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79A -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79A
KR20210012779A KR1020190091097A KR20190091097A KR20210012779A KR 20210012779 A KR20210012779 A KR 20210012779A KR 1020190091097 A KR1020190091097 A KR 1020190091097A KR 20190091097 A KR20190091097 A KR 20190091097A KR 20210012779 A KR20210012779 A KR 2021001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y
construction
aluminum formwork
protrusion
formwor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314B1 (ko
Inventor
전병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314B1/ko
Priority to PCT/KR2020/007114 priority patent/WO2021020712A1/ko
Priority to CN202080052067.3A priority patent/CN114174613B/zh
Publication of KR2021001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일측 단부가 서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의 서로 밀착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 공간이 개구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확장 형성된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삽입홈부 내에 압착 고정되는 고정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ALUMINUM FORM PANEL ASSEMBLY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위패널을 압착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딩, 일반 주택 등의 건물 벽체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기본 형상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형성된다. 통상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주고, 그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며, 외부 충격 등이 콘크리트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사용되는 가설물이다. 이 거푸집의 공사는 콘크리트의 시공과정과 결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마무리공사에도 많은 영향을 주므로 거푸집시공에 많은 심혈을 기울이게 된다.
이와 같은 거푸집에는 통상 철재 프레임의 전면에 합판을 결합시켜 구성되는 유로폼과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는 고급형의 알루미늄 폼으로 구분되고 있다.
종래의 유로폼은 타설 공사 후, 철거하여 재사용할 수는 있으나, 두꺼운 합판과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의해 무게가 무거워 작업자가 혼자서 핸들링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유로폼을 작은 규격으로 제조하는 경우, 시공시 연결 공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공사기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9470호 "콘크리트 거푸집"은 하나의 거푸집이 완성되는 판재의 크기에서 절반의 넓이를 가지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일측단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프레임이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판재가 대칭되게 용접되어서 구성된 알루미늄재로 된 거푸집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알루미늄 거푸집은, 한 쌍의 판재를 용접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데, 용접 과정에서 많은 불량률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의 재질 특성상 용접과정에서 판자에 구멍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판재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해야 하는데, 이는 거푸집의 하중 및 생산단가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용접부위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470호(2000.02.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위패널을 압착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부의 변형을 위한 압력이 완전하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보강리브가 형성된 일측 단부가 서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어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의 서로 밀착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 공간이 개구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확장 형성된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삽입홈부 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삽입홈부 내에 압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 공간과 접하는 제1면과 제2면에는 각각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 공간과 마주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에는 중앙이 개구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제1경사면으로 구성된 안내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으로부터 함몰된 체결홈으로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돌기의 변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2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의 제2경사면에는 단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의 제2경사면들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요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과 고정돌기는 상기 보강리브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보강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바는, 양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마련된 체결공으로 삽입 지지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배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바의 지지봉을 플랜지에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바의 지지봉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플랜지의 체결공으로 삽입된 지지봉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의 선단부는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지지봉의 외경을 확장시켜, 상기 지지봉을 플랜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의 선단부 측면에는 요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강바는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압착되어 상기 고정블록과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보강바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보강바의 지지대가 관통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한 쌍의 단위패널을 압착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단위패널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고정돌기부의 변형을 위한 압력이 완전하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감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감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는, 마감패널(10)과, 마감패널(10)의 배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마감패널(10)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바(30)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패널(10)은 일측 단부가 서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는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은 경량금속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압출기를 이용한 압출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감패널(10)을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로 분할하여 구성하는 경우 압출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마감패널(10)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압출기로도 마감패널(1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단위패널(110)은 장방형의 제1패널(111)과, 상기 제1패널(111)의 장변과 나란한 일측 단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장변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보강리브(112)와, 상기 제1보강리브(112)의 상기 제2단위패널(120)과 밀착하는 전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장변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홈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위패널(120)은 장방형의 제2패널(121)과, 상기 제2패널(121)의 장변과 나란한 타측 단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장변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보강리브(122)와, 상기 제2보강리브(122)의 상기 제1단위패널(110)과 밀착하는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장변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돌기부(1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홈부(113)는 내부 공간이 개구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홈부(113)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 공간과 접하는 제1면과 제2면에는 각각 체결홈(113a)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 공간과 마주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에는 중앙이 개구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제1경사면(113c)으로 구성된 안내돌기(113b)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부(123)는 상기 삽입홈부(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삽입홈부(113) 내에 압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홈부(113)의 체결홈(113a)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123a)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돌기(123a)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돌기(123a)의 변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내돌기(113b)의 제1경사면(113c)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123b)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요홈(123d)이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요홈(123d)의 형성에 의해 상기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에는 단턱(123c)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턱(123c)이 제2경사면(123b)으로부터 요홈(123d)을 함몰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요홈(123d)와 별개로 제2경사면(123b)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의 결합을 위해 상기 고정돌기부(123)가 삽입홈부(113) 내에 단순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은 안내돌기(113b)와 접촉하거나 근접 배치되고, 안내돌기(113b)의 양측 제1경사면(113c)이 접하는 돌출된 정점은 요홈(123d)의 오목한 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113b)의 돌출된 정점과 요홈(123d)의 오목한 저점의 간격은 상기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과 안내돌기(113b)의 제1경사면(113c)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 상에 형성된 단턱(123c)은 안내돌기(113b)의 제1경사면(113c) 상에 위치하게 된다(도 6의 (a) 참조).
