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990A - 피펫 장치 - Google Patents

피펫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990A
KR20210012990A KR1020200163167A KR20200163167A KR20210012990A KR 20210012990 A KR20210012990 A KR 20210012990A KR 1020200163167 A KR1020200163167 A KR 1020200163167A KR 20200163167 A KR20200163167 A KR 20200163167A KR 20210012990 A KR20210012990 A KR 20210012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unit
present
pipett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현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0016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990A/ko
Publication of KR2021001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01L3/0217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of the plunger pump type
    • B01L3/0237Details of electronic control, e.g. relating to user inte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05Metering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용액을 흡입하는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용액을 흡입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흡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펫 장치{Pipette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펫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피펫(micro-pipette)은 화학, 생명과학 및 의료분야 등에서 소량의 시료를 재거나 옮기는데 사용하는 기본적인 장치이다. 예를 들어 분자생물학에서와 같이 비교적 소량(예를 들어 마이크로 리터(㎕) 범위)의 액체가 계량되어야 하는 모든 영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마이크로 피펫은 개별 피펫팅 유닛, 동시 혹은 따로 작동되는 다수의 개별 피펫팅 유닛을 가진 피펫팅 로봇 또는 수동 피펫팅 장치또는 피펫팅 기계의 형태일 수 있다. 마이크로 피펫의 기본 작동 모드는 한정된 체적의 유체가 실린더 등 내에서 변위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종래 피펫 장치는 면역 조직 화학 염색용 희석 항체를 만들 때 항체 원액을 먼저 취하고, 경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희석 비율에 따라 희석액을 취하여 혼합하게 되며, 희석 비율은 1:50, 1:300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원액을 취하는 피펫은 마이크로 리터 단위로 취하고, 희석액을 취하는 피펫은 밀리리터(㎖) 단위로 취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직접 희석 비율에 따른 필요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실수 등 오류가 발생하여 미리 설정된 희석 비율을 따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0-0031490호(2010.03.22. 등록, 발명의 명칭: 피펫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서로 다른 용액의 혼합 배율을 설정하면, 흡입량이 자동으로 설정되고, 미리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게 흡입할 수 있어 혼합액 제조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피펫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체을 흡입하는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유체를 흡입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흡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는, 파지가능하게 형성되는 피펫본체; 상기 피펫본체에 결합되고 흡입량을 설정할 수 있는 다이얼부; 상기 피펫본체와 연결되고 제1유체 또는 제2유체의 흡입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부; 및 상기 피펫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다이얼부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부를 통해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흡입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혼합 비율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상기 제1유체와 상기 제2유체를 흡입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흡입관부에 연통 결합되는 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는 ㎕ 단위로 제1유체를 흡입하고, 상기 제2본체부는 ㎖ 단위로 제2유체를 흡입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펫 장치는, 제어부가 제1본체부, 제2본체부와 연결되어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혼합 배율에 따라 수동으로 흡입량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가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의 제1용액, 제2용액 흡입량을 혼합 배율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단위로 인해 변환 과정에서 흡입량 설정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어부가 제1본체부, 제2본체부의 각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 인하여 혼합 배율에 따른 제1용액, 제2용액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 인하여 혼합 용액의 제조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로 제1용액과 제용액을 취하고 혼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로 제1용액과 제용액을 취하고 혼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1)는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 연결부(30),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부(10)는 제1용액(L1)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용액(L1)은 항체로서, 원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부(10)는 피펫본체(11), 다이얼부(13), 흡입관부(15), 구동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피펫본체(11)는 제1본체부(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다. 사용자는 피펫본체(11)를 움켜쥐고, 구동부(17)를 작동시켜 제1용액(L1)을 취할 수 있다. 피펫본체(11)에는 뒤에 설명할 흡입관부(15)가 연결되며, 흡입관부(15)를 통해 항체인 제1용액(L1)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부(13)는 피펫본체(11)에 결합되는 것으로, 피펫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부(13)는 미리 설정되는 회전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사용자는 다이얼부(13)를 피펫본체(11) 상에서 회전키며, 미리 설정되는 구간만큼 회전시켜 흡입할 수 있는 제1용액(L1)의 흡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이얼부(13)를 통해 직접 흡입량을 설정하지 않아도, 뒤에 설명할 입력부(50)에서 희석 배율을 설정하고, 제어부(40)가 입력부(5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17)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제1용액(L1)의 흡입량이 설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부(10)는 항체, 원액에 해당되는 제1용액(L1)을 ㎕ 단위로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제2본체부(20)에서 ㎖ 단위로 희석액인 제2용액(L2)을 취하고 제1용액(L1)과 제2용액(L2)의 비율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양만큼 제1용액(L1), 제2용액(L2)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부(15)는 피펫본체(11)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1용액(L1)의 흡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커 등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용액(L1)이 뒤에 설명할 팁부(60), 흡입관부(15)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미리 설정되는 양만큼 취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7)는 피펫본체(11)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이얼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7)는 흡입관부(15)를 통해 제1용액(L1)을 흡입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이얼부(13)와 연결되어 다이얼부(13)에서 설정되는 용량만큼만 제1용액(L1)을 취하도록 제1본체부(10)에 흡입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7)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인하여 제1용액(L1)이 흡입되는 구성은 피펫 장치(1)에 관하여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부(20)는 제2용액(L2)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용액(L2)은 희석액을 의미한다. 제2본체부(20)가 희석액을 취함으로 인하여 제1본체부(10)에서 취한 항체(원액)인 제1용액(L1)과 혼합되어 면역 조직 화학 염색용 희석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부(20)는 피펫본체(21), 다이얼부(23), 흡입관부(25), 구동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피펫본체(21)는 제2본체부(2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피펫본체(21)를 움켜쥐고, 구동부(27)를 작동시켜 제2용액(L2)을 취할 수 있다.
