10)은,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이 각각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wall panel module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월 패널 모듈(10)은 서로 결합하는 각각의 패널 모듈(100,200,300)이 별도의 결합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wall panel module 10 of the elevator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each panel module 100, 200, 30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imply fitting with each other, rather than using a separate coupling bolt. It is configured to be.

이때, 월 패널 모듈(10)의 각 패널 모듈(100,200,300)만 서로 끼워맞춤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천정 패널 모듈(20)과 월 패널 모듈(10) 또한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플랫폼 패널 모듈(30)과 월 패널 모듈(10) 또한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끼워맞춤 결합 방식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월 패널 모듈(10)의 끼워맞춤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n this case, not only the panel panels 100, 200, and 300 of the wall panel module 10 are fitt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ceiling panel module 20 and the wall panel module 10 may also b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platform panel module 30 and wall panel module 10 may also be fitted to each other. Since the mutual fit coupling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itting method of the wall panel module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월 패널 모듈(10)의 안정적인 끼워맞춤 결합 구조를 위해 전면 패널 모듈(100), 후면 패널 모듈(200) 및 측면 패널 모듈(300)은 각각, 패널 본체(410)와, 패널 본체(4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보강 파이프(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rear panel module 2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each have a panel body 410 and a panel body 410 for a stable fit coupling structure of the wall panel module 10. And a reinforcement pipe 420 coupled along the edge circumference.

이때, 패널 본체(410)는 중심부에 배치된 일정 두께의 흡음 부재(411)와, 흡음 부재(411)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박판 플레이트(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음 부재(411)는 다공성 재질의 흡음 부재가 적용될 수 있고, 박판 플레이트(412)는 경량 금속인 알루미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nel body 410 may include a sound absorbing member 41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disposed in the center and a thin plate plate 412 made of a metal material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411. The sound absorbing member 411 may be applied to the sound absorbing member made of a porous material, the thin plate 412 may be applied to aluminum, such as lightweight met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ge through this structure.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써, 권상기를 통한 엘리베이터의 승강 동작 제어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끼워맞춤 결합 작업시 작업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량화 재질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패널 본체(41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별도의 보강 파이프(420)가 결합되며, 이를 통해 강도 보강은 물론 끼워맞춤 결합 구조 또한 더욱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us,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g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hrough the hoisting machin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process during the fitting engagement operation of the elevator cage. In addition, despite applying a lightweight material, a separate reinforcement pipe 420 is coupled around the edge of the panel body 410 to maintain the structural strength stably, through which the reinforcement as well as the fit coupling structure Various designs can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process.

월 패널 모듈(10)의 전면 패널 모듈(100), 후면 패널 모듈(200) 및 측면 패널 모듈(300)을 상호 끼워맞춤 결합하기 위해,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 중 어느 하나의 보강 파이프(420)에 결합 돌출부(51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 파이프(420)에는 결합 돌출부(510)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510)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의 상호 결합 부위에도 마찬가지로,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보강 파이프(420)에 결합 돌출부(51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 파이프(420)에는 결합 돌출부(510)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출부(510)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fit the front panel module 100, the rear panel module 200, and the side panel module 300 of the wall panel module 10 to each other,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front panel module 100 is per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inforcement pipe 420 of any one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front panel module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provided to the other reinforcement pipe 420. Insert coupling portion 52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510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and engaged. In addition, the protrusion 510 is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pipe 420 of any one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in the same manner as the mutual coupling portion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other one of the reinforcing pipe 420,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510 may be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inserted and engaged.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모듈(300)의 후단에 배치된 보강 파이프(420)에는 결합 돌출부(510)가 형성되고, 후면 패널 모듈(200)의 일측단에 배치된 보강 파이프(420)에는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패널 모듈(300)의 전단에 배치된 보강 파이프(420)에는 삽입 결합부(520)가 형성되고, 전면 패널 모듈(100)의 일측단에 배치된 보강 파이프(420)에는 삽입 결합부(520)에 대응되는 결합 돌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a coupling protrusion 510 is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ipe 42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inforcement disposed at one end of the rear panel module 200. The pipe 42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n addition,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is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ipe 420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an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inforcement pipe 420 disposed at one end of the front panel module 100. An engagement protrusion 510 corresponding to 520 may be formed.

