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808A -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808A
KR20210015808A KR1020207033982A KR20207033982A KR20210015808A KR 20210015808 A KR20210015808 A KR 20210015808A KR 1020207033982 A KR1020207033982 A KR 1020207033982A KR 20207033982 A KR20207033982 A KR 20207033982A KR 20210015808 A KR20210015808 A KR 20210015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ubricating oil
wet
friction plat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우에하라
마사토시 미야가와
노부유키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에프.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에프.씨.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에프.씨.씨
Publication of KR2021001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2Clutch-bands; Clutch shoes; Clutch-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48Clutch-plates; Clutch-lamellae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2Features relating to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2069/004Profiled friction surfaces, e.g. grooves,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3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non-metal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82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06Lubrication 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 F16D13/7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마찰재의 표면에 부착된 윤활유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평판 환상의 심금(201) 상에 오일 홈(203) 및 마찰재(210)를 구비하며 구성되어 있다. 마찰재(210)는 다공질층(211)의 표면에 마찰 미끄럼운동면(213) 및 윤활유 오목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윤활유 오목부(214)는,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에 형성되며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오목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다공질층(211)은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을 구성하는 부분과 윤활유 오목부(214)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공동부(212)가 서로 동일한 형성율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본 발명은 윤활유 중에서 사용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동기와 동(同) 원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피동체 사이에 배치되며 원동기의 구동력을 피동체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적합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륜 자동차나 이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 등의 원동기의 회전 구동력을 차륜 등의 피동체에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해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는 윤활유 중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를 서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 구동력의 전달 또는 차단이 실행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플레이트는, 평판 환상의 심금(core metal)의 표면을 둘레 방향을 따라서 마찰재가 마련된 습식 마찰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마찰재의 표면에 오목 형상으로 오목한 초지홈(抄紙溝)(이후, "윤활유 오목부"라 함)이 형성된 습식 마찰재(이후, "습식 마찰 플레이트"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윤활유가 배출되기 쉬워져 드래그 토크(drag torque)를 저감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263203 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윤활유가 인입되는 윤활유 오목부의 지지층이 윤활유 오목부를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압축 변형됨으로써, 윤활유의 배출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특히, 윤활유가 저온인 경우, 또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와 클러치 플레이트의 접촉 압력이 낮은 경우에 윤활유가 배출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찰재의 표면에 부착된 윤활유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공동부를 갖는 다공질층의 표면에 마찰 미끄럼운동면 및 동 마찰 미끄럼운동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오목한 복수의 윤활유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마찰재와, 평판 환상으로 형성되며 마찰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심금을 구비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 마찰재는, 윤활유 오목부의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윤활유 오목부를 구성하는 다공질층과 마찰 미끄럼운동면을 구성하는 다공질층은 공동부의 형성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윤활유 오목부의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윤활유 오목부를 구성하는 다공질층과 마찰 미끄럼운동면을 구성하는 다공질층은 공동부의 형성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 미끄럼운동면과 윤활유 오목부에서 다공질층에 대한 윤활유의 침투성 및 배출성이 동일하게 되어, 마찰재의 표면에 부착된 윤활유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를 구성하는 다공질층과 마찰 미끄럼운동면을 구성하는 다공질층은 공동부의 형성율이 서로 동일함이란, 양자의 완전한 일치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양자에 있어서의 윤활유의 침투성 및 배출성의 차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10% 이하의 차이) 내에 들어가는 형성율 차이의 범위(예를 들면, ±10% 이하의 차이) 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의 표면을 구성하는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구성하여도 좋지만, 오목 형상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 윤활유 오목부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직교하는 2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이 1개의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윤활유 오목부가 평면에서 보아 서로 직교하는 2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이 1개의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유 오목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 윤활유 오목부는 평면에서 보아 긴 구멍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윤활유 오목부가 평면에서 보아 바닥을 갖는 긴 구멍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 미끄럼운동면 내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마찰 미끄럼운동면의 큰 결락(缺落) 부분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이 필요한 마찰 접촉 면적을 확보하면서 윤활유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 윤활유 오목부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윤활유 오목부끼리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윤활유 오목부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윤활유 오목부끼리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재의 내구력이 특정 방향으로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균일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회전 구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마찰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윤활유의 원심력에 의한 배출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 윤활유 오목부는 복수 종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윤활유 오목부가 복수 종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재의 마모가 진행되어 마찰재 전체의 두께가 얇아진 경우에 깊이가 얕은 윤활유 오목부가 소멸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마찰재의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윤활유 오목부가 복수 종류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대신하여 또는 부가하여 윤활유 오목부가 복수 종류의 홈 폭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발명으로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및 이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의 발명으로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는 원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측 플레이트에 간극 및 윤활유를 개재하여 대향측 플레이트를 대향 배치하고 양자를 서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양자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 또는 차단을 실행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플레이트 및 대향측 플레이트는, 적어도 한쪽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에 기재된 습식 마찰 플레이트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습식 마찰 플레이트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공동부를 갖는 다공질층의 표면에 마찰 미끄럼운동면 및 동 마찰 미끄럼운동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오목한 복수의 윤활유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마찰재와, 평판 환상으로 형성되며 마찰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심금을 구비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공질층을 구성하는 섬유 재료를 포함한 슬러리 형상의 원료를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원형 성형 공정과, 시트 형상의 원료에 있어서의 함수율을 90% 이하 또한 50% 이상으로 저하시키는 함수율 조정 공정과, 함수율이 조정된 시트 형상의 원료에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에 형성된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을 가압하여 윤활유 오목부를 성형하는 윤활유 오목부 형성 공정과, 윤활유 오목부가 형성된 시트 형상의 원료에 있어서의 함수율을 10% 이하로 저하시키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내에 조립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외관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마찰재의 횡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2에 도시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마찰재에 있어서의 윤활유 오목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A)는 윤활유 오목부의 평면도이며, (B)는 윤활유 오목부의 횡단면도이며, (C)는 윤활유 오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에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트리밍 프레임 (TF1, TF2)으로 트리밍한 화상 데이터를 2치화한 화상 데이터로서, (A)는 마찰 미끄럼운동면의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을 나타내고 있으며, (B)는 윤활유 오목부의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마찰재에 있어서의 공동부의 형성율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재에 있어서의 공동부의 형성율을 마찰 미끄럼운동면 및 윤활유 오목부 마다 나타낸 막대 그래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재의 횡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상한 화상 데이터이다.