피펫본체(21)에는 뒤에 설명할 흡입관부(25)가 연결되며, 흡입관부(25)를 통해 항체인 제1용액(L1)을 희석시키기 위한 제2용액(L2)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부(23)는 피펫본체(21)에 결합되는 것으로, 피펫본체(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부(23)는 미리 설정되는 회전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사용자는 다이얼부(23)를 피펫본체(21) 상에서 회전키며, 미리 설정되는 구간만큼 회전시켜 흡입할 수 있는 제2용액(L2)의 흡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이얼부(23)를 통해 직접 흡입량을 설정하지 않아도, 뒤에 설명할 입력부(50)에서 희석 배율을 설정하고, 제어부(40)가 입력부(5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27)의 구동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제2용액(L2)의 흡입량이 설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부(20)는 희석액에 해당되는 제2용액(L2)을 ㎖ 단위로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술한 제1본체부(10)에서 ㎕ 단위로 항체, 원액인 제1용액(L1)을 취하고 제1용액(L1)과 제2용액(L2)의 비율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양만큼 제1용액(L1), 제2용액(L2)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부(25)는 피펫본체(21)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2용액(L2)의 흡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커 등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용액(L2)이 팁부(60), 흡입관부(25)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미리 설정되는 양만큼 취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7)는 피펫본체(21)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이얼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7)는 흡입관부(25)를 통해 제2용액(L2)을 흡입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이얼부(23)와 연결되어 다이얼부(23)에서 설정되는 용량만큼만 제2용액(L2)을 취하도록 제2본체부(20)에 흡입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본체부(10)의 구동부(27)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부(20)의 구동부(27)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인하여 제2용액(L2)이 흡입되는 구성은 피펫 장치(1)에 관하여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는 제1본체부(10) 및 제2본체부(20)에 각각 결합되고,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0)에는 뒤에 설명할 제어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30)는 제1본체부(10) 및 제2본체부(20)와 별물로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연결부(30)가 제1본체부(10) 및 제2본체부(20)와 독립된 구성으로 결합됨으로 인하여 연결부(30)와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 간 결합을 해제하면,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가 독립적인 피펫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에는 제어부(40), 입력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연결부(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본체부(10) 및 제2본체부(20)와 연결되어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제1본체부(10)에서 항체인 제1용액(L1)의 흡입량, 제2본체부(20)에서 희석액인 제2용액(L2)의 흡입량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연결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용액(L1)과 제2용액(L2)의 혼합 비율에 관한 신호가 입력부(50)에 입력되면, 그에 따라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동부(27)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50)는 버튼(도면부호 미설정), 디스플레이(display, 도면부호 미설정)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희석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부(60)는 양단부(도 1 기준 상, 하측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흡입관부(25)에 연통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팁부(60)는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의 각각의 흡입관부(25)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팁부(60)는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제1본체부(10)에서 제1용액(L1)을 취하고, 제2본체부(20)에서 제2용액(L2)을 미리 설정된 양만큼 1회 취한 다음에는 폐기하고, 새로운 팁부(6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1)는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 연결부(30), 제어부(40), 입력부(50), 팁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는 각각 제1용액(L1), 제2용액(L2)을 취하는 것으로, 피펫본체(11, 21), 다이얼부(13, 23), 흡입관부(15, 25), 구동부(17,2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용액(L1)과 제2용액(L2), 구체적으로 항체인 제1용액(L1)과 희석액인 제2용액(L2)을 미리 설정된 혼합 배율, 즉 희석 배율에 따라 혼합함에 있어서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30)에 설치되는 입력부(50)에 희석 배율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0 배율로 제1용액(L1)과 제2용액(L2)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부(50), 구체적으로 버튼을 조작하여 희석 배율을 입력하면, 입력부(50)는 제어부(4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1:50 배율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100, 1:200, 1:300 등 목적에 따라 희석 배율을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30)에 설치되는 입력부(5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40)는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의 각각의 구동부(17,27)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제1본체부(10)의 제1용액(L1) 흡입량, 제2본체부(20)의 제2용액(L2) 흡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의 각 구동부(17,27)를 작동시켜 미리 설정된 희석 배율에 따라 제1용액(L1), 제2용액(L2)을 각각 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커 등 수용부에 항체인 제1용액(L1)과, 희석액인 제2용액(L2)을 함께 투입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용 희석항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장치(1), 구체적으로 연결부(30)가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부(30)에 설치되는 제어부(40)가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의 각각의 구동부(17,27)의 구동을 제어함으로 인하여 희석 배율에 따라 사용자가 매번 수동으로 흡입량을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제1용액(L1), 제2용액(L2)의 흡입량을 설정 및 흡입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매번 희석 배율에 따라 흡입량을 계산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계산이 되어 흡입량이 결정됨으로 인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용 희석항체 제조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희석 배율에 따른 흡입량을 설정하는 경우에, 보통 항체인 제1용액(L1)은 ㎕ 단위로 취하고, 제2용액(L2)은 ㎖ 단위로 취하게 되는데 1㎖가 1000㎕이므로 단위 환산에 따른 계산 착오로 인하여 혼합 용액 배율을 잘못 적용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의 피펫 장치(1)는 제어부(40)가 제1본체부(10), 제2본체부(20)의 구동부(17,27)의 구동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희석 배율에 따라 정확하게 제1용액(L1), 제2용액(L2)을 취할 수 있어 면역 조직 화학 염색용 희석항체 제조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피펫 장치 L1: 제1용액
L2: 제2용액 10: 제1본체부
11, 21, 피펫본체 13, 23: 다이얼부
15, 25: 흡입관부 17, 27: 구동부
20: 제2본체부 30: 연결부
40: 제어부 50: 입력부
60: 팁부