한편, 상기 제1보강리브(112)의 후면은 지지블록(P2)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이 되고, 상기 제2보강리브(122)의 후면은 가압기구(P1)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이 된다. 상기 가압면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23)의 변형을 위해 가압기구(P1)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압홈(122b)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압홈(122b)의 부피는 상기 삽입홈부(113) 내에서의 고정돌기부(123)의 변형량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기구(P1)가 가압면을 타격하는 가압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가압홈(122b)은 상기 제2보강리브(122)의 타격면에서 제2보강리브(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기구(P1)가 가압롤러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가압홈(122b)은 상기 제2보강리브(122)의 가압면에서 제2보강리브(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상기와 같이 마감패널(10)을 구성하는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을 압착 방식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용접 방식에 비해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마감패널(1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장변 플랜지(11)와, 마감패널(1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단변 플랜지(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변 플랜지(11)는 마감패널(10)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변 플랜지(20)는 리벳이나 용접과 같은 별도의 추가 공정에 의해 마감패널(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3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31a)이 마련되고 양단부가 상기 장변 플랜지(11)에 마련된 체결공(11a)으로 삽입 지지되는 지지봉(31)과, 상기 마감패널(10)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봉(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바(30)는 단변 플랜지(2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다수 마련되어 장변 플랜지(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이격 간격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시 마감패널(10)에 작용하는 면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감패널(10)에 작용하는 면압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보강리브(112)와 제2보강리브(122)에는 상기 보강바(30)의 설치를 위한 슬릿(112a,122a)이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112a,122a)으로 보강바(30)의 지지대(32)가 삽입되면서 지지대(32)의 일면이 상기 마감패널(10)의 배면에 면접촉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릿(112a,122a)은, 상기 보강바(30)가 마감패널(1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바(30)의 지지대(32)가 상기 제1보강리브(112)와 제2보강리브(12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또한, 상기 장변 플랜지(11)의 체결공(11a)으로 삽입된 지지봉(31)의 삽입공(31a)에는 상기 지지봉(31)을 장변 플랜지(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블록(4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40)의 선단부는 삽입공(31a)에 압입되면서 지지봉(31)의 외경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봉(31)이 장변 플랜지(1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40)의 선단부 측면에는 다수의 요철부(41)가 마련되고, 상기 보강바(30)는 상기 요철부(41)에 대응하는 영역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40)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고정블록(40)이 보강바(30)의 삽입공(31a)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7 참조)
지금부터는 상술한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이 서로 결합하여 마감패널(10)을 구성하고, 마감패널(10)의 상단에는 단변 플랜지(20)가 조립되고, 마감패널(10)의 양측에 배치된 장변 플랜지(11) 사이에는 보강바(130)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마감패널(10)의 테두리에는 단변 플랜지(20)와 장변 플랜지(11)가 배치되고, 마감패널(10)의 배면에는 장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보강리브(112)와 제2보강리브(122)가 배치되고,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바(30)가 배치됨에 따라, 거푸집을 경량화하면서도 마감패널(10)에 인가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10)을 구성하는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감패널(10)의 제2보강리브(122)에 마련된 고정돌기부(123)가 제1마감패널(10)의 제1보강리브(112)에 형성된 삽입홈부(113)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압력에 의해 영구변형되어 삽입홈부(113) 내에 압착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와 같이, 제1단위패널(110)의 제1보강리브(112)와 제2단위패널(120)의 제2보강리브(122)가 서로 밀착시키면 제2보강리브(122)의 고정돌기부(123)가 제1보강리브(112)의 삽입홈부(113)로 삽입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부(123)가 삽입홈부(113) 내에 단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은 안내돌기(113b)와 접촉하거나 근접 배치되고, 안내돌기(113b)의 양측 제1경사면(113c)이 접하는 돌출된 정점은 요홈(123d)의 오목한 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113b)의 돌출된 정점과 요홈(123d)의 오목한 저점의 간격은 상기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과 안내돌기(113b)의 제1경사면(113c) 사이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123a)의 제2경사면(123b) 상에 형성된 단턱(123c)은 안내돌기(113b)의 제1경사면(113c)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 도 6의 (b)와 같이, 제1보강리브(112)의 후면을 지지블록(P2)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2보강리브(122)의 후면 중 고정돌기부(123)에 대응하는 영역을 가압기구(P1)로 가압하면, 제2보강리브(122)의 후면에 가압홈(122b)이 함몰되는 동시에, 