도 8의 (A) 및 (B)는 도 7에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트리밍 프레임(TF1, TF2)으로 트리밍한 화상 데이터를 2치화한 화상 데이터로서, (A)는 마찰 미끄럼운동면의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을 나타내고 있으며, (B)는 윤활유 오목부의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마찰재의 주요한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프레스 롤러에 장착되는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의 외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외관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외관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외관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외관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의 전체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부의 구성 요소를 과장하여 도시하는 등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구성 요소간의 치수나 비율 등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는, 이륜 자동차(오토바이)에 있어서의 원동기인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을 피동체인 차륜(도시하지 않음)에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 장치로서, 동 엔진과 변속기(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의 구성)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하우징(10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1)은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의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이 하우징(101)에 있어서의 도시 좌측 측면에는 입력 기어(102)가 토크 댐퍼(102a)를 거쳐서 리벳(102b)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입력 기어(102)는 엔진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 구동한다. 하우징(101)에 있어서의 내주면에는, 복수 매(본 실시형태에서는 8매)의 클러치 플레이트(103)가 하우징(101)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 가능, 또한 동 하우징(101)과 일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스플라인 끼워맞춤에 의해 각각 보지되어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103)는 후술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에 가압되는 평판 환상의 부품으로서, SPCC(냉간 압연 강판)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재를 환상으로 타발하여 성형하고 있다. 이들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있어서의 각 양 측면(표리면)에는 후술하는 윤활유를 보지하기 위한 깊이 수 ㎛ 내지 수십 ㎛의 도시하지 않은 오일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있어서의 오일홈이 형성된 각 양 측면(표리면)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표면 경화 처리가 각각 실시되어 있다. 또한, 이 표면 경화 처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마찰판 홀더(104)가 하우징(101)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마찰판 홀더(104)의 내주면에는, 마찰판 홀더(10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 스플라인 홈에 샤프트(105)가 스플라인 끼워맞추어져 있다. 샤프트(105)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축체로서, 한쪽(도시 우측)의 단부측이 니들 베어링(105a)을 거쳐서 입력 기어(102) 및 하우징(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스플라인 끼워맞추는 마찰판 홀더(104)를 너트(105b)를 거쳐서 고정적으로 지지한다. 즉, 마찰판 홀더(104)는 샤프트(105)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샤프트(105)에 있어서의 다른쪽(도시 좌측)의 단부는, 이륜 자동차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변속기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105)의 중공부에는, 축 형상의 푸쉬 로드(106)가 샤프트(105)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도시 우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관통되어 배치되어 있다. 푸쉬 로드(106)는 샤프트(105)에 있어서의 한쪽(도시 우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단부의 반대측(도시 좌측)이 이륜 자동차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조작 레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 클러치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샤프트(105)의 중공부 내를 샤프트(105)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운동한다.
마찰판 홀더(104)의 외주면에는, 복수 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7매)의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103)를 끼운 상태에서, 마찰판 홀더(10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며, 또한 동 마찰판 홀더(104)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스플라인 끼워맞춤에 의해 각각 보지되어 있다.
한편, 마찰판 홀더(104)의 내부에는, 소정량의 윤활유(도시하지 않음)가 충전되어 있는 동시에, 3개의 통 형상 지지 기둥(10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면에서는 1개만 도시함). 윤활유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와 클러치 플레이트(103) 사이에 공급되며 이들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와 클러치 플레이트(103) 사이에 생기는 마찰열의 흡수나 마찰재(210)의 마모를 방지한다.