한편, 결합 돌출부(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파이프(420)로부터 일정한 직경(d2)으로 돌출되는 기둥부(511)와, 기둥부(511)의 돌출 끝단에 기둥부(51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d1)으로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a pillar portion 511 protruding from the reinforcing pipe 420 to a constant diameter (d2) as shown in Figure 3, and the pillar portion 511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illar portion 51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portion 512 is formed to extend to a diameter (d1) larger than the diameter of.

또한, 이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520)는, 보강 파이프(420)의 일면에 결합 돌출부(510)의 헤드부(512)가 관통 삽입할 수 있도록 헤드부(5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X1)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 삽입홀(521)과, 확장 삽입홀(5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결합 돌출부(510)의 기둥부(5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X2)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홀(5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corresponding thereto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512 so that the head portion 512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may be insert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pe 420. Extended insertion hole 521 formed to have X1,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521 and formed to have a width (X2)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portion 5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lide coupling hole 522.

이러한 구조에 따라 결합 돌출부(510)의 기둥부(511)가 삽입 결합부(520)의 확장 삽입홀(521)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 삽입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슬라이드 결합홀(522)에 끼워맞춤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출부(510)의 기둥부(511)와 슬라이드 결합홀(522)은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pillar portion 5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sl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enetration insertion in a state where the pillar portion 5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521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522 may be fitted and fixed to fit. At this time, the pillar portion 511 and the slide coupling hole 522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upled and fix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예를 들어,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의 결합 과정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510)의 헤드부(512)를 삽입 결합부(520)의 확장 삽입홀(521)에 관통 삽입시킨다. 이때,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은 그 가장자리 끝단 높이가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단차지게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모듈(300)을 하향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결합 돌출부(510)의 기둥부(511)가 삽입 결합부(520)의 슬라이드 결합홀(522) 내주면에 밀착 접촉하며 끼워맞춤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측면 패널 모듈(300)과 후면 패널 모듈(200)은 그 가장자리 끝단 높이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coupling process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as an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5, the head part 512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inserted and coupled. It penetrates into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521 of the part 520. At this time,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may be stepped in a state where the edge end heights thereof do not match.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B, when the side panel module 300 is slid downward, the pillar portion 5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slides the coupling hole 522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 I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and fits. In this state,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rear panel module 2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dge heights thereof coincide.

결합 돌출부(510)의 기둥부(511) 외주면과 삽입 결합부(520)의 슬라이드 결합홀(522)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게 마찰 접촉하며 끼워맞춤 결합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간의 마찰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슬라이드 결합홀(52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보강 파이프(42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확장부(523)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확장부(523)는 보강 파이프(420)의 측면을 절곡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별도의 플레이트 부재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511 of the coupling protrusion 5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 coupling hole 522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520 are in frictio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extension part 523 protruding in one direction (inner spac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pipe 420)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slide coupling hole 522 to increase the frictional contact area therebetween. have. The contact extension part 523 may be formed to bend the side of the reinforcing pipe 420, or may be formed to attach a separate plate member by welding or the like.

한편, 결합 돌출부(5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파이프(420)에 돌출 장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위해 보강 파이프(420)의 일면에 나사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파이프(420)의 내부 공간에는 결합 돌출부(510)가 나사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인서트 너트(515)가 부착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51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ipe 420 in the process of protruding and mounting the reinforcement pipe 420 as shown in FIG. . In this case, the insert nut 515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ing pipe 420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510 is inserted and coupled in a screw manner.