삽입홈부(113)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돌기부(123)가 변형되면서 삽입홈부(113)의 안내돌기(113b)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고정돌기부(123)가 전체적으로 안내돌기(113b)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경사면(123b)에 마련된 단턱(123c)이 제1경사면(113c)에 접촉한 이후에, 요홈(123d)의 오목한 저점이 안내돌기(113b)의 볼록한 정점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경사면(113c)에 먼저 접촉한 단턱(123c)이 지지대(32)의 역할을 하므로, 삽입돌기(123a)의 선단부는 제1경사면(113c)으로부터 이격되어 체결홈(113a)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부(123)의 압착 과정에서, 삽입돌기(123a)의 선단부가 체결홈(113a)에 접촉하여 압착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완전한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6의 (c)와 같이, 가압기구(P1)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돌기부(123)가 추가로 변형하게 되면서 고정돌기부(123)의 삽입돌기(123a)가 삽입홈부(113)의 체결홈(113a) 내에 완전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부(113)는 내부 공간이 개구 공간에 비해 확장되어 있으므로, 고정돌기부(123)가 삽입홈부(113)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제1단위패널(110)과 제2단위패널(1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기구(P1)의 가압에 의한 고정돌기부(123)의 변형과정을 도 6의 (b)와 (c)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분리된 공정에 의한 것이 아니며, 가압기구(P1)를 이용한 1회의 가압공정에 의해 고정돌기부(123)가 도 6의 (b)에 도시된 과정을 거쳐 도 6의 (c)에 도시된 형태로 최종적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바(30)는 마감패널(10)의 배면에서 마감패널(10)의 단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강바(30)의 지지봉(31)은 양단부가 장변 플랜지(11)의 체결공(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봉(31)의 삽입공(31a)으로 압입되는 고정블록(40)에 의해 장변 플랜지(11)에 고정된다. 즉, 체결공(11a)으로 삽입된 지지봉(31)의 외경이 고정블록(40)의 압입과정에서 확장되므로 지지봉(31)이 체결공(11a)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바(30)의 지지대(32)는 제1보강리브(112)와 제2보강리브(122)에 각각 형성된 슬릿(112a,122a)으로 삽입되면서 전면부가 마감패널(10)의 배면에 밀착 지지되므로, 마감패널(10)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마감패널, 11:장변 플랜지, 11a:체결공,
20:단변 플랜지, 30:보강바, 31:지지봉,
31a:삽입공, 32:지지대, 40:고정블록,
110:제1단위패널, 111:제1패널, 112:제1보강리브,
112a:슬릿, 113:삽입홈부, 113a:체결홈,
113b:안내돌기, 113c:제1경사면, 120:제2단위패널,
121:제2패널, 122:제2보강리브, 122a:슬릿,
122b:가압홈, 123:고정돌기부, 123a:삽입돌기,
123b:제2경사면, 123c:단턱, 123d:요홈,
P1:가압기구, P2:지지블록,

Claims (17)

  1. 보강리브가 형성된 일측 단부가 서로 밀착한 상태로 고정되어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패널과 제2단위패널의 서로 밀착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 공간이 개구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확장 형성된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삽입홈부 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삽입홈부 내에 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 공간과 접하는 제1면과 제2면에는 각각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의 내벽면 중, 상기 개구 공간과 마주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제3면에는 중앙이 개구 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제1경사면으로 구성된 안내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제1면과 제2면으로부터 함몰된 체결홈으로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돌기의 변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제2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의 제2경사면에는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의 제2경사면들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요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고정돌기는 상기 보강리브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의 양측에는 상기 보강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는, 양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마련된 체결공으로 삽입 지지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배면에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의 지지봉을 플랜지에 고정하는 고정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의 지지봉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플랜지의 체결공으로 삽입된 지지봉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선단부는 삽입공에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봉의 외경을 확장시켜 상기 지지봉을 플랜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선단부 측면에는 요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강바는 상기 요철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압착되어 상기 고정블록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보강바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보강바의 지지대가 관통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KR1020190091097A 2019-07-26 2019-07-26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KR102306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97A KR102306314B1 (ko) 2019-07-26 2019-07-26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PCT/KR2020/007114 WO2021020712A1 (ko) 2019-07-26 2020-06-02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CN202080052067.3A CN114174613B (zh) 2019-07-26 2020-06-02 建筑用铝模具面板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97A KR102306314B1 (ko) 2019-07-26 2019-07-26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79A true KR20210012779A (ko) 2021-02-03