또한, 3개의 통 형상 지지 기둥(104a)은 마찰판 홀더(104)의 축선 방향 외측(도시 우측)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마찰판 홀더(104)와 동심의 위치에 배치된 가압 커버(107)가 볼트(108a), 받이판(108b) 및 코일 스프링(108c)을 거쳐서 각각 조립되어 있다. 가압 커버(107)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외경의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108c)에 의해 마찰판 홀더(104)측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가압 커버(107)의 내측 중심부에는 푸쉬 로드(106)에 있어서의 도시 우측 선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릴리즈 베어링(107a)이 마련되어 있다.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구성)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환상의 심금(201) 상에 오일 홈(203) 및 마찰재(210)를 각각 구비하며 구성되어 있다. 심금(201)은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기부가 되는 부재로서, SPCC(냉간 압연 강판)재로 이루어지는 박판재를 대략 환상으로 타발하여 성형하고 있다. 이 경우, 심금(201)의 내주부에는 마찰판 홀더(104)와 스플라인 끼워맞추게 하기 위한 내치 형상의 스플라인(2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에 있어서의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대향하는 측면, 즉, 심금(201)에 있어서의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2매)의 작은조각 형상(小片狀)의 마찰재(210)가 심금(20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오일 홈(203)을 개재하며 각각 마련되어 있다.
오일 홈(203)은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심금(201)의 내주연과 외주연 사이에서 윤활유를 인도하는 유로인 동시에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와 클러치 플레이트(103) 사이에 윤활유를 존재시켜두기 위한 오일 보지부이기도 하다. 이 오일 홈(203)은 작은조각 형상의 복수의 마찰재(210)의 각 사이에 각각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마찰재(210)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심금(20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부착된 작은조각 형상의 종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마찰재(2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퍼 기재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 및 경화시킨 경질인 다공질층(2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페이퍼 기재는 유기 섬유 및 무기 섬유 중 적어도 한쪽에 충전재를 첨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기 섬유로서는, 목재 펄프, 합성 펄프,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이미드계 섬유, 폴리비닐 알코올 변성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 아크릴 섬유, 탄소 섬유, 페놀 섬유, 나일론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1종 또는 복수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섬유로서는, 유리 섬유, 록 울, 티탄산칼륨 섬유, 세라믹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카올린 섬유, 보크사이트 섬유, 카야노이드 섬유, 붕소 섬유, 마그네시아 섬유 및 금속 섬유 등을 1종 또는 복수 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재는 마찰 조정제 및/또는 고체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으로서,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화규소, 탄화붕소, 탄화티탄, 질화규소, 질화붕소,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캐슈 더스트(cashew dust), 고무 더스트(rubber dust), 규조토, 그래파이트, 탤크, 카올린, 산화 마그네슘, 이황화몰리브덴, 니트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및 불소 고무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요소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이 다공질층(211)에는 무수한 공동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212)는, 페이퍼 기재 및 열경화성 수지의 각 재료 사이의 간극에 형성된 페이퍼 기재 및 열경화성 수지가 존재하지 않는 기공 부분으로서, 마찰재(210)의 표면에 부착된 윤활유가 스며들어 유동 또는 보지되는 부분이다. 이 공동부(212)는 다공질층(211)의 내부에 무질서하게 여러 가지의 크기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공동부(212)는 다공질층(211)의 표면에 개구되는 공동부(212)와, 다공질층(211)의 표면에 면하는 일이 없이 다공질층(2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부(212)가 있다. 또한, 공동부(212)는 서로 인접하는 공동부(212)끼리가 서로 연통하고 있는 경우와 서로 인접하는 공동부(212)끼리가 서로 연통하고 있지 않는 경우가 각각 포함되어 있다.