결합 돌출부(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 파이프(4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한 직경으로 돌출되는 기둥부(511)와, 기둥부(511)의 돌출 끝단에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512)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외에도 보강 파이프(420)에 대한 나사 결합을 위해 기둥부(511)의 일단에 별도의 나사부(51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부(513)와 기둥부(511)는 그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나사부(513)의 직경이 기둥부(5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 그 경계 부위에 단턱부(514)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부(511)의 일단에 단턱부(514)가 형성됨으로써, 나사부(513)를 통해 결합 돌출부(510)를 보강 파이프(420)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결합 돌출부(510)를 최대로 회전시키더라도 단턱부(514)에 의해 나사 체결 깊이가 제한되고, 이에 따라 보강 파이프(420)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부(511) 및 헤드부(512)의 돌출 높이(h)가 다수개의 결합 돌출부(510)에서 모두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각 패널 모듈의 끼워맞춤 결합 과정에서 다수개의 결합 돌출부(510)가 존재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조립 치수를 유지하며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 510 has a pillar portion 511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pe 420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a head portion 512 that is extended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illar portion 511. In addition, a separate threaded portion 513 may be extended to one end of the pillar portion 511 for screwing to the reinforcement pipe 420. At this time, the threaded portion 513 and the pillar portion 511 is formed differently in diameter (the diameter of the screw portion 513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511), the stepped portion 514 is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As the stepped portion 51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illar portion 511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coupling protrusion 510 to the reinforcement pipe 420 through the screw portion 513, the operator engages the coupling protrusion 510. Even if the maximum rotation of the screw fastening depth is limited by the stepped portion 514, so that the protruding height (h) of the pillar portion 511 and the head portion 512 protruding from the reinforcement pipe 420 All of the coupling protrusions 510 remain the same. Therefore, ev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510 in the fitting coupling process of each panel module,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the correct assembly dimensions.

한편, 이상에서는 측면 패널 모듈(300)과 전면 패널 모듈(100) 또는 후면 패널 모듈(2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측면 패널 모듈(300), 전면 패널 모듈(100) 및 후면 패널 모듈(200) 또한 그 자체로 각각 복수개의 분할 패널 모듈로 분리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개의 분할 패널 모듈의 결합 방식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합 돌출부(510)와 삽입 결합부(520)를 이용한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ide panel module 300 and the front panel module 100 or the rear panel module 200 has been described, the side panel module 300, the front panel module 100 and the rear panel module ( 200 may also be separately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plit panel modules each, in this case, the coupling method of the plurality of split panel modules is also fitted using a coupling protrusion 510 and the insert coupling portion 520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lied in a custom coupling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월 패널 모듈
20: 천정 패널 모듈
30: 플랫폼 패널 모듈
100: 전면 패널 모듈
200: 후면 패널 모듈
300: 측면 패널 모듈
410: 패널 본체
411: 흡음 부재 412: 박판 플레이트
420: 보강 프레임
510: 결합 돌출부
511: 기둥부 512: 헤드부
513: 나사부 514: 단턱부
520: 삽입 결합부
521: 확장 삽입홀 522: 슬라이드 결합홀
10: wall panel module
20: ceiling panel module
30: platform panel module
100: front panel module
200: back panel module
300: side panel module
410: panel body
411: sound absorption member 412: thin plate
420: reinforcement frame
510: engagement protrusion
511: pillar portion 512: head portion
513: screw portion 514: stepped portion
520: insertion coupling
521: expansion insertion hole 522: slide coupling hole

Claims (8)

케이지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랫폼 패널 모듈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월 패널 모듈은
케이지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후면을 이루는 후면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좌우 측면을 이루며 양측단이 상기 전면 패널 모듈 및 후면 패널 모듈과 결합되는 측면 패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전면 패널 모듈,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후면 패널 모듈은 각각 서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전면 패널 모듈, 후면 패널 모듈 및 측면 패널 모듈은 각각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보강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전면 패널 모듈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전면 패널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상기 후면 패널 모듈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상기 측면 패널 모듈과 후면 패널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 파이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보강 파이프로부터 일정한 직경으로 돌출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돌출 끝단에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결합부는
상기 보강 파이프의 일면에 상기 결합 돌출부의 헤드부가 관통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 삽입홀과, 상기 확장 삽입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부가 상기 삽입 결합부의 확장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드 결합홀에 끼워맞춤 결합 고정되고,
상기 삽입 결합부의 슬라이드 결합홀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기둥부와의 마찰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In an elevator cage comprising a wall panel module that forms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cage, a ceiling panel module that forms the ceiling of the cage, and a platform panel module that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The wall panel module
A front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front of the cage, a rear panel module constituting the rear of the cage, and a side panel module constitut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coupled to both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re respectively fixed to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The front panel module, rear panel module and side panel module are respectively
A panel body and reinforcement pipes joined along an edge of the panel body,
At the mutual coupling portion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front panel modu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other reinforcement pipe. Insert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At the mutual coupling portion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side panel module and the rear panel modu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other reinforcing pipe. Insert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A pilla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inforcement pipe to a constant diameter, and a head portion extended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illar portion,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An expansion insertion hole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to allow the head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to be penetrated into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A slide coupling hol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maller width,
The pilla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slide-mov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through the expansion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fitted and fixed to the slide coupling hole,
An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increase the frictional contact area with the pillar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slide coupling hole edge portion of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중심부에 배치된 일정 두께의 흡음 부재와, 상기 흡음 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박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panel body includes a sound absorb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thin metal plat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보강 파이프의 일면에 나사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보강 파이프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나사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인서트 너트가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is screwed into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pipe screwed, the elevator c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nut is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screwed.