KR102306314B1 KR102306314B1 (ko) 2021-09-29

Family

ID=7422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097A KR102306314B1 (ko) 2019-07-26 2019-07-26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06314B1 (ko)
CN (1) CN114174613B (ko)
WO (1) WO20210207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613A (zh) * 2021-03-30 2021-06-29 江铃汽车集团江西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支撑柱的浇筑模板及其施工方法
CN114655555A (zh) * 2022-04-29 2022-06-24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离散的外置式钢骨架复合材料储运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470Y1 (ko) 1999-09-06 2000-02-15 고려산업개발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
KR200419925Y1 (ko) * 2006-04-11 2006-06-27 (주)쌍마판넬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120092906A (ko) * 2011-02-14 2012-08-22 허문열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
KR101722109B1 (ko) * 2016-06-13 2017-04-03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KR101978841B1 (ko) * 2017-08-21 2019-05-15 금강공업(주)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542A (en) * 1992-05-29 1995-11-14 Terry; Verl O. Interblocking concrete form modules
CN2228958Y (zh) * 1995-05-24 1996-06-12 黄金福 多功能卡合装置
JP3076289B2 (ja) * 1997-11-25 2000-08-14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構築物用床版
CN101063451A (zh) * 2006-04-24 2007-10-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压缩机的橡胶塞结构
JP4227180B2 (ja) * 2006-08-28 2009-02-18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表示用パネル
CN102747826A (zh) * 2011-04-22 2012-10-24 董春今 一种用于塑料地板的安装锁扣
CN203654739U (zh) * 2013-11-11 2014-06-18 重庆迪科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组合模板
KR101551457B1 (ko) * 2014-10-06 2015-09-08 강동국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금속기와 및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CN204804315U (zh) * 2015-04-15 2015-11-25 深圳市中升建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组合模板
CN206506469U (zh) * 2017-03-07 2017-09-19 广东光合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光伏支架用快装卡扣
CN107905520A (zh) * 2017-10-23 2018-04-13 南方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建筑铝合金模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470Y1 (ko) 1999-09-06 2000-02-15 고려산업개발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
KR200419925Y1 (ko) * 2006-04-11 2006-06-27 (주)쌍마판넬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120092906A (ko) * 2011-02-14 2012-08-22 허문열 거푸집 합판 구멍막이 장치
KR101722109B1 (ko) * 2016-06-13 2017-04-03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KR101978841B1 (ko) * 2017-08-21 2019-05-15 금강공업(주)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7613A (zh) * 2021-03-30 2021-06-29 江铃汽车集团江西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支撑柱的浇筑模板及其施工方法
CN113047613B (zh) * 2021-03-30 2022-07-08 江铃汽车集团江西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支撑柱的浇筑模板及其施工方法
CN114655555A (zh) * 2022-04-29 2022-06-24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离散的外置式钢骨架复合材料储运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712A1 (ko) 2021-02-04
CN114174613A (zh) 2022-03-11
KR102306314B1 (ko) 2021-09-29
CN114174613B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109B1 (ko) 건축용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JP510200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壁の目地棒
KR101978841B1 (ko)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KR20210012779A (ko) 건축용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조립체
JPH11256817A (ja) コンクリート成形用型枠材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KR200453780Y1 (ko) 거푸집의 코너연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의 코너 시공방법
KR100639156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1074086B1 (ko) 측압 강성이 보강된 알루미늄 거푸집
KR20070028268A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1142112B1 (ko) 경량철골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WO2019230012A1 (ja) デッキプレートとそれに用いられるデッキプレート固定金具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KR101683713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2454432B1 (ko) 슬래브패널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0361277Y1 (ko) 광폭 압출 성형의 거푸집 판넬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JP4152582B2 (ja) 枠材の曲線化構造とそれを用いた曲面壁
CN210421900U (zh) 建筑施工用模板及模板体系
JP2002294904A (ja) 壁パネル、耐力壁、耐力壁の施工方法
KR102649279B1 (ko)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KR100728736B1 (ko) 거푸집 보강대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