이 다공질층(211)의 표면에는 도 4의 (A) 내지 (C)에도 각각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 미끄럼운동면(213) 및 윤활유 오목부(2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은 클러치 플레이트(103)와 접촉하여 마찰 미끄럼운동하는 부분으로서, 평탄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윤활유 오목부(214)는 마찰재(210)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윤활유를 보지하는 부분으로서,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오목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윤활유 오목부(214)의 오목한 표면은,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윤활유 오목부(214)는 각각 평면에서 보아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종단면 형상이 최심부(最深部)가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이 최심부의 양 단부가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을 향하여 부드럽게 만곡되어서 곡선 형상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따르는 횡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윤활유 오목부(214)는 복수 종류의 길이 방향의 길이, 폭 방향의 길이 및 최심부의 깊이로 형성된 복수 종류의 크기의 윤활유 오목부(214)를 포함하며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길이 방향이 약 1.0 내지 2.0㎜, 폭 방향이 약 0.6 내지 0.7㎜, 깊이가 0.25 내지 0.4㎜의 복수 종류의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윤활유 오목부(214)는 서로 인접하는 윤활유 오목부(214)끼리가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을 거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인접하는 윤활유 오목부(214)가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평면에서 보아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전면에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공질층(211)은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을 구성하는 부분과 윤활유 오목부(214)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212)가 서로 동일한 형성율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동부(212)의 형성율은 다공질층(211) 내에 있어서의 일정한 공간 내에서 공동부(212)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이 공동부(212)의 형성율은 다공질층(211)에 오일, 수은 또는 헬륨 등의 유체를 가압 주입하고 주입된 유체량으로부터 공동부(212)의 형성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공동부(212)의 형성율은 다공질층(211)을 촬상한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화상 처리에 의해 공동부(212)의 형성율을 근사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공동부(212)의 형성율은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211) 및 윤활유 오목부(214)의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211)의 각 단면을 촬상한 화상을 취득하고 2치화하는 화상 처리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우선, 작업자는 마찰재(210)에 있어서의 윤활유 오목부(214)를 횡단면 방향으로 절단한 후, 이 횡단면 상태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등의 확대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배율(예를 들면, 120배)로 촬상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이하, 간략히 "화상 데이터"라 함)를 취득한다(도 3 참조). 이 경우, 작업자는 촬상 대상이 되는 윤활유 오목부(214)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단면을 포함한 상태로 촬상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화상 데이터의 가공을 실행할 수 있는 PC 등의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윤활유 오목부(214)의 바로 아래 부분의 화상 데이터 및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바로 아래 부분의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크기의 트리밍 프레임(TF1, TF2)으로 각각 트리밍한다. 이 경우, 윤활유 오목부(214)의 바로 아래 부분의 화상 데이터의 트리밍의 범위를 규정하는 트리밍 프레임(TF1)은, 윤활유 오목부(214)의 바로 아래 부분에 있어서의 윤활유 오목부(214)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윤활유 오목부(214)의 폭 이내의 적어도 1/3 이상의 길이로,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의 바로 아래 부분의 다공질층(211)의 두께 이내의 적어도 7할 이상의 길이로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바로 아래 부분의 화상 데이터를 트리밍의 범위를 규정하는 트리밍 프레임(TF2)은, 트리밍 프레임(TF1)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는 동시에, 윤활유 오목부(214)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바로 아래 부분에 배치된다. 이들의 경우, 트리밍 프레임(TF1, TF2)은 윤활유 오목부(214) 및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각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트리밍 프레임(TF1, TF2)은 330 픽셀×660 픽셀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작업자는 도 5의 (A) 및 (B)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2치화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소프트(공지의 컴퓨터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트리밍 프레임(TF1, TF2)으로 트리밍한 2개의 화상 데이터를 2치화한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 내에 있어서의 공동부(212)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정확하게 흑색 또는 백색으로 변환할 수 있는 문턱값을 화상 처리 소프트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윤활유 오목부(214) 및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각 바로 아래 부분을 나타내는 각 화상 데이터를 각각 2치화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동부(212)를 흑색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공동부(212) 이외의 다공질층(211)을 백색으로 변환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2치화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흑색 부분 및 백색 부분의 각 면적을 산출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소프트(공지의 컴퓨터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2치화한 화상 데이터 내에 있어서의 공동부(212)에 상당하는 부분(흑색 부분)의 면적을 적산한 합계값을 계산한다. 이 합계값의 계산은 트리밍 프레임(TF1, TF2) 마다 실행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트리밍 프레임(TF1)에 있어서의 공동부(212)의 화상 데이터 상에서의 면적의 합계값과 트리밍 프레임(TF2)에 있어서의 공동부(212)의 화상 데이터 상에서의 합계값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 동일한 형성율로 한다. 여기서, 소정의 범위 내의 차이란, 양 합계값의 차이가 ±10%의 범위 이하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자는 트리밍 프레임(TF1)의 전면적에 대한 공동부(212)의 면적의 합계값의 비율, 또는 트리밍 프레임(TF1) 내에 있어서의 공동부(212)를 제외한 다공질층(211)(백색 부분)의 면적의 합계값에 대한 공동부(212)의 면적의 합계값의 비율을 트리밍 프레임(TF2)에 있어서의 동일한 면적의 합계값의 비율과 비교하여 형성율의 동일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자들에 의한 검증 결과에 대해 설명해둔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마찰재(210) 및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재(90)에 대하여 상기한 2치화에 의한 화상 처리를 실행하여 얻은 공동부(212)의 면적의 적산값을 막대 그래프화한 도면이다. 여기서 횡축은 마찰재(210)에 있어서의 마찰 미끄럼운동면(213) 및 윤활유 오목부(214)의 각 공동부(212)의 면적의 합계값 및 마찰재(90)에 있어서의 마찰 미끄럼운동면(93) 및 윤활유 오목부(94)의 각 공동부(92)의 면적의 합계값이다. 또한, 종축은 트리밍 프레임(TF1, TF2)의 각 전면적에 대한 공동부(212)의 면적의 합계값의 비율이다.