KR1020180106486A 2018-09-06 2018-09-06 Elevator Cage KR102086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86A KR102086247B1 (en) 2018-09-06 2018-09-06 Elevator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86A KR102086247B1 (en) 2018-09-06 2018-09-06 Elevator C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247B1 true KR102086247B1 (en) 2020-03-06

Family

ID=6980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86A KR102086247B1 (en) 2018-09-06 2018-09-06 Elevator C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4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04A (en) 2021-09-13 2023-03-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Cage
KR20230039003A (en) 2021-09-13 2023-03-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C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2545A (en) * 1996-03-29 1998-12-01 Columbia Elevator Products Co., Inc. Elevator cab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652404B2 (en) * 1995-05-02 2005-05-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car panels
KR20100011971U (en) * 2009-06-01 2010-12-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Wall structure of elevator cage
KR101081658B1 (en) 2006-07-11 2011-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tructure for joining panels of elevator car
CN105668387A (en) * 2016-04-25 2016-06-15 上海爱登堡电梯江苏有限公司 Connecting structure for car walls of small-shaftway elevator
JP6223571B2 (en) * 2014-07-09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b and its assembly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2404B2 (en) * 1995-05-02 2005-05-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car panels
US5842545A (en) * 1996-03-29 1998-12-01 Columbia Elevator Products Co., Inc. Elevator cab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081658B1 (en) 2006-07-11 2011-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tructure for joining panels of elevator car
KR20100011971U (en) * 2009-06-01 2010-12-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Wall structure of elevator cage
JP6223571B2 (en) * 2014-07-09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b and its assembly method
CN105668387A (en) * 2016-04-25 2016-06-15 上海爱登堡电梯江苏有限公司 Connecting structure for car walls of small-shaftway ele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04A (en) 2021-09-13 2023-03-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Cage
KR20230039003A (en) 2021-09-13 2023-03-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C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247B1 (en) Elevator Cage
JP6227153B2 (en) Ceiling unit and elevator car with ceiling unit
KR101642088B1 (en) Assembled Structures of Prefabricated Houses
JP6612552B2 (en) Fireproof pillar and load bearing wall provided with the same
JP6024605B2 (en) Elevator installation work floor equipment
CN111364745A (en) Unsupported self-supporting profile steel platform
JP2007062949A (en) Guide rail supporting structure and guide rail supporting method
JP6242176B2 (en) Elevator car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280751A (en) Damping structure and metal structural member
JP2015094077A (en) Column reinforcement structure
JP5259490B2 (en) How to build a double skin curtain wall
WO2022107300A1 (en) Guide rail support structure and elevator
CN215666478U (en) Side sedan-chair wall structure of hanging elevator floor lift control case
WO2019239595A1 (en) Elevator cag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217458358U (en) Well crossbeam for elevator
KR200488360Y1 (en)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wall
US11866297B2 (en) Elevator landing sill device and elevator device equipped with same
KR200462381Y1 (en) Guide shoe of elevato
CN210457110U (en) Car roof structure of elevator car
KR20210017121A (en) Elevator Cage
JPH03162381A (en) Steel tower shaft for elevator
WO2017221418A1 (en) Elevator car wall
CN205662187U (en) Elevator shaft
JP6170451B2 (en) Side railing wall mounting structure of balcony
CN107848758B (en) Mounting and fixing structure and mounting and fixing method for control panel in machine room at upper part of elevator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