Claims (1)

  1. 제1유체을 흡입하는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유체를 흡입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흡입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는,
    파지가능하게 형성되는 피펫본체;
    상기 피펫본체에 결합되고 흡입량을 설정할 수 있는 다이얼부;
    상기 피펫본체와 연결되고 제1유체 또는 제2유체의 흡입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부;
    상기 피펫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다이얼부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부를 통해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를 흡입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혼합 비율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펫 장치.
KR1020200163167A 2020-11-27 2020-11-27 피펫 장치 KR20210012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67A KR20210012990A (ko) 2020-11-27 2020-11-27 피펫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67A KR20210012990A (ko) 2020-11-27 2020-11-27 피펫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152A Division KR102386235B1 (ko) 2019-07-26 2019-07-26 피펫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990A true KR20210012990A (ko) 2021-02-03

Family

ID=7457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67A KR20210012990A (ko) 2020-11-27 2020-11-27 피펫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1618A (en) Apparatus for the precision metering of fluids
EP2076766B1 (en) Method for aspirating and dispensing liquids in an automated analyzer
JP4570120B2 (ja) 液体を吸引及び分配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及び装置
JP5323014B2 (ja) 液体試料の処理ユニットおよびその処理方法
EP3092483B1 (en) Mass-spectrometer systems and methods
TW201931430A (zh) 用於線上、雙級樣品稀釋的系統及方法
JP2016109298A (ja) 個別または複合の流れを可能にするように複数の半径方向溝を有する複数位置型のマイクロ流体弁アセンブリ
CN101884885A (zh) 全自动液体操作装置
JP2020530895A (ja) Gmrによるバイオマーカの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10012990A (ko) 피펫 장치
KR20210012804A (ko) 피펫 장치
WO2004034034A1 (en) Liquid metering and transfer valve assembly with port switch
JPS643061Y2 (ko)
JP7250697B2 (ja) 毛細管駆動型流体システムの計量機構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US20100276019A1 (en) Solution feeding device
CN213398557U (zh) 一种检测装置、血液分析仪
JPS61176858A (ja) 自動化学分析装置
WO2017194983A1 (en) Device and method to sample liquids with high-precision in an automated sample analyzer
JP2519488B2 (ja) 試料定量弁
CN201579027U (zh) 全自动液体操作装置
JPH055474Y2 (ko)
JPS5881435A (ja) 混合、分注方法
WO2018135048A1 (ja) 自動分析装置、自動分析装置における廃液方法、及び、三方電磁弁
JP2874372B2 (ja) フローインジェクション分析方法およびその分析制御装置
CN220231771U (zh) 样本分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