또한, 마찰재(9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질층(211)과 동질의 다공질층(91)의 표면에 금형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오목 형상의 윤활유 오목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윤활유 오목부(94)는 바닥부에 있어서의 횡단면 방향의 양 단부에 약 120°의 각도의 코너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있어서는, 2개의 코너부 중 한쪽측(도시 좌측)만이 촬상되어 있지만, 이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도시 우측 단부에는 촬상되어 있지 않은 다른쪽측의 코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찰재(90)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마찰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여, 다공질층(91)을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트리밍 프레임(TF1, TF2)으로 트리밍하여 2치화한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2치화한 화상 데이터 내에 있어서의 공동부(92)에 상당하는 부분(흑색 부분)의 면적을 적산한 합계값을 계산한다. 또한, 마찰재(90)는 도 7 및 도 8의 나타낸 화상 데이터로부터도 윤활유 오목부(94)를 구성하는 지지층인 다공질층(91)이 마찰 미끄럼운동면(93)을 구성하는 지지층인 다공질층(91)보다 도시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압궤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검증 결과에 의하면, 마찰재(210)에 있어서의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의 바로 아래에서의 공동부(212)의 형성율은 27.4%이며, 윤활유 오목부(214)의 바로 아래에서의 공동부(212)의 형성율은 26.1%이다. 또한, 마찰재(90)에 있어서의 마찰 미끄럼운동면(93)의 바로 아래에서의 공동부(92)의 형성율은 28.8%이며, 윤활유 오목부(94)의 바로 아래에서의 공동부(92)의 형성율은 21.2%이다. 또한, 이들의 각 형성율은 복수의 샘플의 평균값이다.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제조)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는 원료를 교반하는 원료 교반 공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교반조(300) 내의 수중에 페이퍼 기재의 원료, 즉, 상기 유기 섬유 및/또는 상기 무기 섬유, 충전재 및 응집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것에 의해 슬러리 형상의 원료를 생성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교반조(300) 내의 슬러리 형상의 원료를 펌프(300a)를 이용하여 초조조(抄造槽)(301)에 이송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초조(抄造) 공정을 실시한다. 이 초조 공정은 주로, 원형 성형 공정, 함수율 조정 공정, 윤활유 오목부 성형 공정 및 건조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초조조(301) 내에 면하여 배치된 무단(無端) 벨트 형상의 초조망(抄造網)(302)을 구비한 반송 장치(303)를 회전 구동시켜 초조조(301) 내로부터 원료를 시트 형상으로 거르고 한쌍의 프레스 롤러(305)에 반송한다(원형 성형 공정). 이 반송 장치(303)는 초조조(301)와 프레스 롤러(305) 사이에 흡수 롤러(304a) 및 석션 박스(304b)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초조망(302) 상의 시트 형상의 원료에서 수분을 제거한다(함수율 조정 공정).
프레스 롤러(305)는 초조망(302) 상의 시트 형상의 원료에 윤활유 오목부(214)를 성형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프레스 롤러(305)를 구성하는 2개의 롤러 중 한쪽의 롤러의 표면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실을 격자 형상으로 짠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이 감겨져 구성되어 있다. 이 프레스 롤러(305)는 초조망(302)의 경로 상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의 원료의 함수율(중량%)이 90% 내지 50%의 범위 내에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스 롤러(305)는 초조망(302)의 경로 상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의 원료의 함수율(중량%)이 60% 내지 50%의 범위 내에 마련된다.
따라서, 초조조(301)로부터 끌어올려져 소정의 함수율로 조정된 시트 형상의 원료는, 프레스 롤러(305)에 통과되는 것에 의해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에 대향하는 면에 마찰 미끄럼운동면(213) 및 윤활유 오목부(214)가 각각 형성된다(윤활유 오목부 성형 공정). 이 경우, 시트 형상의 원료가 비교적 높은 함수율로 조정되는 동시에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이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마찰재(210)는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이 가압되는 부분이 압축 변형하여 공동부(212)가 소실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마찰 미끄럼운동면(213)과 윤활유 오목부(214)에서 다공질층(211)에 있어서의 공동부(212)의 형성율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은 수지제의 실을 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금속제로 구성한 경우에 비해 가요성을 확보하기 쉽고 윤활유 오목부(214) 바로 아래의 다공질층(211)의 압축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마찰 미끄럼운동면(213) 및 윤활유 오목부(214)가 각각 형성된 시트 형상의 원료는, 프레스 롤러(305)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건조 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건조 장치(306)에 통과되는 것에 의해 더욱 함수율이 10% 이하까지 저감된다(건조 공정). 이 경우, 윤활유 오목부(214)가 각각 형성된 시트 형상의 원료의 함수율은 3% 이상으로 하면 좋다. 이 후, 시트 형상의 원료는 회수 롤러(307)에 감겨 초조 공정이 종료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경화 공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함수율을 10% 이하까지 건조시킨 시트 형상의 원료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이 시트 형상의 원료를 가열하면서 프레스 하여 형상을 정돈하면서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마찰 미끄럼운동면(213) 및 윤활유 오목부(214)가 각각 형성된 상태로 경화된 다공질층(211)으로 이루어지는 마찰재(210)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작업자는 마찰재(210)의 부착 공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별도 공정의 프레스 가공 등의 기계 가공으로 제작한 심금(201)의 표면에 마찰재(210)의 소편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미리 작은조각 형상으로 절단한 마찰재(210)를 심금(201)에 부착하여도 좋으며, 심금(201)에 부착할 때에 마찰재(210)를 작은조각 형상으로 절단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심금(201)의 양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오일 홈(203)을 개재하고 작은조각 형상의 마찰재(210)가 부착된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이외의 기계 가공 공정, 마찰 특성의 조정 공정 및 검사 공정 등이 있지만, 본 발명에 직접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작동)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 내에 조립되어 이용된다. 그리고, 이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조작자에 의한 클러치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의 변속기로의 전달 및 차단을 실행한다.
즉, 차량의 조작자(도시하지 않음)가 클러치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푸쉬 로드(106)를 후퇴(도시 좌측으로 변위)시킨 경우에는, 푸쉬 로드(106)의 선단부가 릴리즈 베어링(107a)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가압 커버(107)가 코일 스프링(108c)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103)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103) 및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마찰판 홀더(104)의 외주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받이부(104b)측으로 변위하면서 서로 가압되어 마찰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입력 기어(102)에 전달된 엔진의 구동력이 클러치 플레이트(103),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 마찰판 홀더(104) 및 샤프트(105)를 거쳐서 변속기에 전달된다.
한편, 차량의 조작자가 클러치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푸쉬 로드(106)를 전진(도시 우측으로 변위)시킨 경우에는, 푸쉬 로드(106)의 선단부가 릴리즈 베어링(107a)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가압 커버(107)가 코일 스프링(108c)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도시 우측으로 변위하여 가압 커버(107)와 클러치 플레이트(103)가 이격된다. 이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103) 및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가압 커버(107)측으로 변위하면서 서로 가압되어 연결된 상태가 해제되고 서로 이격된다. 그 결과, 클러치 플레이트(103)로부터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실행되지 않게 되어, 입력 기어(102)에 전달된 엔진의 구동력의 변속기로의 전달이 차단된다.
이 클러치 플레이트(103)와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가 마찰 접촉한 상태에서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에 있어서의 마찰재(210)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윤활유는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가압되어 일부가 마찰재(210)의 외연부를 거쳐서 마찰재(210)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다른 일부가 마찰재(210) 내에 침투한다. 이 경우, 마찰재(210) 내에 침투하는 윤활유로서는, 윤활유 오목부(214) 내에 보지되는 윤활유와 다공질층(211) 내에 침투하는 윤활유가 있다. 그리고, 다공질층(211) 내에 침투하는 윤활유는 일부가 공동부(212)를 거쳐서 다공질층(211)(마찰재(210))의 단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시에 다른 일부가 공동부(212) 내에 머문다.
이 경우, 윤활유 오목부(214)는 윤활유를 보지하는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윤활유 오목부(214)를 구성하는 다공질층(211)과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을 구성하는 다공질층(211)에서 공동부(212)의 형성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는 마찰 미끄럼운동면(213)과 윤활유 오목부(214)에서 다공질층(211)에 대한 윤활유의 침투성 및 배출성의 차이가 적어져, 마찰재(210)의 표면에 부착된 윤활유의 배출성을 향상시켜 온도 특성(냉각 특성) 및 면압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어서 마찰재(2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는 클러치 플레이트(103)와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가 이격될 때에는, 클러치 플레이트(103)와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 사이에 남는 윤활유량이 종래 기술보다 적어진다. 이에 의해,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는, 클러치 오프시에 있어서의 클러치 플레이트(103)와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 사이에 존재하는 윤활유에 의해 양자가 간접적으로 접속된 상태, 즉 드래그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설명으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윤활유 오목부(214)의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윤활유 오목부(214)를 구성하는 다공질층(211)과 마찰 미끄럼운동면(213)을 구성하는 다공질층(211)은 공동부(212)의 형성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 미끄럼운동면(213)과 윤활유 오목부(214)에서 다공질층(211)에 대한 윤활유의 침투성 및 배출성이 동일하게 되어, 마찰재(210)의 표면에 부착한 윤활유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할 때에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하기에 나타내는 각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에 부여한 부호에 대응하는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샤프트(105)와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마찰판 홀더(104)에 보지되어 있다. 즉,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엔진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대향 배치되며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에 있어서의 출력축인 샤프트(105)와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대향측 플레이트에 적용했다. 그러나,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는, 엔진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측 플레이트로서의 클러치 플레이트(103)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횡단면 형상을 1개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했다. 그러나, 윤활유 오목부(214)는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윤활유 오목부(214)는 종단면 형상과 같이 직선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평면에서 보아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했다. 그러나, 윤활유 오목부(214)는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윤활유 오목부(2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구 형상(半球狀)으로 오목한 딤플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구멍 형상과 타원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금(201)의 직경 방향의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마찰재(210)를 관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는 심금(201)의 직경 방향을 대신하여 또는 부가하여 둘레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2방향으로 격자 형상 또는 메시 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윤활유 오목부(214)는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을 대신하여, 또는 부가하여 곡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214)는 복수 종류의 길이 방향의 길이, 폭 방향의 길이 및 깊이로 형성한 복수 종류의 크기를 포함하여 구성했다. 그러나, 윤활유 오목부(214)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형 성형 공정에서는 무단 벨트 형상의 초조망(302)을 이용하여 원료를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했다. 그러나, 초조망(302)은 원료를 시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 좋다. 따라서, 초조망(302)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초조망(302)은 바닥부를 갖는 통 형상의 성형 형 내에 수용되며 사각형 또는 원형의 시트 형상으로 원료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함수율 조정 공정에서는 시트 형상의 원료의 함수율을 60% 이하 또한 50% 이상으로 조정했다. 그러나, 함수율 조정 공정은 시트 형상의 원료의 함수율을 90% 이하 또한 50%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또한 50%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윤활유 오목부(214)를 간단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부 오목부 성형 공정에서는 롤 형상으로 형성한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에 의해 윤활유 오목부(214)를 성형했다. 그러나, 윤활부 오목부 성형 공정에서는, 평면적인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을 원료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윤활유 오목부(214)를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은 수지제의 실을 격자 형상으로 짜서 구성했다. 그러나,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은 윤활유 오목부(214)를 원료 상에 성형할 수 있으면 좋다. 따라서,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305a)은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인젝션 성형 등의 가공법을 이용하여 격자 형상으로 성형하여도 좋으며,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판형상체에 윤활유 오목부(214)를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요철 또는 관통 구멍을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에 이용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200)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마찰 플레이트는, 오일 중에서 사용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이면 좋으며,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100) 외에, 원동기에 의한 회전 운동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이용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TF1: 윤활유 오목부 바로 아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트리밍 프레임
TF2: 마찰 미끄럼운동면 바로 아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트리밍 프레임
90: 종래의 마찰재 91: 다공질층
92: 공동부 93: 마찰 미끄럼운동면
94: 윤활유 오목부 100: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101: 하우징 102: 입력 기어
102a: 토크 댐퍼 102b: 리벳
103: 클러치 플레이트 104: 마찰판 홀더
104a: 통 형상 지지 기둥 105: 샤프트
105a: 니들 베어링 105b: 너트
106: 푸쉬 로드 107: 가압 커버
107a: 릴리즈 베어링 108a: 볼트
108b: 받이판 108c: 코일 스프링
200: 습식 마찰 플레이트 201: 심금
202: 스플라인 203: 오일 홈
210: 마찰재 211: 다공질층
212: 공동부 213: 마찰 미끄럼운동면
214: 윤활유 오목부 300: 교반조
300a: 펌프 301: 초조조
302: 초조망 303: 반송 장치
304a: 흡수 롤러 304b: 석션 박스
305: 프레스 롤러 305a: 윤활유 오목부 성형 형
306: 건조 장치 307: 회수 롤러

Claims (6)

  1. 복수의 공동부를 갖는 다공질층의 표면에 마찰 미끄럼운동면 및 동(同) 마찰 미끄럼운동면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오목한 복수의 윤활유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마찰재와,
    평판 환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심금을 구비한 습식 마찰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상기 윤활유 오목부의 표면에 코너부 등의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첨예 부분이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윤활유 오목부를 구성하는 상기 다공질층과 상기 마찰 미끄럼운동면을 구성하는 상기 다공질층은 상기 공동부의 형성율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오목부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직교하는 2방향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이 1개의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오목부는,
    평면에서 보아 긴 구멍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오목부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윤활유 오목부끼리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오목부는,
    복수 종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마찰 플레이트.
  6. 원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측 플레이트에 간극 및 윤활유를 개재하여 대향측 플레이트를 대향 배치하고 양자를 서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양자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의 전달 또는 차단을 실행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측 플레이트 및 상기 대향측 플레이트는,
    적어도 한쪽이 상기 제 1 항 내지 상기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습식 마찰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KR1020207033982A 2018-05-31 2019-05-24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KR20210015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4412 2018-05-31
JP2018104412A JP6673602B2 (ja) 2018-05-31 2018-05-31 湿式摩擦プレートおよび同湿式摩擦プレートを備えた湿式多板クラッチ装置
PCT/JP2019/020592 WO2019230581A1 (ja) 2018-05-31 2019-05-24 湿式摩擦プレートおよび同湿式摩擦プレートを備えた湿式多板クラッ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808A true KR20210015808A (ko) 2021-02-10

Family

ID=6869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982A KR20210015808A (ko) 2018-05-31 2019-05-24 습식 마찰 플레이트 및 동 습식 마찰 플레이트를 구비한 습식 다판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333204B2 (ko)
EP (1) EP3816467A4 (ko)
JP (1) JP6673602B2 (ko)
KR (1) KR20210015808A (ko)
CN (2) CN116292698A (ko)
CA (1) CA3101315A1 (ko)
WO (1) WO2019230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3602B2 (ja) 2018-05-31 2020-03-25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湿式摩擦プレートおよび同湿式摩擦プレートを備えた湿式多板クラッチ装置
CN113153926A (zh) * 2020-01-07 2021-07-23 博格华纳公司 离合器系统和包括离合器系统的车辆传动系统
CN114672164A (zh) * 2022-03-02 2022-06-28 西北工业大学 一种芳纶纤维织物增强湿式摩擦材料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3203A (ja) 2006-03-28 2007-10-11 Aisin Chem Co Ltd 湿式摩擦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9571A (en) * 1940-12-07 1943-01-26 Johns Manville Method of making friction materials
US3429766A (en) * 1965-10-21 1969-02-25 Raybestos Manhattan Inc Clutch facing
JPS61149630A (ja) 1984-12-21 1986-07-08 Aisin Chem Co Ltd 湿式摩擦材
JPH064959B2 (ja) * 1987-05-19 1994-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湿式摩擦材の製造方法
JPS6421231A (en) * 1987-07-14 1989-01-24 Nihon Valqua Kogyo Kk Clutch facing
JPH0625712Y2 (ja) * 1988-03-30 1994-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湿式多板クラッチ
US5094331A (en) 1988-03-18 1992-03-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et-type multiplate clutch
US5004089A (en) * 1988-11-22 1991-04-0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Clutch driven plat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190991A (en) * 1990-11-01 1993-03-02 Nuturn Corporation Brake linings
AT405494B (de) * 1996-02-14 1999-08-25 Miba Frictec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benen reiblamelle
JP2000073299A (ja) 1998-08-21 2000-03-07 Nisshinbo Ind Inc 模様紙の製造方法
DE10041308B4 (de) * 2000-08-23 2004-02-19 Tmd Frictio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emsbacke
JP2004211781A (ja) * 2002-12-27 2004-07-29 F C C:Kk 湿式クラッチ用摩擦板
DE102006031035A1 (de) * 2006-07-05 2008-01-10 Zf Friedrichshafen Ag Reibscheibe für eine nasslaufende Kupplung für ein Fahrzeug
JP2008038963A (ja) * 2006-08-02 2008-02-21 F C C:Kk 多板式クラッチ装置
US8157071B2 (en) * 2006-10-16 2012-04-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lutch for a transmission
JP2011127687A (ja) * 2009-12-17 2011-06-30 F C C:Kk 湿式多板摩擦クラッチ装置
JP5776310B2 (ja) * 2011-04-27 2015-09-09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湿式摩擦プレート
JP5500663B2 (ja) * 2012-12-07 2014-05-21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湿式多板摩擦クラッチ装置
RU2614403C1 (ru) * 2013-09-18 2017-03-28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Фри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зацепления, сухая муфт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рикци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зацепления
EP3473883B1 (en) * 2017-10-23 2021-11-17 BorgWarner Inc. Friction material
JP6673602B2 (ja) 2018-05-31 2020-03-25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湿式摩擦プレートおよび同湿式摩擦プレートを備えた湿式多板クラ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3203A (ja) 2006-03-28 2007-10-11 Aisin Chem Co Ltd 湿式摩擦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92594B2 (en) 2023-07-04
CN112154275B (zh) 2023-05-09
JP6673602B2 (ja) 2020-03-25
US11333204B2 (en) 2022-05-17
JP2019210942A (ja) 2019-12-12
EP3816467A1 (en) 2021-05-05
EP3816467A4 (en) 2022-03-23
CA3101315A1 (en) 2019-12-05
US20210215205A1 (en) 2021-07-15
CN112154275A (zh) 2020-12-29
US20220235828A1 (en) 2022-07-28
CN116292698A (zh) 2023-06-23
WO2019230581A1 (ja)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2594B2 (en) Wet friction plate and wet multiple disc clutch device provided with wet friction plate
JP2009537762A (ja) 摩擦材ならびにその摩擦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544632B2 (en) Wet fric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796734B2 (ja) 摩擦材の製造方法および湿式摩擦プレートの製造方法
US6013696A (en) Fric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DE102014116359B4 (de) Bremsscheibenrotor
JPH08233004A (ja) 湿式摩擦板の製造方法
US9677621B2 (en) Friction assembly
DE102019113375A1 (de) Reibmaterial
DE102016202574B4 (de) Bremsbelagvorrichtung
DE102007001378A1 (de) Scheibenbremsenbelag mit verringerter Wärmeübertragung an eine Zuspanneinheit
US9624983B2 (en) Friction assembly
WO2019120373A1 (de) Reibplatte zum axialen verpressen mit einem reibpartner
US11401980B2 (en) Wet friction plate, wet multi-plate clutch device provided with same wet friction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t friction plate
JP2022185166A (ja) 抄紙体、同抄紙体を備える摩擦プレート、同摩擦プレートを備えた多板クラッチ装置、同抄紙体の製造装置および同抄紙体の製造方法
JP6930954B2 (ja) 湿式摩擦材
DE102020126942B4 (de) Reibteil
JP6957328B2 (ja) 炭素繊維プリフォーム及びc/cコンポジットブレーキディスク
JP3149595U (ja) 湿式摩擦板
JP2006249438A (ja) 湿式摩擦材
JPH064959B2 (ja) 湿式摩擦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